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혼합물실험설계를 사용한 주식선택모형 설정

        김정일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4

        다요인 주식선택 모형에 대해 많은 경우 가중점수 접근법을 적용하지만 이 방법은 주식선택요인들의 가중치와 포트폴리오의 성과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기에는 비효율적이고 주식선택 요인들의 가중치의 최적 조건을 찾을 수 없으며 투자자의 다양한 성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들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혼합물 실험설계를 이용하여 주식선택 요인들의 가중치를 정하고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주식선택 요인들의 가중치에 기반한 성과예측 모형을 설정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혼합물 실험설계에서는혼합물의 성분인 설명변수들의 절대량이 아닌 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반응변수가 영향을 받는 특수한 관계를 나타내기 위하여 Scheffe의 다항모형 등이 고려되고 있다. 통상적인 단계별 변수선택법을 사용하여 모형을 설정할 때 혼합물 성분들의 공선성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논문에서는 Yeh, Liu(2020)에 주어진 주식선택 자료에 대해 혼합물 성분들의 공선성에 로버스트한 모형설정을 위하여 Kim(2015)에서 소개한 MTS(마할라노비스 다구찌 시스템) 절차를 활용하여 적절한 부분모형을 설정하는 변수선택 방법을 수행하고 결과를 설명한다.

      • KCI등재

        호남선 KTX 완전개통에 따른 장거리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예측

        정해영,배정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3 산업혁신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호남선 고속철도의 완전개통에 따라 서울-광주간 장거리 대중 교통수단 선택 변화를 예측하고, 고속철도 완전개통이 장거리 대중교통수단 분담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였고, 대면접촉 설문에 의해 호남선 KTX 완전개통 전후로 장거리 대중교통수단인 항공기, KTX, 고속버스에 대한 선호도가 이용요금, 배차간격, 운행시간이 변함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호남선 고속철도 완전개통이 장거리 대중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고속철도 완전개통 전과 후로 시나리오를 구분하였다. 모형 추정 결과 다항로짓의 경우 KTX가 완전개통됨에 따라 배차간격과 운행시간이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요금이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다. 패널로짓의 경우에는 모든 요인들에서 개통 후 교통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다. 개인별 이질성을 검증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서울왕래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속철도의 선택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이 낮을수록 고속버스를 선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인별 선택확률에 미치는 한계효과의 경우 고속철도 선택확률이 이용요금 1만원 증가시 1.9%, 운행시간 1시간 증가시 3.84%, 배차간격 1시간 증가시 2.16%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송 분담률에서는 고속철도 완전개통에 따라 고속철도에 대한 선택확률이 13.9%p 증가하였으며, 고속버스는 7.5%p 감소, 비행기는 5.7%p 감소하였다. 호남선 KTX 완전개통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소득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고속버스의 수송분담률이 가장 많이 감소함으로 향후 장거리 대중교통 정책 수립시 교통수단의 선택 형평성을 감안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모의실험에 의한 경향점수 추정방법의 조건부처치효과 비교

        문지영,김현철 한국교육평가학회 2022 교육평가연구 Vol.35 No.4

        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에서 이루어지는 비실험연구에서 처치집단과 비교집단간 처치효과의 판정에는 두 집단의 동등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경향점수가 활용된다. 이 연구는 로지스틱회귀모형, 일반화부스팅방법, 베이지안모형평균법의 3가지 경향점수 추정방법의 조건부처치효과 추정 정확성을 모의실험에 의해서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의실험에는 표본 수, 공변량 모형의 형태, 공변량 모형의 절편 등 세 가지 요인이 고려되었다. 각 조건별로 500회의 반복실험이 실시되었으며, 실험의 결과는 조건부처치효과를 추정하여 추정 오차에 대한 각 요인의 영향력은 분산분석과 사후검정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분석하는 기계학습방법인 일반화부스팅모형과 베이지안모형평균법은 표본의 수가 많은 경우 뿐만 아니라 표본의 수가 작은 경우에도 작은 오차의 근사한 추정 결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선형 상황에서 선형을 가정하여 경향점수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로지스틱회귀모형으로 추정한 결과에서 효과의 추정오차가 커졌다.

