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 도시사회의 주요건축물에 대한 랜드마크 의미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이수인,송대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어 온 랜드마크에 주목하여 사회적·역사적 배경을 통해 랜드마크의 변화 원인을 고찰해보고, 변화된 랜드마크 건축물의 물리적 형태의 분석을 통해 랜드마크가 도시 공간에서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인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중세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시대가 변하면서 사람들의 사고와 추구하는 가치가 바뀌어왔고 이는 도시의 형태와 그에 따른 랜드마크 건축을 통해 드러났다. 이러한 랜드마크는 당대의 시대상을 반영한 결과물로 제시되고 있으며, 각 시대마다 다른 형상으로 나타나고 그 특성도 조금씩 다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근대에 이르러서는 급격한 사회변화에 걸맞게 랜드마크 건축 또한 앞선 시기들과 물리적으로나 비물리적인 의미로나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중세, 근세에는 수직적인 높이와 압도적 규모 같은 랜드마크의 물리적인 특성이 단순히 시각적 이미지에서만 끝나지 않고 도시민들의 가치나 일상, 공동체로서의 커뮤니티를 담아내었다. 하지만 근대에는 과거에는 무시되었던 실리적이고 대량생산을 추구하는 사회구조로 변화하면서 물리적으로 획일화된 형태로 나타났고, 오히려 이전 시대에 두드러졌던 열린 공간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이나 활동이 배제된 부분이 많았다. 또한 근대 물질 자본의 상징인 마천루는 기술적으로는 과거보다 진보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의 발전을 수직적으로 높은 이미지만으로 형상화시키며 도시 정체성을 반영해야 하는 랜드마크의 역할과 의미가 축소되고, 랜드마크가 추구하는 표상의 의미가 달라졌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대의 랜드마크는 단순히 형태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도시의 역사와 도시민들의 생각, 가치를 담으며 그 안에서 사람들 간의 커뮤니티가 형성될 수 있도록 도시의 맥락이 반영되고, 또한 현대도시가 간과하고 있는 근대에서 사라진 중세・근세시대에 나타났던 일상성과 공공성 등의 비물리적 특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요망된다.. This research is for comprehending the symbolic meaning and the role of landmark in city space through contemplate the change cause of landmark by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it and analyze the transformed physical form of structures. From middle ages to modern era, people’s thinking method and value has been changing. Consequentially it emerges as form of the town and landmark building. Landmark of the Middle Ages may be mentioned in the castle tower and the Cathedral, and a large-scale and high in contrast with the surrounding buildings reflected the religious values and beliefs. In addition, spacious square in front of the cathedral was created as a community everyday living space of citizens. In Early modern period, a new culture was emerged, and the spirit of the pursuit of the perfect harmony and balance was reflected in a landmark building. This appears to be as centrality of the ideal city's obelisk, and it acted as a visual focal element of the city. In addition, since the opening days of absolute monarchy, the king's authority was put forward as a huge palaces and gardens horizontally. Late modern period pursued practicality and shows the standardized urban form. Therefore landmark buildings can also see that the centrality and the contrast traits slightly weakened. Also it showed off the technology and power of the state over the skyscrapers.

