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체 기관지상피세포에서 리노바이러스에 의한 항염증성사이토카인의 분비에 대한 연구

        김영찬 ( Young Chan Kim ),이재형 ( Jae Hyung Lee ),김미옥 ( Mi Ok Kim ),김태형 ( Tae Hyung Kim ),손장원 ( Jang Won Sohn ),윤호주 ( Ho Joo Yoon ),신동호 ( Dong Ho Shin ),박성수 ( Sung Soo Park )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9 No.6

        목적 : 리노바이러스(RV)는 인간에게서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인 감기의 50~60%를 차지하며,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폐질환의 급성 악화에 대해서는 역학적 연구를 통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RV에 의한 상기도 감염의 중요한 특징이 짧은 잠복기를 거친 후 발열,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 및 조직 염증 반응을 보이다가 스스로 호전되는 과정을 보인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이미 알려진 바처럼 초기 증상 및 기도 염증 반응에는 IL-1, 6, 8 등과 같은 염증 조장 사이토카인이 관여한다면, 자연 관해의 과정에는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관여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RV가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이들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지 여부와 시간에 따른 이들 사이토카인의 분비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자극이 없는 대조군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Manassas, VA)으로부터 제공 받은 RV14를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인 BEAS-2B 세포에 MOI=3.0으로 감염시킨 후 각각 2시간, 4시간, 8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저속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배양 상층액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ELISA kits를 이용하여 각각의 시간에 따라 IL-1 Ra, IL-1 sRII, IL-4, TGF-β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RV에 감염된 BEAS-2B세포에서 대조군과 비교시 IL-1 Ra와 IL-1 sRII의 분비가 24시간 후부터 차이가 나기 시작하여, 48시간에는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IL-4나 TGF-β의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결론 : RV에 의해 인체 기관지 상피세포에서 분비되는 항염증성사이토카인은 IL-1 Ra와 IL-1 sRII이며, 시간에 따른 이들 사이토카인의 분비 양상을 볼 때 이들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이 RV 감염의 자연관해에 관여할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Rhinovirus is an important precipitating factor in acute exacerbation of asthma and COPD. Rhinovirus has short incubation period, causing transient inflammatory process and then has spontaneous resolution. We hypothesized that alterations in anti-inflammatory cytokines are present at sites of rhinoviral infection and these alterations contribute to the transient nature of rhinovirus-induced inflammation and symptomatology. To test this hypothesis, we characterized time-sequenced alterations in anti-inflammatory cytokines elaboration from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HBEC). Methods : We compared the ability of rhinovirus-infected HBEC to produce anti-inflammatory cytokines with controls. We infected HBEC, BEAS-2B with rhinovirus 14 obtained from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We harvested the supernatants from rhinovirus infected BEAS-2B cells and the controls at 2hr, 4hr, 8hr, 12hr, 24hr, 48hr from inoculation time.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IL)-1 Ra(receptor antagonist), IL-1 sRII(soluble receptor type II), IL-4,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 by ELISA kits. Results : Rhinovirus-infected BEAS-2B cells increased the production of IL-1 Ra, IL-1 sRII from 24hr and produced outstandingly compared with the controls at 48hrs. However, the production of IL-4 and TGF-β was so minimal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hinovirus-infected BEAS-2B cells and the controls. Conclusions :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hinovirus elaborates the IL-1 Ra and IL-1 sRII but not TGF-β, IL-4. At the beginning of rhinoviral infection, the elaboration of IL-1 Ra, IL-1 sRII was so minimal but notably increased at 48hrs. with slower kinetic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rhinovirus- induced IL-1 Ra, IL-1 sRII to contribute to the spontaneous resolution. (Korean J Med 69:668-675, 2005)

      • KCI등재

        2시간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른 흰쥐의 혈청 및 장딴지근의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변화

