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유학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 변화와 결정 요인 분석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유학생을 중심으로

        전재은(Jon Jae Eun),강규원(Kang Kyu w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본 연구는 일본 국비 장학금을 받고 일본에서 유학한 경험이 있는 한국인이 유학 후 일본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변화하는 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를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일관계의 정치경제적 중요성과 갈등, 그리고 한일 간 고등교육 단계 국제교류의 비중을 고려하였을 때, 한국인의 일본 유학 경험에 따른 일본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일본 문부과학성의 국비 장학금을 받고 일본에서 유학 후 한국으로 귀국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74명의 설문응답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은 일본에 대한 이미지를 규칙을 준수하고 꼼꼼하지만 융통성이 낮다고 인식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참여자들의 일본에 대한 이미지는 일본 유학 전과 비교하여 일본 유학 후 우호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결정 요인으로서 유학 중 일본인과의 교류, 일본 유학 만족도, 그리고 일본 유학 경험이 현재 업무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이 우호적 이미지 변화와 긍정적으로 관련되었다. 다만, 일본 관련 전공 여부는 긍정적 이미지 변화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Koreans who studied abroad in Japa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scholarship change their national image toward Japan after study abroad in Japan, and we also explored which factors may determine such change.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importance of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e significance of international exchange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between two countries, it is meaningful to study Koreans’ change toward Japan after study abroad in Japan. Data were collected from 274 participants using survey, who returned to Korea after study abroad in Japan with the Japanese government scholarship from Monbukagakusho.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perceived that Japanese tend to observe rules and they are detailed but they are low in flexibility. Participants also showed tendency to change their image toward Japan favorably after study abroad in Japan. Their interaction with Japanese during their time in Japan, their satisfaction about study in Japan, and how much their study abroad experiences in Japan are perceived to be helpful for their current work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ir favorable change toward Japan. On the other hand, study in major related to Japan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favorable change toward Japan. Based on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cations for policy on international students by the Korean government were provided.

