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 고대 교육문헌에 나타난 본성 대 양육 논쟁

        김성훈(Kim, Seong-Ho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3 敎育思想硏究 Vol.27 No.3

        이 글은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정치적 이해관계로부터 출발한 본성 대 양육 논쟁이 교육적인 문제로 전환되는 기원전 500년 이후 이 주제를 교육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서양 고대의 문헌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로서 본성과 양육 문제를 둘러싼 고대인들의 교육 담론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기원전 5-4세기의 그리스 교육문헌들을 필두로 하여 본성 대 양육 논쟁과 관련된 헬레니즘 및 로마 시대의 교육문헌들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구체적으로 본성 대 양육이라는 이론적 틀 속에 범주화시킬 수 있는 6명의 고대의 교육저술가를 선별하여 그들의 교육 저작들에 나타난 본성과 양육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이 작업은 서양 고대사회에서 본성과 양육의 문제를 둘러싸고 다양한 교육 담론이 존재했음을 규명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최소한 이론적인 관점에서 자연적인 본성을 우선시하는 입장(플라톤과 크세노폰), 인간의 간섭을 중시하는 입장(아리스토텔레스와 플루타르코스), 그리고 자연과 인간 사이에 거주하는 입장(이소크라테스와 퀸틸리아누스)이 병존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As an educational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meaning and perspective related to the nature-nurture controversy in antiquity. After a brief introduction to the political and intellectual background of the nature and nurture debate in ancient Greco-Roman society(Chapter I), a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two competing interpretations concerning the age-old controversy as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nature and nurture. The one holds the nature position envisaged by Plato and Xenophon, with the view of defending the predominant importance of nature at the expense of nurture(Chapter II). The nurture position of Aristotle and Plutarch, on the other hand, reveals the humanist cause of the controversy that finds its reason in 'the teachability of arete[virtue]'(Chapter III). Once a proportional discussion of the dual meanings of the nature-nurture antithesis, the study moves to set the two factors of nature and nurture in the proper perspective. Accordingly, a discussion is provided of a third perspective for the nature-nurture controversy; while addressing the moderate position of Isocrates and Quintilian that enables us reconcile the extreme claims of nature and nurture(Chapter IV). At the core of this attempt is the assumption that the nature-nurture doctrine should be on the formula of 'nature + nurture' rather than 'nature vs. nurture,' with which we burden our visions of educational change(Chapter V).

