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한 학생-교사애착관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김남희(Nam Hee Kim),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와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을 포함하는 기본심리욕구, 수업참여, 학업성취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사지지에 기반한 기본모형에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적 측면을 보다 강조하는 학생-교사애착관계요인을 포함시켰을 때 연구변인들 간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교사지지와 학생-교사애착관계의 개념차이를 확인 하고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생-교사애착 관계를 포함한 연구모형이 성별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0개 중학교 1, 2학년생 664명이었으며,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전술한 연구문제를 검토하였다. 기본모형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편이며 연구결과는 첫째, 기본모형에서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수업참여의 매개효과가 있었고 교사지지와 수업참여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부분매개효과 또한 검증되었다. 그러나 교사지지와 학업성취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는 수업참여를 거치지 않고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모두는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모형에서는 기본모형에서 교사지 지로부터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로 가는 직접적 영향력은 사라지고 학생-교사애착관계 요인이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사-학생 관계요인이 교사지지와는 다른 독립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모형에서 교사-학생관계와 학업성취를 매개하는 유의미한 수업참여효과가 발견되었으며 기본심리욕구의 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 요인은 오로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하여서만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교사애착관계와 수업참여 간에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들 각각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모형에서 남녀 학생집단 간 모형의 차이가 없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교사애착관계 모형이 성별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지지와 더불어 학생-교사애착관계의 독립적 영향력을 확인하고 학생과 교사 관계요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교사와 학생 관계 요인은 학생의 기본심리욕구와 수업참여를 통해서 학업성취를 신뢰롭게 설명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that students perceived, basic psychological needs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functions of teacher support an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n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by analyzing how those relationships changed when a teacher support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that emphasized aspect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Furthermore, we examined gender difference whether female students, who were relationship-oriented, were more affected than male students i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664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They were the first and the sophomore year of 10 different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We examined aforementioned subjects for inquiry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ll models in this study such as basic model and research model were acceptable for their goodness of f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there was not only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model based on teacher support, but als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of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teacher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academ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and all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Second, we analyzed a research model involved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Results showed that direct influence of teacher support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disappeared from the basic model, bu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factor directly affect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t mean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has an independent influence different from teacher suppor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academic engagement that mediated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sequence of verification about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in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ut no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found because direct influence from basic psychological needs to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t turns out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only influence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academic engagement. Each of sub 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engagemen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re was gender difference in the research model includ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and we fou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means research model including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gender.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s among teacher support,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tha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Also, we identified an independent influence of student-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and the importance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s well. In addition, we demonstr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had significantly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of students.

      • KCI등재

        초등체육수업에서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열정이 학생의 수업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필환(Cho Phil-Hwa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느끼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열정이 교사-학생관계와 아동의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학생이 느끼는 교사의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을 설정하여 이들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 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5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사의 조화열정, 교사-학생관계의 헌신과 친근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교사가 수업했을 때 학생들은 교사의 조화열정과 강박열정 및 교사-학생관계 중 헌신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체육수업 담당교사가 담임교사와 전담교사 간에는 변인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변인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화열정, 헌신, 친근감 및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열정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교사-학생관계와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를 내생 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은 전반적 지수가 이론모델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경로계수에서 조화열정→교소-학생관계, 조화열정 → 수업 참여의도, 강박열정 → 교사-학생관계, 교사-학생관계 → 수업 참여의도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의 열정과 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의도에 있어서 교사-학생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사-학생 관계는 이 두 변인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은 교사가 조화로운 열정으로 체육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교사-학생관계를 강화할 수 있으며 교사-학생 간의 관계는 학습자가 체육수업에 참여하게 하는 의도를 강화한다는 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 of teachers’ passion as a view of children on inten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ethods: This study set up a casual relation model which was composed of exogenous variables as teacher’s passion view of children, and endogenous variables as teacher-children relationship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were 512 children(boys: 240, girls: 272) who were more 5th grade in G city. This study used passion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 teacher-students relationship scale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children. This study used t-test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 analysis corre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teacher-students relation, participate inten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In analysis Path analysis,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oretical model because general indexes were proved more than critical state. In analysis details index,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of harmonious passion ⟶ teacher-student relation, → participate intention, obsessive passion → teacher-student re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 participate intention. In analysis mediator effect, teacher-student relation had mediator effect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Conclusion: Harmonious passion as view of students had positive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children, but obsessive passion of teachers had a effect on teacher-student rela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 had mediator effect between harmonious passion and participate intention of children.