      • KCI등재

        <일본유학가(日本留學歌)>에 형상화된 유학(留學) 체험과 가사 문학적 특질

        김윤희 ( Yun Hee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40 No.-

        본고는 1906년경 윤정하에 의해 창작된 <일본유학가(日本留學歌)>를 분석하여 당시의 유학(留學) 체험이 가사 작품으로 형상화된 양상과 그 문학적 특질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윤정하는 유학이라는 원대한 포부를 실천해나간 과정과 일본에 의해 강제적으로 유학이 종료되어 귀국할 수밖에 없었던 정황을 유학실기 에 체계적이고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산문 기록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감정 표출의 열망이 있었고 외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자신의 체험에 대한 자긍적 전달과 소통 욕망 또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창작 과정과 같이 산문 기록을 토대로 가사 장르를 선택하여 <일본유학가>를 창작하게 된 것이다. 나아가 일본에서 유학을 하는 동안 발생한 한일강제병합(1905)으로 인해 피식민지국의 일원으로 전락해 버린 화자가 경험한 치욕(恥辱)과 그 극복 의식의 측면도 작품을 통해 살펴볼 수 있었다. <일본유학가>는 ``유학``이라는 원대한 포부가 좌절된 현실에서의 고뇌를 극복하고 나아가 가사 작품을 통해 위무(慰撫)받고자 하는 의식에서 창작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윤정하는 가내 소통의 구조 내에서 감정을 토로하고 체험을 공유하는 방식을 통해 일본에서의 노력을 인정받고 울울(鬱鬱)한 심사를 해소하고자 했던 것이다. 작품의 문학적 특질을 살펴보면 우선 전체적 서사의 흐름은 물론 단위 장면 내에서도 극적인 구성의 전략이 확인된다. 학문의 중심지로 지향된 일본이었던 만큼 화자는 유학 과정의 고난과 그 극복 의지를 강조함으로써 구국(救國)을 위한 학문의 당위성과 실천적 열망을 표명하려 했던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유학가>는 ``유학(留學)``으로 그 체험의 범위를 한정하고 유학실기 의 내용을 참고함으로써 기존의 사행가사 작품들에 비해 분량도 적고 대체로 사실적인 기록성이 유지되고 있다. 현지 유학 생활의 어려움과 그 극복의 과정만으로도 충분히 흡입력 있는 서사가 확립될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유학가>의 화자는 이러한 기록 성으로 인해 자칫 무미건조해질 수 있는 문체의 위험성을 특정 어휘를 반복·연쇄하는 방법을 통해 극복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4음보 운율과 함께 리듬감을 발생시켜 독자로 하여금 작품에 효과적으로 몰입하도록 만들고 있다. 의미 단위내에서 핵심어들을 반복하여 주요 사건을 강조하는 것은 물론 고유어만의 특질과 미감을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전달의 효과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특정 부분에서는 연속적인 연쇄법이 발견되는 점도 <일본유학가>의 가사 문학적 특질인데 이는 서사의 진행 과정과 화자의 내적 반응에 대한 효율적 몰입을 가능케 함이 확인되었다. 이처럼 <일본유학가>는 20세기 초반 가사문학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작품인 만큼 앞으로 조선후기 사행가사의 전통과 연계된 고찰은 물론 비슷한 시기에 창작된 외국 기행가사들과의 공시적 비교를 통해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가 제고될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IlBonYuHakGa, written in 1906 by Yun Jung Ha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was described in gasa and its literary attributes. In YuHakShilGi, Yun described his aspiration to studying abroad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the study was forced to cease and he was returned by the Japanese authority. However, he seems to have a strong desire that was not fulfilled by the records in prose to express his emotions and also to communicate his experience in the foreign country. Therefore, he turned to writing a gasa piece, IlBonYuHakGa based on the factual report of prose as many of SahHaengGaSa in the late Chosun were. The creation of the IlBonYuHakGa in particular seems to aim to console and overcome the distress from the frustrated aspiration to studying abroad in reality. The song employs a dramatic structure in the entire plot as well as a single scene. As Japan was deemed as the academic center, the narrator tries to justify the study in favor of his own country and express his ambition for action by emphasizing the hardship and his strong will to overcome it. The narrator avoids arid recording of facts by repeating certain words. As a result, the rhythm of four words is created and efficiently makes the readers immerse in the story. The repetition of key words emphasizes the major events and enhances the communicational property through the use of unique words. In summary the lBonYuHakGa represents the continuity and diversity of the early 20th century gasa genre. It requires a more profound study regarding its significance in Korean literature through cross-analysis with SahHaeng-GaSa of the late Chosun and also comparative study with the contemporary Travel-GaSa.

      • KCI등재

        청말 중국인의 일본 유학 연구

        김보림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청말 일본에서 공부한 중국 유학생은 서양의 문화와 기술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3명의 학생들이 1896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이래 중국 중심의 역사관이 깨지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중국의 유학생들은 근대 중국을 세우는 데 앞장섰다. 그들은 처음에는 속성교육이라는 단기간 기술을 배우는 교육에 집중하였다. 중국의 유학생 정책은 청과 일본과의 관계, 또는 청과 러시아와의 국제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기본적인 정책은 높은 소양을 가진 유학생을 기르는 것이 목표였다. 1896년과 1906년 사이에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증가 추세에 있었다. 또한 외국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그러나 곧 두번째 국면이 찾아오게 되는데 중국은 여러 조항들을 만들어 수적으로 많은 유학생을 보내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 활동을 보다 활발히 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소수의 유학생들을 파견하는 정책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는 과거제 폐지 등 신정의 부활과 신해 혁명 등의 정치적 변혁기에서 국내의 상황을 견고히 하려는 중국 내부 사정과 관련이 깊다. 중국 학생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무시되어지고 정치적 변혁이 중국에서 일어날 때마다 중국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남은 유학생들은 공부와 정치적 활동을 병행하면서 학업을 끝낸 후 고국으로 돌아가 정치가, 번역가, 작가 등의 활동을 하며 여러 업적을 남기거나 일본에 체류하면서 교수가 되거나 정치적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을 끝으로 중국의 일본 유학생 파견은 종국을 맞았다. 결론적으로 일본 유학생 정책은 외국 문명에 대한 내부적 응답을 통해 제한되거나 지원되는 형태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late period of Qing(淸) played the important role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knowledge and skills. The 13 young students towards Japan in the late Qing were dispatched in 1896. The first dispatched students including 13 young students made a role to set up the modern Chinese like Japan fast. They pursued the first to take an accelerated education in Japan. The Chinese policy of study-abroad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like the war between Qing and Japan or Qing and Russia. But the basic idea of the policy was to make a high quality students. The first phase is between 1896 and 1906 when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activity about dispatching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were very aggressive.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that there were restriction of the dispatching students to other countries by the rule. Chinese students were despised by the Japanese, but when political reforms took place in China, they came back to study with interest. The remained students studied more and harder and made a big role in the Republic of China later as intellectuals. In conclusion, the studying abroad policy were supported or restricted through the internal response about the foreign country civilization.