        김신영(Shin-Young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2

        본 연구는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라 혈청과 뼈대근육에서 나타나는 친염증성 및 항염증성 사이토카인(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뼈대근육의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라 나타나는 염증성 반응의 변화와 이를 대표할 수 있는 표지인자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험동물은 12주령 ICR계 수컷 생쥐를 사용하여 대조군과 허혈 후 재관류 시간에 따라 재관류 0, 0.5, 1, 2, 4, 8, 16, 24시간군으로 분류하였고, 허혈 처치는 왼온엉덩동맥(left common iliac artery)을 2시간 동안 혈관집게로 차단하였다. 재관류 시간경과에 맞추어 실험동물을 마취시킨 후 심장의 오른 심방에서 채취한 혈액의 혈청과 장딴지근 조직액에서 친염증성 사이토카인 (Eotaxin, IFNγ, IL-1α, IL-1β, IL-2, IL-3, IL-5, IL-6, MCP-1, MDC, MIP-1α, RANTES, TARC, TCA-3)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IL-4, IL-10)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ELISA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허혈 후 재관류 시점에 따른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뼈대근육 내 재관류 0시간군에서, 혈청에서는 대조군과 재관류 0, 1, 2, 4, 8, 16시간군에서 사이토카인들 사이의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고(p?.05),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은 혈청 내 재관류 4시간군에서 사이토카인들 사이의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p?.05).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재관류 시간은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에서는 혈청 내 재관류 2, 4, 16시간군이었고,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에서는 혈청 내 재관류 4시간군이었다(p?.05). 본 연구를 토대로 허혈 후 사이토카인들의 변화 양상은 재관류 시점에 따라 뼈대근육보다는 혈청에서 발현양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혈청에서 재관류 4시간군에 관찰되는 IL-6와 재관류 16시간군에 관찰되는 MCP-1은 다른 사이토카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임에 따라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대표하는 표지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ammatory changes and their mai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time-period of postischemic reperfusion injury confirmed by analyzing changes of both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keletal muscle and serum. By using 12-week-old male ICR strain mice were grouped into sham control and 8 different time-periods of reperfusion groups (0, 0.5, 1, 2, 4, 8, 16, 24 hours). Left common iliac artery of each mice in the reperfusion group was devascularized by a vascular clamp for 2 hours. Once anesthesia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animals, blood serum was obtained from right heart atrium on the difference time-period of reperfusion (0-, 0.5-, 1-, 2-, 4-, 8-hour, respectively). Then, tissue fluid was collected in calf muscles (gastrocnemius muscle) after the mice were sacrificed by cervical dislocation. By using these serum and tissue fluid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was used to analyze both pro-inflammatory cytokines (Eotaxin, IFNγ, IL-1α, IL-1β, IL-2, IL-3, IL-5, IL- 6, MCP-1, MDC, MIP-1α, RANTES, TARC, TCA-3)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L-4, IL-10). Consequen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levels in the skeletal muscle of 0- hour reperfusion group (p?.05) and those in the serum of 0-, 1-, 2-, 4-, 8-, 16-hour reperfusion groups (p?.05). In the serum of 4-hour reperfusion group, the presence of anti-iflammatory cytokines was significant from other groups (p?.05). By the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erum of 2-, 4-, 16-hour reperfusion group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serum of 4-hour reperfusion group were considerably different (p?.05). To sum up, changes of cytokine levels according to the time-period of reperfusion were considerably different in the serum rather than the tissue fluids from the skeletal muscle. In particular, IL-6 and MCP-1 in the serum showed higher density in 4- and 16-hour reperfusion groups so that they could be considered as the main indicator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 KCI등재

        난관수종액이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준철,김정아,김동자,배진곤,김종인,이정호,Park, Joon-Cheol,Kim, Jeong-A,Kim, Dong-Ja,Bae, Jin-Gon,Kim, Jong-In,Rhee, Jeong-Ho 대한생식의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7 No.2