      • KCI등재

        랜드마크 코너 추출을 적용한 모바일 카메라 기반 위치결정 기법

        이유진,윤완상,이수암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6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과 대중화는 어디서든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사용할 수있도록 발전되었다. 그러나 실내의 경우 인터넷은 끊김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기능은 활용하기 어렵다. 실내 공공장소인 백화점, 박물관, 컨퍼런스장, 학교, 터널 등 GPS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에서 실시간 위치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실내 측위 기술은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장비를 기반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접근성에 초점을 두어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랜드마크를 촬영한 단일 이미지와 사전에 구축된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랜드마크를 촬영한 모바일 이미지만으로 사용자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이미지에서 랜드마크 검출이 필수적이고, 검출된 랜드마크에서 고정적인 성격을 가진 지점의 지상좌표 취득이 필수적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bag of words (BoW) 영상 검색 기술을 적용해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중 모바일 이미지가 촬영한 랜드마크를 유사한 4위까지 검색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특징점 추출 기법과 Homography random sample consensus(RANSAC)을 통해 검색된 4개의 후보 랜드마크들 중 가장 유사한 하나의 랜드마크를 선정하였고, 이때 임계값설정을 통해 정합점 수를 기반으로 한 차례 더 필터링을 수행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대응된 랜드마크와모바일 이미지간의 Homography 행렬을 통해 랜드마크 이미지를 모바일 이미지에 투사하여 랜드마크의 영역과 코너(외곽선)점을 검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치추정 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해당 기술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랜드마크 검색 성능은 약 86%로 측정되었다. 위치추정 결과와 사용자의 실제 지상좌표를 비교한 결과, 약 0.56 m의 수평 위치 정확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어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모바일 영상으로 사용자 위치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랜드마크와 배경의 대비가 심적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희,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은 도시를 이용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도시를 이용할 때 도시의 심적 이미지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심적 이미지는 도시의 환경 요소를 통해 형성되며, 그 중 랜드마크가 가장 주요한 요소이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심적 이미지로 남을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랜드마크가 잘 기억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랜드마크는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은 랜드마크를 잘 보이게 하고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여 강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게 하는 한다. 따라서 랜드마크의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이 심적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밝힘으로 기억에 남는 도시를 위한 랜드마크를 디자인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인 랜드마크의 특성을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성으로 독립변수의 수준으로 설정하였다. 조작적 정의로는 첫 번째 독립변수인 랜드마크와 배경과의 물리적인 대비를 색 대비의 유무(Vo, Vx)로 정리하였고, 두 번째 독립변수인 의미성은 배경과의 의미 대비로 동일의미(Lx)와 차이의미(Lo)로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는 랜드마크의 심적 이미지 형성으로 조작적 정의는 기억의 과정 중 인출 방법인 자유 회상 기억과 재인 기억을 측정하였다. 자유 회상 기억은 회상의 가능 유무에 대한 수준으로 설문지 작성 여부로 확인하였고, 재인 기억은 심적 이미지가 올바르게 저장되었는지 확인하는 수준인 OX 테스트로 정답 빈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실험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Chi-Squared Test 동질성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도출된 결과에 대해 디자인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유 회상 기억에서는 배경과의 대비가 있는 랜드마크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재인 기억은 배경과의 대비가 없는 랜드마크가 기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재인 기억의 결과는 실험에서 생성된 변수로 인한 결과로 추후 실험설계를 다시 진행하여 가설에 대한 재검증이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의 심적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환경 요소인 랜드마크를 기억에 잘 남도록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랜드마크는 독립적인 디자인 요소를 갖추는 것이 아닌 도시 또는 주변 환경과의 물리적인 대비와 의미의 대비를 통해 상호작용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억에 남는 랜드마크 설계를 위한 디자인 방향성을 제안하고 심적 이미지를 형성에 대하여 기억을 정량적 방법으로 측정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랜드마크의 요소가 약속장소 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경희,전효정,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a landmark is place designation, which includes anchoring a selection point for directions, and designating appointment places through communications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direction of landmark design which helps to set appointment pla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lements of landmark which are used to designate the landmark among