      • KCI등재

        인격형성에 관한 유전학적 논의

        금교영(Kum, Kyo-young) 대한철학회 2009 哲學硏究 Vol.110 No.-

        유전학적으로 인간 본성을 고찰해 보면, 그것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형성 변화되는 것이다. 인간 본성은 선천적으로 게놈에 의해서 기획되어 있으나 경험을 통한 유전자 회로의 점화에 의해서 각기 고유하게 만들어지면서 또한 그 본성은 경험에 대한 지향성을 가지고 고유하게 경험을 취한다. 그래서 선천적 본성과 후천적 경험 이 양자를 통해서 인간은 교육된다, 교양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양자들이 인간에게 관계하는 모습을 유전학적으로 살펴보면, 본성이 주위 환경에 대해 경험을 할 때 그자신의 고유한 지향성 작용을 하거나 고유한 안목으로 바라보는 등의 활동을 하고, 경험이 본성에게 작용하는 것은 여러 게놈 회로들에게 특정한 점화를 한다. 그래서 본성이 특정한 경험을 하도록 하고 동시에 경험이 특정한 본성을 갖추도록 한다. 그러면서 인격형성에 본성과 경험은 상호부조적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유전적 결정론과 후천적 교육론의 중도적 입장이 아니라 유전과 교육의 상호부조론을 말하는 것이다. 철학적 인간학으로 조사해 볼 때, 동물은 의식하는 정신활동을 하지 않고 그럼으로써 환경세계에 폐쇄된 생활을 함으로(본능적 삶으로) 경험을 통한 본성교양이 이뤄지지 않는다. 반면에 인간은 의식하는 정신활동을 하고 그럼으로써 환경세계에 개방된 생활을 함으로 경험을 통한 본성교양이 이뤄진다. 또한 본성적으로 동물은 의식의 정신활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험의 고유한 지향성 작용을 하지 못하는 반면에, 인간은 의식의 정신 활동을 하기 때문에 경험의 고유한 지향성 작용을 할 수 있다. 유전학적으로 볼 때, 개인의 본성은 확정되지 않은 재료에 불과하며, 그것을 주조하고 변형하는 것은 경험이다. 경험이 개인의 뇌에서 유전자 회로의 특정한 모듈을 켜지고 꺼지도록 하면서 본성으로 하여금 특정의 과거 정보를 자신에게 일깨우는 동시에 이에 못지않게 환경으로부터 특정의 정보를 흡수하도록 하고, 그래서 그 개인의 본성이 점점 구체적으로 갖춰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의식의 정신활동을 할 수 있는 인간은 동물과 달리 경험을 통한 교육으로 적절한 유전자 회로 점화로 훌륭한 본성을 양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본성의 고유한 정신적 지향성으로 대상을 선택적으로 지향하는 경험 등 훌륭한 활동을 해나갈 수 있다. 바로 이것이 유전학적으로 확인되는 본성과 경험의 상호부조적 인격형성론이라 할 수 있다. It is misleading to place man on a spectrum from nature or genetic, and also to place man on a spectrum from nurture or environmental. Above all in order to go on this discussion, it need to understand genes. It is gene that allows the human mind to learn, to remember, to imprint, to absorb culture, and to express instincts. But genes are not puppet masters or blueprints, Namely they are not the carriers of heredity. Indeed they are active during life, they switch each other on and off and respond to the environment. They may direct the construction of the body and brain in the womb, but also they set about dismantling and rebuilding what they have mand almost at once in reponse to experience.Like this a gene must interact with an environment if it is to have its effect. For example the road from the encoded genotype the mouse inherits to the effective genotype it expresses passes through the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In the case of the human mind, almost all instinctive modules are designed to be modified by experience. Some adapt continuously throughout life, and some change rapidly with experience. Having a certain set of genes predisposes a man to experience a certain environment. Then it is said that genes are agents of nurture. And It is cleared up that nature through genes can act only via nurture. A nature can act only by nudging people to seek out the environmental influences that will satisfy their appetites. And the environment acts as a multiplier of small genetic differences. Then "how does the Person grow up?" Perhaps it may be seen to a progressive, cumulative construction of the mind in response to experience. The main point of education is surely to exercise those brain circuits that might be needed in life rather than to stuff the mind full of facts. Individual natures are merely the indeterminate material ahat the social factor molds and transforms. Switched on and off throughout life by external as well as internal events, genes's work is to absorb information from the environment at least as often as to transmit it from the past. Concluded from the above discussions, Man as the Person is dynamic, creative organisms for whom the opportunity to learn and to experience new environments amplifies the effect of the genotype on the phenotype, and is molded by an interaction of his environment, especially his cultural one with the genes that relations to social environment.

