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일본사상사에서 보는 ‘반소라이학’의 문제 -‘우노가’의 ‘반소라이학’을 중심으로-

        이기원 동아시아고대학회 2023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1

        18세기 일본사상계에서 소라이학의 유행은 전국적인 현상이었다. 서일본에서는 교토에서 가장 먼저 소라이학이 유행하기 시작했다. 교토에서 최초로 소라이학을 강학한 유자는 우노 메이카(宇野明霞, 1698~1745)와 그 동생 우노 시로(宇野士朗, 1701~1732), 이른바 ‘우노가(宇野家)’ 형제들이다. 그런데 이들 우노가 형제는 이후 ‘반소라이학’으로 전향하여 소라이학을 비판하기 시작했다. 우노가의 ‘반소라이학’은 소라이의 ‘고문사학’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그 내용을 보면 한문 훈독을 포함한 문장에 대한 비판, 경서 해석에 대한 비판, 경서의 현실적 적용과 관련된 비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소라이는 고대 성인 시대의 문체를 ‘모의표절’하여 체득할 것을 주장한 반면 우노가는 ‘모의변화’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우노가는 훈독을 통해서도 경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중화’보다는 ‘일본’의 언어 현실에 중점을 둔 것이다. 우노가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경서에 제시된 성인의 도의 현실적 실천에 주안점을 두었다. 사물의 당연한 이치를 현실에서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 ‘학문’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우노가의 사상적 경향에서 보듯이 18세기 후반기는 ‘소라이학’에서 ‘반소라이학’으로 사상적 지형이 바뀌면서 사상의 다양한 입장이 분출되는 사상의 지형도를 보여준다. In the Japanese world of thought in the 18th Century, the popularity of Sorai studies was a nationwide phenomenon. In western Japan, Sorai cranes first became popular in Kyoto. The Confucianists who first studied Sorai studies in Kyoto were Meika Uno (1698-1745) and his younger brother Shiro Uno (1701-1732), the so-called “Uno Family” brothers. However, these Unoga brothers later turned to ‘anti-Sorai studies’ and began criticizing Sorai studies. Considering the content of the Uno family’s criticism of Sorai studies, it can be explained as criticism of sentences, including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and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scriptures. While Sorai insisted on learning the ancient style of writing by ‘copywriting and plagiarism,’ Unoga focused on ‘imitation and change.’ He also judged that ‘Unoga’ could fully understand the scriptures through hoondok. Based on this recognition, Unoga focused on the realistic practice of the Tao of the saints presented in the scriptures. This is because it was judged that practicing the obvious reason of things in reality is a desirable ‘academic.’ As seen in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the Uno family,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shows a topographical map of ideas in which various ideological positions erupt as the ideological terrain changes from ‘Sorai Studies’ to ‘Bansorai Studies.’

      • KCI등재

        사상 : 근대 전환시기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학문관 비교

        임태홍 ( Tai Hong L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최한기가 주자학과 실학적인 전통위에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한 점을 주목하고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일본 고문사학파의 학문, 즉 소라이학적인 전통 위에 학문을 구축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두 사람의 학문세계를 비교, 고찰하였다. 조선의 실학과 일본 에도시대의 소라이학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문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큰 틀과 사상체계를 거부하지 않았으나, 소라이학은 주자학의 패러다임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 등장한 사상이다. 즉, 실학은 리와 태극을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담론을 거부하고 실증적이며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실과 현상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면 소라이학은 통일적인 원리를 부정하고, 하나의 절대적인 대명제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귀납적인 진리의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고대에 사용된 어떤 단어의 진정한 개념을 찾아내 그것을 다른 문장을 읽는데 활용하는 일이나, 고대의 진실한 도(道), 즉 선왕의 가르침을 찾아내 그것을 현실의 여러 상황에 대응시켜나가는 일은 연역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한기와 니시가 각각 실학과 소라이학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그 내용보다는 이러한 방법론상의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한기의 기학은 실용적인 여러 학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한 성격이 강하다. 중국의 이학(理學)과 심학(心學)이 거대한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듯이 그의 기학도 하나의 대명제를 중심으로 거대한 학문 체계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니시의 양학은 새로운 학문 체계의 구축보다는 서구 문명의 사상과 학문을 있는 그대로 순수하게 수용, 전달하고자하는 경향이 강했다. 니시가 서양어의 번역에 특히 힘을 썼던 것은 일본사회에 서구 문명의 참모습을 그대로 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mpares between Choi, Hangi``s view and Nishi Amane``s view on learning. Choi, Hangi structured his world of learning upon the academic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whereas Nishi Amane built his scholarship on the tradition of Kobunjigaku founded by Ogy Sorai. Both Silhak of Joseon and Soraigaku of Japan were created in the course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One did not refused the paradigm or the system of the Confucian philosophy of Song times, but the other aggressively controverted it.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disapproved of the metaphysical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and had interests in the realistic problems. They also were concerned about the concrete facts and phenomena. This tendency might be similar to the inductive approach to the truth, or first principles. Those who belong to Sorai school, however, disclaimed a unified principle for the universe, or all creation. Their approach for true principles was a long way from inductive method. It was near the deductive reasoning. The effects to the thoughts of Choi and Nishi from the Silhak and Soraigaku was the method of learning, not the contents. Kihak of Choi, Hangi was a compilation of the various practical studies of East and West. His Kihak aimed a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ideal system focusing on the great principle, as if the Lixue and Xinxue of China did. Yougaku, the western learning, of Nishi Amane, however, intended to grasp the genuine thought and learning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o convey to the society of Meiji Japan just as it was. Consequentially, Nishi gave his best to the translation of Western culture.