other places. (Method) In this study, the appointment place designation specified through communication is set as the scope of this study, and the survey target area is set as the area around Gangnam St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landmarks, w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mar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the methods of accessibility and the persons' familiarity with the target area a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whether to select appointment places as a dependent variable. After experimental hypothese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se variabl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test them. (Results) The significant results are as follows: 1)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familiarity level; 2)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partner with the destination; 3)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ex of the respondent; 4)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ages of respondents; and 5) Appointment place is designated according to respondent access methods. In addition, the design direction was derived through discussion of these results. First, people who are accustomed to the site rarely choose a public landmark as a place for appointment compared to those who are not familiar with it. Landmarks must be placed in consideration of the means of transport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landing. Second, landmarks that are visited by many people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area should be located near subway stations or near such nodes of public transportation as bus stops. Third, since the population density of public landmarks are high, it is necessary to minimize unnecessary public facilities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Conclus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landmark-used appointment plac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appointment place specification ar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familiarity level of the target area, and means of approach. Also,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place sele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variables are considered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ties of the landmark and the location of the appointment, thereby providing a basic knowledge of the landmark. (연구배경 및 목적) 랜드마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장소지정이며, 그 방법에는 길찾기를 위한 선택지점 지정, 타인과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정하는 약속 장소 지정이 있다. 본 연구는 타인과 함께 장소를 지정하는데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 요소를 조사 · 분석하여 약속 장소 지정에 도움을 주는 랜드마크의 설계방향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랜드마크의 기능 중 타인과 정하는 약속장소 지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조사 대상지는 강남역 주변지역으로 설정한다. 또한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에 따라 상징성, 공공성, 개인성으로 분류하였으며, 랜드마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랜드마크의 속성, 이용자들의 특징, 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약속장소 지정 여부를 종속변수로 설정해 실험 가설을 세우고,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검정하였다. (결과) 검정을 통해 나타난 유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응답자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2)약속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3)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4)응답자의 연령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5)응답자의 접근수단에 따른 약속장소 지정. 또한 이러한 결과를 논의를 통해 설계방향을 도출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에 익숙한 사람들은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공공성의 랜드마크를 약속장소로 많이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이동수단과 내리는 장소를 고려해 랜드마크를 배치해야 한다. 둘째, 지역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많이 방문하는 곳의 랜드마크는 지하철역 주변이나 버스 정류장같이 대중교통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셋째, 공공성의 랜드마크 주변은 인구밀도가 높으므로 불필요한 공공시설물을 최대한 줄여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결론) 본 연구는 약속장소로 쓰이는 랜드마크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행한 연구로, 약속장소 지정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개인적 특성, 약속 상대방의 대상지 익숙도, 접근방식, 랜드마크의 사용 속성이 있으며 해당 변수가 함께 고려된 상황에 따라 선택되는 약속장소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랜드마크의 속성과 약속장소 정하기와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약속장소 정하기에 쓰이는 랜드마크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 KCI등재

