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복 브랜드에 대한 여자 중학생의 경험

        천혜정(Cheon Hye Jung),신혜준(Shin Hye J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3

          본 연구에서는 교복 착용을 막 시작한 중학교 1, 2학년, 특히 외모와 개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교복에 대하여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교복 브랜드화, 특히 TV 광고를 통해 교복브랜드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있는 다섯 개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여중생 1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교복 브랜드에 대한 특징적인 주제와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가한 여중생들은 교복을 통해 동질감과 소속감을 느낌과 동시에 자신만의 개성을 살리고자 교복 브랜드를 선택하고 교복 변형을 시도한다. 그러나 모순되게도 교복 브랜드 및 교복 변형은 개성을 살린다기보다는 또래 집단이 선호하는 혹은 또래 집단사이에서 유행하는 교복 브랜드 및 교복 변형이라는 압력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복 브랜드는 여중생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과의 소통 수단의 의미가 있다. 즉, 이들에게 교복브랜드는 광고모델과의 준 사회적 상호작용이 작동하는 표상이며 교복 브랜드는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에 대한 충성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셋째, 연예인 모델이 입은 교복 브랜드는 이들에게 희망과 좌절을 동시에 안겨주는 양면의 거울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즉, 여중생들은 브랜드 교복을 입었을 때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상적인 모습을 꿈꾸지만 실제로 입었을 때 그러한 이상적 모습이 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실망을 경험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girls in association with school uniform and school uniform branding triggered by TV commercials. Data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groups (18 individuals), and analyzed by Miles and Huberman(1984)"s qualitative method. It turned out that most of these middle school girls experienced a sense of belonging and conformity as well as a sense of individuality and distinction through school uniform brand. School uniform brand to these participants is associated with celebrity models advertising school uniform. In other words, the celebrity models who appeared on TV commercials were not mere advertising models or idol stars but mediators who make them to stick to the specific school uniform brand. And these middle school girls are in stuck the ideology of lookism, creating anxiety in their appearance.

      • KCI등재

        경기도 중·고등학생 교복 표준 디자인을 위한 연구

        최수아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2

        2013년 기준 국내 95%이자 수도권지역 97%가량의 중ㆍ고등학교에서 교복착용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교복 구매 방식에 따른 가격차와 교복브랜드 선호에 따라 발생하는 차등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 교복디자인과 소재 사용에 대한 제한, 다양성의 부재 등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에 교육부는 입찰을 통한 공동구매의 확산, 생산자 학교 간 직거래 방식, 온라인 판매방식 등의 유통체계의 변화와 더불어 교복가격 상한제, 교복 디자인 표준화, 간편 교복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교복의 변천과정, 교복현황, 구매현황을 살펴보고 동시에 경기교육청이 실시한 교복 표준 디자인 제안을 위한 설문을 참고로 디자인이 개발 되었다. 교복 표준 디자인 제안을 위한 설문은 경기지역의 지역별 중학교 1개와 고등학교 1개를 선정하여 학생, 학부형, 교사 등 총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질문지는 일반적 인적 현황, 현행 교복 현황, 교복 표준 디자인 개발 관련하여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학교 공동구매제도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64%가 ’그렇다’라고 하였고 36%가 모른다고 말했다. 교복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소재(37%), 디자인(24), 가격(21%), 맞음새(8%), 브랜드(5%), 색상(3%) 순이다. 선호 교복 브랜드는 검정브랜드교복 구매이유는 품질(33%), 디자인(20%), 소재(18%),유행(10%),서비스(9%), 맞음새(6%), 가격(4%)이었다. 교복이 브랜드의 경우 기타브랜드 30%, 스마트 24%, 아이비 21%, 스쿨룩스(12%)로 나타났다. 기타 교복을 구매하는 이유는 가격(75%), 품질(11%), 디자인(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표준디자인의 중요 요소로는 활동성(24%), 디자인(22%), 품질(20%), 소재(16%)를 가장 많이 언급했다. 선호디자인 형태로는 캐주얼의 단색(25%)과 배색(20%)의 선택비율이 높았고, 다음으로는 단색 준정장(13%), 배색 준정장(11%) 순서이다. 무늬 선호도는 45%가 무늬 없음을 선택하였고, 다음으로는 체크무늬(38%), 줄무늬(9%), 땡땡이 무늬(5%), 기하학무늬(3%)를 차례로 선호했다. 교복 표준 디자인 구매의사는 40%가 ‘구매의사 있다’라고 답했고, 38%가 보통, 22%가 ‘구매의사 없다’라고 답했다. 현재 일반트렌드와 교복트렌드를 고려함과 동시에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교복 디자인이 진행되었으며, 개발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In the republic of Korea, according to the report in 2013, 95% of middle to high schools of whole nation and 97% of school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s (Seoul & Gyeonggi Province) have school uniforms. However, there are emerging some situations, such like high in price, big price gaps from buying together in a big group and individually. Also 4 big uniform brands are occupying about 77% of the market, and students are discomfortable from noticing the brands of uniforms, the lack of various designs and usages of material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the standard designs for Gyeonggi province middle to highschool students by the plan of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history of school uniforms of Korea, the current situations of school uniforms and buying, and lastly the survey (by Gyeonggi Province Office Education) for 436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ere examined. When buying uniforms people considered material, design and price. The biggest reason for buying brand uniforms was quality and material. The important factors of new standard uniform designs were comfort & activeness(24%), design(22%), quality(20%), and material(16%). The preferred design style is solid color(25%) casual and different color match of casual(20%). They also preferred semi-formal style. The Gyeonggi provincial standard school uniform designs for middle to high schooler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 KCI등재