      • KCI등재

        포스트-소라이학(徂徠学)의 맥락으로 읽는 도쿠가와 후기 사상사의 논점: 메이지 유학자들의 사상적 토대

        이새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일본비평 Vol.- No.19

        Confucian intellectuals in early Meiji Japan spent their younger days in late Tokugawa period. Naturally, their thoughts were established within the context of Tokugawa intellectual history. Therefore,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Meiji Confucian intellectuals, one should not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ir connection with the discourse of previous period. It is widely known that the popularity of the Soraism had reached its peak and declined in the middle of eighteenth century. Although the Sorai School lost its popularity, its teachings left great influence on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y followed by the decline of Soraism and call it the context of ‘Post-Soraism’. I argue that there are three major points in the context of Post-Soraism. Firstly, the methodology of Soraism called the Ancient Rhetoric (kobunji), led to the unfolding of competitive market for letters in the late Tokugawa Japan. Second, Sorai’s emphasis on the actual political system led to the theory as Mito school’s ideas of kokutai. Third, the Kansei Edict can be construed as a result of anti-Soraism movement.

      • KCI등재

        유학을 중심으로 본 근세·근대 일본사상사 논점 -2010년대 이후의 연구-

        이새봄 ( Lee¸ Sae-bom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7

        유학이 근세일본의 사상사, 그 중에서도 정치사상사 전개의 기축이 되었고, 메이지 유신에도 중대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점은 현재 한국 학계에서도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해당 분야로 조금 깊이 들어가 보면, 여전히 근세일본사회 속 유학의 전모는 밝혀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 중반, 마루야마 마사오와 같은 세대 학자들이 이룩해 낸 일본사상에 관한 연구는, 후속 세대에 의해 비판과 수정·보완을 거듭하였다. 이들을 포함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근세일본 전기에 논의가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십 년간, 근세일본 유학사에서 상대적으로 공백상태였던 근세 후기의 논의에 집중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고, 이들을 바탕으로 근대 사상사 연구 또한 진전되었다. 도쿠가와 중기의 소라이(徂徠)학열풍이 지나간 이후, 근세일본에서 유학의 사상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관심, 그리고 그 연장선상에서 ‘서양’과 직면하게 된 근대일본의 사상과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관한 문제의식을 가진 새로운 세대의 연구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근세일본의 유학사에 주목하여 2010년대 이후에 발표된 ‘근세’와 ‘근대’ 일본사상사 연구들이 유학을 어떻게 취급해왔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이들 연구는 ‘유학’을 동아시아 문화권의 공통분모로 상정하면서도 그 구체적인 내용의 차이를 분명하게 의식한다는 점에서 ‘일본’ 사상사라는 영역을 초월해 한국 및 다른 지역의 사상사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필자는 기존 일본정치사상사 연구 흐름을 염두에 두면서, 최근 십 년간 발표된 유학과 관련된 일본사상사의 주요 연구들을 관통하는 흐름을 포착하고자 한다. The recent Korean academia is quite well aware of the fact that Confucianism serv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thought, especially political thought,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eiji Revolution. However, one can say that the full picture of Confucianism in Tokugawa and Meiji Japanese society is still not properly drawn. Since the mid-twentieth century, the study of Japanese political thought by Masao Maruyama and the scholars of the same generation has been repeatedly criticized,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subsequent generations. Yet,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ese have focused mainly on the early part of Tokugawa Japan. But since 2010, researches focusing on the late Tokugawa period,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modern Japan, have begun to emerge. These studies are interested in how Confucian history has developed after the fad of Soraigaku passed. The question of how Confucianism and Western civilization were related has been carefully scrutinized by this new generation of researchers. They consider Confucianism as a common ground for East Asian intellectual world, but at the same time, they put much emphasis on the differences of how Confucianism were handled in each East Asian society. This paper attempts to capture a such flow in the recent studies of Japanese intellectual histor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夫馬進의 『조선연행사와 조선통신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효원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5

