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시부스디자인에서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한계와 확장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란표(Ran Pyo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현재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은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이며, 감성적이고 감각적인 측면들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부합되게 전시부스 디자인에서도 다원적이고 다차원적인 공간적 이미지의 구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로 확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에 부합되는 전시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정립되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에 대한 정립은 필수적이라고 하겠다.이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존의 전시디자인에서 기본적인 커뮤니케이션 모델의 원형으로 사용되어온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이라는 발신자-수신자모델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 모델내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모델로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여기에서 분석사례로 제시되는 내용은 기존의 단선적 전달모델에 부합되는 2003년 독일 ISPO 전시회의 ``Metzler Design``이라는 전시부스와 확장된 모델에 부합되는 2006년 독일 하노버의 Domotex의 ``Armstrong Booth``이다. 연구방법은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들의 가장 단순화된 모델인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론적으로 검증하는 방식이다. 연구범위는 셰넌-위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부합되는 사례를 분석하며, 그 확장가능성과 이러한 확장가능성에 부합되는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한정된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이해가 획득 될 수 있었다. 즉 건축적 언어와 기호들이 전시품과 전시공간그리고 전시디자이너와 방문객들이 서로 관계하는 가운데 총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 같은 커뮤니케이션은 즉각적이고 감각적인 현대인들에게 전시에 대한 응축된 관점을 제공해줄 뿐 아니라 전시대상과의 상호작용 역시 가능케 해준다. 셰넌-위버 모델의 확장은 전시부스 디자인에서 이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실현가능성들 중의 하나를 제공해준다. In the contemporary communications are the multidimensional and emotional aspects of importance. Corresponding to this situation trade fair booth designers consider that the multiple construction of the spatial images must be indispensably made in the booth design. In spite of that it is not yet developed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model, which is in the moment in urgent need. This study is foremost purposed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the procedures and core substances of the ``Shannon-Weaver Model`` as the framework of the communication models in the existing trade fair design. Moreover it is tried to grope for the extendability of the model and to arrange the ground for establishing the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model for the contemporary trade booth design. The analysis examples are ``Metzler Design`` as a lineal transmitting model of information that has been exhibited at ISPO in Germany in 2003, and ``Armstring Booth`` as an extension of the lineal model that has been exhibited at Domotex Hannover in Germany in 2006. The method of research follows the accurate analysis and the theoretical inspection of the ``Shannon-- Weaver Model`` as the most simplified model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models. The rang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comprehension of the ``Shannon-Weaver Model`` and the analysis of its expandability and a concrete example for that. This study results in the following understanding: in the contemporary trade fairs in which architectural languages and signs are expressed into space and form it exhibition products, exhibiting space, exhibition designer and visito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trade fair communication as a form of total communication furnishes the spontaneous and sensitive contemporaries not only a condensed perspective to the exhibition but also possibilities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xhibited. The extension of the Shannon-Weaver Model can bring one of the realizabilities of the new communication model in the trade fair booth design.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시 스토리텔링의 적용

        윤혜영 한국박물관학회 2010 博物館學報 Vol.- No.18·19

        21 세기 현대의 박물관은 복합문화기관으로서 일반 대중들의 문화향유 및 평생학습 공간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 및 요구로 인해 박물관 패러다입은 사물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바뀌고 양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로 전시는 변화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현대의 자연과학계 박물관 전시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시 스토리텔링 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전시 구성적 측면에서는 개념 중심의 스토리텔링 구조를 통해 전시 주제를 논리화, 구조화하여 관람 객이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전시 내용적 측면에서는 전시주제를 개념화한 상징전시 물에 스토리텔링을 도입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높이고 전시 관람 주체로서 관람객을 전제로 전 시물에 사회 환경적 맥락을 제시하여 서사의 열린 가능성이 지닌 스토리텔링이 적용되어 열린 전시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이야기의 중심으로 등장한 전시물에 의해 관람객은 전시에 몰입 할 수 있게 한다. 전시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형태의 메시지 중심으로 전시 해석 매체의 성격이 변화하고 체험, 감성을 통한 교감확대를 위해 스토리텔령이 도입된다 또한, 시각적 커뮤니케 이션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시 해석 매체를 기호화, 상징화하는 과정 속에서 시각적 스 토리텔링이 적용되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이와 같이 전시의 의미와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 는 전시 스토리벨령은 ‘이야기하기 ’ 라는 현재성과 양방향성, 진행성의 의미를 지니게 되며 효 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전시관 색채 활용 연구 -한국잡월드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시관에 활용된 색채를 중심으로-