      • KCI등재

        Research of Japanese Confucianism Studies in China

        ( Wang Qing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9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11

        自中國大陸改革開放以來, 關于日本儒學的硏究出現了盛況空前的繁榮景象, 硏究領域主要涉及以下五個方面. 一、關于日本儒學的槪述性硏究。對錯綜復雜的日本儒學史進行體系性梳理, 比較准確地槪括了日本儒學思想史的全貌;二、日本儒學的專題硏究。對近世江戶思想、徂徕學、安藤昌益的農民思想、石田梅岩等町人倫理思想、幕末維新思想等進行了深入探討;三、中日儒學的比較硏究。在思想史上中日兩國儒學相互交融, 共同發展, 二者間旣有普遍的共同性, 又有特殊的差異性。對于中日儒學進行比較硏究, 是我國日本哲學硏究的又一個重要領域;四、關于日本儒學與現代化的硏究。其中探討日本現代化的精神文化動因, 成爲我國日本哲學硏究者的一個重要課題;五、東亞視域中的日本儒學及其現代意義。近年來, 把日本儒學放在“東亞儒學”的脈絡中加以剖析的硏究成果陸續問世。特別是在東亞國家在世界經濟一體化的條件下共謀發展的時代背景下, 認同儒學對東亞各國歷史發展的重要作用, 在很大程度上强化了東亞區域意識的心理和情感基礎。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ese mainland, there has existed unpresedentedly prosperity in research on Japanese Confucianism. The research mainly covers the following aspects: 1. The overview research on Japanese Confucianism-a systematic sorting of complicated history of Japanese Confucianism and the accurate summary of the overall history of Japanese Confucianism thoughts. 2. The special research on Japanese Confucianism-a deep and thorough research on modern Edo thoughts, on Theory of Sorai, on peasants' ideology of Ando Sheki, on ethic ideas of Ishida Baigan and other chonins, and on reform ideas of late Tokugawa Shogunate etc. 3. The comparative research on Chinese Confucianism and Japanese Confucianism. In history of ideas, Chinese Confucianism and Japanese Confucianism blend and co-develope and they have both intercommunity and differentiation. It’s another important sphere of china’s research on Japanese philosophy to make comparative research into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ism. 4. The research on Japanese Confucianism and modernization. Among it, the research on the spiritual and cultural motives of Japanese moderniz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subject of china’s research on Japanese philosophy. 5. Japanese Confucianism and its modern meaning from the persepective of East Asia.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findings done by analyzing Japanese Confucianism in the context of East Asia Confucianism have come out successively. Especially in the historical context that East Asia countries seek to co-develop on the conditon of integration of world economy, it intensifie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foundation to a great degree to identify with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ism for the history of East Asia countries. [Article in Chinese]

      • 선행연구로 본 일본유교

        이희복(Lee Hee-b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4 江原人文論叢 Vol.12 No.-

