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미술의 한 단면으로서의 이두식의 회화세계

        임두빈 ( Doo Bin 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이두식(李斗植)의 회화세계(繪畵世界)를 살펴보는 것은 한국현대미술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 것과도 같다. 본고는 현상학적 방법으로 이두식의 회화세계를 살펴보았다. 이두식은 1947년 경북 영주에서 태어나 1970년대 초에 화가로 출발한 이후, 2013년 사망 시까지 끊임없이 그림을 그린 다작(多作)의 화가였다. 그의 회화세계는 시기별로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크게 대별 된다. 전기는 1970년대 초부터 1987년까지이고, 후기는 1988년부터 2013년까지이다. 1970년대는 화면에 다양한 이미지들을 가득 등장시키는 다소 ‘설명적인 초현실주의’ 작업을 했던 기간이고, 1980년대(정확히 말하면 1987년까지)는 화면에 빈 공간을 많이 남기고 이미지를 절제해서 등장시킨 ‘함축적 초현실주의’ 작업을 한 기간이다. 후기(後期)는 이두식이 종래의 작업 방향을 크게 바꿔 그린1988년부터 2013년 세상을 떠날 때 까지 지속되었던 ‘표현주의적 추상’의 시기이다. 이 시기 안에서도 1988년에서 1997년까지는 ‘표현주의적 추상화’임에도 화면에 인물이나 사물의 이미지가 부분적으로 등장했던 기간이고, 1998년에서 2013년까지는 화면에 어떠한 구체적 대상의 이미지도 등장하지 않는 완전한 표현주의적 추상의 기간으로 변화를 살펴 볼 수가 있다. 이두식의 초현실주의적 화풍은 서구(西歐)의 초현실주의와도 다른 것 이었고, 그의 표현주의적 추상화도 서구의 그것과는 다른 개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가 1998년에서 2013년 세상을 떠날 때 까지 그의 회화 작업이 일정한 형식적 패턴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사실은 상당한 아쉬움으로 남는다. To examine the painting of Lee Dooshik is much like looking at a cross-sec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article has taken a phenomenological look at the painting of LeeDooshik. Lee Dooshik was born in 1947 in Yeongju, Gyeongbuk, and from the time he started painting in the early 1970``s until his death in 2013 he was a ceaselessly prolific painter. Hispaintings may be generally classified into early and later works. His early works are from 1970to 1987, and his later works are from 1988 to 2013. The 1970``s was somewhat of a “detailed surrealism” period where he filled the paper with various images, while the 1980``s (until 1987to be exact) was a period of “implicative surrealism” where much of the space in his paintings was left empty and images were moderate. In his later period, Lee Dooshik``s paintings tooka turn from his conventional works, and 1988 to his death in 2013 was continuously his expressionist abstraction” period. Within this period of “expressionist abstractionism,” from1988 to 1997 the images of figures or objects appeared in fragments, and 1998 to 2013 maybe seen as the period where images of a definite subject do not appear and there is a shift into pure expressionist abstraction. Lee Dooshik``s surrealist style is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art, and his expressionist abstractionism also has a personality that differs from that of the West. Still, it is regrettable that his paintings from 1998 until his death in 2013 could not break free from the restraint of fixed formal patterns.