        박남진 ( Nam Jin Park )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1 No.-

        과학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있고 많은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노력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들은 방대하고 다양해진 정보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대한 시도와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왜냐하면 소통이 되지 않는 정보는 아무리 유익하더라도 정보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정보를 유익한 정보로 바꾸어 전달하는 전시 공간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방문하여 정보를 만나고 이를 습득하는 공간이다. ‘말하는 공간’이라고 불리는 전시공간은 과거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서 벗어나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와 관람객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최우선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전시할 물품의 실물 못 지 않게 물품을 둘러싼 정보가 중요한 현대 전시 공간에서 전시 디자인의 역할은 커지고 있고, 전시 디자인의 모든 요소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야 한다. 시각적 정보는 정보인식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그 가운데 색채는 보는 이의 감정과 이미지 등 감성적인 측면에 호소하여 형태적 정보와 더불어 인지에 이르게 한다. 색채의 기능은 기호적이며 상징적인 특성이 있으며 명시성, 주목성, 연상, 감성, 이해, 공감각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다. 전시관에서의 색채는 전시 디자인에서 활용되어 정보를 전달하고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르게 하는 주요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색채를 중심으로 전시관에 쓰인 전시 그래픽 색채부터 전시 공간, 정보 그래픽, 웹 사이트에 이르기까지 분석하여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 지 조사하였다. Too much information have been overwhelming in this world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 are many efforts to organize and analyze tones of information into usefu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ums. Exhibition is one of the powerful medium to deliver discerned information to visitors. As exhibition space is so called making space talk, the space should envision information. People understand almost 60% of the informations from the visual systems. Color is one of visual systems and expresses its emotions and images.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lor study for the exhibition design, including exhibit graphics, exhibit spaces, and information graphics. Methodology of the study employed case study. Samples are from two exhibition spaces. The study contribute the importance of color as communication medium in exhibit space.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활용한 과학전시기획자의 의도에 대한 관람객의 수용도 분석: 파동물리융합전시에 대한 대학생의 관람경험을 중심으로

        이현옥,김가형,정광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This study considered science exhibition as a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urator and visitors, and sought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science exhibits by exploring whether visitors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curator's intentions and messages encoded in the exhibits. To this end, the Knez and Wright Communication Model was utilized and the exhibition on the theme of wave physics was used to embod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urator and visitors.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curator of the wave exhibition and 60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in a total of 57 video clips, how the students as a group interact with the exhibits, as well as descriptive data on 167 exhibit reports about what exhibits made an impression and its reasons to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the curator went through a feedback process in which he reinterpreted the results and introspectively suggested proposals to improve the exhibition. As a result, the degree of visitors’ recognition of the curator’s intentions and messages varied according to the exhibits, but overall it was below the level that the curator targeted. The curator reviewed the visitors’ responses and suggested specific feedback for each exhib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 in terms of academic and practical terms. 본 연구는 과학전시를 전시기획자와 관람객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간주하고 과학전시에 포함된 전시 기획자의 전시의도 및 메시지를 구체화하여 관람객의 수용 정도를 분석하고 전시기획자가 관람객의 반응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전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실질 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nez and Wright의 커뮤니케이션 모 델을 도입하고 파동물리 전시를 사례로 하여 분석하 였다. 즉, 파동물리 전시를 매체로 하여 전시기획자 (발신자)와 타겟 관람객(수신자)에 해당하는 대학생 관람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내용을 살 펴보았다. 우선, 전시기획자의 파동물리 전시에 대한 의도 및 메시지를 구체화하여 분석 틀을 구성하였다. 대학생 관람객 60명은 파동물리 전시를 관람하는 과정을 동 영상으로 촬영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해당 분석 틀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관람경험을 분석하였고 이 후 전시기획자는 도출된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반성 적 제안을 하는 피드백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전시물별로 대학생 관람객의 전시의도의 수용 정도는 달랐지만 전반적으로 전시기획자가 목표 로 하는 수준에는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기획자는 피드백 과정을 거쳐 구체적인 개선방안 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파동전시의 개선에 실질적으로 활용되어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본 연구의 방법론은 지속적인 전시 개선을 목표로 하는 과학관에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커뮤니케이션 요소로서 전시관 색채 활용 연구 - 한국잡월드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전시관에 활용된 색채를 중심으로 -

        박남진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3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6 No.2