      • KCI등재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장미정 ( Jang Mi-jung ),이수영 ( Lee Soo-you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부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력이 있는지 살펴보고, 부모애착과 학생 지각 학생-교사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밝혀 학생-교사 관계의 개선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을 평가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평가대상 학생들이 자신에 대해 자기평정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최종 480명의 학생에 대한 자기평정 자료를 SPSS 23.0, Amos 23.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학생-교사 관계와 정적 상관이었고,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안정적이고 긍정적일수록 학생-교사 관계가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학생-교사 관계는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학생-교사 관계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유리하고,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에 어려움이 따름을 의미한다. 셋째,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이었고, 각각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부모와 안정적인 애착을 형성한 아동들일수록 자아존중감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넷째, 초등학생의 부애착 및 모애착이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학생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생-교사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부모애착이 안정적 혹은 불안정적으로 형성된 학생들과 학생-교사 관계를 형성할 때,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긍정적인 학생-교사 관계 형성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ther attachment and mother attachment have an influence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or not,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by fi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5th and 6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et as evaluation targets, and the students were asked to self-evaluate themselves. The self-assessment data for the final 480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direct effect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ird, both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the effect of each on self-esteem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 attachment and father attachment influencing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erceived by students. In other words, the father and mother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through self-esteem as a medium. This means that when forming a student-teacher relationship with students whose parental attachment is stable or unstable, improving the student's self-esteem can be a way to form a positiv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 KCI등재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종백,김남희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two folds.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teacher factors such as teacher perceive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TR), and student perceive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TR). Second purpose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student perceived STR and other outcome factors such as school happiness, classroom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the effects of student perceived STR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school happiness and classroom engagement.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ample size of 777 7th and 8th grade students who had nationwide achievement score were sampled from 11 junior high schools. Teachers also responded teacher perceived STR for each and every students in their clas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 perceived STR also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student perceived STR changes, although the size of explained variances were small. In terms of student data, student perceived STR was not directly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measure. However, student perceived STR change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via school happiness and classroom engagement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itial measure of STR.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study results were discussed in the pa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교사변인인 교사가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관계의 변화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살피고, 두 번째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 수업참여, 학업성취 등의 결과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알아 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11개교 22학급 1, 2학년생 777명으로, 연구에 참여한 중학교 학생들은 자신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를 학년 초와 학년 말 2회에 걸쳐서 변화량을 측정하였고 학업성취 자료로서 전국에서 실시된 학력 진단 평가 정보를 활용하였다. 담임교사 또한 담당하고 있는 학급의 모든 학생들 각각에 대해 자신이 지각하고 있는 학생-교사 관계를 보고하도록 했다.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자료 분석결과에서 교사가 지각한 학생-교사관계는 학생 지각 학생-교사관계 초기와 학년말 값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교사 학생 관계와 학교행복, 수업참여, 그리고 학업성취와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학생지각 학생-교사관계의 학년 초 값은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로 가는 경로가 유의했고 학년 말에는 학교행복 요인이 추가되어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로 가는 경로가 유의했다. 이 논문이 시사하는 바는 교사지각 학생-교사 관계가 학생들의 결과요인들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학생지각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학생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교사의 자각과 노력이 중요하며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와 성취 사이에서 수업참여와 같은 인지적 요인과 학교행복과 같은 정서적 요인이 매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는 것이다. 논의에서 본 연구결과의 의미와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정오(Jung O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초등교사의 ‘경청’과 ‘공감’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수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 파악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경청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1 채택: β=.514, p<.001). 둘째, 공감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2 채택: β=.473, p<.001). 셋째, 경청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3 채택: β=.496, p<.001). 넷째,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4 채택: β=.530, p<.001). 다섯째, 자아존중감은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5 채택: β=.493, p<.001). 여섯째, 경청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6 채택: β=.357, p<.001). 일곱째, 공감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H7 채택: β=.294, p<.001). 그리고 경청, 공감과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또한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경청이 공감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다. 결론 본 연구는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의 인과 관계와 영향력을 밝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원만한 교사-학생관계를 위해 경청⋅공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경청⋅공감이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매개할 때 더욱더 원만한 교사-학생 관계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초등교사의 ‘교사-학생관계 교사효능감’ 증진에 기여하고, 경청⋅공감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ssessing the influen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Metho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and causality between variables set in this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1 adopted: B=.563, p<.001). Second,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2 adopted: B=.452, p<.001). Third,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H3 adopted: B=.454, p<.001). Fourth,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steem (H4 adopted: B=.424, p<.001). Fifth,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H5 adopted: B=.590, p<.001). Sixth, attentive listen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H6 adopted: β=.357, p<.001). Seventh, empat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mediated by self-esteem (H7 adopted: β=.294, p<.001). In addition, in the relations of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with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self-esteem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as for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ttentive listening had a relatively greater impact than empathy. Conclusions This study drew educational implications by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 and influence of several variabl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are needed for smooth teacher-student relation. Smoother teacher-student relations can be expected when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are mediated with positive self-esteem. Hopeful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for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help research related to attentive listening and empath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학생관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김준미,김은하,장원진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학생관계에 관한 국내 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 등재 학술지 에 게재된 총 6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발행 연도별 논문 수, 연구대상, 연구방법, 측정 도구, 관련변인 등으로 분류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 초등학교 교사 -학생관계에 관한 연구는 2003년 초등학생용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을 기점으로 해마다 꾸준히 이루어져왔다. 둘째, 연구대상 중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체의 80%, 학생과 교 사를 함께 대상으로 한 연구가 13.3% 그리고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7%로 나타났다. 셋째,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연구는 57편(94.9%), 질적 연구는 3편(5.1%)으로 양적연구가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양적 연구는 분석방법별로 분류할 때, 구조방정식 과 회귀분석이 49.8%를 차지했으며, 질적 연구에서는 현상학, 문화기술지, 사례연구가 분석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생-교사애착관계도구 (Student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 STARS)였다. 다섯째, 교사-학생 관계 관련 변인 중 학생 변인에서 학교적응, 학업성취, 다양한 정서적 변인이, 교사변인에서는 교사의 정서, 능력 등 다양한 변인이, 부모변인에서는 부모애착 그리고 기타변인에서는 또래애착이 주로 연구의 변인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미와 제한점을 밝히 고 국내 교사-학생관계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journal article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this e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each year,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measurement tools, and related variables, for all 60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has been conducted steadily every year, starting with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03. Second, among study subjects, 80% of the research targeted to students, 13.3% of research targeted to students and teachers, and 6.7% of research targeted to teachers. Third, there were 57 studies (94.9%) for quantitative studies and 3 studies (5.1%) for qualitative studies, and quantitative studies accounted for an absolutely high proportion. When classifying quantitative research by analysis method, structural equations and regression analysis accounted for 49.8%. In qualitative research, phenomenology, cultural journals, and case studies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Fourth,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 in the study was the Student Teacher Attachment Relationship Scale (STARS). Fifth,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hool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motional variables in the student variable,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teacher’s emotions and abilities in the teacher variable, parent attachment in the parent variable, and peer attachment in the other variables are mainly studied. It was used as a variabl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teacher-student relationship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와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