      • KCI등재

        브라질 교육 불평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COVID-19가 미친 영향

        임두빈 ( Im Doo-bi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21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브라질의 고질적인 풍토병중의 하나이자 사회를 유지하는 데 가장 본원적 토대가 되는 교육에 미친 사회 불평등의 배경과 코로나19가 교육부문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간사회 불평등의 기원을 본성과 양육이라는 이분법의 프레임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대상에 자기불일치 프레임을 적용하여 연구자의 분석 시각을 정립했다. 다음으로 브라질의 시대별로 구분하여 교육 불평등을 낳게 하고 고착시켜 온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사실상 민주화 이후 좌파와 우파 정치성향에 상관없이 교육개혁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동일하다. 교육이 이미 시장화 되고 상품화된 우리나라의 시각에서 볼 때 1988년 시민헌법 제정 이후로 공교육을 가치재(Merit good)보다 공공재(Public good)로 지켜온 브라질의 저력은 그 우둔함이 놀라우면서 동시에 우려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보통 교육개혁은 사회구조를 상수로 두고 교육을 변수로 둔다. 브라질의 경우는 사회구조가 급변하는 데 비해 교육이 상수로 고정되어 왔다. 이는 곧 교육이 공공재의 껍질을 쓰고 가치재로서 소수의 엘리트 계층에게 특혜를 제공하면서 다수의 “국민”을 배제하고 “그들의 브라질”을 고수해 왔다는 것이다. 이제 브라질도 사회도 교육도 변수로 두는 모험이 필요한 시대에 들어섰다. 지난 13년간 좌파정권이 시도해 왔던 사회통합의 노력은 무한대로 반복될 것 같은 브라질 정치지형변화의 문법의 틀 안으로 다시 돌아갔다. 그러나 520년 역사에서 13년 동안의 실험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무엇보다도 브라질은 사회도 교육도 아닌 인간화 교육을 상수에 두었던 ‘연대의 페다고지’란 씨앗을 품고 있는 나라이다. 아무쪼록 판데믹이라는 외부의 강제력이 지금까지의 시대가 초래했던 모순을 넘어, 사회도 교육도 근본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social inequality in education, one of Brazil's endemic diseases and the most central foundation for maintaining society, and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Ministry of Education. First, we examined the origins of human social inequality by the two-part method of Nature and Nuture. And by applying the Self-discrepancy framework to the study, the researchers' point of view was established. Then, we looked at the socioeconomic context that caused and adheres to the inequalities in education in the order of Brazilian era. In fact, since the era of democratization, whatever the political posi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ducation reform is the same. From the perspective of South Korea, where education has already been marketed and commoditised, it is also true that brazil's strength in protecting public education as public good without turning it into a merit good since the enactment of the Civil Constitution in 1988 is surprising and at the same time a concern. Education reform generally puts social struture as constants and education as variables. In Brazil, education has been fixed as a constant compared to rapid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This means that education has been adhering to "their Brazil", excluding a large number of “people” while peeling off public goods and providing preferential benefits to a small group of elites as social capitals. Now Brazil is entering an era where both society and education must be placed as variables. The efforts of social integration that the left-wing government has tried for the past 13 years have returned to the framework of the Grammar of Brazilian political change, which is likely to be repeated indefinitely. But the 13-year experience of his 520-year history is just the beginning. Above all, Brazil is a country which embraces the seeds of solidarity, which has placed humanized education in a constant, and not in a society or education. We expect that the external crisis of pandemic to go beyond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so far, and that society and education will be used as opportunities to fundamentally change.

      • KCI등재

        미술에 있어 空間觀(공간관)의 역사적 변화에, 대한 哲學(철학)的고찰

        임두빈 ( Doo Bin 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7 예술과 미디어 Vol.6 No.1