        여고생의 교복 개선 요구 및 교복 선호도에 관한 연구

        양은진(Eun Jin Yang),정수진(Su Jin J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청소년의 성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들이 보다 만족할수 있는 교복 개선 방향의 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시 지역에 거주하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에 대한 태도 및 만족도, 그리고 교복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437부의 설문지가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고생의 교복 착용 태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단정성과 심리적 안정감 요인에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나, 활용성, 심미성, 활동성은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 품목별 만족도는 조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품목은 재킷이었다. 교복에서 개선해야 하는 품목은 팬츠가 가장높았으며, 교복으로 필요한 품목은 스커트가 가장 높았다. 교복 품목별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재킷은 허리선 길이의 테일러드 칼라, 싱글-피티드 여밈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라우스는 셔츠칼라에 셔츠 소매 블라우스를 선호하였다. 조끼는 브이넥니트 조끼 형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커트는 무릎 위 길이의 타이트 스커트를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스키니 팬츠와 패딩(파카), 그리고 넥타이 액세서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 자기표현의 욕구와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여고생을 대상으로 교복 개선 요구및 교복 디자인 선호도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만족할수 있는 교복 디자인과 교복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의생활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eenagers` changing preferences for school style and fashion. In doing so,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an alternative school uniform styling that better satisfies teens` changing demands. As a result, a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high school girls who live in a city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of Korea to determine their attitude toward, satisfaction with, and preferences of the school uniforms they wear. The survey materials used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37 subject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were given a frequency analysis, a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a factor analysis. There are six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school girls` school uniforms attitude. Whereas students rated neatness and psychological reassurance quite highly, they did not react so enthusiastically to usability, aesthetics, and room for activity. Of the school uniform pieces, students rated vests as the most satisfactory, and blazers as the least satisfactory. They picked pants as the school uniform piece that requires the greatest improvement. And they picked the skirt as the most essential school uniform item. Students preferred waist-length blazers with tailored collars most to other blazer designs. They also most preferred the single-fitted closure, and the blouse with the dress-shirt collars and sleeves. V-necked vests were also most popular among all vest designs, along with form-fitting skirts that touch slightly above the knees. Students also most preferred skinny pants, goose-down or duck-down parkas, and neckties. In conclusion, we determine what today`s high school students think of their school uniforms, and what uniform designs they most preferred, using a survey of high school girls that are believed to be at the most fashion-sensitive age. Surveying high school girls` demands for different school uniform designs, preferred school uniform looks, and elements of school uniform designs,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data for research on teenagers` fashion and clothing.

