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하진양문록(河陳兩門錄)』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 화소의 활용과 그 의미

        김태영 ( Kim Tae-young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7 No.-

        『하진양문록』은 `하`씨 가문의 여주인공 `하옥윤`과 `진`씨 가문의 남주인공 `진세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조선후기 국문장편소설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여주인공 `하옥윤`의 주된 활약상을 담고 있으며 하옥윤이 간신과 계모, 이복형제에 의해 무너진 `하`씨 가문을 재건하고, 정혼자 진세백과의 혼인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상황에 직면하여 주체적으로 극복해내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하진양문록』의 서사구조에 중심이 되는 여주인공 `하옥윤`의 활약상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세 가지 여성영웅소설 화소를 살펴보고, 그 기능 및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여성영웅소설의 화소 중 `선계환약 화소`, `남복개착 화소`, `천상계 조력자 화소`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세 가지 여성영웅소설의 화소는 작가가 무게를 두고 서술하고자 했던 서술의 지향점을 담아내고 있으며, 인물간의 내적 갈등과 주인공이 추구하고자 했던 삶의 고민들을 핍진하게 그려내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화소는 다양한 의미들을 창출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며, 25권 25책이라는 길이가 긴 장편소설류에 속하는 『하진양문록』의 서사 속에 영웅소설의 인기 있는 화소들을 적절히 개입시킴으로써 서사를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또한 주인공의 주체적인 성격과 영웅적인 활약상이 작품 전체에 골고루 묘사되고 있으면서도 영웅의 삶 보다는 애정욕망을 성취하고자 하는 남주인공의 모습이나 현실적인 성격이 배제되지 않고 함께 묘사되고 있다는 점에서 작품 속에 여러 성격을 담아내고자 했던 조선후기 국문장편소설의 특징을 잘 살려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여성영웅소설의 화소와 활용양상을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하진양문록』의 서사 구조 속에는 여성영웅소설의 화소적 특성뿐만 아니라 국문장편소설의 화소적 특성을 고루 투영시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각의 화소가 서사 전체에서 작품이 드러내고자 하는 서술의식을 더욱 풍부하게 드러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진양문록』의 여주인공 하옥윤은 여타 다른 여성영웅소설의 여주인공과 마찬가지로 뛰어난 영웅의 기질을 지닌 인물이지만 이와 동시에 가문의 존속과 번영을 중요시 하는 국문장편소설의 인물로도 묘사된다는 점에서 서술의 묘미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여러 갈등상황에서 고민하는 주인공의 내적 갈등, 추구하고자 했던 삶의 방향 등은 여성영웅소설 화소의 활용을 통해 작품 내에서 입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화소의 활용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 화소를 살펴보는 과정은 작품을 보다 깊이 있게 해석하는데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Hajinyangmunlok(하진양문록)』 is a full-length novel in Korean literature and the manner of developing the story centering around the heroine `하옥윤` and hero `진세백`. this story mainly contains the heroine`s remarkable activities and rebuild a family destroyed by a treacherous retainer and stepmother, a half brother. also face a variety of conflicts surrounding the marriage of the fiance `진세백`. however, it has an overcomes narrative structure. therefore, In this article will look at three types of motif that effectively display the female lead and the purpose of identifying functions and meanings. In this article attempts among the motif of female heroes novel focus on three motifs. `A pill motif`, `Female attire for male motif`, `The celestial world helper motif` these are three things. the three motifs of the 『Hajinyangmunlok』 is depicted in the novel embody the direction of the author`s pursuit of narrative. also function capable of showing the inner conflict between characters and the pursuit of life pursued by the heroine. this novel belonging to 25 volumes, 25 books, and a long series of novels are involved in the popularity of hero novels. this makes the narrative structure even more plentiful. also, the main character`s independent aspects and heroic aspects are evenly drawn throughout the novel. and the character of the male hero who wants to achieve love rather than the heroic aspects is also depicted. accordingly, 『Hajinyangmunlok』 is well show the late Chosun Dynasty`s long novel, which seeks to capture variou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nalysis of female hero novel`s motif and use pattern is verify that evenly reflect not only female hero novel`s feature but also late Chosun Dynasty`s long novel`s feature. each motifs are function of presenting to plentiful narrative consciousness about whole narrative. 『Hajinyangmunlok』`s main Character `하옥윤` is like the heroine of another female hero, a female cast in a heroic mold. At the same time, it appears to be a character who values the prosperity of the family. This point gives the narrative the attraction of the narrative. Further, the inner struggles of the main character who are worried about conflict situations, and seek life directions are Through the use of feminine heroes novel motifs, it is appeaer in three-dimensional characters of novel. thus motifs using are more important meanings. therefore,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motifs shown in 『hajinyangmullok』 is a necessary task to interpret the novel in depth.