        본 논문은 미술에 있어 중요한 공간(空 間)의 문제를 서양 회화사(繪畵史)를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공간에 대한 인간의 2가지 이해태도를 철학적으로 규명해 본바, 첫째는 공간을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 실재 (實在)로 보고 그 안에 존재하는 사물들도 우리가 지각하는 그대로 있는 것이라고 생 각하는 상식적 일반적 공간관(空間觀)이다. 이른바 외재적(外在的) 공간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둘째는 공간을 감성적(感性的)직 관(直觀)의 선천적(先天的a-priori)형식으로서 파악하고 경험적 사물을 인식하는데 있어서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으로 보는 사 고(思考)태도. 쉽게 말하면 공간을 나의 내 감(內感)의 순수형식(純粹形式)으로 이해하는 태도, 철학적이고 혁명적인 사고 태도이다. 칸트(I.Kant)가 ‘코페르니쿠스적 轉換(Kopernikanische Wendung)`` 이라고 命名한 관점이다. 이른바 내재적(內在的) 공간관(空 間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공간에 대한 첫 번째의 관점에 의하면, 미술에 있어서 사물의 이미지를 묘사하는 것은 진실을 그린다고 하는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서양 회화사(繪畵史)의 오랜 기간을 지배했던 공간관 이었다. 그런데 이렇게 공간을 나의 밖에 존재 하는 객관적 실재성으로 이해했던 시기에 도, 회화에 있어서 완전한 공간성의 표현에 도달했던 기간은 그리 길지가 않다. 역사적으로 볼 때, 상당히 긴 시간을 회화는 불완전한 공간 이해를 배경으로 하여 전개되었던 것이다. 고대 문화권(古代文化圈)과 근대 문화 권의 회화사(繪畵史)를 비교해 보면, 고대 문화권의 첫 시기인 이집트의 회화와 근대 문화권의 신화적(神話的) 여명기(黎明期)인 중세(中世)의 회화는 공간 표현을 항상 2차 원의 평면으로 표현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 의 회화에서는 장면의 깊이감을 주는 원근 감이나 입체감등 공간성을 느끼게 하는 표 현 방법은 발견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다가 고대 서양의 회화에서는 그리스의 헬레니즘(Hellenism) 시기에 들어서면 서 비로소 회화에 3차원의 공간 표현이 가 능해지고, 이러한 성과는 그대로 로마의 회 화로 이어진다. 그리고 근대 문화권에 있어 서는 르네상스 시대의 전성기 회화에서 비로소 3차원의 완전한 공간 표현에 성공하는 것이다. 사물을 실감나게 하는 탁월한 명암법(shading)과 놀라운 원근법(perspective)의 발견은 르네상스 회화의 사실주의 전 통을 이후에도 수세기 동안 이어지게 했다. 이러한 두 문화권의 회화의 흐름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것은, 신권정치(神權政治) 체제하의 다소 폐쇄적 이고 神중심적인 사회에서는 불완전한 공간 이해를 배경으로 회화가 전개 되었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사회가 보다 자유로워지고 인간 중심적인 시대로 이행 했을 때는, 두 문화 권의 회화 모두에서 비로소 3차원의 완전 한 공간 표현이 가능해진 것을 발견할 수 가 있다. 그런데 이제 현대회화에 들어서면 앞에 서 살펴본 변화와는 비교할 수도 없는 충격적이고 혁명적인 공간 관념의 전환을 경 험하게 된다. 공간(空間)은 이제 더 이상 나의 외부에 있는 3차원의 실재가 아니며, 또한 그렇기 에 그 속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이미지 도 객관적 진실일 수가 없다고 하는 자각 이다. 공간이란 나의 감성(感性)의 선천적(先天 的a-priori) 형식이며 모든 사물 인식의 전 제조건 이라고 하는 자각, 우리가 보고 있는 3차원의 세계상(世界像)이 한갓 현상(現 象)에 불과한 껍데기라고 하는 사실이 20세 기 미술의 혁명적 변화의 내면에 맥맥이 흐르고 있는 것이다. 입체주의(Cubism) 회화는 전통적 공간관 을 산산이 부수어 버림으로써 사실주의의 긴 터널에서 회화를 해방시킨 혁명의 첫 발걸음 이었다. 전통적 공간관(空間觀)이 거부되고 그에 따라 가시적 현상계(現象界)가 부동의 진 실 이라고 하는 믿음이 무너져 버린 이상, 화가들은 사물을 묘사하면서 더 이상 진실 을 드러낸다고 하는 신념을 표명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실주의적 전통의 틀에서 해방된 화가들은 유례없는 자유를 얻게 되었다. 20세기의 전위적 화가 들은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3차원의 실재 라고 하는 전통적 공간 관념을 거부함으로 써, 수많은 새로운 시도에 의한 조형의 모 험을 감행할 수가 있게 된 것이다. 입체주의 회화 이후에 나타난 20세기의 많은 회 화 경향들은 새로운 공간관을 기반으로 한 조형적 모험의 결과물 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 to the issue of spac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with the main focus o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n understanding of human for the space are clarified in philosophical way. First is to consider the space as an objective existence existing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 objects existing within it also are the existen ces as we perceive them for the general view of space. This is so called external view of space. Second is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space as the a priori way of sensitive intuition and think of it as the critical prerequisite in perceiving the experimental object. In other words, it is the attitude to understand the space as pure formation of inner sensitivity or philosophical and r evolutionary attitude. This is the point of view that Immanuel Kant named as ``Kop ernikanische Wendung``. It is so called the view of inner spatial concept. Under the first point of view on space, describing the images of object in art means to have the belief of drawing the tru th. It has been the view on space that ha d been controll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However, even in the period when th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look in to the issue of spac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with the main focus o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For this purpose, two aspects on under standing of human for the space are clarified in philosophical way. First is to consider the space as an objective existence existing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 objects existing within it also are the existences as we perceive them for the general view of space. This is so called external view of space. Second is the attitude of understanding the space as the a priori way of sensitive intuition and think of it as the critical prerequisite in perceiving the experimental object. In other words, it is the attitude t o understand the space as pure formation of inner sensitivity or philosophical and r evolutionary attitude. This is the point of view that Immanuel Kant named as ``Kop ernikanische Wendung``. It is so called the view of inner spatial concept. Under the first point of view on space, describing the images of object in art means to have the belief of drawing the truth. It has been the view on space that ha d been controll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the history of western painting. However, even in the period when the Under the flow of the paintings in two cultural spheres, the common point was that the deicratism system had somewhat more closed nature while the god-oriented society had the paintings done in incomplete spatial understanding as backgrou nd. However, when the society has become more liberal and human-oriented era, the paintings in both cultural spheres were possible for complete spatial expression of three-dimension. However, entering into the modern pain ting, it brings the experience of conversion into the shocking and revolutionary spatial concept that is non-parallel to the change described earlier. Space is no longer the existence of three-dimension outside of our presence, and because of that, the images of all objects exist within is recognized as not objective truth. There is a flow in our inner aspect of revolutionary change in 20th century arts with the facts that perception of space being in the form of a priori form of our sensibility and is the precondition of all object recognition, and the image of the three-dimensional world that we see is only a phenomenon. The cubism painting completely breaks down the traditional view of space as the first stem of revolution that liberated the painting from the long tunnel of realism. The traditional view of space is rejected, and accordingly, the faith that the visual phenomenal world is the unyielding true had collapsed that, painters no longer are able to say their belief that the truth is demonstrated in their description of reality. And, accordingly, painters who are li berated from the frame of tradition under the realism earned unprecedented freedom. The painters of the 20th century rejected the traditional spatial concept in three-dimensional existence in our external space, and they were able to undertake the adve nturement the formativeness with numerous new attempts. Numerous painting tendency of the 20th century shown after the dimensional painting were the outcome of the formative adventure based on the new view on space.