        본고는 유교란 무엇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근세일본유교사에서 확인해본 것이다. 17세기 변동하는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를 배경으로 수용되고 발흥한 일본유학은 이후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이면서 발전하여 근대이후의 일본사람들에게까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주지하다시피 유교란 중국문명의 산물이다. 학문과 종교이며, 동시에 생활규범인 유교는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인들의 역사와 더불어 전개되어왔다. 시대와 지역과 사람들에 의해서 다양하게 전개된 유학역사는 당연한 결과지만 거기에 상응하는 차이를 보이면서 발전해왔다. 본고의 일본유교라는 개념은 중국에서 발생한 유교문화를 수용한 일본인들이 일본사회의 현실에 맞게 발전시킨 형태이며, 거기에 담겨있는 특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주자학을 비롯한 신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일본인들이 신유학의 핵심인 철학사상(『중용』)과 정치사장(『대학』)을 부정하고, 공맹시대의 원시유학에 회귀할 것을 주장한 근세일본유학자들이 주창한 것은 당시사회구조인 막번체제의 특수성이었다. 즉 신유학이 성행하는 중국과 조선의 정치체제가 중앙집권의 군현제인데 반해 근세일본은 지방분권인 봉건제국가임을 강조했다. 이렇게 전개된 일본유학의 특징이 일본적 특성을 나타내는 고유사상으로 표상되면서 근대이후에도 끊임없이 재생산되었다. 지성주의를 근대일본의 국민도덕과 결부시킨 결론이나, 양명학파의 지행합일을 중시하는 근대사관 등과 같은 서술형태의 근세일본유학사가 바로 그 모습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ssue of Japanese Confucianism in the history of Japanese philosophy. Against the seventeenth-century political backdrop of East Asian International affairs, Japanese Confucianism developed variously and has rather a large influence over early modem Japanese people. Though Confucianism was originated from China, Japanese philosophers developed Confucianism in compliance with their own cultures. For instance, in contrast with the China and Korea which had centralized governments, modem Japan which had a feudal system, shogunate. Their social system led the Japanese philosophers to deny the essence of neo-Confucianism, such as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The Great Learning, and stick to the original Confucianism. Since then, Japanese philosophers developed their own Confucianism, such as the Japanese intellectualism which corresponded with modem Japanese morality, and modem historic perspective which corresponded with the doctrines [teachings] of Wang Yang-ming.

      • KCI등재

        유학을 중심으로 본 근세·근대 일본사상사 논점 -2010년대 이후의 연구-

        이새봄 ( Lee¸ Sae-bom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유학이 근세일본의 사상사, 그 중에서도 정치사상사 전개의 기축이 되었고, 메이지 유신에도 중대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은 현재 한국 학계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당 분야로 조금 깊이 들어가 보면, 여전히 근세일본사회 속 유학의 전모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마루야마 마사오와 같은 세대 학자들이 이룩해 낸 일본사상에 관한 연구는, 후속 세대에 의해 비판과 수정·보완을 거듭하였다. 이들을 포함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근세일본 전기에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십 년간, 근세일본 유학사에서 상대적으로 공백상태였던 근세 후기의 논의에 집중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이들을 바탕으로 근대 사상사 연구 또한 진전되었다. 도쿠가와 중기의 소라이(徂徠)학열풍이 지나간 이후, 근세일본에서 유학의 사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관심,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서양’과 직면하게 된 근대일본의 사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진 새로운 세대의 연구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근세일본의 유학사에 주목하여 2010년대 이후에 발표된 ‘근세’와 ‘근대’ 일본사상사 연구들이 유학을 어떻게 취급해왔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이들 연구는 ‘유학’을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분모로 상정하면서도 그 구체적인 내용의 차이를 분명하게 의식한다는 점에서 ‘일본’ 사상사라는 영역을 초월해 한국 및 다른 지역의 사상사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필자는 기존 일본정치사상사 연구 흐름을 염두에 두면서, 최근 십 년간 발표된 유학과 관련된 일본사상사의 주요 연구들을 관통하는 흐름을 포착하고자 한다. The recent Korean academia is quite well aware of the fact that Confucianism serv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thought, especially political though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eiji Revolution. However, one can say that the full picture of Confucianism in Tokugawa and Meiji Japanese society is still not properly drawn.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study of Japanese political thought by Masao Maruyama and the scholars of the same generation has been repeatedly criticiz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subsequent generations. Yet,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se have focused mainly on the early part of Tokugawa Japan. But since 2010, researches focusing on the late Tokugawa period,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modern Japan, have begun to emerge. These studies are interested in how Confucian history has developed after the fad of Soraigaku passed. The question of how Confucianism and Western civilization were related has been carefully scrutinized by this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They consider Confucianism as a common ground for East Asian intellectual world, but at the same time, they put muc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of how Confucianism were handled in each East Asian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capture a such flow in the recent studies of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

