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

        이선희(Lee Sunhee),조경아(Cho Kyo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 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자로, 시뮬레이션 실습 교과목을 수강할 D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 48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고, 1회기 당 4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 역량,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비판적 사고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근거기반실무 태도, 근거기반실무역량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를 증진시키기 위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 근거기반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다각도로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on the knowledge-based practical knowledge, attitude, competence, and intention of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study pretest-posttest design of inequality contro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the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and 48 students in the fourth grade-nursing students from D University who will take simulation cours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 2019 to June 10, 2019.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applying five levels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itself, and it consisted of 6 sessions, 4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t=4.854, p<.001),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t=8.227, p<.001),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t=17.572, p<.001),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t=6.343, p<.001) and critical thinking(t=9.699,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the Evidence-based Practi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Evidence-Based Practice intention to future us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using Simulation Practicum program in various ways.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 운영의 효과

        김윤희(Yun-Hee Kim),류세앙(Seang Ryu),김희영(Heeyo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근거기반실무 간호교육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험하며 숙련되도록 이끌어야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의 일부를 통합한 간호학과 2학년의 기본간호학 수업을 운영하고 근거기 반실무의 기초역량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었다. 대상자는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08명이었다. 실험군은 2016년 2학기 15주 수업기간 중 총 8주, 24시간의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의 문제해결 적극성,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그리고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은 Chi-square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가설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은 저학년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기초역량인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년별 목표에 적합한 교과과정에 의한 간호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대한 장기적 노력이 더 필요하다. The nursing educa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 (EBP) should set a differentiated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it step by step and it leads them to be ski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EBP in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es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improvement of EBP basic competency of the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0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nursing at the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8 weeks and 24 hours during the 15-weeks, second semester 2016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fundamental nursing class. Data were collecte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uture use of EB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with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 used EBP was an effective lesson to improve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which is the EBP basic competency for the lower grader. Long-term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EBP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by curriculum appropriate to grade-based goals of EBP.

      • KCI등재

        간호연구 질 평가 도구 및 보고지침 고찰

        김경희,김주현,임경춘,이경숙,정재심,최명애,채영란 기초간호학회 2012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4 No.3

        과학의 발전은 검증을 거친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 응용과정을 통해 지식체를 확대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자연과학의 한 분야인 간호학에서도 간호 지식체를 개발하고 확대시키기 위해 이론 또는 실무중심의 다양한 간호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ee, Park, Cho, & Park, 2011). 간호실무 현장에서 임상적 결정을 내릴 때 최상의 근거를 활용하고자 하는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Sackett, Straus, Richardson, Rosenberg, & Haynes, 2000). 국내에서는 2004년 한국간호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된 추계학술대회에서 근거기반간호(evidence based nursing)가 소개되면서, 간호학 분야별 학회 및 간호사회 등 간호계의 전문가 단체를 중심으로 근거기반간호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Gu et al., 2012). 간호실무 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활용 가능한 근거 생성이 우선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근거는 간호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즉,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근거기반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최상의 근거는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결과 중에서 가장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의미한다.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운영의 효과

        김지영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emergency nursing clas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EBP) and to examine its effects. This study was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54 students in the third year of nursing at a university, between September 2, 2019 and December 9, 2019. An emergency nursing class using EBP consisting of 5-step EBP components was provided through 13 sessions. Lectures, team-based learning, and case-based learning were provid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After the clas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 in EBP beliefs (t=-2.76, p=.008) and EBP competency (t=-5.035, p<.001). Howeve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emergency nursing classe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is an e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EBP beliefs and competency.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운영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연구이다.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의 3학년 간호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9월 2일부터 12월 2일이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은 근거기반실무의 5단계를 활용하여, 13차시로 진행되었다. 수업 운영은 강의, 팀기반학습, 사례기반학습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 후, 근거기반실무 신념(t=-2.76, p=.008), 근거기반실무 역량(t=-5.035,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반면 비판적사고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 결과는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응급간호 수업이 간호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신념과 역량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육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근거기반실무 과정을 활용한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모듈의 시범운영