      • KCI등재

        사회적 소수자로서의 브라질 원주민 정체성 문제에 대한 연구

        임두빈(Im, Doo-B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5 중남미연구 Vol.34 No.3

        이 글은 그 태생부터 타자로부터 호명된 "브라질"이란 공간에서 "원주민"이었지만 이방인에 의해 "인디오"라고 불리고, 이방인의 언어를 강요 받으며 사회적 소수자로서 위치지워진 브라질 원주민의 역사와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오늘날 그들이 겪고 있는 종족보존의 문제, 현대사회로 편입되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딜레마들을 인구통계조사결과와 그들의 언어상황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다른 무엇보다도 존재의 차원에서 원주민어는 의사소통수단의 기능일뿐만 아니라 생태환경의 일부분으로써, 그들만의 역사와 존재양식, 즉 정체성을 보존하면서 자신들의 사회·역사적 행위를 상징체계로 남길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오늘날 과연 누구를 원주민으로 부르는지, 그리고 원주민으로 분류된 사람은 자신의 종족성(원주민어 사용)과 근대국가의 일원(포르투갈어 사용) 가운데에서 어떤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discuss the atual situation of Brazilian indians and his languages in danger of extinction, on the base of the racial classification applied by IBGE. Classification’s categories are then discussed together with some common uses, aiming at evaluate its applicability in the brazilian context. Attention will be placed, at first, on discourses focusing on a dilema faced by brazilian indians and by their speech communities. How to cope with the need to strengthen a indigeous language that reinforces their ethnic identities and the need to have acess to a portuguese language that enable to gain social, economical benefits outside their communities? The ultimate aim of this text is to response that question.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한 국내 포르투갈어권 지역 연구동향 분석