        랜드 마크와 20세기 도시계획 -랜드 마크의 상징적 변형과 도시계획에서의 함의-

        문종만 ( Moon Jong-m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도시계획에서 땅(Land)과 표시(mark)의 합성어인 랜드 마크(Landmark)가 차지하는 상징적 의미와 변형에 대한 철학적 해석의 기반을 탐구하는 것이다. 현대적인 의미에서 랜드 마크는 눈에 잘 띄어 이정표 역할을 하는 큰 산과 같은 자연물이나 인공물뿐만 아니라 크기는 작더라도 지역의 특성을 담고 있는 상징물과 특색 있는 건물 등에 두루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간의 지평을 고대까지 넓혀서 생각한다면, 하늘-대지-인간을 잇는 랜드 마크는 `한 사회 공동체의 의미를 응축한 상징 형식인 동시에 그 의미를 재생산하고 재해석하는 중심`이라는 보다 보편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이런 랜드 마크의 의미, 특히 `사회적 의미를 재해석하는 중심`이라는 측면에 무게중심을 두고 본 논문은 먼저 랜드 마크의 출현에서부터 도시와 랜드 마크의 관계가 형성되는 역동적 과정을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랜드 마크의 보편적 의미를 분명히 규정하고, 도시의 발전 과정이 랜드 마크의 상징적 의미와 그것의 변형 과정과 일치함을 보일 것이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은 이런 랜드 마크의 의미를 바탕으로 20세기 도시계획의 역사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세 명의 도시계획가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 루이스 멈퍼드(Lewis Mumford),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의 사유와 기획을 분석할 것이다. 근대의 산업화를 동반한 급격한 도시화 속에서 랜드 마크는 문화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면서 의미가 모호해졌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사회적 의미를 재해석하는 중심`이라는 랜드 마크의 본래적 의미는 `도시`와 `도시다움` 혹은 `도시계획`과 `도시 공동체의 좋은 삶`이라는 긴장 관계로 논의 중심이 옮겨졌다. 이런 랜드 마크의 의미의 변동을 고려해서, 본 논문은 `어떤 사회적 활동에서 누구도 점유할 수 없지만 여러 가지 가능성을 표현할 수 있는 공적 영역`이라는 정치철학자 끌로드 르포르(Claude Lefort)의 `빈 장소(empty place)` 개념을 도시계획에 적용함으로써, 세 명의 도시 계획가의 입장을 평면적으로 비교하는 대신에 각각이 `빈 장소`를 어떻게 사유했고, 그 결과로 어떻게 서로 다른 독특한 도시계획의 비전을 제시했는지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결론적으로, 르코르뷔지에에게 `빈 장소`는 `초월적 기하학`이었고, 멈퍼드에게 `빈 공간`은 사회적 목표의 설정과 도시계획의 구상 속에서 다양한 해석을 열어놓는 `구성의 가능성`이었다. 그리고 제이콥스에게 `빈장소`는 모든 도시계획에 저항하는 `사회적 깃발`이었다. 자연스럽게 이런 분석의 결과는 과거의 도시개발의 거센 후폭풍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2016년 대한민국의 도시계획의 현실에 의미 있는 함의를 던져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basis of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a landmark`s symbolic meaning as well as its transformation in modern urban planning. Literally “landmark” is formed from the words `land` and `mark`. In a modern sense, landmarks are usually referred to as recognizable natural objects and artefacts used for navigation. It can also be applied to smaller structures or features that have become local symbols. Differing from this modern perspective, landmarks were originally symbolic: a place where since the advent of society the sky, land and humans were connected as one. From then on, the landmark effectively functioned on the one hand as a site for patterns of collective action, periodically through rituals, worship, and the use of language; the landmark helped to strengthen social integrity. On the other hand people reinterpreted the landmark as a means to solve social problems in times of social duress. Landmarks functioned not only as the symbolic from of societies, but also as a centre that produced and reinterpreted social meanings. In this study, I concentrate more on the latter role of a landmark rather than the former in order to emphasize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landmark. Departing from this definition of the landmark, I then focus on the implication of the landmark on urban planning by exploring a 20th century dispute concerning urban planning. When it comes to urban planning, I analyze the viewpoints of three urban planners: Le Corbusier, Lewis Mumford, and Jane Jacobs; all of who still influence contemporary urban planning field. In modern times, the landmark has broadened to include a variety of cultural objects, becoming blurred. The landmark has become an object of focus involved in the dispute between `city` and `cityness` or `urban planning` and `good life of the urban community`. In order to explain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landmark and urban planning, I use Claude Lefort`s concept of `empty place`; impossible to occupy, to the extent that those who exercise public authority cannot claim to appropriate it. By `empty space`, I refer to the indeterminism of the social, so opens the possibilitie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As a result, I show that Le Corbusier thinks of `empty space` as a transcendental geometry, Mumford regards it as a source of new imagination and possibility to realize the purpose of urban planning, and Jacobs thinks of it as a social flag by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cityness`. Lastl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ed light on the present state of our urban planning, which is related to the landmark.