        과학기술의 발달은 정보의 생산을 증가시키고 있고 많은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노력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들은 방대하고 다양해진 정보를 분류하고 분석하여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보여주는 것에 대한 시도와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왜냐하면 소통이 되지 않는 정보는 아무리 유익하더라도 정보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수많은 정보를 유익한 정보로 바꾸어 전달하는 전시 공간은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방문하여 정보를 만나고 이를 습득하는 공간이다. ‘말하는 공간’이라고 불리는 전시공간은 과거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서 벗어나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와 관람객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최우선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전시할 물품의 실물 못 지 않게 물품을 둘러싼 정보가 중요한 현대 전시 공간에서 전시 디자인의 역할은 커지고 있고, 전시 디자인의 모든 요소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야 한다. 시각적 정보는 정보인식의 6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 그 가운데 색채는 보는 이의 감정과 이미지 등 감성적인 측면에 호소하여 형태적 정보와 더불어 인지에 이르게 한다. 색채의 기능은 기호적이며 상징적인 특성이 있으며 명시성, 주목성, 연상, 감성, 이해, 공감각적 성격을 포함하고 있다. 전시관에서의 색채는 전시 디자인에서 활용되어 정보를 전달하고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이르게 하는 주요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요소인 색채를 중심으로 전시관에 쓰인 전시 그래픽 색채부터 전시 공간, 정보 그래픽, 웹 사이트에 이르기까지 분석하여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 지 조사하였다.

      • 로봇과 인공지능 주제의 전시에서 로봇과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효과적인 전시 디자인 사례 연구

        허혜연,함보경,신경은 제주대학교 융합과학기술사회연구소 2023 융합과학기술사회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로봇과 인공지능이 일상으로 들어옴에 따라 과학 전시의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는 시대적 흐름에서, 로봇과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 증진을 위한 실제 전시 콘텐츠 연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로봇과 인공지 능을 주제로 전시를 기획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고, 전시커뮤니케이션 효과 증진을 위한 최적 화 연출 요인을 준거로 하여 전시 연출 사례를 선정하였다. 전시커뮤니케이션 연출 요인으로 정보 전달의 명료성, 정보 접근의 용이성, 전시 연출의 독창성, 구성과 배치의 예술성, 지식과 표현의 사실성을 도출하였다. 전시물 48 개 중 연구자 3인의 협의회를 거쳐 총 4개의 전시물을 선정하였고, ‘로봇과 우리, 생각해볼 이야기’, ‘로봇의 움직 임’, ‘스마트 팩토리’, ‘사람이 그린 로봇, 로봇이 그린 사람’ 전시물이다. 전시물별로 요인에 맞추어 구체적인 연출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전시를 기획할 때 로봇, 인공지능과 관람객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여 이러 한 주제의 공학기술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전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ntering our daily lives, the need for science exhibitions is increasing, and this study presented examples of actual exhibition cont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between robots and visitors.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planning exhibitions on the theme of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lected exhibition production cases based on optimized production factors for enhancing exhibition communication effects. The follow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factors for the production of exhibition communication: clarity of information delivery, ease of access to information, originality of exhibition production, artistry of composition and arrangement, and realism of knowledge and expression. Out of the 48 exhibits, four exhibits were selected after consultation with three researchers: 'Robots and Us, Stories to Think About', 'Robot Movement', 'Smart Factory', and 'Robots Drawn by People, People Drawn by Robots'. For each exhibit, specific production methods wer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actor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communication between robot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sitors when planning science exhibitions to encourage better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in the engineering and technology of these topics.