        임두빈(Im, Doo Bin),임병학(Leem, Byung-Hak)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0 중남미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국내 포르투갈어권 지역연구 전반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기존 연구의 제한점과 연구과제 및 향후 연구의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포르투갈어권 전문연구 학술지에 창간호부터 최근호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중남미 및 포르투갈어권 지역연구 동향 분석에 있어 정량적 분석 방법론의 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먼저 한국학술지 인용색인을 통해 연도별 연구대상 논문 편수의 증감 정도와 연구 주제별, 대상 지역별 추이를 파악했다. 그리고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전처리, 단어 빈도분석, 중심성 분석과 구조적 등위성을 통해 수행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연구동향의 파악은 한 집단의 연구 활동이 집단사고에 머무르지 않고 집단지성으로서 국내 포르투갈어권 지역연구의 방향성을 점검하고 제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 또한 연구수요를 파악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개별 연구자의 직관에 의존하는 방식을 보완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국내 포르투갈어권 지역연구를 포함하여 국내에서 수행되는 해외지역연구를 더욱 전문화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Lusophone Studies in Korea. To this end, all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academic journal “Lusophone Area Studies” were analyzed using TEXTOM, a massive data analysis methodology, and identified research trends. This study is important in that it is the first in Korea to set up a framework for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i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Lusophon and Latin American Studies. Firstly, we identified the level of increase in the number of papers submitted for research per year through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KCI), as well as trends for each study topic and target country. In addition, text analysis of abstracts was performed by pre-processing, 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structural equivalency analysis. The identification of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has a positive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a group of research activities does not stay in "Group Thinking", but in "Collective Intelligence". Furthermore, it has been possible to have the effect of complementing the way in which determining research demand depends on the intuition of existing individual researchers. Based on this, we think it will contribute to the specialization and activation of the field of Area studies conducted in Korea, including the Lusophone and Latin American Studies.

      • KCI등재

        브라질 포르투갈어의 복합완전과거와 단순완전과거의 시상대립에 관한 고찰

        임두빈 ( Im Doo-bi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05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다른 로망스제어와 비교해서 다른 문법화 과정을 겪고 있고, 문법적 범주가 한국어와 일치하지 않는 포르투갈어 복합 완전과거시제(o PPC)에 대한 단순과거시제(o PPS)와의 시상대립을 다루고 있다. 보통 시제연구는 실제 세계에서의 ‘시간’과 문법범주로서의 ‘시제’ 간의 불일치를 다룬다. 유형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외국어 또는 제2 언어의 학습과 사용에 있어서 양언어간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시간’ 과 각 언어 간의 문법적인 특성으로 구분되어지는 ‘시제’간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학습자 입장에서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가 이번 연구의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분석 예문은 브라질에서 사용하는 현대 포르투갈어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직설법에 국한해서 브라질 포르투갈어 복합 완전과거 (o PPC)의 시제와 상에 관해 기존의 전통문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물의 결과를 살펴본 후, Culioli의 발화행위연산작용 이론(Lingua와 Linguagem의 변증법적 관계를 통한 자연어의 연구 입장을 표방하며, 문법범주로서의 시, 상, 서법의 연구를 일련의 점 진적 한정연산행위인 발화행위 (enunciação)의 결과로 발화(enunciado)의 내부에 표출되는 지표(marcador)들을 시. 상, 서법으로 보는 이론)을 차용하여 한국어 화자가 한국어에서 완전과거, 현재진행형 또는 현재시제로 혼재해서 인식, 발화하는 포르투갈어 복합완전과거 시제와 단순과거 시제간의 시상대립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복합과거시제가 전통적인 기술문법의 시제분류상 과거시제로 분류되지만 발화시점을 일종의 조정자 (orientador)로 볼 때, 과거에 발생하여 그 연속점이 발화순간(T<sub>0</sub>)에 이르기까지 열려있는 과정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단순과거’와 구분되며, ‘현재시제’보다 더 실재적인 현재시제를 드러낼 수 있다는 사실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 복합과거시제의 문법화과정이 진행 중임을 감안할 때, 보다 다양한 관점과 보다 풍성한 자료분석를 통한 더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덧붙여, 문화 차이가 큰 언어권 연구에 있어서 발화연산작용행위(operação enunciativa)에서 필연적으로 개입되는 발화자(enunciador)에 대한 인류 사회학적 접근도 필요하리라 보며 이는 추후의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할 것 이다.