      • KCI등재

        본성-양육 논쟁으로 본『태교신기』-전통 태교론 및 현대 유전학과의 비교-

        이경하 ( Kyung Ha 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본고의 목적은 전통 태교론 및 현대 유전학과의 비교를 통해 『태교신기』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재평가하는 데 있다. 서구에서 태교 및 태아기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 것은 20세기 후반에 유전학이 발달하면서 부터이다. 그런데 유교의 전통 태교 관념이 전제하는 ‘태아기’의 중요성은 서구의 본성-양육 논쟁이 전제한 ‘선천적’ 대 ‘후천적’이란 대립항의 설정 자체에 균열을 가한다. 그런 점에서 태교 관념을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태교신기』에 다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먼저 2장에서는 『태교신기』에서 ‘태’의 가변성에 대한 주장이 서구의 본성-양육 논쟁이 도달한 결론이나 현대 유전학이 이룬 성과와 맞 닿아 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태교신기』는 태아기 교육이 중요한 이유를 ‘태’가 가변적인 존재라는 것, 태는 어머니와 단단히 연결되어 그 영향을 받는다는 것, 태아기의 경험이 생리적으로뿐만 아니라 심성 면에서도 출생 이후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찾았다. 태아기의 무궁한 변화 가능성에 주목하는 한편, 출생 이후 교육에 의한 변화 가능성이 매우 미미하다고 본 것은 『태교신기』의 성과이자 한계라고 할 수 있다. 3장과 4장에서는 『태교신기』가 ‘태’의 생물학적·유전학적 측면에도 주목함으로써, 주로 도덕적 문제에 치중했던 유교 인성론이나 기존의 태교론과는 차별화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태교신기』에 보이는 남방인과 북방인의 비교, 쌍둥이에 대한 언급 등은 선행연구에서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부분인데, 이런 대목들에서 발견되는 개체 및 개체군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관심에 새롭게 주목하였다. 이로써 태에 대한 교육적 측면에 대한 통찰뿐 아니라 태 자체에 대한 생물학적 혹은 유전학적 문제의식을 배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태교신기』의 학술적 가치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태교신기』는 ‘유전적 자질’과 ‘환경에 의한 변화 가능성’을 함께 갖고 있는 물질로서의 ‘태’ 자체에 주목함으로써, 주로 도덕적 문제에 치중했던 유교 인성론이나 전통 태교론과 차별화된다. Taegyoshingi, a hanja text written by the female author Sajugang Lee (1738~1821), is a theoretical treatise and manual that deals with ‘taegyo’, a set of traditional beliefs and regulations regarding prenatal development. The title can be read as ‘a new record (shingi) on taegyo’. Previous studies have approached this text from a medical perspective or have tended to focus on its underlying Confucian beliefs. However,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deas pertaining to biology and genetics that can be found in Taegyoshingi. Through such an approach, it is demonstrated that forming the core of taegyo theory is the notion that the ‘tae’ (fetus) is a physical entity which has its own nature, and tha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ct of nurturing can bring about its transformation. Sajugang Lee`s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nurturing the fetus (in other word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fetus is subject to change’. The nature-nurture debate which has taken place during the past century has now evolved to the stage that the central discussion is no longer on whether it is the environment or genetic factors that determine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now the discussion tends to focus on the issue of how the two factors are interrelated, as well as the flexibility/unmalleability of human nature. In other words, it involves a renegoti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nurture, a new perspective that can also be observed in Taegyoshingi.