      • KCI등재

        랜드마크의 토폴로지 : 남산타워를 중심으로 한 도시 공간 소통구조

        김현식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09 에피스테메 Vol.- No.3

        솟대는 삼한시대(서력기원 전후부터 AD 300년경까지의 시기)의 소 도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지며 현재 까지 이와 관련된 풍속이 남아 있 는 우리의 오랜 전통적 양식 가운데 하나이다. 도시의 구성 요소에서 랜드마크의 중요성을 설파한 케빈린치의 주장에 덧 붙여 현대에서 솟 대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 랜드마크의 의미를 되짚어 이를 재정립한다 는 것은, 전통의 경계적 요소와 소통의 구조를 표방했던 지역적 분절 과 그 분절 마디의 연결에서 벗어나, 유연함을 갖는 분절적 단위의 소 통을 위한 우리 도시의 진정성을 찾아낼 수 있는 방안이다. 시각적 유대는 같은 도시공간에서의 도시구성원에게 부여 할 수 있 는 동질감의 첫 번째 척도이다. 이는 도시공간에서 가시적 성격이 확 고히 드러나는 어떠한 인공물에 부여 할 수 있는 가치이기도 하다. 케 빈린치는 랜드마크의 특징으로 가장 눈에 띄고 알기 쉬운 것이라 정 의 한다. 그러한 랜드마크는 도시민에게 시각적 충족요소를 지닌 대상 으로 도시민 공통의 이데올로기를 제공 한다. 서울의 스카이라인 어디 에서도 볼 수 있는 십자가는 도시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정의하고 있다는 관점도 일맥상통한 부분이다. 도시 공간에서 랜드마크의 정립은 시각적 유대를 통한 정체성의 확 립과 도시민 소통 구조의 회복이며 이를 통하여 진정한 의미의 도시 정체성 확립의 방안을 마련할 것이며 이는 랜드마크를 통한 전체적이 며 개별적 차원의 동태성의 부여에 있고, 도시민 주체의 랜드마크에 대한 토폴로지적 차원을 연구함은 바로 이것, 도시 진정성의 회복을 목적으로 한 토폴로지적 우주론의 표상이다. ‘Sotdae’ [솟대] is a long pole designed and built in traditional Korean style.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the Sotdae is from Sodo in Samhan Era, which dates from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era to approximately 300 A.D. Customs and practices relating to Sotdae continue to be found in modern times. Following Kevin Lynch’s theory pointing out the importance of a landmark as a significant component of a city, I tried to reestablish Sotdae’s traditional meaning in present day. I think that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authenticity of Seoul City so that each segment of the city can communicate with better greater flexibility. A visual bond within the city is the first barometer which offers a sense of unity to the citizens. It is also of significant value for an artificial object to possess an absolute visible presence in the particular urban space. Lynch describes obvious visual exposure as the distinctive feature of a landmark. The landmark, as an object that is visually satisfying, also provides a sense of association or a common ideology for the citizens. For example, it is the connected issue of numerous cross signs in the Seoul skyline, which defines the city’s identity visually. Setting up the presence of landmarks in an urban space is to establish the city’s identity with visual bonds and to restore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its citizens. Therefore the city’s landmark will provide a means to strengthen the city’s identity by supplying certain dynamics to the city in general and thus influence a sense of individual dimension. Studying the city’s landmark topologically is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topological cosmology and thus to comprehend the restoration of the authenticity of Seoul City.