      • KCI등재

        아동 인권 측면에서 교복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장민영(Jang Min 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4

        최근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교복 제도를 비판하는 경향이 등장하고 있다. 1990년대 학교 폭력이 주요 사회 문제로 꼽힌 이래, 캘리포니아 주를비롯한 다수의 주들이 입법을 통해 공립학교에서 교복 제도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복 제도들은 입법 이전부터 논란이 되었고, 실시 이후엔 연방법원을 통해 교복제도의 위헌성이 다투어졌다. 연방 항소법원들은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착의가 표현,특히 상징적 표현에 해당될 수 있다는 판시하였다. 그러나 교복 제도에 대하여O'Brien 심사기준을 적용, 그 결과 연방 항소법원들은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자유 침해가 아니라고 결정하였다. 교복 제도에 관한 미국의 법적 논의는 우리 교복 제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것이다. 한국에서는 교복 제도에 대한 법적 논의는 거의 없는 상황인데다가 특히 이를아동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더 더구나 드물지만 우리의 경우도 청소년들의 착의 내지 교복을 표현의 자유 연관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미국 법원이 발전시켜 온 O'Brien 심사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대신, 우리 헌법재판소가 상징적 표현에 관련된 사건에서 적용하여 온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여 볼 때, 학습능력 향상, 학생 지도 용이, 학생감 위화감예방, 경제적 부담 경감 등 제도의 목적에 대하여는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국내외 사회과학적 자료들을 분석해 볼 때 교복 제도가 상기 목적들의 달성에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교복 제도 운용 방식이 학생들의자유 제한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교복 제도로 인한 학생들의표현의 자유 침해가 공익에 비해 적다고 판단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우리의 교복 제도는 헌법이 보장하는 해당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w criticism on school uniform systems is being drawn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chool uniforms have been controversial on grounds of some kinds of children's rights and freedoms: children's right to privacy, right to equality, right to be heard, freedom to pursue their own personality or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Recent powerful discussion on school uniforms in the U.S. are mainly related to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Since school violence was considered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1990s, states, including the State of California, have introduced school uniform systems. The systems have been disputed even before their adoption and consequently discussed at federal courts. Circuit courts have a common viewpoint in which students' choice of dress, even without a specific letter or painting, is a kind of expression due to children's special characteristics. The courts applied O'Brien test into school uniform cases unlike other cases regarding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uch as Tinker, Bethel or Hazelwood. According to O'Brien test, however, the courts held that school uniform systems do not infringe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U.S. cases regarding school uniform systems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Korean system regarding school uniforms. There are not much discussion in which the school uniform system is reviewed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 few legal materials connect school uniforms with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In consideration of youths' characteristics, their clothing should be regarded as a medium of expression in Korea, either. Besides, the aspect of clothes as expression should be recognized in that Korean secondary schools force their students to wear their own uniforms which can clearly and compulsorily proclaim their schools and some schools require their students to stick name tags on uniforms.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hat O'Brien test is applied into Korean school uniform cases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for cases regarding expressive conduct and same tests for constitutional cases regardless of ages of persons concerned. In case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ed into a school uniform issue,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would be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lthough the aims of school uniform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school security or reduce of economic burden would be legitimate, school uniform systems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se goals because the interrelation of between the goals and the systems are not certain. In addition, the school uniform system would not be the method to minimize limitation on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basis of Korean practices of school uniforms: different uniforms according to schools and fixed name tags on uniforms. In conclusion,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infringes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us, is not constitutional.