      • KCI등재

        맹자의 성선(性善)과 순자의 위선(僞善)에 대한 다윈주의적 통합

        김백녕,이경무 한국동서철학회 2022 동서철학연구 Vol.- No.106

        The superficial contrast between the xìngshànshuō(性善說) and the xìngèshuō(性惡說) is likely to mislead the understanding of the ethical theories of Mencius(孟子) and Xúnzǐ(荀子) as incompatible. In addition, it is easy to think that the hàoránzhīqì(浩然之氣) and qiúfàngxīn(求放心) and guǎyù(寡欲) are mysterious, and that xìngè(性惡) and wěishàn(僞善) are contradictory. In the continuous and dependent context of evolution, it is understood that wěishàn(僞善) can be achieved in xìngè(性惡) and xìngshàn(性善) can be achieved in this wěishàn(僞善).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view this line of evolution as a linear flow. This is because wěishàn(僞善) and xìngshàn(性善) are not limited to the process of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and they are no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experience. It can be explained in the order of acquisition of morality through parenting, inheritance of morality according to evolution, and parenting of morality inherent in moral nature. This line of evolution is accomplished by learning and discipline. Acquired efforts to control instinctive desires make you put yourself in the changes and flow of nature. The person who learns and practices unknowingly falls into this line of change. Humans can create and sustain this flow through learning and discipline. As a result, the xìngshànshuō(性善說) and the xìngèshuō(性惡說), wěishàn(僞善) and xìngshàn(性善) also form a continuous and dependent relationship. This is also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Darwinian approach. From the entire line of evolu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wěishàn(僞善) is achieved in xìngè(性惡), and this wěishàn(僞善) is internalized into xìngshàn(性善). Of course, it is not necessary to view this series as a single-line flow. This is because wěishàn(僞善) and xìngshàn(性善) are not limited to the process of individual moral development, and they are not comprehensivel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experience. However, when the two are sequenced and integrated, they can be understood in the order of acquisition of morality through parenting, inheritance of morality according to evolution, and parenting of morality inherent in moral nature. The moral development of wěishàn(僞善) and xìngshàn(性善) forms a line of evolution by learning and discipline. In other words, when humans become moral beings through efforts to control their instinctive desires, all humans naturally fall into this line of moral change and continue to develop morality through learning and discipline. As a result, the xìngshànshuō(性善說) and the xìngèshuō(性惡說) are compatible in a continuous and dependent relationship. This is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 Darwinian approach. 성선설과 성악설에 대한 피상적 대비는 맹자와 순자의 윤리 이론을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이해하도록 오도하기 십상이다. 또 호연지기(浩然之氣)와 구방심(求放心)과 과욕(寡欲)은 비논리적이고, 성악(性惡)과 위선(僞善)은 상반적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이러한 피상적 대비와 오해는 다윈주의적 접근과 독해로 적절히 해결될 수 있다. 성선과 위선에 대한 다윈주의적 독해의 공통분모는 도덕성의 진화이다. 둘의 차이는 인간의 본성과 도덕성의 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갈린다. 맹자는 도덕성이 본성에서 나온다고 주장하는 반면, 순자는 본성을 변화시키려는 후천적 노력에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둘은 얼핏 보면, 서로 상반되는 듯하다. 그러나 다윈주의적 독해에 따르면, 거대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모순 없이 양립 가능하다. 진화의 계열 속에 놓고 보면, 위선과 성선의 연속성과 의존성이 잘 드러난다. 진화의 전체 계열에서 보면, 성악에서 위선이 이루어지고 이 위선이 성선으로 내재화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이런 계열을 단선적인 흐름으로 볼 필요는 없다. 위선과 성선은 개인의 도덕성 발달 과정에 국한된 것이 아니며, 경험의 다양한 국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둘을 계열화하여 통합해 보면, 양육을 통한 도덕성의 획득, 진화에 따른 도덕성의 유전, 도덕 본성에 내재된 도덕성의 양육 순으로 이해된다. 위선과 성선의 도덕성 발달은 학문과 수양에 의한 진화의 계열을 이룬다는 것이다. 즉 인간이 본능적 욕구를 다스리는 노력을 통해 도덕적 존재가 되면, 모든 인간은 자연스럽게 이 도덕적 변화의 계열 속에 처하게 되어, 다시 학문과 수양을 통해 지속적으로 도덕성을 계발해 간다는 것이다. 이로써 성선설과 성악설, 성선과 위선은 연속적이고 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양립 가능하게 된다. 이것이 다윈주의적 접근에 따른 통합적 이해다

      • KCI등재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교육 모델 설계

        방담이(Bang Da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에서는 융합교육을 위한 수업 설계 및 운영 모델로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 I4MAT 모델’을 설계하고 모델의 활용을 위한 수업 전략을 제안하였다.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강화 I4MAT 모델’은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째, 융합 수업을 위한 주제 선정, 둘째, 브레인스토밍(하위주제 및 유관학문 나열), 셋째, 안내질문을 위한 초점과 순서 결정, 넷째, 활동 및 교수계획 설계의 단계이다. 이 중 세 번째와 네 번째 단계는 Why(연결, 주의)-What(형상화, 정보)-How(실행, 확장)-If(정련, 수행) 학습 사이클에 따라 구성된다. 또한, 학습 사이클 별로 각 활동에 적합한 협력적 문제해결역량의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모델 활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성과 양육’을 융합 주제로 선정하고, 모델의 단계에 따라 구체적인 수업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모델과 수업 전략은 학습양식이 상이한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며 협력적 문제해결의 과정과 요소들을 명시하였으므로 이질적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지침이 될 것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활용을 위한 교수학적 방안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I4MAT model to enhanc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as the model to design and conduct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aching strategy is also suggested for educ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model. ‘I4MAT model to enhance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consists 4steps: 1) selection of subjects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2) brainstorming(about related disciplines and contents), 3) the determination of scope and order for the guiding questions, 4) the design of activities and lesson plans. The third and the forth steps a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ycle “Why(connect & attend)-What(image and inform)-How(practice and extend)-If(refine and perform)”.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competencies in each cycle are also included in the model. The teaching strategy about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 ‘nature and nurture’ is design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he model and teaching strategy suggested in this study give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s to all the students who have different learning styles and show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very clearly, so this model can be a guideline of interdisciplinay education. Th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s of the model and further researches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브라질 교육 불평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COVID-19가 미친 영향