      • KCI등재

        길찾기 과정에서 랜드마크의 시각적·심리적 요소에 관한 연구

        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ements of landmark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wayfinding ar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and in order to design efficient wayfinding method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visual / psychological properties of landm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landmarks in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and computer simulation, and to reveal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perties and wayfinding behavior to present the conditions of landmarks for effective wayfinding. (Method) In this study, we set the scope of the research focusing on the visibility and the identity of the landmarks, which is a descriptive variable of the research topic. This explains how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landmarks affect the identity and visibility of the landmarks. For the hypothesis test, four experiments were made by advancing-color(a), receding-color(r), familiarity(f), and unfamiliarity(u), and subjects were assigned to each experiment. The subjects read the instructions of the assigned experimental conditions, and after wearing the eye-tracker, they performed the task of selecting the objects specified in the computer simulation of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ssigned. During the experiment, the subjects were properly selected and the time of object selection was record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landmarks, and the subject's pupil movement was recorded for the visibility analysis of the landmark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ge and sex of the subject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ponse variables of the study. Second, the vis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landmark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ccuracy of the landmarks selection. Third, the visual factor of the landmarks shows a slight difference in the promptness of the landmarks selection,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landmarks's psychological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ed of landmarks selection and statistically tested. Fifth, in the experiment on visibility, it was found that both the position of the object and the visual / psychologic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isibility of the landmarks.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and identification of the landmarks,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direction of the landmarks design that the landmarks should be designed using the familiar objects and the color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vide the basis for designing a landmarks for effective wayfinding and secondly, to provide the researchers studying design various analysis methods and suggest ways to apply them to design. Experimental errors caused by limitations of experimental control in this study were derived as research problems through discussion. These research problems should be reflected in the experimental design of future research.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길찾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랜드마크의 속성은 가시성과 식별성이고, 효율적인 길찾기 방법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 심리적 속성을 밝힐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시선추적 기술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측정하고 그러한 속성들과 길찾기 행위와의 복합적 관계를 밝혀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의 조건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주제의 설명변수인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중심으로 연구의 범위를 정한다. 이는 랜드마크의 시각적 속성과 심리적 속성이 어떻게 랜드마크의 길찾기 역할인 식별성과 가시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시선추적 실험이 준비되었다. 가설검정을 위해 진출색(a), 후퇴색(r), 익숙함(f), 익숙치 않음(u)을 조합하여 4가지의 실험을 만들고 피험자를 배정하였다. 피험자는 배정된 실험조건의 지시문을 읽고 시선추적기를 착용한 후에 배정된 실험조건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지정된 물체를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피험자가 제대로 물체를 선택하였는가와 물체 선택 시간이 랜드마크의 식별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고, 피험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이 랜드마크의 가시성 분석을 위해 기록되었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험자의 나이, 성별 등은 연구의 반응변수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둘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심리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정확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랜드마크의 시각적 요인은 반응변수인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약간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었다. 넷째, 랜드마크의 심리적 요인은 랜드마크 선택의 신속성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며,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다섯째, 가시성에 대한 실험에서는 물체의 위치 및 시각적/심리적 요인 모두 랜드마크의 가시성(선주시)에 유의미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랜드마크의 가시성과 식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친숙한 사물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설계해야 한다는 것과 주변환경과 차별되는 진출색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랜드마크 설계 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랜드마크 설계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는 것과 두 번째로, 디자인을 공부하는 연구자들에게 디자인 대상물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을 소개하고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험 통제의 한계로 발생된 실험오류들이 논의를 통해 연구문제로 도출되었고 이러한 연구문제들은 차후 연구의 실험설계에서 학문적으로 전개되어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럽 과 미국, 랜드마크 디자인 사회문화적 해석과 한국의 실사례 연역 연구