        목 적: 난관수종액내의 사이토카인 농도를 측정하고, 사이토카인 농도가 다른 난관수종액을 이용하여 생쥐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난관수종액은 자궁난관 조영술에서 난관수종이 진단되어 복강경을 통한 난관 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 난관 절제술 전에 난관으로부터 채취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시킨 후 상층액만을 $-20^{\circ}C$에서 보관하였다. 난관수종액의 사이토카인의 조성 및 농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interleukin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feron (IFN)-$\gam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 (MCP)-1 등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기본 배양액에 난관수종액을 5%, 10%, 30%의 비율로 첨가하여 각 군별로 배반포로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결 과: 난관수종액내에서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FN-$\gamma$, VEGF, EGF, MCP-1가 검출되었으며, 그 농도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정상 혈청 농도에 비하여 난관수종액-1은 IL-6,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난관 수종액-2는 IFN-$\gamma$, MCP-1 및 VEGF가 증가되어 있었다. 각 난관수종액의 Th1/Th2 비는 HSF-1의 경우 IFN-$\gamma$:IL-10이 3.69로 정상인 데 비하여 HSF-2의 경우 IFN-$\gamma$:IL-10이 61.14로 크게 증가되어 있었다. 난관수종액을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에서는 배반포기 발달률은 76.7%이었고, 난관수종액-1군은 74%로 대조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27.7%로서 대조군 및 난관수종액-1군과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난관수종액-1의 경우 난관수종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난관수종액-2군의 경우 농도에 증가함에 따라 배반포로의 발달이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 론: 난관수종액마다 사이토카인의 조성이 다르며 이에 따라 생쥐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된 난관수종액이 배아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특정 사이토카인에 의한 작용을 규명하기는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s of cytokines contained in the hydrosalpingeal fluid and to evaluate the effect on the mouse embryo development with the different cytokine concentration. Methods: The hydrosalpingeal fluids (HSF) were collected during the surgery for hydrosalpinx which was confirmed by hysterosalphingogram. The cytokines in HSF including interleukin (IL)-$1{\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nterferon-$\gamma$ (IFN-$\gamm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HSF were added up to culture media with 5%, 10%, and 30% concentrations. The blastulation rates were compared. Results: IL-$\alpha$, IL-$1{\beta}$, IL-2, IL-4, IL-6, IL-8, IL-10, TNF-$\alpha$, IFN-$\bamma$, VEGF, EGF, and MCP-1 were detected, but the concentrations were different from each sample. IL-6 and IL-10 were increased in HSF-1 group, and IFN-$\gamma$, MCP-1, VEGF were increased in HSF-2 compared with normal serum range. The Th1/Th2 ratio of HSF-2 (IFN-$\gamma$:IL10) was highly elevated to 61.64, compared with that of HSF-1 (3.69). The blastulation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SF-2 group (27.7%) compared those of the HSF-1 group (74%) and control group (76.7%). It showed the trend that the blastulation rate was de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HSF of culture media in HSF-2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cytokines in each HSF were different, and increase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HSF might be associated with poor embryonic development.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bout the effect of each cytokines in HSF.

      • SCIESCOPUSKCI등재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 다형성이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생에 미치는 역할

        김희선 ( Hee Sun Kim ),박효진 ( Hyo Jin Park ),임정현 ( Jung Hyun Lim ),지상원 ( Sang Won Ji ),이상인 ( Sang In Lee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6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2 No.1