        류세앙(Ryu Seang),윤순원(Yun Sun W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임상실습 모듈이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 실무 지식, 태도, 역량, 적용의도 및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에 효과적인지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설계의 실험연구이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연구대상자는 성인간호학실습에 임할 M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 학생 30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5월 2일부터 6월 10일까지였다. 성인간호학실습 모듈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하여 간호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2주 동안 진행되었고, 1회기 당 30분에서 3시간씩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모듈의 효과는 대응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성인간호학 임상실습모듈이 간호대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t=-10.67, p<.001), 태도(t=-2.34, p=.023), 역량(t=-9.03, p<.001), 적용의도(t=-2.40, p=.019)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나 비판적 사고성향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임상실습이 학생들의 지식, 태도, 역량은 물론 향후 실무에서의 적용의도를 향상시켰으므로 간호교육과정에 근거기반실무를 다각도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whether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module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vidence-based practice knowledge, attitudes, competency, intention to us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is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ird grade nursing students from M University who attended an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and 30 studen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May 2, 2016 to June 10, 2016. The Adult Nursing practicum module was conducted for two weeks with the aim of performing the nursing process using the evidence-based practice and consisted of 6 sessions, 30 minutes to 3 hours per session. The effects of the modules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module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significantly improved student’s knowledge(t=-10.67, p<.001), attitudes(t=-2.34, p=.023), competency(t=-9.03, p<.001), and Intention to use(t=-2.40, p=.019) about evidence- based practice. But, there has not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inc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has improved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mpetency as well as intention of future use, it is necessary to utilize evidence-based practice in nursing curriculum in various way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남영,김은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G광역시와 C도에 소재한 5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정보활용능력,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대해 자료수집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정보활용능력(r=.725, p<.001), 비판적 사고성향(r=.55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60.5% 설명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정보활용능력 및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가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 충분히 학습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교과목에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발휘하게 되고, 임상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의 근거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의 향상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EBP) competency, and especiall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430 nursing students at 5 nursing colleges in G city and C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 competency for EBP was 3.42±0.39 points. EBP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literacy (r=.725,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51, p<.001).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literacy (β=.606,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10, p<.001), and completion of research methodology (β=.132,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60.5% of the total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method as an integral aspect of improving EBP competency.

      • KCI등재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

        김경윤,이은주,Kim, Kyoung Yun,Lee, Eunjoo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6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among critical thinking, nursing process competency and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working in middle sized hospital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2 nurses working in the three hospitals located in G and P cit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with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1.0 program. Nurses'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42, p <.001)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r=.58, p <.001). Full model accounted for 65.1% of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by nursing process competency (${\beta}=.57$, p <.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a}=.34$, p <.001), critical thinking educational experience (${\beta}=.11$, p=.004), Master's degree (${\beta}=.09$, p=.032). Conclusion: o increase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of nurses, it is required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mpetency of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4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62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과 근거기반실무역량은 중정도 이상의 수준이었고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은 비판적 사고성향 (r=.42, p <.001), 간호과정 수행능력 (r=.58, p <.001)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 (${\beta}=.34$, p <.001)과 간호과정 수행능력 (${\beta}=.57$, p <.001)은 근거기반실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역량 향상을 위해서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간호과정 수행능력의 향상을 위한 전략이 요구되어진다.

      • KCI등재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특성이 근거기반혈액투석간호지식과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수,정은숙,최경아,유승오 병원간호사회 2016 임상간호연구 Vol.22 No.2

        Purpose : 본 연구는 혈액 투석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과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최신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과 수행정도를 증진하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Method : 본 연구는 서울·경기에 있는 개인병원, 종합병원의 혈액투석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18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23.0 ver.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파악하였다. Result : 대상자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지식 점수는 100점 만점에 69,0점이였다. 대상자가 종합 병원에 근무할수록, 근거기반 혈액투석간호를 준수할수록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변수들이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지식을 30% 예측 설명하였다. 대상자의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 수행정도는 5점 만점에 4.52점이였다. 수행정도 대상자들이 투석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느낄수록, 임상경력이 많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 지식과 수행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거기반 혈액투석간호를 준수할 수 있는 표준화된 근거기반 혈액 투석간호의 지침서 개발과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nurses on knowledge and nursing performance of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among hemodialysis unit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0 nurses working in hemodialysis unit for more than 6 months in 23 private and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March 30th to April 15t in 2016 and were analyzed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Results: Nurses’ knowledge on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was 15.87±4.52 out of 23 points. Type of hospitals working in and adherence to evidence based hemodialysis guidelines were significant factors to knowledge and these two factors explained 30.0%. Nurses’ nursing performance on evidence-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was 4.52 out of 5 points. The performace leve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otal nurisng career and necessity of hemodialysis nursing education and these two factors explained 8.0%. Conclusion: A development of guideline and continu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proving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evidence based hemodialysis nursing practice.