        임두빈 ( Im Doo-bi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21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브라질의 고질적인 풍토병중의 하나이자 사회를 유지하는 데 가장 본원적 토대가 되는 교육에 미친 사회 불평등의 배경과 코로나19가 교육부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간사회 불평등의 기원을 본성과 양육이라는 이분법의 프레임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에 자기불일치 프레임을 적용하여 연구자의 분석 시각을 정립했다. 다음으로 브라질의 시대별로 구분하여 교육 불평등을 낳게 하고 고착시켜 온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사실상 민주화 이후 좌파와 우파 정치성향에 상관없이 교육개혁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동일하다. 교육이 이미 시장화 되고 상품화된 우리나라의 시각에서 볼 때 1988년 시민헌법 제정 이후로 공교육을 가치재(Merit good)보다 공공재(Public good)로 지켜온 브라질의 저력은 그 우둔함이 놀라우면서 동시에 우려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보통 교육개혁은 사회구조를 상수로 두고 교육을 변수로 둔다. 브라질의 경우는 사회구조가 급변하는 데 비해 교육이 상수로 고정되어 왔다. 이는 곧 교육이 공공재의 껍질을 쓰고 가치재로서 소수의 엘리트 계층에게 특혜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국민”을 배제하고 “그들의 브라질”을 고수해 왔다는 것이다. 이제 브라질도 사회도 교육도 변수로 두는 모험이 필요한 시대에 들어섰다. 지난 13년간 좌파정권이 시도해 왔던 사회통합의 노력은 무한대로 반복될 것 같은 브라질 정치지형변화의 문법의 틀 안으로 다시 돌아갔다. 그러나 520년 역사에서 13년 동안의 실험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무엇보다도 브라질은 사회도 교육도 아닌 인간화 교육을 상수에 두었던 ‘연대의 페다고지’란 씨앗을 품고 있는 나라이다. 아무쪼록 판데믹이라는 외부의 강제력이 지금까지의 시대가 초래했던 모순을 넘어, 사회도 교육도 근본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social inequality in education, one of Brazil's endemic diseases and the most central foundation for maintaining society, and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irst, we examined the origins of human social inequality by the two-part method of Nature and Nuture. And by applying the Self-discrepancy framework to the study,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was established. Then, we looked at the socioeconomic context that caused and adheres to the inequalities in education in the order of Brazilian era. In fact, since the era of democratization, whatever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ducation reform is the same.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 where education has already been marketed and commoditised, it is also true that brazil's strength in protecting public education as public good without turning it into a merit good since the enactment of the Civil Constitution in 1988 is surprising and at the same time a concern. Education reform generally puts social struture as constants and education as variables. In Brazil, education has been fixed as a constant compared to rapid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This means that education has been adhering to "their Brazil", excluding a large number of “people” while peeling off public goods and providing preferential benefits to a small group of elites as social capitals. Now Brazil is entering an era where both society and education must be placed as variables. The efforts of social integration that the left-wing government has tried for the past 13 years have returned to the framework of the Grammar of Brazilian political change, which is likely to be repeated indefinitely. But the 13-year experience of his 520-year history is just the beginning. Above all, Brazil is a country which embraces the seeds of solidarity, which has placed humanized education in a constant, and not in a society or education. We expect that the external crisis of pandemic to go beyond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so far, and that society and education will be used as opportunities to fundamentally change.