      • KCI등재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에 나타난 몽골 설화의 화소(話素) 고찰

        신원기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This study consider the motifs in ‘tricky servant’ of Korea and Mongolia comparatively, by using basic text <Oezzok’s Tricks>, the earliest record of ‘tricky servant’. It is common motifs in Korean <Oezzok’s Tricks> and Mongolian <Performing a Meritorious Deed by Hunting>, <Curing by Binding Shaman’s Tree>, <Seven Baldheads and Mozgor>: changing unfavorable writing to oneself, hanging from a tree to be bound, escaping from a tree by using a third person, tricking attacker by unreality, murdering attacker and taking possession of attacker’s daughter(or property). There are a few differences from country to country as the common motifs are realized in each version. Despite these gaps, however, Folktales of Korea and Mongolia share similar motif each other, sometimes including similar sequence of motif. That is, ‘affinity of motif existence’ and ‘affinity of motif sequence’ are identified in them. This affinity of motif has four implications to transmission and study of oral literature. First, folktales of ‘tricky servant’ in Korea and Mongolia are supposed to have created by diffusion. Second, motif of ‘murdering attacker master’ in ‘tricky servant’ type of Korea is deeply influenced by Mongolian Folktales. Third, Korean folktale focuses on positional value and Mongolian Folktales on material value respectively. Lastly, diffusion of motif rather than diffusion of whole story can be supposed. 본고는 ‘꾀쟁이 하인’의 최초 기록인 <외쪽의 꾀>를 기본 텍스트로 하여, 한국과 몽골의 ‘꾀쟁이 하인’ 설화의 화소(話素, motif)를 비교했다. 한국 설화 <외쪽의 꾀>와 몽골 설화 <사냥을 해서 공을 세우다>, <서낭나무에 묶여 고질병을 고치다>, <대머리 일곱 명과 모쯔고르>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화소는 ‘자신에게 불리한 글 내용 바꾸기’, ‘속박되어 나무에 매달리기’, ‘제3자를 이용해 나무에서 탈출하기’, ‘비현실계로 가해자 속이기’, ‘가해자 살해와 가해자의 딸(또는 재산) 차지하기’ 등이었다. 이러한 공통 화소가 구체적인 이야기에서 실현될 때는 나라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몽골의 설화는 서로 비슷한 화소를 공유했고, 어떤 경우에는 그 화소의 배열도 비슷했다. 즉, ‘화소 존재의 친연성’과 ‘화소 배열의 친연성’이라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화소의 친연성(親聯性, affinity)이 구비문학의 전승과 연구에 시사하는 바는 네 가지였다. 첫째, 한국과 몽골의 ‘꾀쟁이 하인’ 설화는 전파에 의해 생성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둘째, 한국 ‘꾀쟁이 하인’ 유형에서 상전(上典) 살해의 화소는 몽골 설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셋째, 한국 설화는 신분적 가치를 중시하고, 몽골 설화는 물질적 가치를 중시한다는 것이었다. 넷째, 이야기 전체의 전파가 아니라, ‘화소의 전파’를 상정할 수 있다는 점이었다.