        한상돈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2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european landmark desig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european history, Their thinking and ideology are the freedom and the veritas. It, european landmark design, is derived from their culture. We would like to get their cultural heritage by the understanding their landmark design, which is established by the combination of the history and philosophy. It shows to us how the cultural heritage could be the monuments by the realizing their way to visualization. Its information could be compiled by our sights and brains as great heritage. It includes the enormous respect to their cultural heritage, with which the cultural information adapts to its environment. We could define in the two words, the freedom and the veritas, should be a social thought which dominates the cultures of a european society. The social thought could be realized by the europeans 6 countries(UK, France, Germany, Italy, Greece and Switzerland) and we need to understand how is the differences in the case of US. Some meanings of the existence of landmark design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In particular, before and after the 2nd world war, it was what a specific social culture melted in european region, as an construction of their thoughts and histories. In modern times, the landmark design was in multi-cultural results. In other words, in its initial step, the landmark design existed just as an showing up their culture to explain the history. Moreover, the landmark design in europe has to be expressed their thingking and philosophy to explain how to make their cultural heritage in visualization, which was a means of visual realization. The substances of european landmark design are on that cultural heritage. For the said reasons, there was their thoughts and philosophies, as the freedom and the veritas. But, in general, we have to get the real meanings of the cultural heritage, as a landmark design in the society. After that, we can get the answer of, how to realize our social and historic heritage in visualization. And we should know, how we could show up our landmark design to the others. It could offer to us the clue to make the alternatives of landmark design in this era. 유구한 역사기간 동안 유럽대륙은 세계역사의 중심에 서있었다. 그들의 다양한 역사적 유산과 문화는 각 나라, 또는 각 도시의 랜드마크로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그들의 역사가 문화적 유산으로 자리 잡는데 큰 기여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들의 역사적 유산인 랜드마크를 통하여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선진국으로 발돋움하려는 우리나라에게는 어떤 해법을 제시하는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였다. 그리고 세계를 주도하였던 각 국가 간의 문화적 차이와 역사적 유산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하여도 기술하였다. 1차적으로는 그들의 생각 깊숙이 존재하는 자유와 진리라는 두 가지 화두를 문화적으로 해석하여 인류 역사의 발전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가에 대하여 진지한 답을 모색하였다. 2차적으로는 문화 속에 용해된 그들의 디자인적 요소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가 어떠한 방향으로 우리의 랜드마크 디자인을 전개해 나아가야 하는 바를 모색하였다. 랜드마크 디자인은 한 사회에서 그 사회 문화를 지배하고 있는 사회사상의 문화적 결과물들이며, 바로 그 사회사상은 그들의 역사와 함께 그들을 오늘날 존재하게 하는 중심이라 규정할 수 있다. 위 내용으로부터 몇 가지로 축약되어져, 다음과 같이 랜드마크 디자인의 존재의미를 발췌한다. 먼저 랜드마크 디자인은 유럽의 중심사상인 헬레니즘과 로마의 문화주의에 근거하여 유럽문화를 발전시켜 왔고, 그 후 특히 세계 제2차 대전을 기점으로, 현대적인 랜드마크 디자인으로의 전환점을 맞는다. 유럽 6국(영, 프, 독, 이, 그리스, 스위스) 및 미국의 랜드마크 디자인은 유럽 역사의 문화적 유산과 미국의 신세계 개척정신으로 그들의 문화를 시각화한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오랜 세월 유럽의 역사와 함께 해 온 유럽의 랜드마크 디자인은 우리에게 우리의 랜드마크 디자인을 어떻게 구현할 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미국의 사례에서 우리는 그 방법론적인 대안을 본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랜드마크 디자인을 하나의 문화적 유산으로 어떻게 구현하여 우리의 유구한 역사를 시각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 볼 때이다. 우리가 그들의 문화유산인 랜드마크를 사회문화적으로 해석하기에 따라서, 우리의 랜드마크 디자인 구현에 대한 과제의 해답도 얻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유럽의 랜드마크 디자인의 통사상 개념을, 특성이 뚜렷하게 구별되는 나라 별로 서술, 분석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나타나는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 랜드마크 디자인의 나아갈 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바이다.

      • KCI우수등재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위한 건물 속성정보를 이용한 랜드마크 추출