      • KCI등재

        중・고등학교 학생의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의 관계 및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하영,박명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is aime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and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 as well as the effects that wearing attitude has on the satisfaction. This research i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researching in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ound capital regions in the hopes of enhancing their satisfaction to their uniforms and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resulting in a positive notion to uniforms being settled in among the students. In the regards of benefits of pursuing clothes, female students are highly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esthetics, and economy all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factors. It is notable that students in Seoul are pursuing those elements more strongly than those in Gyeonggi-do. As for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safety weighs a lot among female students. Meanwhile, those in Gyeonggi-do were more inclined to economy as they prefer wearing uniform more often than not. Students who are pursu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s are less likely to pursue economy, whereas those who are pursuing practicality are pursuing better economy. Those in favor of economy, meanwhile, are pursuing aesthetics, safety, as well as economy. When it comes to the attitude towards wearing school uniforms, the result showed that it is more likely for those who are considering aesthetics, safety, and economy to b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s, practicality, and the convenience aspects of school uniforms.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교복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윤주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초등학생들은 단순히 집단에 소속되려는 욕구로 인해 유행이나 자신에게 어울리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자신의 외모와 복장에 대하여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기이므로 교복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그들의 교복에 대하여 어떤 태도를 가지며, 만족도가 어떠한지를 조사하였다.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교복에 대한 태도 4가지 요인, 즉 안정성, 실용성, 심미성, 그리고 경제성을 도출하였고, 또한 현재 교복착용 등에 대한 태도 4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교복에 대한 만족의 개념화를 통하여 1개의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각 측정항목을 부산, 경남지역 초등학생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연구결과, 교복 태도에서 안정성과 경제성에 대하여 만족하는 반면에 실용성과 심미성에 대해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불만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에 대해서는 반대와 찬성이 절반정도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교복착용에 찬성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하여 교복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복에 대한 4가지 태도 모두가 교복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의 교복을 선정할 때 경제성이나 안정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심미성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school uniform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gender dif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iform satisfaction.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300 students(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Pusan and Kyungnam Province; 234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chi-squar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wearing a school uniform is less positive. The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towards school uniform is positive while practicality and side of aesthetic appreciation is negative. Also, there is gender difference on school uniform satisfaction. An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perceptions of school uniform are major determinant to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 KCI등재