      • KCI등재

        서사 무가에 수용된 고전소설의 적강화소 양상과 성격 고찰 - 동해안, 함경도 지역 서사무가를 중심으로

        김태영 한국무속학회 2018 한국무속학 Vol.0 No.36

        Have you when you look at it to A Comparison to as the Hamgyeong-do region and East-Sea area. It is an area where you can view a large proportion of the Shamanistic Epics. The Shamanistic Epics in both regions is using different motifs to develop an epic. In particular, the 'paradise lost motif' involvement creates a difference in content between the non-holds from other regions. and It is also distinctive in that it has a very similar aspect to the 'paradise lost motif' of the classic novel. In this paper, in the Hamgyeong-do region and East Sea area note to ‘paradise lost motif’ of the classic novel. It aims to explore the narrative roles and functions within the work and discover its effects and implications. Among the North Korean Shamanistic Epics, the Shamanistic Epics is a region rich in shamanist narrative poetry. example Creation Mythtae's Shamanic Song, 'Princess of Bari', and the 'Dorangsunbi', 'Gyugsange', 'Chiwondae', 'Yangsanbok', 'Gimgajae', etc. East Sea The Muga, parts of the coastal area of the most interesting, Princess of Bari. For this reason, the songs and lines are distinguished in the singing of Princess Bari and the audience can freely participate in the narration. Therefore, the two areas that have different aspects in the areas of ' forms of guilt', 'status of the celestial world', and 'method of deportation' will be categorized separately. This process is the Hamgyeong-do region and in the East Sea Coast area ‘paradise lost motif’ is able to reveal a variety of effects that can look back on our own instrument provided. ‘paradise lost motif’ is not used to emphasize the mental birth, identity, or hero of a main character, much like the paradise lost motif in a classic novel. ‘paradise lost motif’, located in Shamanistic Epics, is an extended-looking place with the main character's identity in the heavenly realm. The office serves to provide the visitors to the with familiarity and access to them.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see that the Shamanistic Epics is melting properly inside. The process of exploring a 'paradise lost motif'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work from a more multiple point of view. 국문초록 지역에 따라 서사무가를 비교 고찰해 볼 경우 함경도 지역과 동해안 지역은 많은 비중의 서사무가를 살펴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두지역의 무가는 여러 화소들을 활용하여 서사를 전개하는 방식을 보이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적강화소’의 개입은 다른 지역의 무가와 내용상의 차이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고소설의 적강화소와 매우 유사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변별성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함경도 지역과 동해안 지역에 수용된 고전소의 ‘적강화소’에 주목해 봄으로써 작품 내에서의 서사적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이것이 지닌 효과와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무가 중에서도 함경도 지역의 서사무가는 무속서사시가 풍부하게 전승된 지역으로 창세무가를 비롯하여 바리공주, 도랑선비와 청정각시, 궁상이, 치원대, 양산복, 짐가재굿 등의 무가가 왕성하게 전승된다. 동해안 지역의 무가는 국내 지역들 중에서도 가장 흥미 있는 바리공주 무가권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그 이유로는 <바리공주>를 구송함에 있어 노래와 대사가 구분되며 악사나 청중들이 자유로이 서사에 개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청중의 대중성과 흥미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 적강화소를 삽입한 서사무가들을 어렵지 않게 살펴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득죄의 형태’, ‘천상계에서의 신분’, ‘추방의 방법’ 등에서 양상의 차이를 보이는 두 지역의 적강화소를 각각 분류하여 살펴보고 고전소설에 활용된 적강화소의 양상을 확인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서사무가 속에 활용된 적강화소의 구별되는 특징을 자세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은 함경도 지역과 동해안 지역의 적강화소가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 짚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서사무가에서의 적강화소는 고전소설에서의 적강화소처럼 주인공의 신이한 탄생이나 신분, 영웅성의 부각을 위해 활용되는 성격을 지니지 않는다. 서사무가에서의 적강화소는 주인공의 신분을 천상에 두고 전생담을 확대하여 그려내고 있으며 훗날 이들이 신으로 좌정되는데 있어 신격화의 당위성과 자연스러운 흐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고전소설의 적강화소라는 익숙한 소재의 차용으로 서사무가를 접하는 이들로 하여금 친근함을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더욱 주목되는 서사무가에 활용된 적강화소의 역할은 천상계와 현실계를 연결하고 서사무가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적절히 활용됨으로써 서사무가 속에서 적절하게 녹아들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데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서사무가에 활용된 적강화소를 살펴보는 과정은 작품을 보다 다층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는데 필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동해안서사무가, 함경도서사무가, 적강화소, 천상계신분, 영웅소설, 주인공의 신격화