      •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광주천 복원 속성별 후생변화 추정

        김시현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6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하계

        과거 심각한 수질오염 문제가 있었던 광주천은 20여 년 간 꾸준한 복원사업이 진행되어 시민들이 체감할 만큼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현재에도 물순환수변도시조성사업과 색채경관조성사업과 같은 사업이 진행되는 등 광주천 사업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 광주천 사업에 있어서 한번도 후생경제학적 평가가 이루어진 적이 없고, 광주시민들의 광주천 복원 사업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한 평가가 부족한 상황이다. 앞으로 효율적이고 종합적인 광주천 관리 계획을 세우려면 이러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주천을 대상으로 시민들의 선호와 후생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선택 실험법을 이용하여 속성별 후생 변화를 추정하였다. 속성을 수질, 식생, 시설로 나누고 각각을 3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선부담금 수준은 4수준으로 나누어 8개의 문항으로 선택실험을 실시하였다. 275명의 유효 응답을 조건부로짓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모든 속성에 대해 유의하게 사람들이 반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5년 간 편익이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총 발생 편익을 추정하였다. 광주천의 평균적인 수질이 약 5년 전인 나쁨 수준에서 보통 수준으로 현재 안정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경우, 연간 376억의 편익이 5년간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총 1,709억 원의 편익이 발생하였다. 한편, 시설은 지나치게 조성할 경우 오히려 한계지불의사액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식생의 경우 선택대안의 조합을 다르게 한 설문지별로 지불의사액에 차이가 나타나 조경화와 나무에 대한 선호가 응답자들마다 다르거나, 지나치게 많이 조성되는 식생의 경우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응답자 기초 통계와 연결하여 생각해 보면 광주시민들은 광주천을 실제 이용하지 않더라도 개선에 대해 지불의사가 있었으며, 자연의 모습을 간직한 광주천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에 광주천 사업 방향을 시민들의 요구에 맞게 재고려해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관광․레크레이션 가치추정 -경인아라뱃길을 대상으로-

        김성윤,이희찬,최성임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Gyungin Ara Waterway, the first domestic canal in Korea, that connects Yellow Sea and Han River, has been officially opened on May 25, 2012.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value of Tourism & Recreation function, possibly created from Gyungin Ara Waterway, for scientific purpose. The Choice experimented method, a kind of Statement preference analysis, was taken to evaluate the functional value of Tourism & Recreation by its attribute and level. The group survey of specialists and focus groups were taken, and 4 attributes of Tourism & Recreation function together with its level have been derived. The derived attributes were Revitalization level of Recreation, Water quality, Number of attraction, and Intention of Cruise boat trip, then relevant level of each has been assembled according to the test plan. The level value of each attribute has been derived by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and the personal value, summing up every Marginal willingness to pay, was Won 16,502. However there has been some difference from existing CVM research. 한강과 서해를 잇는 국내 최초의 운하인 경인아라뱃길이 2012년 5월 25일에 정식개통을 실시하였다. 경인아라뱃길에는 홍수방지, 주운수로기능뿐만 아니라 관광 및 레크레이션 기능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자전거도로, 산책로 및 수향 8경과 같은 관광시설을 수변에 조성하였다. 본 연구는 경인아라뱃길에서 발현될 수 있는 관광·레크레이션 기능의 가치를 학술적인 목적으로 평가해보고자 수행되어졌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술선호법인 선택실험법을 사용하였으며 속성 및 수준별 관광·레크레이션 기능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속성과 수준도출을 위해서 전문가 및 포커스 그룹조사를 통하여 관광·레저 기능의 4가지의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수준을 각각 결정하였다. 속성은 레크레이션 활성화정도, 수질, 구경거리의 개수, 유람선 이용의사로 결정하였며 각각에 해당하는 수준을 실험계획에 의해 조합을 실시하였다. 각 속성의 수준별 가치는 한계지불의사액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를 합산한 개인별 가치는 16,502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존의 CVM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추정금액의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질문방식과 추정 계산식의 차이로 인한 이유인 것으로 평가하였다.