      • KCI등재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시 디자인 방법 연구

        김영욱 ( Youngwook Kim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페어는 제품 판매를 주목적으로 탄생한 장터의 한 개념이다 (Song, 2006, p14). 이러한 페어는 급격한 네트워크 사회로 변화함에 따라 소비자의 제품 정보 습득과 인식을 높여 매출을 증대시키는 전시로 변화했으며, 세일즈 마케팅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전시 디자인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관람객의 눈길을 끄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기업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 확대와 매출 증대를 모색하고자 체험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경험 가치를 감성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사고 전환 프로그램이 전시 공간에서 활용되는 것이 그 사례이다.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이 성공적 페어 마케팅 결과를 도출하도록 전시 디자인 측면에서 관람객의 인식 전환과 참여 유도를 위한 디자인 점검 요소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고려 사항을 제안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및 범위) 분석 모델은 전시 공간의 동선과 마케팅 프로그램이 상호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페어 사례 중 소비자 접근을 고려한 공간 구조와 참여 프로그램 구성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해외 페어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사례 선정과 연구는 본 연구자가 실제 전시 운영요원의 일원으로 참여했던 전시 운영 사례와 더불어 연구자가 직접 참관했던 페어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가지 공간 구조 사례를 공간 개요, 공간 특성, 디자인 개성, 브랜드 인식 총 4가지 항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은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 5가지 요소의 조화를 통해 관람객 참여를 이끌어내고, 이는 성공적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궁극적 목적인 브랜드 인식을 완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초대 요소와 참여 요소가 혼재되어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인식의 과정을 만든다는 것에 대해 전시디자인이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구체화 하고, 페어 마케팅의 전략적 장점과 가치를 도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페어 참가 기업의 전략적 목적을 내재한 전시 디자인의 유형에 따라 잠재 고객과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촉발 시키고 이는 브랜드인식과 매출 증대로 이어지는 상호작용이 발생함을 증명하였다. (결론) 전시 디자인은 페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표현 방법으로써 관람객의 프로그램 커뮤니티 참여를 돕고 인식의 전환점을 만드는 중요 요소임을 보여주었으며, 성공적 전시 디자인을 위해 페어의 목적, 예산, 통일성, 운영, 사후 개선에 대한 점검 요소와 고려할 요건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는 페어에 참가하는 기업의 전시 공간 디자인 전략 수립에 있어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되기 바란다. The notion of a fair was created for the purpose of selling products (Song, 2006, p. 14). According to the change into a radical network society, it has been converted into “exhibitions” augmenting sales by improving the customers` level of acquiring and recognizing product information. As part of the sales marketing program, the fair has caught audience`s eyes with various methods of expression, including taking advantage of exhibition design. For example, the thought diversion program is utilized for exhibition spaces, which is progressed by companies emotionally delivering brand experience value to customers through experience marketing in an effort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sales. In order to yield successful marketing results for companies participating in fairs, I have initiated research to suggest a design inspecting point and communication factors by which the participation and the conversion of spectators can be induced. (Method)I selected a series of international fairs containing space structures in favor of customers` approach and the constituents of the participation program as analysis models among cases of fairs creating a synergy effect by the interaction of exhibition space flow and the marketing program. In addition, the selection of cases and this research are based on my experience in operating an exhibition and the fairs that I attended in person. In light of a customer`s approach, I assorted six space structure cases into four subsections: space outline, space peculiarity, design characteristics, and brand awareness. (Results)By analyzing cases, it was found that exhibition designs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through the harmony of five factors including sense, emotion, awareness, behavior, and relationship. This sets forth the outcome that successful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can complete brand awareness,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Invitation factors and participation factors are intermingl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of those factors and creating awareness, exhibition design materializes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and generates the strategic advantage and values of fair marketing. According to the sorts of exhibition designs containing the strategic purposes of companies that participated in fairs, it accelerates marketing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customers, which leads to specific interactions and an increase of sales and brand awareness. (Conclusions)Exhibition design is a way of expressing fair marketing communication. It helps spectators engage in the program community and represents itself a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a watershed of awareness conversion. In addition, it gives rise to the result regarding inspection and consideration factors for the aim of fairs, budget, uniformity, operation, and post-management. I hope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will be utilized as fundamental research materials to establish strategies for exhibition space design at fairs.