        최은영(Choi, EunYoung),박종효(Park, Jonghy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0 敎育心理硏究 Vol.34 No.3

        초등학교 시기의 친사회적 행동은 긍정적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뿐 아니라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와 교사-학생 관계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나누었으며, 교사-학생 관계는 교사-학생 지지와 교사-학생 갈등으로 나누어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4차년도 클래스넷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1,607명(여자 50.2%)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자기보고를 통해 측정되었으며,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교사-학생 관계는 또래지명을 통해 측정하였다. 교사-학생 관계는 학급 수준 변인으로 산출하였으며, 다층 분석을 통해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함께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인기와 사회적 숙달목표,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교사-학생 지지가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의한 주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사회적 숙달목표와 교사-학생 갈등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지각된 인기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교사-학생 갈등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는데 있어서 사회적 숙달목표와 학급의 교사-학생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chievement goal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achievement goals are divided into social development,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and social demonstration-avoid goals, a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was divided into teacher-student support and teacher-student conflict. This study used ClassNet data from the fourth year and included 1,607 students from fourth to sixth grade. Social achievement goals were self-reported, while perceived popularity, prosocial behavior,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ere measured using the peer nominati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re transformed into class-level variables.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popularity, social development goals, social demonstration-approach goals, and teacher-student support had significant main effects on prosocial behavior. Teacher-student conflic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velopment goals and prosocial behavior.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pularity and prosocial behavior, there was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evelopment goals and teacher-student conflict.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academ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특성 및 교사의 관계인식에 따른 사회적 참여 분석