      • KCI등재

        18세기 야담의 유사 화소 교착 및 변개 양상

        이채경(Lee, Chae-gyeong) 대동한문학회 2014 大東漢文學 Vol.40 No.-

        野談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서사 양식으로, 閭巷에서 창작되어 구연과 기록 과정을 거쳐 작품으로 정착되었다. 본고에서는 任邁의 『雜記古談』, 盧命欽의 『東稗洛誦』, 安錫儆의 『霅橋漫錄』, 辛敦復의 『鶴山閑言』을 중심으로 18세기 야담에서 유사 話素가 교착 또는 변개된 양상을 살펴보고, 그 의의 및 서사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다. 이른바 야담의 서사 구성 양상은 동일 화소 傳承, 유사 화소 전승, 동일화소 轉載, 유사 화소 전재, 유사 화소 交錯, 유사 화소 變改, 창작 화소 기록 등 일곱 가지로 정리된다. 18세기 야담에는 유사 화소가 교착 및 변개된 사례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고난과 역경을 극복한 이야기와 세태와 인물에 주목한 이야기에서 확인된다. 먼저, 『삽교만록』 소재 <劍女>는 『잡기고담』 소재 <女俠>의 복수담과 <劒技>의 검술 시범담이 교착되어 있으며, 검술시범담은 『학산한언』 소재 <奇僧>에도 실려 있다. 남녀 주인공들이 고난을 극복하며, 그 과정에서 연마한 최고의 검술을 소재로 한 유사 화소 교착 양상은 또 다른 이야기로 서사를 확장하며 새롭고 다양한 이야기를 양산했다. 또 『동패락송』 소재 <墓>는 『잡기고담』 소재 <검기>의 생환담과 <淸寃>의 신원 확인담이 교착되어 있다. 남녀 주인공들이 온갖 역경 속에서 가족을 되찾거나 자기 결백을 밝히는 이야기는 인물과 소재를 재배치하고 시공간적 배경을 달리함으로써 서사가 확장되고 역동적으로 바뀌어 또 다른 작품이 탄생되었다. 다음, 『삽교만록』 소재 <彦陽>과 『잡기고담』 소재 <免禍> 그리고 『학산한언』 소재 <沈生>은 추노 과정에서 주인과 반노들 사이에 갈등이 빚어지는데, 그 사태를 해결하는 방법이 각각 변개되어 나타난다. 당시 목숨을 담보로 한 위기 상황에서 발휘된 주인의 기지와 그 효과를 다룬 이야기는 유사한 화소가 다양한 형태로 변개되어 서사화 되었다. 또 『동패락송』 소재 <鎭安座首>와 『학산한언』 소재 <田東屹과 李尙眞>은 이상진과 전동흘의 남다른 친분과 교유에 주목하여 그들의 의기와 지략 및 감식안을 담은 이야기다. 여기서도 인물과 소재가 재배치되면서 유사한 화소가 다양한 내용으로 변개되어 서사 영역이 확장되고 역동적인 모습으로 변모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18세기 야담에서 보이는 유사 화소 교착 및 변개 양상은 저자가 인물과 소재를 재배치함으로써 서사 범주를 확장시키는 동시에 다채롭고 역동적인 서사체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한다. Yadam is the most representative narrative style and form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t was created and taken root into a literary form through the process of oral narration and written record. Yadam of the 18th Century has shown an aspect of the mixture and alteration of similar subject matters in the narrative composition. The aspect of mixture has appeared in the stories where characters overcame hardships and adversity. Also, the aspect of alteration is shown in the stories which is focused on social conditions and extraordinary characters. The authors broadened narrative categories and made dynamic narration by rearranging characters and writing materials in the works.

      • KCI등재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 고찰

        신원기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7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bonds-escape-revenge’ motif in world Folklore, focusing on the Oezzok’s Tricks in Joseon Donghwa Daegip. In Oezzok’s Tricks, A protagonist is in a bag and it’s hanging from a tree,[bonds] A protagonist let the passerby go into the bag instead of him and escape,[escape] and trick his master into drowning.[revenge] This ‘bonds-escape-revenge’ motif appeared not only in stories from Korea but also from Mongolia, Russia, and Germany. Thus, this study looks into the stories of other countries that contain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our narrative, and the expression patterns and meanings of these motif are considered and compa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Bonds motif meant death and rebirth[Korea·Mongolia], death[Russia·Germany], escape motif implied replacement of life force[Korea·Mongolia·Russia·Germany], and revenge motif signified a victory of status fight[Korea], a victory of wealth fight[Mongolia·Russia·Germany]. By comparing the meanings of the ‘bonds-escape-revenge’ motif in each of these countries’ st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variability of mythical motif, fixability of center motif, people directivity of concluding motif, and the possibility of spreading Asian tales to Europe. 본고의 목적은 『조선동화대집』의 <외쪽의 꾀>를 중심으로 세계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외쪽의 꾀>에서 주인공은 자루에 넣어져 나무에 매달리고,[속박] 주인공은 지나가던 사람을 대신 자루에 들어가게 하여 탈출하고,[탈출] 그리고는 적대자를 속여 물에 들어가게 하여 죽게 만든다.[복수] 이러한 ‘속박-탈출-복수’ 화소는 한국뿐 아니라 몽골, 러시아, 독일 등의 이야기에도 나타났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리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다른 나라의 이야기를 살펴보고, 이 화소의 발현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고 비교했다. 이를 위해 우선 ‘속박-탈출-복수’ 화소가 들어있는 한국, 몽골, 러시아, 독일 등 4편의 설화를 살펴,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그다음, 각 나라의 설화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의 화소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조사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양하게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비교를 통해, 각 나라별로 해당 화소가 어떤 특징이 있는가를 밝혔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속박 화소는 죽음과 재생[한국·몽골], 죽음[러시아·독일]을 나타냈고, 탈출 화소는 생명력의 대체[한국·몽골·러시아·독일]를 뜻했고, 복수 화소는 신분 대립의 승리[한국], 재산 대립의 승리를 의미했다[몽골·러시아·독일]. 이러한 각 나라의 이야기에 나타난 ‘속박-탈출-복수’ 화소의 의미를 비교하여, 신화적 화소의 변용성, 중심 화소의 고정성, 결말 화소의 향유층 지향성, 아시아 설화의 유럽 전파 가능성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심청전> 이본에 나타난 ‘심봉사 실족’ 화소의 변이 양상과 그 의미

