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 연구

        이근호(Keunho Lee),이병천(Byeongcheon Lee),가은아(Euna Ka),이주연(Jooyo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싱가포르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우리나라의 2007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문제점을 문헌 연구와 현장 교사 면담 등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 사례 연구의 시사점 도출의 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준거에 기초하여 싱가포르와 호주를 방문하고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 체제의 실제 운영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해당 국가의 교육부 관계자, 학교 관리자, 현장 교사 등을 면담하여 문헌과 인터넷 탐색 등에 기반을 둔 사전 조사의 실질적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는 비단 현재의 시스템이나 현황에 대한 표피적인 조사를 넘어서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이나 개선 요구 등과 같은 실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었다. 도출된 시사점은 국가교육과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적 접근, 쌍방향과 개방형 의사소통 방식의 개선,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의 내실화 등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To achieve this goal, we analyzed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in terms of actual problems and challenges faced by school teachers, and drew criteria for analyzing overseas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ased on the criteria, we investigated the Australian and Singaporean national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We especially carried out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principals, officials in Ministry of Education, and tried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curriculum monitoring system beyond superficial investigation of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ur suggestions such as integrated way of monitoring, multi-way open system, and substantial approach into monitoring operation which will lead into meeting with the purpose of the monitoring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동욱(Donguk Lee),전종희(Jonghee J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of K University, which i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we propose a learner-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plan through a student opin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and consumer of education, and draws real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College of Liberal Arts of K University formed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and conducted a student opinion survey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dvanced liberal arts). The students of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conducted a basic survey on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from various departments and drew up student opinion survey questionnaires(draft). This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s the final question after expert review by the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tea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nline survey form from November 30, 2020 (Mon) to December 4, 2020 (Fri), and a total of 285 students responded. The questions were basically a 5-point scale, and in addition, they consisted of basic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grade, affiliation, college, gender), subjective questions, etc.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more improvement was needed in th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 KCI등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 도구 개발 타당화 연구

        이영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As the 2015 Revised Music Subject Curriculum is implemented,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revised music content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classroom cla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tools to monitor the extent to which the 2015 Revised Music Subject Curriculum could be implemented in classroom i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purpose to provide tools to monitor how music and curriculum are operated in music class by developing monitoring tool of the 2015 Revised Music Subject Curriculum. In order to reach the goal of this research, music instructional contents were compil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music and curriculum documents. The questionnaires that monitor whether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can be executed in the classroom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nd it was repeatedly verified whether or not the questions of the developed tools were valid. In this advisory opinion, the implication of Music Subject Curriculum and improvement were suggested and presented.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실행되면서 교실수업에서 개정된 음악 교과 내용이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요구를 조사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교실수업에서 어느 정도 실행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타당한 도구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모니터링도구를 개발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이 음악 수업 속에서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도구(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도달하고자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상에 음악교과내용을 교과 역량, 성취기준, 생활화 영역 등을 연구의 기초에 정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상의 내용이 교실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질문과 교사-자기 점검 차원의 체크리스트 질문을 도구로 개발하고, 개발한 도구의 질문 내용이 타당한 여부를 반복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 도구 개발 과정에서 현장 적합성을 검증받아 논의한 자문의견에서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및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육과정의 2차 년도 적용 현황 추이 분석

        곽영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2019년도에 적용 2년차를 맞이한 고등학 교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2 차 년도 적용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과학 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총244개의 과학중점고 와 일반고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018 년도 1차 년도 조사결과와 양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초점집단을 구성하는 9명의 과학교사들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2차 년도 적용현황에 대한 심층 답변을 논의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1차 년도와 마찬가지로 적 용 2년차에도 통합과학은 대부분 6~8단위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학급당 통합과학을 담당하는 교사는 3~4명 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초점집단 면담에 서 현장교사들은 통합과학이 통합적 지도를 필요로 하 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 유발에도 좋지만, 평가공정성 확보 등의 문제로 과정중심 평가 등을 구현하기는 어 렵다고 주장하였다. 과학탐구실험의 경우 대부분 학기 당 1단위로 2개 학기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가르치는 사람이 달라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을 거의 연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도부터 과학탐구실 험의 학교생활기록 기재 방식이 절대평가로 변경되어서 상대평가로 성적산출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학생들 의 만족도나 수업의 흐름이 기대한 것보다 훨씬 좋고, 부담없이 가르칠 수 있다고 교사들은 말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과 공통과목인 통합과학과 과학탐 구실험 교육과정 안착을 위한 지원방안,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econd year of application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which are common courses of high school, and to explore sugges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a total of 244 science-core and general high schools were compared with the survey result of 2018 school year.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science teachers of the focus group to discuss the current state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s in the first year, most of the Integrated Science courses were implemented in 6-8 units, and in most schools the number of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Science per class were 3-4. In the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 teachers insisted that Integrated Science requires integrated teaching approaches and is good for generating students' interest, bu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process-based assessment due to issues such as ensuring fairness of assessment. Most of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courses were implemented in two semesters, one unit per semester, and there was little link between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because of the different teaching staff. The school life record entry method of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has been changed to criterion-based assessment starting in 2019, so students' satisfaction or flow of classes is much better than expected, and teachers can teach without burde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support the settlement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Laboratory Experiments as common subjects, and ways to improve those subjects in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교육적 효과 증진을 위한 대학 이러닝 플랫폼 요구분석