        오원석,박남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특성 및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관계 인식이 장애학생의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 245명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관찰에 의한 자료 수집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통합학급은 대구, 경북, 울산, 부산, 제주도 등에 있는 학급을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Cairns 등(1995)의 대인관계 척도, Cook(2001)의 교사 관계 인식 척도 그리고 Koster 등(2008)의 사회적 참여 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특성은 공격성향, 호의성향 그리고 기피성향으로 구분되며, 공격성향에는 정서행동장애학생이 그리고 호의성향에는 지체장애 및 자폐성 장애학생이 그리고 기피성향에는 청각장애학생과 학습장애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대인관계 특성은 장애학생의 사회적 참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한편, 교사의 장애학생에 대한 관계 인식은 관심과 거부의 2개 영역으로 구분되며, 관심 영역에는 학습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양호한 장애학생이 포함되었으며, 거부 영역에는 학습능력이 낮고 의사소통능력이 매우 낮은 학생들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교사의 관계 인식은 장애학생의 사회적 참여와 밀접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중심으로 한 경로분석결과를 보면 장애학생의 대인관계 특성은 교사와의 관계 인식 및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관계 인식도 장애학생의 사회적 참여에 중요한 변인으로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볼 때 통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애학생뿐만 비장애학생과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교육적, 행․재정적 지원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ntegrated cla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influenced b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 characteristics and their perceived relation with class teacher.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grated class teachers’ observation of 245integrated cla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s in Daegu,Gyeongsangbuk‐do, Ulsan, Busan, and Jeju‐do.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by Cairns et al. (1995), the Teacher Relation Perception Scale by Cook (2001),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Scale by Koster et al. (2008).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ocial participation of integrated cla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ir interpersonal relation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ir perceived relation with class teacher was also in a correlation with the students’ social participation. Moreover,the interpersonal relation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an effect on their perceived relation with teacher and on their social participation, and perceived relation with teacher was also found to be an important variable related to the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conclusion, for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to integrated class teachers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prior to legislative support to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체육수업에서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형성에 관한 자기연구

        오중근(JoongGeun Oh)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5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형성을 자기연구를 통해 살펴보는데 있다. 체육수업 속에 비친 나의 모습을 되돌아보면서 내가 학생과 어떻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래서 나는 어떤 경우에 학생과 다가가는 관계를 형성하는지, 학생과 멀어지는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나의 관점에서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관찰일지, 수업일기를 주자료로 수집하였고, 그 외 동료평가 기록지, 수업평가 설문지, 체육수업일기 등을 보조자료로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나는 체육수업에서 기강을 잡기 위해 마음의 문을 닫고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반박하거나 비웃는 경우에 학생들과 적대적인 관계가 형성되었다. 나는 나의 힘을 과시하며 지시와 명령하기, 경고하기와 윽박지르기, 훈계하기, 질문하기와 캐묻는 과정에서 멀어지는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내가 학생들의 속마음을 이해하거나 자기표현을 하며 마음의 문 을 열 때 학생들과 다가가는 관계가 형성되었다. 교사는 문제행동을 하는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큰소리로 화를 내지만 학생의 행동은 변화되지 않고 교사-학생의 관계는 오히려 멀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교사의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문제해결은 학생과 교사 모두의 마음에 상처를 남길 뿐 학생의 문제행동을 해결하지 못했다. 교사는 체육수업에서 학생의 태도와 행동변화를 이해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할 필요 가 있다. 그리고 학생들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하고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들을 이해하고 원만한 상호작용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self-study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P.E class from the teacher’s perception. Looking back on what I did in P.E. class, I recalled my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wrote how I formed an open or closed relationship from my perspective. To this end, I collected data from daily logs or class memos as main data, and peer evaluations, class surveys and P.E class logs as sub data. As a result, unfriendly relationships resulted when I scolded or made fun of problematic behavior of students to tighten discipline in class. I built difficult relationships when I acted tough, gave warnings, yelled, scolded, asked questions and interrogated students. On the contrary, close relationships resulted when I tried to understand students and opened my heart to get close to them. Though teachers might yell at students to guide them toward the right path, their behavior tend not to change and unfriendly relationships can result. Repressive and authoritative problem solving by teachers did not succeed, merely leaving unpleasant memories. Teachers are required to understand students’ attitudes and changes in their actions in P.E. class and provide appropriate feedback considering each circumstance. In addition,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and encourage their growth, teachers should try harder to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by understanding and using forms of clear communication with students.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사관계 및 교우관계의 관련성

        임성택,김나연,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를 분석할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의 표집대상은 중부지역에 위치한 도시 및 농촌 지역 초등학교 6학년 297명이었으며, 이중 남학생은 150명, 여학생은 147명이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친밀성이었으며, 어머니의 엄격성은 교우관계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와의 관계에서 부와 모의 친밀요인과 헌신요인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우관계에 대한 교사관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교우관계의 사교성, 교제의 지속성 요인은 교사와의 관계에 정적 관련성을 보였지만, 교우관계 적응도 요인은 교사와의 관계에 부적 관련성을 보여 대조적이었다. 교사관계에 대한 교우관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이해공감요인은 교우관계에 정적 관련성을 보였지만, 교사와의 친밀성은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긍정적인 교우 및 교사와의 관계를 위한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