        경일남(Kyung Il-nam)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이 논문은 <심청전>의 이본에 나타나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변이 양상과 거기에 담긴 의미를 살핀 것이다. ‘심봉사 실족’ 화소는 귀가가 늦은 심청을 기다리던 심봉사가 심청을 찾아 나서다가 험지에 처하게 되는 일련의 사건으로 구성된 개별적 화소이다. 이 실족화소는 불가분의 인과 관계에 있는 기다림, 찾기, 추락이라는 세 개의 기초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요소를 근간으로 하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기본 구조는 <심청전> 전승 초기에 단순하고 짤막한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아진다. 이러한 기본 구조의 내용은 <심청전>의 전승 과정에서 확장되면서, 변이의 계통을 달리하는 두 유형의 실족화소를 만들어 놓았다. 탄식 유형의 실족화소는 기본 구조의 기다림 부분을 확장하여 심청을 기다리는 심봉사의 애절한 심정을 부각시킨 변이 형태로, ‘동냥박대’ 사설의 개입으로 인해 등장하였다. 심방 유형의 실족화소는 기본 구조의 찾기 부분을 확장하여 심봉사가 심청을 찾아다니는 긴박한 상황을 부각시킨 변이 형태이다. 장승상부인 대목이 <심청전>에 자리를 잡으면서, ‘심봉사 실족’ 화소는 기본 구조의 내용을 확장하는 탄식 유형이나 심방 유형의 변이 형태와는 전혀 다른 변형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장승상부인 대목이 실족화소의 앞에 위치하면서 심청의 늦은 귀가의 원인이 동냥이 아니라 장승상부인 집에서의 지체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심청전> 전승의 초기 단계에서 형성되어 지속적으로 유지되던 실족화소의 기본 구조가 지닌 내용과 성격이 탈바꿈되는 일대 변혁을 거치게 되었고, 이렇게 변형된 실족화소는 ‘심봉사 실족’ 화소의 후대적 전형으로 정착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ition of motif on Shimbongsa s miss footing appeared in different version of <Shimcheongjeon> and the meaning in it. Shimbongsa s miss footing is an individual theme based on an accident that Shimbongsa who is waiting for Shimcheong, staying out late comes looking for her daughter and land in tough area. This miss footing is made up of three basic elements, wait , search and fall which are in inseparable relation. The basic structure of this miss footing with those elements is shown to be made in simple and brief form in the early of <Shimcheongjeon> transmission. As this content was extended during the transmission, it made two different types. The first is soupir type, which is focus on Shimbongsa s mournful feelings, expanding the waiting part. It is appeared as the intervention on editorial of begging poor treatment. The second is visit type that gives prominence to urgent situation looking for Shimcheong, extanding the search part. Shimbongsa s miss footing come to transform into completely different version with two different types above as a part of Jangseungsang s wife is accepted in <Shimcheongjeon>. Because the reason of Shimcheong s coming home late is changed from begging to delay at Jangseungsang s home as part of Jangseungsang s wife is arranged anterior to the miss footing. It triggered the miss footing to be revoloutionized in basic structure and character also. This deformed miss footing is established as a new type presented in the late of <Shimcheongjeon> s transmission.