        淸末民初 中國知識人의 日本留學과 동아시아 인식 ‒ 戴季陶와 李大釗의 일본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

        김형열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3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한 淸은 변법을 실시하지 않으면 멸망한다는 위기의식 아래 적극적으로 維新의 길을 찾았고, 일본이 강성해진 원인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탐구 결과 일본이 강성해 진 것은 유학생을 파견하여 해외에서 문물을 배워오게 한 것이 크게 주효하였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일본 등의 제도적 개혁을 본받기 위해 유학생을 파견하는 정책이 확립되었다. 戴季陶와 李大釗는 각각 淸末과 民初의 일본유학 고조기인 1905년과 1914년에 유학을 시작하여 2년에서 4년 동안 유학생활을 하였다. 戴季陶는 일본유학 시기 일본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어日本論을 통해 일본의 특징과 우수성에 대해 논하기도 하였지만 귀국 후 일본의 제국주의 행로를 지켜보며 점차 일본에 비판적으로 변하였다. 李大釗 또한 일본이라는 정치, 문화 환경 속에서 서양의 근대문화를 받아들이며 발전된 민주주의 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이후 일본의 ‘대아시아주의’에 대해 그것이 ‘침략주의’, ‘제국주의’, ‘군국주의’의 다른 이름이라고 비판하면서 이에 대항하는 ‘신아시아주의’를 주창하여 민족해방과 민족공조를 이루고자 하였다. When the Qing dynasty was defeated by Japan in the Sino-Japanese War, Chinese intellectuals started finding out the way that China would be strong and Japan had been strengthened. And They found out the reason of being powerful of Japan, that’s because Japan had been sending the students to west to learn more advanced and modern culture. So Qing dynasty formulated the policy encouraging Chinese intellectuals to study in Japan,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movement to study in Japan by Chinese intellectuals had been booming in early 20th century. Dai Ji-tao went to Japan to study in 1905 and Li Da-zhao went to Japan to study in 1914, the booming years to study in Japan both in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of China. During studying in Japan, Dai Ji-tao had been attracted in Japanese characteristic and superiority. But after coming back homeland, he changed his attitude to Japan and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Japan had started walking down the road of imperialist. After studying in Japan, Li Da-zhao accepted western style democracy through Japanese modern academic circumstance but strongly opposed ‘Pan-Asianism’ that several intellectuals in Japan insisted at that time. And he advocated ‘New-Asianism’ that insist alliance of weaker nations and resistance to ‘Pan-Asianism’. Eventually he proposed world alliance in that allied weaker nations tried to join. In terms of nation he tried to correct the ways of Japan’s foreign policy, even if he accepted modern political thought during his stay in Japan.