        The study of Homa susumu suggested a method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ronhangsa(燕行使) and Tongshinsa(通信使);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It covers a wide range of historical materials and clarifies their relationship, and opens a new ground for East Asian exchange history research through discussions that span politics, diplomacy, academia, literature and ideas.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general view of Japan and the preconceived discuss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In addition, arbitrary interpretation, exagge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hapter of study are detrimental to the reliability of research. Despite the various problems, the authors' claims are have been accepted without criticism in Japan, China and Taiwan. In this article, we made clear what the author's consistent view of the vast amount of content was and tried to make a critical study considering on the history of Japanese thought and exchange. 夫馬進의 연구는 연행사와 통신사의 관련성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파악하는 방법론을 제시했고, 필담창화집, 통신사등록, 실록, 지방지, 使琉球錄, 使朝鮮錄 등 다양한 사료를 망라하여 그 관계성을 밝히고 있으며, 정치, 외교, 학술, 문학, 사상을 넘나드는 논의로 동아시아 교류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여준다. 다만, 동아시아 연구를 표방하지만 저서 전반에 흐르는 일본중심적인 시각이나, 조선 사상사에 대한 선입견에서 비롯한 논의는 납득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다. 또 자료의 자의적 해석이나 과장, 단장취의는 연구의 신뢰성을 저해한다. 여러 문제점이 있음에도 일본, 중국, 대만 등에서 저자의 주장은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방대한 내용의 저류에 흐르고 있는 저자의 일관된 시각이 무엇인지 밝히고, 일본의 사상사, 교류사 연구 동향을 의식하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 KCI등재

        미토학(水戶學)을 둘러싼 근대성 담론- 비토 마사히데의 「미토학의 특질」 -

        이희복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4 일본사상 Vol.0 No.26

        쓰지모토 마사시(辻本雅史)의 후기미토학의 민중관과 교화의 구상」이라는 제하에 기술된 미토학의 특징은 앞서 언급한 중둥학교 참고서나 키리하라의 개설과 거의 상통한다. 내우외환의 위기를 종교적인 정책으로 타개하려했다는 구상, 하지만 그런 종교정책이 막번체제의 온존과 지배계층인 무사들을 위한 술책으로 활용되었을 뿐이라는 한계지적, 나아가 우민관에 입각해서 민중의 자율성을 부정한 미토학은 민중을 전혀 흡인하지 못한 채 점점 유리되어 갔다는 쓰지모토의 설명은 기리하라의 특징 있는 개설과 멋드러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뿐만 아니다. 쓰지모토 논문에서 또 하나의 특징은 미토학을 설명하면서 활용하는 주자학 언급이다. “여기에는 주자학에서 보인 직접적 교화나 계몽적인 주지주의의 입장은 전혀 없다”, “덴메이(天明)ㆍ간세이(寬政)기의 주자학은 틀림없이 그 방향성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주자학의 도덕론은 민중이 심정적으로 공감하고 실천을 실행하기에는 너무나 난해하고 그리고 관념적이었다”. “주자학의 언어에 의한 교화의 유효성에 부정적”이었다는 등의 주자학 관련 언급은 미토학을 이해함에 있어서 또 다른 과제가 있음을 자각시켜준다. 미토학과 주자학의 단절, 주자학과 일본민중의 단절, 후기 미토학의 역사적 종언 등이 강조된 쓰지모토의 강력한 주장은 어디서 유래하는 것인가? 그 해답을 얻기 위해 선행연구를 거슬러 오르다 보면 비토 마사히데의 미토학 담론에 부딪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