      • KCI등재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과 <방한림전>의 여성적 시각

        곽보미(Bo-mi Kwak)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6

        <방한림전>은 남성 주인공이 없고 여성과 여성 간의 동성혼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온 작품으로,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비추어 보았을 때 상반된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런데 여기서 두 가지 문제를 제기 할 수 있다. 하나는 여성 간의 동성혼 화소가 여성영웅소설에서 흔히 발견되는 화소라는 점, 다른 하나는 장르관습에 대한 구체적이고 일정한 기준이 부재한 채로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기실 장르관습으로부터의 이탈 지표는 특정 화소의 유무 및 변화였던바, 역으로 관습적으로 통용되는 주요화소가 존재한다면, 이 화소를 장르관습을 나타내는 지표로 가정해 볼 수 있다. 실제로 여성영웅소설의 주요화소와 서사패턴 중 일부는 <방한림전>을 포함한 여성영웅소설에서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곧 <방한림전>이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을 준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방한림전>의 경우, 주요화소의 결합 순서 및 서사전개 상의 위치에 차이를 보인다. 남장 화소 뒤에 부모부재 화소가 결합하고, 동성혼 화소 뒤에 정체고백 화소를 결합함으로써 남장과 동성혼 화소의 성격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또 적강과 천정연 화소가 작품 후반부에 결합함으로써 여타영웅소설과는 다른 성격을 가지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에 작자의 문제의식이 개입돼 있다는 사실이다. 동성혼이 방관주의 정체를 은폐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써 인식된 점, 반동인물인 주유랑을 여성영웅소설의 유형적 인물로 설정한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영혜빙이 그간 동성혼에서 배제돼 있던 또 다른 여성의 존재를 주목하여 재창조해 낸 인물이라는 사실이다. 영혜빙은 가부장적 질서와 유교 이념에 의해 재현된 여성인물로부터 탈피하여, 가부장제의 여성상을 거부하고 남성젠더와 동등한 지위를 얻고자 한다. 이로 인해 <방한림전>의 동성혼은 남성으로서의 삶과 남성에게 통제 받지 않는 여성의 삶을 살고자 한 여성들의 연대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영혜빙은 방관주와의 관계에서도 종속된 존재로서의 여성상을 거부한바, 가부장제의 여성 지위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있다. 결국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장르관습에 대한 작자의 문제제기이며, 이로써 ‘여성들’의 주체적인 삶에 대한 하나의 모색을 보여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Banghanlimjeon has been noted, because it has no male character and 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n view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t has been antithetically evaluated.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1)The marriage between two women is the motif commonly found in Heroine Narrative. 2)Banghanlimjeon is discussed without specific standards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In fact, if there are motifs generally used between the narratives, it’s possible to assume that these belong in the same category. Actually, there are primary motifs & narrative patterns in the heroine narrative. It means Banghanlimjeon is based on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However, the changes of bond order and position of primary motifs in the epic make differences. The important thing, these changes are caus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It is supported by using same-sex marriage and setting antagonist, Joo Yu-Rang, who has a typical character in the heroine narrative. Above all, Yeong Hye-bing is recreated from the female characters who are ruled out of marriage. She comes out of them who are reproduc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nd Confucianism. With this, the same-sex marriage is becoming a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want to live each gender role without patriarchal control. In the end, Banghanlimjeon is created by an author who has a critical mind of the genre convention of heroine narrative.

      • KCI등재

        <화소장공동파(和蘇長公東坡)>에 드러난 다산의 유인(幽人)공간 고찰

        황민선 ( Hwang Min-s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8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2

        <화소장공동파(和蘇長公東坡)>는 유배 초 다산의 이상 공간에 대한 초기 구상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특히 다산은 이 시기 다산초당과 이상 공간에 대한 글들을 통해 유인(幽人)의 삶을 실천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화소장공동파(和蘇長公東坡)>를 통해 다산이 이상적 유인 공간을 보고자 하였다. 이에 현실을 도피하지 않고 최선을 다하는 무실(務實)의 태도와 가난한 선비[貧士]가 궁핍에 매몰되지 않고 은일을 통해 선비다움을 지켜내고자 하는 의지가 그의 이상적인 유인 공간에 담겨 있다고 보았다. 이처럼 <화소장공동파(和蘇長公東坡)>는 다산초당으로 구현되기 전 다산이 생각한 이상적 유인 공간의 초기 구상에 대한 단면이 담겨 있는 작품으로 그 의미가 크며, 이는 다산의 원림 인식과 이상 공간에 대한 인식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 Hwasojanggongdongpa (和蘇長公東坡) > is an original work of Dasan’s ideal seclusive space for the ideal space of the early exile. In particular, Dasan is trying to realize his life as a human being by writing about Dasanchodang and the Ideal Space during this period. Therefore, this study tended to see the ideal seclusive space of Dasan through < Hwasojanggongdongpa (和蘇長公東坡) >. Therefore, the attitude not to flee the reality but to do the best and try to be true (務實), and a poor scholar’s willingness not to be burdened with poverty and but willing to protect the preciousness through sequestration was contained in his ideal seclusive space. Thus, before < Hwasojanggongdongpa (和蘇長公東坡) > was implemented in Dasanchodang, it is a work containing a section about the initial conception of the ideal seclusive space thought by Dasan, and it is thought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Dasan's perception of the forest landscape and the perception of the ideal space more deeply.