      • KCI등재

        브라질의 일상 · 대중적 문화소(文化素)의 근원에 대한 연구

        임두빈 ( Im Doo-bi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12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9 No.1

        Entender as outras culturas entre as nações tem sido tema de estudo de várias áreas. Este trabalho tem como objetivo buscar a presença de traços culturais brasileiros a nível da nação. Para tal objetivo, a identificação dos traços foi adotada com base em revisão bibliográfica de Hofstede e ensaístas principais brasileiros que trataram da formação social do povo brasileiro. Foram extraídos cinco traços principais como Hierarquia, Ambigüidade, Sociedade Relacional, Jeitinho e Malandragem.

      • KCI등재후보

        민화(民畵)의 미학적 분석을 통한 정신미(精神美) 연구

        임두빈 ( Doo Bin 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3 예술과 미디어 Vol.12 No.4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 민화(民畵)에서 볼 수 있는 미학적 특징을 분석하여, 그러한 미학적 특징이 어떠한 정신미(精神美)를 담고 있는가를 밝혀 보고자 한다. 민화에서 우리는 <사물의 상호비례相互比例 관계 무시無視>, <원근법遠近法의 결여缺如>, <형태의 자유로운 변형>, <사물의 상하上下 위치의 자유로운 전도顚倒> 등의 미학적 특징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러한 미학적 특징들을 포괄해서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가시적현상계可視的現象界의 공간질서 교란攪亂>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정통회화(正統繪畵)에선 찾아볼 수 없는 이와 같은 특징은 민화가 지닌 독특한 정신에서 나오는 것이다. 즉 민화를 그린 사람들의 세계관 내지 자연관에서 기인하는 양식적 특징인 것이다. 민화를 그린 사람들은 ``나``와 ``자연대상``들을 분리해서 보지 않고 하나로 느꼈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에게 있어서 자연은 나와 별개로 존재하는 대상이 아니라, 분리할 수 없게하나로 통하는 존재였다. 그런데 <원근법>이나 <사물의 상호비례 관계>란 자연과 나를 분리해놓고 ``나``를 중심으로 자연을 타자로서 바라보는 데서 나온 화법이다. 나와 자연을 하나로 보는 시각에선 원근법이 있을 수 없고, 사물의 상호 비례 관계도 고정된 것일 수가 없는 것이다. 인간의 정신 속에서 ``나``와 ``자연``이 별개의 것으로 분리되어 있을 때 <가시적 현상계의 공간질서>는 확고부동하게 변할 수 없는 것이지만, ``나``와 ``자연``이 일체화 되어 있는 정신 속에선 언제든지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철학자칸트(I.Kant)는 <공간>이 나의 외부에 있는 객관적 실체라고 하는 일상적 생각을 거부하고, <공간>이란 감성(感性)의 선험적(先驗的) 형식 이라고 밝힘으로써 철학계에 큰충격파를 준바 있는데, 이것은 인간의 세계 인식이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공표한 학설이었다. 따라서 <가시적 현상계의 공간질서>는 절대적일 수 없고 <물자체Ding an sich, thing in itself>는 불가사의로 남아있는 것이다. 민화가 보여주고 있는<공간질서의 교란>이란 미학적 구조는 공간의 절대적 객관성을 무시하고 해체함으로써 특이하게도 칸트가 밝힌 공간론의 진실에 회화적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렇기에 민화는 어떤 일정한 조형적 관점도 거부하고 다양한 모든 관점을 자유롭게 포용한다. 바로 이러한 관점이 중도(中道)사상과 연결될 수 있는 민화의 정신이다. 중도(中道)란 심오한 불교철학의 정수이다. 중도는 단순히 중간이 아니다. 중도는 양 극단을 배제한 상태에서 중간마저도 배제한 상태이고, 그러면서도 그 모든 상태를 있는 그대로 비추어 보는 자세를 말한다. 놀랍게도 민중이 그린 민화가 고차원적인 정신미(精神美)의 한 측면을 조용히 열어 보이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aesthetic features that can be seen in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 and clarifying what spiritual beauty they contain. In the painting, we come to discover the aesthetic features such as <ignoring the mutual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ings>, <lacking perspective>, <transforming forms freely> and <reversing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a thing freely>. If they are included and expressed in a word, they can be said to be <disturbing the spatial or-der of the visible phenomenal world>. The features that cannot be found in an orthodox painting come from the peculiar spirit intrinsic to the painting. Namely, they are the stylistic features due to folk painters` world or nature views. Folk painters did not see ``me`` and ``natural ob-jects`` as separate but felt that they were one. To them nature was not the object existing separately from me but the existence inseparably re-lated to me. But <perspective> or <the mutual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ings> is the painting technique from separating nature from me and seeing it as the other centering on ``me``. In the viewpoint of seeing me and nature as one, perspective cannot exist nor the mutually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ings cannot be fixed. The spatial or-der of the visible phenomenal world cannot change firmly when ``I`` am separated from ``nature`` in human spirit, while it can always freely change in the spirit of uniting ``me`` with ``nature``. The philosopher I. Kant had made a big impact on the philosophical world by rejecting the daily idea that <space> was an objective reality outside of me and clar-ifying that it was an emotional transcendental form. It was the doctrine that published the limitations that man could not but have a relat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Thus, <the spatial order of the visible phe-nomenal world> cannot be absolute and <Ding an sich, thing in itself>remains mysterious. Peculiarly, <disturbing the spatial order> that folk painting showed was pictorially approaching to the truth of the theory of space clarified by Kant by ignoring and dissolving the absolute ob-jectivity of space. For that reason, folk painting refuses a given plastic viewpoint and freely includes all various viewpoints. Just such a view-point is the spirit of folk painting that can be connected with the Middle Path. The Middle Way is the essence of profound Buddhist philosophy. It is not simply the middle. It is the state of excluding both extremes and even the middle. It means the attitude of considering all the states as they are. Surprisingly, the folk painting made by the pop-ulace quietly opens and shows one aspect of a high level of spiritual beauty.