      • KCI등재

        정보전달구조에 따른 박물관 전시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보영,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times, museums have not only an educational role of preserving and displaying their collections, but the function to meet and communicate with visitors. That function has become so significant. Therefore, communication of exhibition is required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visitors. It is a proces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m. The exhibition should be directed to inform the audience about the subject as contents. In additi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should be understood as a series of continuousness that create, organize, transfer and accept information. Thus, in this study,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considered as the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based on th information design theory.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exhibi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mechanism as an integrated framework and to arrive at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production through it. (Method) First, the theory of information design is studied. It is understood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information transfer by studying the concept and process of information delivery. Second,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information desig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process is studied as an integrated concept. The exhibition communication is interpreted as it and the type of exhibi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ntent radio is presented. It is also analyzed to exhibition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production and viewing. Integrated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is suggested including information understanding process. Third, the permanent exhibition of domestic museum is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isplay are analyzed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delivery mechanism. (Results) Information design is the process of structing and organizing data and delivering it as meaningful information. Exhibition communic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design theory. Information can be constructed from a display director and pres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duction design sends information to the audience receive it. The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has three contexts, as physical approach to inform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and interest of th audience for creating meaning and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sponse of audience for interrelationship, focusing on audienc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Conclusions)The museum must communicate with audience through exhibitions and deliver information meaningfully to them. Exhibition communication is the process of delivery of exhibition information that continues in a series and complex structure form production to viewing. Accordingly, exhibition is produced considering an accessibility to information, a cognition of information and interest, information processing and reaction for mutual relationship. The delivery mechanism of exhibition information will be valuable as a guideline for planning and directing exhibitions for audience.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에 박물관은 소장품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교육적인 역할과 함께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만나고 소통하는 기능이 중요해졌다. 따라서 관람객과의 관계를 위한 전시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는데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를 관람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전시는 주제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로서 관람객에게 유의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연출되어야 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과정은 정보를 만들고 구성하여 전달하고 받아들이는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정보디자인 이론에 기초하여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 전달 과정으로 간주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통합적인 개념으로서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확립하고 그에 따른 전시연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먼저 정보디자인의 이론을 고찰한다. 정보전달과정의 개념과 프로세스를 연구하여 정보 전달의 매커니즘을 이해한다. 둘째, 정보디자인의 이론적 고찰을 논거로 하여 전시정보전달과정을 통합적인 개념으로 연구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을 정보전달과정으로 해석하고 정보 함유량 비율에 따른 전시의 유형을 제시하여 전시와 정보디자인의 관련성을 설명한다. 또한 전시정보전달에 관하여 제작과 관람의 각각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정보의 이해 과정까지 포함하여 통합적인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제안하고 전시연출 분석 틀을 마련한다. 셋째, 국내 박물관의 상설 전시를 사례로 선정하고 전시 정보전달구조를 기반으로 전시연출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 정보디자인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직화하여 의미 있는 정보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정보디자인 이론을 기초하여 전시 정보전달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시연출자에서 정보를 구성하고 연출 디자인이 정보를 수신하는 관람객에게 전송하는 구조로 나타낼 수 있다. 전시 정보전달은 관람객의 정보 수용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물리적 차원의 정보 접근성, 의미 생성을 위한 관람자의 정보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를 위한 관람자의 정보 처리와 반응의 세 가지 맥락을 가진다. (결론) 현대 박물관은 전시를 통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전시는 관람객에게 정보를 의미 있게 전달해야 한다. 전시커뮤니케이션은 전시 정보 전달 과정으로서 전시 제작에서 관람까지 연쇄적이고 복합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전시는 관람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 정보에 대한 접근성, 정보의 인지와 관심, 상호적 관계 형성을 위한 정보 처리와 반응을 고려하여 연출되어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한 전시 정보 전달 구조는 관람객을 위한 전시를 계획하고 연출하는데 가이드라인으로 실천적 가치가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 모터쇼 전시디자인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조성웅,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스마트 모빌리티는 AI와 IOT, 전기차, 자율주행 등 4차 산업혁명의 최첨단 미래 기술들이 모빌리티에 접목되어, 사용성과 편의성을 높인 새로운 모빌리티 산업이다. 스마트 모빌리티에 현대인들이 주목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페어와 전시 매체들도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전시 공간을 확장하고 변형하여 융합하고 있다. 따라서 모빌리티쇼의 기능과 시스템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목적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점차 변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새로운 전시 기능을 분석하여 모빌리티전시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스마트 모빌리티 전시 디자인 개선/발전방향과 설계요구기준(Design Criteria)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터쇼의 기능을 이해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페어 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정리한다. 그리고 스마트 모빌리티에 필요한 전시 스탠드(Stand) 디자인의 유형을 구성한다. 둘째, 근 미래 스마트 모빌리티의 주요 개념의 변화와 존 어리의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파악한다. 셋째, 모빌리티 전시에서 요구하는 전시 스탠드 디자인의 방법과 운영시스템을 파악한 후, 시스템 디자인의 통합적인 개념과 그 효과를 정리한다. 넷째, 모터쇼 전시 스탠드 디자인을 스마트 모빌리티 개념 등장 전후로 모터쇼 사례를 비교 분석한다. 이때 기업이 추구하는 기능과 시스템, 장치들의 유형을 정리하고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종합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을 바탕으로 스마트 모빌리티쇼와 모터쇼의 전시 스탠드 디자인 변화를 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모터쇼가 지속가능한 산업으로서의 모빌리티를 홍보하기 위해 모빌리티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모빌리티쇼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연결된 콘텐츠와 체험, 홍보, 이벤트 등의 공간을 마련하고,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전시 방법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간은 소비자들이 미래의 모빌리티에 대해 쉽게 이해하고, 전시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며, 기업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였다. 사례 비교 결과 모터쇼가 모빌리티쇼로 발전하면서,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해 공간 구성과 전시 방법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 모빌리티쇼의 전시 디자인 개선/발전방향과 설계요구기준을 제시하였다. 스마트 모빌리티쇼는 기업과 소비자가 모빌리티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환경을 체험하고 커뮤니케이션하고 공유할 수 있는 복합적인 페어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앞으로 설계요구기준을 통해 스마트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 기술 영역과 공유 영역 등을 조화롭게 표현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전시 공간을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