        김진형,김지영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1

        Recently, interest in 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PNS) is being increased due to the diffusion of smart phone and the improvementof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and it is efficient to use landmarks in route guidance for pedestria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pedestrians’ movement and success rate of path finding. Accordingly, researches on extracting landmarks have been progressed. However, preceding researches have a limit that they only considered the difference between buildings and did not consider visualattention of maps in display of PNS. This study improves this problem by defining building attributes as local variable and globalvariable. Local variables reflect the saliency of buildings by representing the difference between buildings and global variables reflectsthe visual attention by represent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Also, this study considers the connectivity of network and solves the overlapping problem of landmark candidate groups by network voronoi diagram. To extract landmarks, we defined building attribute data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Next, we selected a choice point for pedestrians in pedestrian network data, and determined landmark candidate groups at each choice point. Building attribute data were calculated in the extracted landmarkcandidate groups and finally landmarks were extract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a part ofGwanak-gu, Seoul and this study evaluated the extracted landmarks by making a comparison with labels and landmarks used by portal sites such as the NAVER and the DAUM. In conclusion, 132 landmarks (60.3%) among 219 landmarks of the NAVER and the DAUM were extracted by the proposed method and we confirmed that 228 landmarks which there are not labels or landmarks in the NAVER and the DAUM were helpful to determine a change of direction in path finding of local level. 최근 스마트폰 보급과 측위 기술의 향상으로 보행자용 내비게이션 서비스(Pedestrian Navigation Service, PN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보행자의 이동 특성과 길 찾기 성공률 측면에서 보행자에게 길안내를 하는데 랜드마크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에 PNS를 위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 선행연구는 랜드마크를 추출할 때 건물들 간의 차이만을 고려하고, PNS가 구동되는 화면 속 지도에 대한 사용자의 시각적 주의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건물의 속성을 지역적 변수와 전역적 변수로 정의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고자 한다. 지역적 변수는 건물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전역적 변수는 건물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건물의 현출성과 시각적 주의 정도를 반영한다. 또한, 네트워크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고려하고 랜드마크 후보군 추출 시 발생하는 중첩 현상을 해결한다. PNS를 위한 랜드마크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를 바탕을 건물 속성정보를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보행자를 위한 선택점을 선정하고, 해당 선택점 별로 랜드마크 후보군을 추출하였다. 이들 랜드마크 후보군에 대해서 정의된 건물 속성정보를 산출하고,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였다. 제안된 기법을 서울특별시 관악구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랜드마크를 추출하고, 네이버와 다음 지도 서비스의 레이블과 길찾기 시 표출되는 랜드마크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네이버와 다음 레이블 219개 중에서 60.3%에 해당하는 132개가 제안된 방법으로 랜드마크로 추출되었으며, 네이버와 다음 지도 서비스에는 없지만선택점에서 추가로 추출된 228개의 랜드마크는 지역적 수준에서 길 찾기 시 방향 전환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충북지역 랜드마크 설화 연구

        이효순,오세정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1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earch for local values. In order to study legend as local culture and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cultural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landmark folktales in Chungbuk province by utilizing photography semiotics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s “landmark” theory in order to find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literature research. Landmark folktales see local legends as landmarks that represent or distinguish a region and highlight text that contain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landmark folktale is said to have five characteristics: visibility, uniqueness,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cluster. At least one characteristic and up to all five can appear in a single text.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a landmark-folktale can represent the region only when the text’s landmark characteristics are clearly revealed. Visibility, uniquen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are the primary requirements of landmark tales. Last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the landmark- folktale, based on the text Jeonseolji, which i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legends in Chungbuk, a landmark-folktale representing each of Chungbuk province’s 11 cities and counties was selected and analyzed. 본 연구는 로컬의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문화로서의 전설을 연구하고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역 문화 연구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문학 연구 방법론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찾기 위해 사진 기호학의 ‘지표성’ 논의와 건축공학에서의 ‘랜드마크’ 이론을 활용하여 ‘랜드마크 설화’를 설정하고 실제 지역을 대상으로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랜드마크 설화란 지역 전설을 지역을 대표하거나 구별하게 하는 표지인 랜드마크로 보는 용어로, 지역의 특성을 담은 텍스트임을 부각시키는 용어이다. 랜드마크 설화는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 응집성, 군집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텍스트가 지닌 랜드마크적인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야만 지역을 대표할 수 있을 만한 랜드마크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이 랜드마크 설화의 1차적인 요건이 된다. 지표성과 랜드마크 설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북의 대표 전설 자료집인 『전설지』 소재 텍스트들을 검토하여 충북의 11개 시군 각각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