      • KCI등재

        ‘nature’와 ‘nurture’의 관점에서 본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

        한수영(Han, Soo-Young) 문학과환경학회 2015 문학과 환경 Vol.14 No.1

        This paper reviews Huxley’s 〈Brave New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e and nurture. In regards to the dispute of nature vs. nurture, it changed in the 19th century from a structure of ‘inborn’ vs. ‘acquire’ to a structure of ‘heredity’ vs. ‘environment’. 〈Brave New World〉 is a stable world that has been created by controlling both ‘heredity and environment’. Namely, this world is the final edition of the view of the world of Newton seeking to explain nature as an Order. Aldous Huxley upon constructing ‘Empire of Order’ ruling over both nature and nurture throws a question on human existence. In addition, he warns that ‘Will to Order’ intended by scientific civilization that seeks to control humans and nature is bound to fail. Humans cannot become happy through order, and the potential of humans is outside of scientific control. 〈Brave New World〉 is not a simple dystopia discourse. It includes an introspection on human existence going beyond the paradigm of modern science.

      • KCI등재

        유전자 인간학 : 인간 본성의 통섭적 이해

        이을상 ( Eul Sang Lee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5 No.1

        How does the mind works? In relation to this question, ``nature vs nurture`` argument has occurred. Today this argument develops newly on the ground of biological fact, laying stress on ``gene`` problem.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biological origin of human nature, and try to grope for possibility of the unity of knowledges which E. O. Wilson names ``consilience``, for we believe that consilience can only stop the controversy between nature and nurture. And we evaluate the problems of genetic determinism and environmental determinism. Determinism, either genetic or environmental, is seemed to be extremely artificial operation, but we can not help to rely on this method to solve the problem resulted from the controversy of biological origin of human nature. From those two determinism we can deprive the roles of gene and influences of environment on our human nature constructing. This is a consideration, formulating a new anthropological view of gene at the times of ``gene era`` today. And we name it ``genetic anthropology``.

      • KCI등재

        어린이에게 영성은 존재하는가?

        유선희(Sun-Hee Yoo)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1 No.-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Does spirituality really exists for children, who developmentally have not reached a level of matur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seeks to search for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first, does children’s spirituality really exist? second, how is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for children possible? third, is there new principle of knowing and teaching method for spiritual formation for children? forth, what is core of Sofia Cavalletti and Karen Marie Yust for spiritu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what is their limit?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plores the questions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avalletti and Yust.<br/> Based on the research, Cavalletti and Yust both reveal that spirituality does exist for children even if they are developmentally not mature. Both Cavalleti and Yust emphasize that because children’s spirituality is not something that is automatically revealed, children’s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can be maximized through educational efforts that are intentional. While Cavalletti emphasizes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children’s religious normalization, Yust focuses on cultural environment for children’s religious enculturation.<br/> They both strongly request that Christian Education not only acknowledge and pay attention to children’s ‘innate’spirituality that’s been typically glossed over in the past, but actually take actions on educational practices for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In other words, we discover that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emphasize both children’s spiritual innateness(nature) and Christian nurturing(nurture). Additionally, Christian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pay a particular interest in children’s spiritual capacity that’s been neglected and implement spiritual pedagogy that will fully manifests children’s spirituality. In other words, Christian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be a holistic principle of knowing and teaching method.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Does spirituality really exists for children, who developmentally have not reached a level of maturity?” In other words, this paper seeks to search for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first, does children’s spirituality really exist? second, how is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for children possible? third, is there new principle of knowing and teaching method for spiritual formation for children? forth, what is core of Sofia Cavalletti and Karen Marie Yust for spiritu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what is their limit? For this purpose, the author explores the questions focusing on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avalletti and Yust.<br/> Based on the research, Cavalletti and Yust both reveal that spirituality does exist for children even if they are developmentally not mature. Both Cavalleti and Yust emphasize that because children’s spirituality is not something that is automatically revealed, children’s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can be maximized through educational efforts that are intentional. While Cavalletti emphasizes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children’s religious normalization, Yust focuses on cultural environment for children’s religious enculturation.<br/> They both strongly request that Christian Education not only acknowledge and pay attention to children’s ‘innate’spirituality that’s been typically glossed over in the past, but actually take actions on educational practices for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In other words, we discover that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emphasize both children’s spiritual innateness(nature) and Christian nurturing(nurture). Additionally, Christian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pay a particular interest in children’s spiritual capacity that’s been neglected and implement spiritual pedagogy that will fully manifests children’s spirituality. In other words, Christian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be a holistic principle of knowing and teaching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