      • KCI등재

        실험선택법과 대안 평가지수를 이용한 대안의 편익산정

        정은성,공기서,이길성,유진채 한국수자원학회 200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1 No.1

        본 연구는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최종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비용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중 편익산정은 진술선호기법 중 하나인 실험선택법(Choice Experiments, CE)과 대안의 평가지수(Alternative Evaluation Index, AEI)를 결합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선택법은 지역별로 다양한 속성을 보이는 안양천 유역을 잠재적 위험도와 지리적 특성을 바탕으로 6개 지역으로 나누어 설문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NB > 0 이 Cost-benefit analysis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best alternatives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Benefits of all alternatives were estimated combining results of choice experiment method with alternative evaluation index (AEI). Choice experiment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부산김해경전철의 선택가치 추정

        김민재,이영성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7 No.-

        본 논문은 공공투자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평가 기준 중 하나인 선택가치를 추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선택가치 추정을 통해 불확실한 상황에 대한 잠재적 소비자의 지불용의액(Willingness to Pay)을 추정할 수 있다는 점은 기존 연구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수단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동안 사회˙경제적 편익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선택가치에 대한 지불용의액을 추정함으로써 공공투자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완하는 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공간적 범위로는 최초의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시행된 부산김해경전철이며, 경전철 서비스에 대한 선택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설정한 속성으로는 환승요금 인하, 유류세 인상, 대중교통 이용 보조금 지급으로 설정했다. 개별 속성 수준의 조합을 통해 가상의 상황을 제시하는 선택실험법(CE)을 이용해 잠재적 소비자들이 경전철 서비스에 부여하는 선택가치를 추정하고 향후 경전철 이용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imate choice value, which is conside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ublic investment projects. Prevailing preliminary feasibility studies assess the benefit of projects based on the estimated demand of use for target facilities. Most of them do not consider the probabilistic change of potential use, since they only assess the deterministic welfare effect from planned usage. Thus, they do not always take the uncertainty between the present and future into account. In other words, prevailing studies do not reflect the uncertainty value even if consumers assess the value based on unexpected events, such as natural disasters, policy changes, and so on. The value from which consumers assess and reflect uncertain events of the future is the option value. The estimation of the option value may complement the weakness of recent feasibility studies by assessing the willingness to pay of potential consumers for public services.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public investment projects by estimating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option value, which has not considered the social or economic benefits and costs. In order to reflect such uncertainty, this study uses a choice experiment by suggesting various scenario cases based on different attributes and an estimation of the willingness to pay of consumers. This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such attributes for estimations of option value as providing transfer discounts, increasing oil taxes, and subsidizing commuting cost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scenario cases that consider the degree of such attributes. Finally, by estimating the parameters for option users and non-users, management strategies for BGL is suggested.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사용한 풍력발전소의 산악지역 방문가치 영향 추정: 관람가치, 경관가치, 그리고 순방문가치

        한택환 ( Taek-whan Han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3

        풍력발전소는 그 자체로 관광이나 학습 등의 관람가치를 가진다. 한편 풍력발전소의 설치는 경관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현상은 경관이 우수한 경우에 특히 크게 나타난다. 즉, 풍력발전소의 설치로 인한 방문가치 변화는 양의 값을 가지며 경관과 독립적인 관람가치와, 음의 값을 가지며 경관과 교호작용을 통하여 발생하는 경관가치의 두 개로 구성된다. 우리가 결과적으로 관찰하는 가치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두 개의 가치가 합하여진 순방 문가치이다. 본 논문은 등산객을 상대로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소의 설치가 산악의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가치화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선택실험법을 사용하여 속성변수에 대한 등산객의 선택 행태로부터 풍력발전소의 설치가 가져오는 관람가치와 경관가치 그리고 그 합인 순가치를 추정하였다. 우리나라의 등산객들을 상대로 한 선택실험법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관람가치는 양의 값을 가지며 경관가치는 언제나 음의 값을 가지고 순가치는 산악경관의 수준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평균적으로 미약한 음의 값을 가짐을 보여주고 있다. 등산객들에게 풍력발전소의 설치유무로 인한 관람가치변화의 크기는 방문 1회당 +38,529원이며 경관가치에 대한 영향은 경관수준이 한 단위 상승할 때 -13,667원이다. 평균적인 경관수준의 산악에서 1회당 순방문가치 변화는 -2,483원이다. Windpower turbines have positive values for visitors with regard to tourism and learning. On the other hand, it is clear that windpower turbines have negative impact on the landscape, particularly when the level of landscape is high. The impact of windpower turbines on the visitor's value is composed of two elements: the viewing value which is independent of the level of landscape and the landscape value which varies with the level of landscape. The net visitor’s value of windpower turbines is the sum of these two values with opposite signs. This study used a choice experimentation method to value the impact of windpower turbine construction in the mountainous area in Korea. This study estimated the viewing value, the landscape value and the visit value as the sum of the two values. The estimated results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positive viewing value, a significantly negative landscape value, and weakly negative net visit value in average.