      • KCI등재

        가문소설 투기대목의 화소결합방식과 유형화 -<사씨남정기>·<창선감의록>·<소현성록>을 대상으로-

        김현주 한국고소설학회 2008 古小說 硏究 Vol.26 No.-

        The scene of jealousy of remarriage wife in the Korean Family Novel has a set of pattern in combining motives, and thereby dividing into several types. The scene of jealousy for the early stage of works of the Korean Family Novel such as <Sassinamjungki(謝氏南征記)>, <Changsungamuirok(倡善感義錄)>, <Sohyunsungrok(蘇賢聖錄)>, seems to be the typical model of latter period of works, and the useful spot in analyzing the important family problems. In analyzing the scene of jealousy with combining system of motives and patternning of types, it is impotant to prospect with following problems or situations ; how is the authorial situation of the family of remarried woman, what is the motive of remarriage, what is the problem in question within family, what is the attitude or reaction of individuals including husb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and outside authority etc. 가문소설의 핵심 부위인 재취처·첩의 투기 대목은 화소들이 결합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정형성을 보여주며, 그에 따라 투기 대목은 몇 개의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초창기 가문소설인 <사씨남정기>, <창선감의록>, <소현성록>의 투기 대목은 그 화소결합방식이나 그 유형의 측면에서 후대 가문소설의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고, 또한 전체 가문소설의 다양한 가문적 문제들을 다루는데 유익한 지정학적 위치를 제공해줄 것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재취처·첩 친정 집안의 문벌적 위상이 열등한 <사씨남정기>와 <창선감의록>의 경우는, 지적 능력을 제공할 수 있는 외부 세력이 가문 문제에 깊숙이 개입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여기에 첩의 탐욕적 자질과 가부장적 존재의 부재, 그리고 남편의 판단력 부족과 무능력 등의 상황적 요소들이 부가되어 ‘간부와의 사통’이라는 화소와 ‘문서 위조’라는 화소를 반복 변주시키면서 투기의 효과를 극대화한다. 친정 집안의 문벌적 위상이 시집보다 우월한 <소현성록>의 소운성의 경우는, 가문 내부의 위계질서가 엄정하고 남편도 엄격하게 대처하기 때문에 재취처의 투기는 쟁총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친정 집안이 군왕이기 때문에 ‘궁궐 참소’ 화소가 반복되고, 거기에 ‘상사병’과 같은 감정적인 대응 화소가 반복 등장하게 되며, 이성적인 행동과 표현이 수용되지 않기 때문에 가짜 부고나 가짜 관과 같은 ‘가짜 증거물’ 화소가 반복 등장하는 경향도 보여준다. 친정 집안과 시집의 문벌적 위상이 비슷한 <소현성록>의 소현성과 소운명의 경우에서 소현성은 위인이 공명정대하고 판단력도 정확하여 빈틈이 없으며, 가문 내부의 위계질서가 엄정하기 때문에 재취처의 투기는 순수한 쟁총에 가깝다. 그래서 상대를 완벽하게 속일 수 있는 ‘개용단 변신’ 화소와 ‘정탐’ 화소를 반복 채택하면서 투기가 벌어진다. 소운명의 경우는 소현성과 같은 가문적 조건이긴 하나 남편의 판단력이 부족하고 가부장적 존재가 출타한 까닭에 재취처와 연결된 가내 문객이 꾸미는 ‘간통 상황 위장 연출’이라는 화소가 계속 반복 변주되면서 투기 효과를 낸다. 이와 같이 가문소설의 투기 대목을 분석함에 있어 재취처·첩의 친당의 문벌적 위상과 재취처·첩이 가문에 들어오게 된 동기, 가문의 문제적 상황과 가족 구성원들의 태도, 가문과 외부 정치세력 등등의 상황적 요소들을 연결시키면 화소가 결합되는 일정한 방식과 그 유형화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대하소설 속 임신 및 출산 화소 연구