        청소년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미화,이은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vity between school uniform behavior(especially attitude toward school uniform, school uniform satisfaction, school uniform alteration)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in the adolescence. From November to December in 2007, 898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four schools in Jeollabuk-do Province were analyzed and the influence of relevant variables was understood to gather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ashion life in the adolescence. This study used SPSS 11.5 for Windows Program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χ²-test,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compariso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factors to the response attitude toward uniforms and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clothing attitude emerged four dimensions(fashion, symbolism, cleanliness, alternation), three dimensions(needsㆍvalueㆍconformity toward appearance). In attitude toward uniform, female students were more actively altering their uniforms than male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rends than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of the cleanliness and alteration of uniforms. Overall, most students we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ir uniforms (design, color, texture). When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in appearances than male students.By age,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wa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students receiving KRW 30,000 or more for monthly allowance were more aware than others who receive a lower amount between KRW 10,000 and KRW 20,000. Therefore, most students(62.1%) have experiences in altering uniforms. Especially, more female students and more high school students had such experiences. Uniform alteration is more related to attitude to appearance. In other words, students who choose to alter their uniforms are highly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toward appearance. Students who are satisfied with all factors regarding attitude toward uniform, except for alteration, did not alter their uniforms that much. In addition, when the relativity between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with uniform was considered, students that are not very satisfied with their uniforms were more aware of desire, value, and conformity toward appearanc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students'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school uniform behavior are closely related and their interests in appearance lead to alteration of uniforms, the clothing in which they spend most time of the day. From now on, students' opinions shall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or designing school uniforms. 본 연구는 2007년 11월에서 12월 중에 전라북도 소재 4개교의 남녀 중․고등학생 89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교복행동(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을 알아보고 외모에 대한 태도와의 관련성 등 변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학교현장에 청소년기 의생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1.5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α, 검증,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교복에 대한 태도는 유행성, 과시성, 관리성, 변형성 4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교복에 대한 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변형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중학생이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이 높았고, 관리성과 변형성에서는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교복착용실태를 살펴보면,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해 전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교복변형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교복 변형 경험이 많았다. 교복변형실태에서 스커트(바지) 길이를 줄인 학생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외모를 돋보이기 위해 교복의 길이, 옆선 등 교복을 줄여서 몸에 밀착된 형태로 변형시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복변형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체형보정’, ‘유행’, ‘활동성’, ‘무난함’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외모에 대한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결과, 외모에 대한 동조․가치․욕구 3개 요인이 선택되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하여 욕구․가치․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상 일수록 욕구․가치․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300만원 이상인 학생들이 욕구와 동조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한 달 용돈을 3만원 이상 받는 학생들이 1만원에서 2만원 이하로 용돈을 받는 학생들보다 외모에 대한 욕구와 가치 의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청소년의 교복변형유무에 따른 외모에 대한 태도,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의 차이에서 교복변형을 경험한 학생일수록 외모를 변화시키고자 하며 매력적인 외모에 가치를 두고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었고, 교복변형을 하지 않는 학생들은 교복에 대한 태도 중 유행성, 상징성, 관리성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으며, 교복변형을 한 학생들은 변형성만에서 유의하게 높게 평가하였다. 교복에 대한 태도의 하위영역인 유행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변형성은 외모에 대한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현재 착용하고 있는 교복의 디자인, 색상, 옷감에 대한 만족도와 외모에 대한 태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교복행동과 외모에 대한 태도는 관련이 있었으며, 청소년기 외모에 대한 관심은 하루 일과 중 가장 많이 접하는 교복행동 즉, 교복에 대한 태도, 교복만족도, 교복변형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교복 재활용 활성화에 관한 연구

        신희선,오경화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1

        Purchasing used school uniforms i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xpenses, and to enhance a feeling of wearing satisfaction for school uniforms by improving size fitting. In order to improve reutilization of used school uniforms, uniform purchasing behavior, awareness of the reutilizing markets of used school uniforms, and the running conditions of reutilizing markets of used school uniforms we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The subjects are 741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etter-fitted uniforms students wear, the higher satisfaction they feel. Therefore, it is desirable for students to wear the uniforms which are well fitted for each student. Second, the higher aware of environment students are and the more environmental preservation behavior they do, the higher awareness of wearing used school uniforms they are.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awareness of reutilizing markets of used school uniforms, it is important to educate students about the environment systematically and to promote recycling events. Third, the reasons for not purchasing used school uniforms are difficulty in access to the repurchasing market and the sanitary problem.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hich boosts students' awareness of environment and reutilization events should be held to make reutilizing markets of used school uniforms vigorou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make reutilizing markets easy to access and improve cleaning and repairing system. 교복 재활용 시장을 통한 교복 구매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고, 성장기의 청소년이 경제적으로 자신의 치수에 맞는 교복을 구매하고 착용할 수 있어 의복에 관한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의 교복 재활용 활성화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 8개교의 중․고등학생 741명을 대상으로 교복 구매 행동, 교복 재활용 시장에 대한 인식, 교복 재활용 시장 운영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복 만족도는 현재 자신의 치수에 맞는 교복을 착용할수록 높게 나타나므로 교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자신에게 맞는 치수의 교복을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이 높을수록 교복 재활용 인식이 높게 나타난다. 교복 재활용 시장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환경 교육과 재활용 행사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셋째, 재활용 교복을 구매하지 않은 이유로는 재활용 시장의 접근성과 위생 문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복 재활용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의복구매행동, 환경의식과 환경보전행동을 고취할 수 있는 환경교육과 재활용 행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하고, 재활용 교복 시장의 접근성과 홍보, 세탁과 수선 서비스의 개선이 필요하다.