      • KCI등재

        문신의 일본 유학시기 연구: 초기(1940~50년대) 작품에 미친 영향 가능성

        김지영 미술사연구회 2022 미술사연구 Vol.- No.43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ly works of artist Moon Shin (1922~1995), who transcended the normative boundaries of region and genre during his very active art career, specifically from his time studying art abroad in Japan (1938~45) to before going to France (1940s~50s). Using records and materials from the school and residence of Moon Shin from the late 1930s to mid-1940s, this paper aims to deliberate on the environment that framed his time studying abroad, and what he studied, as well as examine the possibility that his experience studying abroad had an influence on his early work in painting, relief, and print. Research on Moon Shin until now has mostly been focused on his sculptures that were created after going to France (1961). In addition, even in research on his time before going to France, there are not a lot of mention about his time studying in Japan.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records of his time in Japan and his work were mostly destroyed or lost during the war. However, his period of studying in Japan was the first time Moon Shin studied art within the education system. It was an important time during which the artist studied the basics of sculptur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his future art career.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his time in Japan in order to understand Moon Shin’s art. This paper focuses on Moon Shin’s time studying in Japan, which has been largely obscured until now, to speculate on what education and influences Moon Shin was exposed to as well as to reflect on records of his time in Japan and the early works he created in Korea after returning home. The paper first review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wo locations, Nihon Bijutsu Gakko where Moon Shin studied and Ikebukuro Montparnasse where he lived, to identify who Moon Shin associated with and under wha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aper then examines the faculty members teaching Western-style painting at the then-Nihon Bijutsu Gakko to review whether their style or tendencies influenced Moon Shin’s early paintings. The paper also analyz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only remaining piece from Moon’s time in Japan, Self-portrait, and the portrait created by then-famous painter in Japanese art circles, Tsuguharu Foujita (1886~1968), to identify any possible influence. And in the last section, the paper focuses on how Moon Shin, after returning home, worked on not only paintings but also relief and print work. Assuming that he learned about the two genres during his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paper looks at the faculty members of the sculpture department at Nihon Bijutsu Gakko and points to the possibility of their influence. The paper aims to contribute to a further academic understanding of Moon Shin’s early works that have not been examined in detail so far. 본고는 지역과 장르를 종횡무진 월경하며 왕성한 창작을 했던 예술가 文信(1922~1995)의 화업 중에서 특별히 일본 유학시기(1938~1945)부터 도불 이전까지(1940~1950년대)의 초기 작품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그가 1930년대 후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 몸을 두었던 학교와 주거지에 대한 자료를 단서로 하여 유학 환경과 수학 내용을 추정하고, 유학 경험이 그의 초기 회화와 부조, 그리고 판화에 미친 영향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지금까지 문신에 대한 연구는 도불(1961) 이후 왕성히 제작된 조각에 치중되어 있었다. 게다가 도불 이전에 대한 연구에서도 일본 유학시기에 관해서는 상대적으로 언급이 결여되어 있다. 이는 아무래도 전란으로 인해 유학 관련 자료 및 작품이 소실된 탓이다. 그러나 일본 유학시기는 문신이 처음으로 본격적인 제도 교육 안에서 미술을 배운 시기로, 조형의 기초를 습득하고 이후 예술 활동의 자양분을 만드는 중요한 시기였던 만큼, 문신의 예술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베일에 싸여 있었던 문신의 일본 유학시기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어떤 교육과 자극들이 문신에게 흘러 들어갔는지, 유학을 둘러싼 주변 자료와 귀국 직후 한국에서 제작된 초기 작품들을 단서로 하여 유추해보고자 한다. 본고의 구성은 우선 문신이 재학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미술학교와 거주지였던 이케부쿠로 몽파르나스(池袋モンパルナス)라는 두 장소의 역사와 성격에 대해 살핌으로써 문신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인물들과 함께 생활했는지 파악한다. 이어서 유학 당시 일본미술학교 서양화과 교수진을 살피고 그들의 화풍과 성향이 문신의 초기 회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알아본다. 그리고 유학시기 작품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자화상〉에 대해 당시 일본 양화단의 화제 인물이었던 후지타 쓰구하루(藤田嗣治, 1886~1968)가 제작한 〈자화상〉과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영향 가능성을 지적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문신이 귀국 직후에 회화뿐 아니라 부조와 판화도 왕성히 제작했던 사실에 주목하여, 유학시기에 두 장르에 대한 수학 가능성을 상정하고 일본미술학교 조각과 교수진을 살펴 그들과의 영향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고가 지금까지 자세히 고찰되지 못했던 문신의 초기 작품군에 대한 이해를 조금이나마 진전시킬 수 있었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친목회회보(親睦會會報)』의 재독(再讀) (1) -≪친목회≫ 의 존재 조건을 중심으로-