        목적: 장염은 과민성 장 증후군을 일으키는 다양한 위험 인자 중 하나로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은 약 7-31%에 이른다. 이는 염증으로 인한 소화관 내 감각 및 운동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다형성이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친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umor necrosis factor-α (TNF- α)와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10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의 유전자 다형성과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생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 발생한 이질 집단 감염 당시 보고하였던 환자-대조군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참가자 중 12개월 후 로마 기준 II에 합당한 PI-IBS (1군) 환자군 13명과 연령 및 성별을 맞추어 이질 감염은 되었으나 회복 후 장 관련 증상이 발생하지 않았던 non PI-IBS (2군) 17명 및 정상 대조군(3군) 20명을 선정하였다. 참가자의 전혈을 채취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TNF-α, IL-10, TGF-β1의 대립 유전자 및 유전자형은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군과 2군, 1군과 3군을 각각 비교하였을 경우에도 역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인종별 차이는 있겠으나 TNF-α, IL-10, TGF-β1의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의 감염후 과민성 장 증후군의 발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Bacterial gastroenteritis is known as a risk factor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Mild inflammatory stimuli can perturb the sensory-motor system of the gut and contribute to symptoms associated with IBS. Thus, it is suspected that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 gene polymorphisms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IB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genetic polymorphisms of: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interleukin-10 (IL-10),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α1 (TGF-α1) with the development of postinfectious IBS (PI-IBS). Method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our previous case-control study, where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PI-IBS in patients with shigellosis during an outbreak. The presence of IBS and its subtypes were determined at 12 months after shigellosis infection using the Rome II criteria. In 13 patients with PI-IBS (group 1) with age- and sex-matched patients, 17, not having PI-IBS (group 2) and 20 normal controls (group 3), genotypes for TNF-α(-308*G/A), IL-10 (-1082*G/A) and TGF-α1 (+869*T/C, codon 10) were examined using the amplification refractory mutation system (ARM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sults: Allele frequencies and genotypes for TNF-α, IL-10, and TGF-α1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Comparing two groups at a time, there were also no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genetic polymorphisms of TNF-α, IL-10, and TGF-α1 have no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I-IB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6;12:41-47)

      • KCI등재

        835 MHz 전자파에 노출된 생쥐에서 자발운동, 코르티코스테론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

        이민선(Min Sun Lee),오창석(Chang Seok Oh),류지호(Ji Ho Ryu),이진구(Jin-Koo Lee),김명주(Myeung Ju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휴대전화 상용화에 따라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와 관심은 높아졌지만, 전자파가 생체 항상성과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분석한 연구는 아직도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 노출이 운동량과 혈중 사이토카인의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생쥐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쥐는 정상군(n=5), 자발운동군 (n=5), 전자파 노출군 (n=5),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군 (n=5)으로 나누어 10주간 체중 변화와 코르티코스테론 및 혈중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발운동군은 유의한 수준의 체중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매일 6시간씩 835 MHz의 전자파에 노출 후 자발운동을 하였던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 두 군을 대상으로 10주간 진행된 운동량 측정에서는 자발운동군의 운동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증가한 반면,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군은 운동량이 점차 감소하였다. 몸의 항상성 유지와 관련된 호르몬 및 사이토카인의 혈중 농도 분석에서는, 전자파 노출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한 농도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자발운동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하여 IL-6, IL-12 (p70), TNF-α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였으나, 전자파 노출 및 자발운동군에서 이 사이토카인들은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농도로 관찰되었다. 코르티코스테론, IL-1β, IFNγ 및 GM-CSF의 혈중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할 만한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835 MHz 전자파는 실험동물의 체중, 자발운동, 그리고 특정 사이토카인에 대한 혈중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lthough commercialization of mobile phones has raised much concerns about the effects of radiofrequency radiation on the human body, few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radiofrequency radiation on physiological homeostasis,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Therefore, we presently investigated the effect of 835 MHz radiofrequency radiation on spontaneous wheel exercise, hormone and cytokines levels in the plasm of mice. Mic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control, exercise, radiofrequency radiation, radiofrequency radiation & exercise group. The body weight, corticosterone and blood cytokine levels were checked for 10 weeks. Followed by the exposure to radiofrequency radiation for 6 hours a day, the more increase in body weight was observed in the radiofrequency radiation & exercise group than in the spontaneous exercise group. When the amount of spontaneous exercise was measured for 10 weeks, the amount of exercise was increased in the both control and spontaneous exercise group, while the amount of exercise was decreased in the radiofrequency radiation group. To determine whether the homeostasis,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are indirectly affected by radiofrequency radiation exposure, IL-1β, IL-6, IL-12 (p70), TNF-α, IFNγ, and GM-CSF were measured by ELISA ki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blood levels of IL-6, IL-12 (p70) and TNF-α in the spontaneous exercise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each cytokine levels in the radiofrequency radiation & exercise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the corticosterone, IL- 1β, IFNγ and GM-CSF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roups.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waves for a long time can affect the amount of exercise, body weight, and some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6, IL-12 (p70) and TNF-α.