      • KCI등재

        미국 고교생의 교복에 대한 연구

        김윤희,Marilyn DeLong,Karan LaBat 한국의류학회 2001 한국의류학회지 Vol.2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미국 내에서 교육 개혁의 한 방편으로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교복을 착용하도록 하는 도시가 증가함에 따라 교복 정책에 대한 여론은 찬반론이 교차하고 있고, 이를 뒷받침 할 연구는 부족하여 교복 착용에 관련된 요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아 교육정책에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미국 미네소타 주, 도심 지역의 세 남녀 공학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세 고등학교는 학교 의복 착용에 대한 서로 다른 규율을 갖고 있었다. School R은 학교에서 지정한 교복만을 착용 해야 하는 규율을 갖고 있고 School F는 학생들에게 학교가 선정한 색상에 일치하는 의복을 통학복 으로 입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동적인 교복 정책을 갖고 있었다. School N은 특정한 학교 교복은 없고 학생들에게 통학복 착용에 대한 규율은 있었다. 세 학교의 학부모, 교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부모, 교사는 교복 착용이 학생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지한 반면 학생들은 전체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에게 선호도가 높은 교복은 School F의 교복 처럼 통학복에 색상 제한을 하는 약간은 자유로운 형태로 나타났으며 해당 학교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교복을 입지않는 School N의 학부모들은 학생들 통학복에 대한 지출이 다른 두 학교 부모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복을 착용한 경험이 오래된 학생일수록 교복 착용에 더 긍정적인 관점을 보인 것으로 보아 미국 내에서의 교복 정책은 초등학교부터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받아 들여진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이미지 평가와 선호태도

        윤초롱 ( Chorong Youn ),문희강 ( Hee-kang M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9 No.-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의 개념을 확인하고 제품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으로 생활한복 교복만이 언급되었으나, 최근 생활한복 교복에 대한 디자인 측면의 개선이 요구되면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새로운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을 생활한복에 국한시키지 않고 한국적 정체성이 반영된 디자인의 교복으로 확장시키고,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 이미지의 현대적 표현을 통해 전통을 반영한 한국적 디자인 교복에 대한 청소년의 선호태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검증하고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이미지 평가차원과 그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국의 여중생과 여고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551개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발된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 2종을 자극물로 제시하여 이들에 대한 이미지 평가 및 선호태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극물에 대해 현대적 이미지와 전통적 이미지의 수준을 평가하도록 하여 두 자극물이 전통적으로 표현된 정도에는 차이가 없으나 현대적 표현 정도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두 자극물 사이의 선호태도를 비교한 결과, 청소년들은 현대적으로 표현된 교복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적 디자인의 교복제품에 대한 미적 이미지 평가 차원을 밝힌 결과, 품위/단아, 편안/실용, 고루/투박, 장식/화려의 네 차원이 도출되었다. 각 이미지 평가 차원이 현대적 표현에 대한 지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한국적 디자인 교복제품을 편안하고 실용적인 이미지나 단아하고 품위있는 이미지로 인식할수록 현대적이라고 평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concept of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Korean image school uniforms may reflect the image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as well as the images of Hanbok. By reinterpreting traditional Korean image from a modern viewpoint and reflecting i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design, a large portion of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Korean image school uniform could be resolved. In order to identify adolescents` preferred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is study examined if they prefer modernized Korean image to realistic one. And adolescents` image evaluation dimensions on Korean image school uniform that affect their altitudes towards Korean image school uniform were identified as well.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551 female adolescent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dolescents perceiv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stimuli operatinal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modern expressivity and preferred the school uniform reflecting Korean traditional image with modern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or image evaluation, four dimensions, refined/ graceful, easy/practical, stuffy/rustic, and decorative /staring were drawn. It was found that the easy/practical dimensions factor and refined/ graceful factor affected adolescents` perception of modernity in Korean image uni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