        김인택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5 No.-

        1895년 5월 1일 일본에 도착한 113명의 한국 유학생들은 이후 한국 역사상 최초의 재일유학생 단체인 ≪대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를 결성하고 기관지 『친목회회보(親睦會會報)』를 발행한다. 본인이 이 글에서 분석하는 대상은 바로 『친목회회보』에 나타나는 ≪친목회≫의 존재 조건이다. 구체적으로 본 분석 작업은 지금껏 『친목회회보』를 둘러싼 논의에서 은폐되어온, 정확히는 그 영향력을 탈색하는 데 경주해온 `일본`의 존재를 드러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는 근대 국문자(國文字)의 지정학적 위치의 재구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서 구상 중인 1890년대 특히 갑오개혁기 이후 매체장(media-sphere)의 형성 과정에서 잡지 『친목회회보』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기초 분석 작업임을 밝혀둔다. 거시적 측면에서 본 분석 작업이 목적하는 바는 「번역」과 비교의 관점에서 근대 텍스트의 「지역적 교환 및 분배 구조와 그 기능」의 탐구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위 연구 주제의 일부분으로 근대 국문자 담론을 재구할 수 있는 가능성의 한 축으로서 일본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분석한 것은 세 가지로 『친목회회보』의 발간 조건으로서 일본의 당대 관련 법령인 <신문지조례>와의 상관관계(Ⅱ장), ≪친목회≫의 수익 구조(Ⅲ장), ≪친목회≫의 출판물 수급방식(Ⅳ)이다. 이를 통해 확인한 지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친목회회보』는 일본 당국의 검열에 의해 그 출판 및 발행에 있어 제약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편익을 제공받았다. 둘째, ≪친목회≫는 본회의 운영 및 『친목회회보』 등 각종 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재원이었던 기부금 및 기부자 양 측면에서 모두 일본(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었다. 셋째, ≪친목회≫는 본회의 출판물 수급의 상당 부분을 일본인에게 기증받아 『친목회회보』의 기사 및 회람에 이용하고 있었다. 넷째, 일본 측의 기부금 및 기증 서적의 기증자는 당대 일본의 정치문화 지형에서 일정한 지위와 영향력을 행사하던 인물들이었다.

      • KCI등재후보

        ‘문화 냉전’과 유학 오리엔테이션 영화

        쓰치야 유카(土屋由香)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4 No.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 정부는 점령지역지원기금(GARIOA)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의 많은 청년들을 미국 대학에 파견하는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이 논문은 일본 본토 출신의 남자 유학생을 주인공으로 한 <교환학생의 일 년(Year in America)>, 역시 일본 본토 출신 여자 유학생을 주인공으로 한 <미국으로 가는 길(Introduction to America)>, 오키나와 출신 유학생이 주인공인 <내일을 이끄는 사람들(Leaders for Tomorrow)> 등 모두 세 편의 미국 문화정보국(USIS) 영화를 소재로 ‘문화 냉전’의 양상을 살피고 있다. 이들 영화는 모두 점령지역지원기금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미국 유학 생활을 소개하는 오리엔테이션 영화로 제작되었지만, 실제 관객은 유학생들에게만 한정되어 있지 않았다. 이 영화들은 일본의 일반 국민들에게도 미국이라는 나라를 알리는 매체로 기능했으며, 일본 국민들은 이 영화를 통해 자유와 민주주의, 풍요로움이 뒷받침된 친절과 봉사정신 등 미국의 가치들을 알아갔다. 나아가 패전국 일본 국민들에게 심리적 재건(rehabilitation)을 실시함으로써 미국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을 완화시키는 기능도 하게 되었다. 이 영화들은 ‘순수한’ 유학 소재 영화라기보다는 ‘냉전’적인 프레임 속에서 생산·소비된, 일종의 ‘문화 냉전’의 산물이었다. 한편으로는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 출신 유학생을 각각 주인공으로 한 영화를 통해 동아시아 냉전의 ‘중심부’(일본)와 ‘주변부’(오키나와)의 문화 냉전의 산물이 각각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져 소비되었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initiated a study abroad program called GARIOA (Government Appropriation for Relief in Occupied Area) in Japan, bringing many students from occupied Japan and Okinawa to American universities.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cold war exhibited by orientation films by the USIS, including “Year in America”, a film about a male Japanese student, “Introduction to America”, a story featuring a female Japanese student, and “Leaders for Tomorrow”, featuring students from Okinawa. The films were all produced to introduce visiting Japanese students to life as a student in America, but the audience wa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students. The movies also functioned as an instructional medium that taught the Japanese public about the United States, instilling American values such as liberty and democracy, kindness and public spirit backed by prosperity. Accordingly, they served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 a defeated nation, while helping to mitigate negative feelings toward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se films were much beyond simple student orientation material, being a product of a ‘Cultural Cold War’ produced and consumed within the Cold War frame. Interestingly, the use of mainland Japanese and Okinawan students in each film shows how the center ( Japan) and the periphery (Okinawa) differed in thei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Cultural Cold W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