      • 산악 방문의 속성별 가치추정

        한택환(Taek-Whan Han) 한국환경정책학회 2015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2

        산악의 방문가치는 여러 가지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마치 자동차 구매가치가 여러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산악의 속성별 가치를 각각 추정할 수 있다면 기존의 산악에 여러 방식으로 변형을 가져오는 인간행동을 취할 때에 이로 인한 결과가 산악의 방문가치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산악의 속성별 가치를 선택실험법을 이용하여 추정함으로써 산악에 가해지는 인공적 변형이 미치는 영향을 화폐적으로 추정하고자 시도하였다. 산악에 대한 사람들의 방문가치는 매우 다양한 속성에 의하여 구성되며 따라서 기존 산악에 대한 인공물의 설치, 정책의 변경 등이 사람들의 방문가치에 미치는 영향도 단순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수에 대한 영향을 선택실험법 등에 의하여 분석할 때에는 변수의 영향이 선형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 KCI등재

        선택 실험법을 이용한 친환경 보일러의 시장 점유율 예측

        김미정,배정환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2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1 No.3

        최근 온실가스 배출 규제와 에너지 안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친환경연료인 목재 펠릿을 이용한 펠릿 보일러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 기술인펠릿 보일러는 아직 시장 초기단계로 정부에서 펠릿 보일러에 대한 지원정책을 통해 펠릿 보일러 보급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펠릿 보일러에 대한 미래시장 점유율을 예측함으로써 정부와 기업이 보다 효과적인 보급정책과 시장전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펠릿 보일러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분석해야 하며 본 연구는 신기술이 갖는 무형의 비용을 반영한 선택실험법을 적용하여 펠릿 보일러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추정하였다. 신기술의 시장 점유율이 확산되고, 기술 신뢰도가 향상됨에 따라 무형의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상이한 무형의 비용을 가정한 시나리오별로 전기보일러,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펠릿 보일러의 선호를 선택 실험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속성별 파라메터를 추정하고, 시나리오별로 보일러별 시장 점유율을 예측하였다. 추정결과 무형의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펠릿 보일러의 시장점유율이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스 보일러와 전기보일러에 대한 대체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목재 펠릿 전용 사용자 집단과 일반 보일러 사용자 집단간의 속성별 지불용의액과 시장 점유율에 차이가 발생하고, 소득, 교육, 가족수, 신기술 인식 수준과 같은 개인별 속성에 대해 선호의 이질성이 부분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Recently environment-friendly pellet boilers have interests as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are regulated internationally and energy security becomes more important tooiladdi cted countries including Republic of Korea. But the Korean market for pellet boilers is on the in it ial stage due to the high production costs relative to other conventional boilers. He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supported financially and promoted the pellet boiler business. In this sense, it would contribute market stratergy and effective promotion policy for both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companies if we can forecast market shares of pellet boilers appropriate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potential consumers` preferences on pellet boilers among various alternatives using a choice experiment reflect in gin tangible costs. As the mar k e t share of new technology increases, intangible costs decline. According to different intangible cost scenarios, we experimented people`s preferences on oil, gas, electric, and pelletboilers. A multinomial logit model was employed to estimate coefficient parameters of common attributes for various alternative boilers. Based on the estimates, we forecasted market shares of individual boilers. We found that as intangible costs decline, the market share of pellet boiler increase substantically while market shares of electric and gas boilers decrease dramatically. The market share of oil boil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Meanwhile, as people are more rich, more educated, and exposed to advertisement on pellet boilers, the likelihood of choosing the pellet boiler in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