        김은희(Eunhee Kim),최효선(Hyoseon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3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환경은 인지적, 정의적 영역 측면에서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이러닝 플랫폼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에 근본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러닝 플랫폼을 활용하여 얻고자 하는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지,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 요소는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교수자 96명, 학습자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는 이러닝 플랫폼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이나 수업만족도와 참여도, 학습흥미도, 문제해결력, 고차적 사고력을 향상시킨다고 인식하였다. 교육적 효과를 위해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 요소로는 수업 준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기능과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 학습과정 및 결과에 대한 알림이나 적응적 피드백 기능, 포트폴리오 관리나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learners’learning effects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the form of an e-learning platform should b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s.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recognize through use of e-learning, and what are the elements of e-learning platform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96 faculties and 466 learners of A University. As a result, instructors and learners recognized that the e-learning platform improves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course satisfaction, learners’ enrolment, learning interest,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E-learning platform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include supporting func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urse preparation, dashboards to monitor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notifications or adaptive feedback functions on learning processes and results, and portfolio management.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for an evaluation tool to prevent a cheating behavior. This suggests that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demanding the role of individualized learning support systems.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수립․변경의 법적 구조와 과제

        박창언,박봉철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2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explore future tasks. Method: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study was center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 method of supporting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as used for necessary matters. Results: I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was requested to supplement the legal system, divide roles between committees and prepare a cooperative system, and specify models and methodologies for social consensu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mprove tasks following the review of the legal structure of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the national curriculum, distinguish legal and policy judgments, and reorganize institutional regulations that can be curriculum-oriented.

      • KCI등재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 초등학교 3∼4학년을 중심으로

        배화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80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operational status, related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rd and fourth grade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837 teachers who taught social studies to third and fourth grades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 written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on a focus group consisting of four teachers and professor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the competencies level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ppropriate. Some other teachers thought that some of the topic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were somewhat excessive in volume or rather difficult. In addition, they had difficulty in teaching local community issues as part of the social studies class for third and fourth graders, and believed that the teaching material on local issues must be expanded urgen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as ways for improvement in preparation for the revision of the next curriculum: the redefinition of skill levels in social studies, a review of the study volume and content difficulty levels, and further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for topics related to local communities.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3~4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 및 쟁점,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의 사회 수업을 실시한 교사 8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명의 교사 및 교수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서면 조사 및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역량에 대해서 대체로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3~4학년군에 제시된 사회과 학습 내용 중 일부 주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학습량이 많거나 내용 수준이 다소 높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사들은 3~4학년군에 제시된 사회과의 지역화 관련 부분을 수업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지역화 수업 자료 등이 부족한 문제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에 대비하여 사회과의 교과 역량 개념에 대한 재구조화, 학습량 및 내용 수준에 대한 검토, 지역화 수업을 위한 자료 개발 및 지원 강화 등을 주요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대안적 접근법 탐색

        허영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3 No.4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at features and problems of existing evaluation approaches to see the change of students’ achievements and prove the courses’ effectiveness in competence-based curriculum on university, to examine what alternative evaluation approaches available for see the change of students’ achievements in it by reconceptualization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from now o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as as follows. First, by study that evaluation system of students’ achievements on competence- based curriculum of three Korean universities, features of existing evaluation approaches organized the thre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based approach, quantitative based approach, experts oriented approach. And existing evaluation approaches making that loss other applicable performance than criteria, difficult to curriculum’ improvement and hard to overcome academic bias of experts, difficult to feedback of evaluation’s results. Second, I highlights that competence-based curriculum clear need understanding of holistic concept to contain not only of human external behavior and cognitive factor as knowledge, but of affective components as self-concept, values, motivation. Third, based on reconceptualization competence-based curriculum as holistic approach, for see the change of students’ achievements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from now on, I propose that need evaluation system of process monitoring. And I propose that need qualitative and naturalistic evaluation to complementary using methods as interview, observation, case study, transforming evaluation based on stakeholder engagement.

      • KCI등재

        학습장애 진전도 모니터링 위한 읽기 교육과정중심측정(CBM) 기울기의 측정조건 탐색: 시뮬레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여승수,강옥려 한국학습장애학회 2022 학습장애연구 Vol.19 No.3

        Despite the fact that Curriculum-Based Measurement(CBM) slopes have been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in research on learning disabilities,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for supporting the technical adequacy of CBM slope. This study examined the best conditions for calculating CBM slope. In order to examine these conditions, this study contained two independent variables(the amount of residual error and the number of data points) and four dependent variables(reliability, validity, RMSE, and MS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magnitudes of residual error and collect a minimum of 12 reading CBM data poin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학습장애분야에서 CBM의 기울기는 중재전략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지만 CBM 기울기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여전히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별히 측정학적으로 적합한 CBM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는 측정조건을 조사하는 연구목적을 갖고 있었다. CBM 기울기를 산출하는 최적의 측정조건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2가지의 독립변인(오차의 크기와 측정횟수)과 4가지의 종속변인(신뢰도, 타당도, RMSE, MSE)을 각각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측정학적으로 우수한 CBM 기울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오차가 적은 CBM 자료의 수집과 함께 최소 12주 이상의 측정주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주제를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