        한길연(Han, Gil-ye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화소라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먼저 생활문화사적으로,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임신 및 출산 과정과 관련한 생생한 장면의 제시를 통해 조선후기 당대의 임신 및 출산 문화를 재구해 볼 수 있게 하는 한편, 오늘날의 임신 및 출산 문화를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임신에 대한 극단적인 감춤과 드러냄을 통해 여성에 대한 억압적 기제들을 반영하고 소박한 의료환경 속에서 유산 · 조산 등의 이상 징후를 보이는 임산부의 모습을 통해 당대의 힘든 현실을 노정하면서도, 가족공동체적 돌봄의 문화나 ‘캥거루 케어’와 지혜로운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오늘날에도 계승해야 할 지점을 보여준다. 단편소설에서의 ‘미화된 임신과 출산’과는 달리 대하소설에서는 ‘실제적인 임신과 출산’의 장면이 형상화되는 가운데, 일반적 문헌기록과도 차별되게 조선후기 당대 일상적인 임신과 출산 장면을 출산 주체인 여성과 그녀를 둘러싼 주변인들의 입장에서 입체적으로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서사구조적으로 대하소설의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등장인물들 간의 가장 중요하고도 치열한 갈등을 견인해내는 화소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대하소설은 ‘가문소설’이라고 달리 명명할 정도로 한 가문이 대를 이어 지속해가는 것이 중요하며 주 향유층인 상층 여성의 초미의 관심사 중 하나인 자손의 탄생을 양각화하기에,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화소로 부상한다. 단편소설에서의 혼사장애가 남녀가 혼인에 이르는 과정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과 달리, 대하소설에서의 혼사장애는 혼인 이후의 갈등을 해결하고 부부간에 안정적 궤도에 진입하는 과정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때 임신 및 출산 화소는 이러한 혼사장애의 정점에 위치한다. 악인형 여성은 임신 및 출산을 수단화하는 패륜적 행동을 통해 선인형 여성의 고난을 증폭시키는 가운데 그 스스로 몰락의 길을 걷게 되며, 선인형 여성은 동굴모티프의 변형태로서 산당(山堂) 혹은 폐실(閉室)에서 홀로 극도의 육체적 · 정신적 고통을 겪으면서 ‘어머니 되기’라는 통과의례를 거쳐 시가에서의 안정적 위상을 확보하고, 선인형 남성은 아내의 임신 및 출산을 통해 모(母)-처(妻)-자(子)의 확장된 관계 속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음으로써 ‘아버지 되기’라는 과제를 완수하면서 아내와의 갈등을 해소한다. 대하소설 속 임신 및 출산 화소는 대하소설의 핵심 서사를 견인하는 핵심 화소로 기능하고 있다.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has significant sense as the core element of river novels. First of all, in the point of living cultural history, it makes us reconstruct the cultur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ose days through vivid descriptions. The scenes of ‘actual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embodied in full-length novels while mostly ‘embellished pregnancy and childbirth’ are described in short stories. Moreover unlike normal documents, the motif in river novels portray the usual pregnancy and childbirth in those days in the view point of women and related marginal group, the main agent of childbirth. Meanwhile, in the point of narrative structure,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is in charge of pulling the most important and intense aspect of conflicts among characters of river novels. In ‘family novels’ as alternative name of river novels, it is important that the family continue to carry on with the future from father to son. Therefore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related to the birth of descendants, one of the pressing matters of women as the main readers of river novels, emerges as the core element of the river novels. Unlike short stories focusing on the process up to a marriage, river novels focus on the phases after marriage as arranging with many disorders, having children, and managing a stable home. In these cases the motif of pregnancy and childbirth takes up the summit of marriage obstacle. Wicked female character amplifies the good character’s troubles through immoral acts as taking advantage of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leads to downfall of oneself. Heroine as good female character suffers severe physical and mental distresses in the place like closed cell as transformed motif of cave and finally takes stable position in her husband’s family through passage rite of becoming a mother. And the good male character settles a conflict with his wife by new enlightenment in the enlarged relationship of mother-wife-child. In these ways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n river novels become the core motif leading the cor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