      • KCI등재

        시뮬레이션 실습을 연계한 근거기반실무 교육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양현주,박미라,제남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of nursi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ability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is about applying the 5 step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linked with simulation practice. The model is a program consisting of 8 sessions(total 32 hours) in which theoretical & practical classes about evidence-based practice and situation-specific simulation practices are cross-designed and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 teaching time of the instructional model, group 1 was instructed to conduct a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fter the simulation practice, and group 2 was instructed to conduct a simulation practice after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group 1 had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capacity in evidence-based practice than group 2,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elief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it is more effective to carry out the evidence-based practical training after the clinical & simulation training experience or repeat the education.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not being able to observe the persistence of educational effect and the lack of a pure control group. Thus, a follow-up study is needed.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근거기반실무에 관한 역량 증진을 위해 시행되었다. 개발된 수업모형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연계한 근거기반실무 5단계를 적용하는 내용으로, 근거기반실무에 관한 이론 및 실기수업과 상황별 시뮬레이션 실습을 교차 설계하여 적용하는 8회기(총 32시간)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다. 수업모형의 효과적인 교육시기 확인을 위해 그룹 1은 시뮬레이션 실습 후 근거기반실무 교육, 그룹 2는 근거기반실무 교육 후 시뮬레이션 실습을 진행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결과 그룹 1은 그룹 2보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수준과 역량이 높았으나, 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근거기반실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임상 및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후에 근거기반실무 교육을 시행하거나 반복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순수 대조군을 두지 못한 것과 교육효과에 대한 지속성을 확인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어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근거기반디자인에 의한 간호공간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양시내 ( Yang Sinae ),최연숙 ( Choi Yeonsu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급속한 의과학화의 성장이 대상자의 요구에 중심하며 최근 직접 돌봄을 수행하는 간호사를 위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의 공간기능과 운영에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의식수준의 성장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의료서비스의 요구도가 급격히 확대되는 가운데 입원환자에 대한 간병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환자의 간병부담을 줄이고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공간기능과 운영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중 간호공간은 전인적, 총체적 간호가 이루어지는 주체적인 공간으로 환자의 안전과 치료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선행연구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 대한 연구는 병동의 시설개선, 효율적 간호공간의 활용성 측면에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간호환경 변화를 위해 과학적 방법론에 기초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적용된 근거기반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간호공간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디자인을 바탕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공간의 공간구성 계획을 위해 공간의 개념과 정의를 이해하고, 공간계획 요소 및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여 간호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한 근거기반디자인을 바탕으로 미국의 The Center for Health Design(2015)의 평가도구로 온라인 공개사용이 승인된 Patient Room Design Checklist and Evaluation Tool을 인용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으며, 체크리스트의 전문가타당도 결과 CVI(S-CVI/UA) .89로 최종 17개 항목을 사례조사에 사용할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연구조사의 방법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을 운영하는 국내외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직접방문, 온라인방문을 통해 인터뷰, 웹조사, 문헌고찰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공간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외 병원의 사례는 간호스테이션과 서브스테이션의 비율이 평균 1:8인 반면, 국내 사례는 1:2.5를 차지하고 있어, 근거기반디자인을 통해 도출된 간호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공간구성이 요구된다. (결론) 본 연구는 근거기반 디자인을 중심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공간에 대한 특성을 공간의 가시성, 정온성, 영역성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국내외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새로운 간호공간의 환경변화를 위해 합리적인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간호공간의 구성에서 공간계획 단계에 간호공간의 특성을 적용하고 평가준거를 통해 이를 과학적, 정량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Background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rapid growth of medical science has been focused on the needs of the patients, whereas an interest in the spatial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for nurses who perform direct care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demand for medical services of patients admitted to the hospital has been expanding rapidly due to increasing awareness, an interest in the spatial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which is implement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caring for patients and reduce the burden, is expanding as well. Among these, the nursing space is the subjective space where holistic and general nursing are performed, and it has a direct impact both on the patient’s safety and treatment outcome. In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integrated nursing and nursing service wards have been conducted in terms of facility improvement and efficient nursing space utilization. However, the research centered on nursing spac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space for the spatial composition planning of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based on the evidence-based design and to provide data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space and spatial planning elements.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citing the Patient Room Design Checklist and Evaluation Tool approved for online public use as an evaluation tool of The Center for Health Design (2015)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evidence-based design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of the checklist's expert validity, CVI (S-CVI/UA) .89, the final 17 items were prepared for use in case studies. The research method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interviews, web surveys, literature reviews, direct visits, and online visits by selecting general hospitals with over 500 beds in the domestic and oversea hospitals with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Result)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nursing space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overseas hospitals, the ratio of nursing stations and sub-stations was, on average, 1:8, whereas for domestic cases, it was 1:2.5. As a result, a spatial composi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spaces derived through evidence-based design was required. (Conclus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spaces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 with the focus on evidence-based design into the visibility of the space, calmness, and territoriality. Consequently, it made reasonable suggestions for environmental change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space to the spatial planning stage in the composition of the nursing space and presents scientific and quantitative data through evaluation criteria, which makes it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