      • KCI등재

        리더십의 변화와 브라질의 부상

        임두빈(Doo Bin Im)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2 이베로아메리카 Vol.14 No.2

        The aim of this paper concerns how Lula’s leadership has achieved ‘Inclusive Growth’ of Brazil. Brazil is a country wher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live in the direst poverty as the one of the most unequal countries. The victory of Lula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f 2002 provoked an immense hope of change among the poor and oppressed in Brazil. Lula da Silva has been named the most influential leader in the world by Time Magazine, ahead of US President Barack Obama who is ranked fourth. Based on change of leadership, the Brazilian president tries to propel Brazil into the First World with government social programs like Fome Zero, designed to end hunger, and with plans to improve the education available to members of Brazil’s working class.

      • KCI등재

        소셜미디어 인게이지먼트의 문화 간 차이 연구

        엄성원(Eum, Seong-Won),임병학(Leem, Byung-Hak),임두빈(Im, Doo-B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8 중남미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세계화 시대 마케팅 전략에 있어 새로운 수단으로 등장한 소셜미디어의 수용과 인게이지먼트가 문화권마다 다른 양상을 보인다는 최근의 관찰에 따라, 팬 페이지 포스팅 유형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이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팬 페이지 포스팅의 역동성이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포스팅 유형에 따른 인게이지먼트가 미국 내 거주하는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검증은 도요타 페이스북 팬 페이지의 히스페닉과 비히스페닉 버전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팬 페이지 포스팅의 역동성이 높은 포스팅이 인게이지먼트가 높을 것이다(가설1)는 지지되었다. 팬 페이지 포스팅 길이가 긴 포스팅이 인게이지먼트가 높을 것이다(가설2)는 기각되었다. 팬 페이지 포스팅 유형에 따른 인게이지먼트가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3)는 지지되었으며 팬 페이지의 포스팅의 길이에 따라 히스패닉과 비히스패닉 간 차이(가설4)는 기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문화 간 차이가 페이스북 팬 페이지에서도 나타났으며,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팬 페이지를 구성한다면 팬 페이지 활성화를 통한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an page posting style affects engagement.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fan page posting activity on engagement and the type of posting were examined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posting dynamics of the posting of the fan page will be higher (Hypothesis 1). The fan page posting length is long and the postage will be high (hypothesis 2) was reject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volvement of fan page posting types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Hypothesis 3), and the difference between Hispanic and Non-Hispanic (Hypothesis 4) was reject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posting of fan page. Cultural differences also appeared on the Facebook fan page, and building a fan page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culture would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activation of the fan p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