      • KCI등재후보

        고강도 훈련방법에 따른 보디빌더의 근 성장관련 호르몬, 염증성사이토카인 및 등속성 근력의 변화

        이삼준,방현석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on Muscle Growth Related Hormones, Inflammatory cytokines and Isokinetic Strength in body builders. The 25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rest pause set group(RPG) of 8, giant set group(GIG) of 9, and ascending set group(ASG) of 8 and they conducted assigned training 6 times a week for 12 weeks. Analysis of ANCOVA was done using SPSS 19.0 for data process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conducting ascending set is more effective than rest pause and giant on Muscle Growth Related Hormone secretion. Giant set training is effective on Isokinetic Strength, especially IL-6. Knee joint isokinectic muscle strength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ll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ercentage body fat of body composi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of 3 groups, and ASG showed more significant decrease than RPG and GIG. It is shown that even High-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could have various change depending on training composition. Howev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dding various variables to genera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보디빌더를 대상으로 고강도 저항훈련을 실시하여 근 성장관련호르몬, 염증성사이토카인 및 등속성 근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남성보디빌더 25명을 대상으로 휴식-정지집단 8명, 자이언트집단 9명, 어센딩집단 8명으로 구분하여, 주 6회, 총 12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센딩 세트가 휴식-정지 및 자이언트세트 훈련법에 비해 근 성장 관련호르몬 분비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자이언트훈련법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IL-6의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슬관절 등속성 근력은 세 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되었지만, 집단 간 유의차는 없었다. 신체구성 중 체지방률은 세 집단 모두 유의한 감소되었고, 어센딩 집단이 휴식-정지 집단과 자이언트 집단보다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고강도 저항훈련이라 할지라도 훈련의 구성방법에 따라 다양한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인이 추가된 지속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방울양배추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에 미치는 영향

        이재혁,박정숙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8

        This paper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Brussels Sprouts Extract on the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s manifested by mediators such as reactive oxygen species and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IL-1β, and IL-8.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toxicity to cells using the MTS assay, 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with lipopolysaccharide (LPS), and stimulated reactive oxygen species such as NO and TNF-α, IL-1β, and IL-8. Inhibi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fter treatment with 10 mg/mL, 100 mg/mL, and 1000 mg/mL of Brussels Sprouts Extract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Brussels Sprouts Extract inhibited NO production, TNF-α and IL-8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cytotoxicity, and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especially at a concentration of 1000 mg/mL. Brussels Sprouts Extract, which inhibi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reducing inflammatory response and controlling inflammation, and can be seen as providing potential as a health functional food 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ion. 본 논문은 Brussels Sprouts Extract의 염증성사이토카인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염증반응은 활성산소와 같은 매개인자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나 IL-1β, IL-8에 의해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MTS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생존율을 살펴보고, RAW264.7 대식세포에 lipopolysaccharide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NO와 TNF-α나 IL-1β, IL-8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대한 억제를 살펴보았다. Brussels Sprouts Extract 10mg/mL, 100mg/mL, 1000mg/mL 농도로 처리 후 억제 정도를 살펴본 결과, Brussels Sprouts Extract은 세포 독성 없이 NO생성과 TNF-α, IL-8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특히 1000mg/mL 농도에서는 유의한 억제를 보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저해한 Brussels Sprouts Extract은 염증반응 감소와 염증조절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건강기능성 식품이나 염증예방 및 치료제로서 잠재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 자궁내막암과 자궁내막기질과의 체액성 소통을 매개하는 사이토카인의 선별

        이승건,권준하,문경원,조한태,민철기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3

        암세포의 성장, 침윤 그리고 전이는 모두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암세포와 주변 기질과의 상호 소통하는 환경을 암-미세환경(cancer microenvironment)이라 한다. 본 연구는 암-미세환경에서 암세포와 기질세포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화학 매개자인 사이토카인을 선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간의 자궁내막암세포와 자궁내막 기질세포를 체외에서 3차원적으로 공배양하여 자궁내막암의 암-미세환경을 재현하였다. 이 때 암세포와 기질세포에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RT-PCR, 면역닷블럿팅어레이(사이토카인 에세이)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암세포나 기질세포를 각각 단독 배양할 때와 비교하여 공배양 시 조건 배지(conditioned media)에 Angiogenin, Chitinase-3-like 1, Cystatin C, Dickkopf wnt signaling pathway inhibitor 1(DKK-1), Osteopontin,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5(GDF-15) 등 6종류의 사이토카인의 양이 증가하였다. 또한 공배양 시 기질세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3(TGFβ1-3), basic FGF(bFGF), Chemokine C-X-C motif ligand 12(CXCL12) 등 5종의 mRNA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향후 이들 체액성 소통 매개인자인 사이토카인의 차단과 같은 방법은 암을 제어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할 것이다. .

      • KCI등재

        셀러리악 추출물의 LPS로 유도된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이재혁,정현주,박정숙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Celeriac Extract의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억제 정도를 확인 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염증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나 IL-6, IL-1β 및 활성산소와 같은 매개인자에 의해 나타난다. 이에 RAW264.7 세포에 lipopolysaccharide(LPS) 로 자극하여 생성된 TNF-α나 IL-6, IL-1β과 같은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NO 같은 활성산소에 대한 Celeriac Extract(1ug/mL, 10ug/mL, 100ug/mL)의 영향을 살펴보 았다. 그 결과 Celeriac Extract은 세포 독성 없이 TNF-α나 IL-6의 생성과 NO생성을 유의성 있게 저해하였다. 따라 서 이러한 결과는 셀러리악 추출물이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NO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 반응을 약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leriac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flammation is caused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6, IL-1β and mediators such as free radical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eleriac Extract (1ug/mL, 10ug/mL, 100ug/mL)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NF-α, IL-6, IL-1β and NO by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eleriac Extract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α, IL-6 and NO, without cytotoxicity significantly.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leriac Extract may attenuate inflammatory responses via inhibition of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O.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Interleukin-12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의 치료 전후의 변화

        김성재,이분희,김용구,Kim, Sung-Jae,Lee, Bun-Hee,Kim, Yong-Ku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5 생물정신의학 Vol.12 No.2

        Background:Several reports have suggested that cytokine alterations could be related to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In this study, we measured plasma level of interleukin-12(IL-12), a proinflammatory T helper 1(Th1) cytokine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 an anti-inflammatory Th3 cytokine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 treatment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The plasma concentrations of IL-12 and TGF-${\beta}1$ were measured by using quantitative ELISA in 23 schizophrenic patients and 31 normal controls at admission and 8 weeks later. The psychopathology was measured by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Results:IL-12 and TGF-${\beta}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chizophrenic patients than in controls before treatment. At the 8 week of treatment, the TGF-${\beta}1$ levels returned to control values, while IL-12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s of BPRS scores and the changes of IL-12 or TGF-${\beta}1$ levels in schizophrenic patients. Conclusion:Cytokine abnormalities in schizophrenia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physiology of the illness. It is possible that TGF-${\beta}1$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chizophrenia. 목 적: 많은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에서 염증반응체계의 활성화와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병태생리학적 및 원인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type 1 Thelper cell(Th1), type 2 T helper cell(Th2), type 3 T helper cell(Th3)의 조절 이상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 치료 전후로 Th1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12(IL-12), Th3 사이토카인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 법: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31명의 정상대조군에서 IL-12와 TGF-${\beta}1$ 농도를 측정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8주간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후 다시 IL-12와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8주간 치료 후, 2차례에 걸쳐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를 측정하였다. 결 과: 치료전 IL-12 농도와 TGF-${\beta}1$ 농도 모두 정상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8주간의 치료 후 TGF-${\beta}1$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대조군의 농도와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된 반면, IL-12의 농도는 유의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BPRS 점수의 변화 및 IL-12 및 TGF-${\beta}1$의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학에 사이토카인의 이상이 관여할 수 있으며, TGF-${\beta}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