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임재해(Lim Jae-H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해항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상징적인 특성 비교 연구- 한 · 중 · 일 해항도시 분석을 중심으로 -

        심인단,박상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4

        As a central hub for exchanges of urban culture and trade, ocean cities rely on unique ocean geographical locations and marine resources to survive and develop. Nowadays, the United Nations has proposed the concept of ‘no one should be left behind’ as well as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brands. Maritime cities have become the forefront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Therefor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the city brand concept and city brand identity design, the visual image elements and visual characteristics used to symbolize the ocean city city brand a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history and culture, urban development status, language symbols, brand visual expression elements, an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citie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six representative ocean cities derived interactive city brands that strengthened the city's identity by expressing geographical features based on different visual imag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This is a comprehensive brand that uses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to strengthen the image of a maritime city. It is an expansionary city brand that clarifies urban valu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and emphasizes language symbolism. Since each maritime city has different port and maritime functions, it is important to have a clear direction when developing a city bran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of each seaport city and the development of its own city brand image design. 해항도시는 도시 문화 및 무역의 교류 중심지로서 해양 및 해양 자원에 의존하여 생존하고 발전했다. 오늘날 다문화와 브랜드의 지속 가능한 발전으로 해항도시는 세계화의 맥락에서 문화 교류의 최전선이 되었다. 이에 도시브랜드 개념과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이해를 바탕으로 해항도시 도시브랜드 상징화에 사용되는 시각적 이미지 요소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해항도시의 역사문화, 도시발전현황, 언어적 상징, 브랜드 시각 표현요소, 표현특징을 분석하고 비교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6개의 대표적인 해항도시는 시각적 이미지 요소와 특성의 차이에 따라 지리적 특성을 표현하여 도시 정체성을 높이는 상호작용형 도시브랜드를 도출했다. 역사적, 문화적 요소를 활용하여 해항도시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포괄적인 브랜드, 도시 가치와 개발 전략을 명확히 하고 언어 상징을 강조하는 확장형 도시브랜드이다. 해항도시 별 항구와 해양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도시브랜드를 개발할 때 방향성을 명확히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각각의 해항도시들이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하고 고유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에 본 연구 결과가 기여하길 바란다.

      • KCI등재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해양관광콘텐츠 연구

        정민의 ( Jung Min-eui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현재 주요 관광선진국들은 세계유산(자연유산, 문화유산, 복합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등재 후보군을 마련하고 등재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는 자국의 관광경쟁력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유산보호와 보전의 지름길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이며, 향후 자국의 관광콘텐츠의 핵심 콘텐츠(killer contents)가 된다는 점, 그리고 외래 관광객에게 이(異)문화체험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으로 등재신청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 해녀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각광 받고 있는 전통 어업이나 해양문화 등에 대한 해양관광콘텐츠 연구를 집중하여 우리나라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제주해녀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계획은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17년도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말한다. `제주도 해녀어업`이 2015년 12월 제1호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는데, 이것은 제주해녀가 맨몸으로 무자맥질해서 소라, 해삼, 전복, 미역, 천초 등 해산물을 직업적으로 채취하는 전통어업시스템을 말하며, 제주해녀와 연관된 불턱, 해신당, 해녀복과 낫, 골갱이, 수중안경 등의 물질도구 등 유형유산자원과 잠수굿, 요왕맞이제, 액막이, 씨드림과 같은 무형유산자원 등 독특한 해녀문화를 진화시켜온 유·무형의 유산자원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2016년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로 강인한 개척정신과 여성공동체 문화를 중심으로 한 생태, 경제, 해양 등의 가치를 지닌 제주해녀문화가 이제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상징적인 해양관광콘 텐츠로서의 역할과 가치뿐만 아니라 인류 모두의 상징과 가치를 반영하는 소중한 해양문화가 될 것이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보존, 전승해 나가야 할 과제가 주어진 만큼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보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해수욕활동이나 어촌 체험활동, 바다낚시 등 단편적 해양관광활동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양레저문화의 보급과 더불어 해양문화가 확산되고 지역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해양관광산업이 연안지역 발전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없다는 현실적 인식 속에 지역의 자원과 연계한 지역 맞춤형 해양관광모델을 개발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해양관광산업을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업종과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해양관광육성체제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가 된 이유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해양관광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 네 가지 관점을 제안했다. 첫째, 제주 해녀문화가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하고 확립해준다는 관점에서 시대상황과 해양관광객의 요구에 발맞춘 우리나라 각 해안지역과 어촌 지역의 해양관광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제주해녀문화가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친환경적인 해양관광콘텐츠를 다양화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셋째, 제주해녀문화가 해양관광객의 눈높이에서 개발되고 운영됨으로 인해서 관광객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는 관점에서 향후 개발될 해양관광콘텐츠도 관광객의 시선이나 관점에서 개발되고 운영되는 프로그램 확보로 해양관광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넷째, 제주해녀문화가 관련 지식과 기술을 공동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승해왔다는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집단지성을 활용한 신뢰도 높은 역사성과 전통이 깃든 해양관광콘텐츠의 생산 공간과 매개 공간을 오프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가상세계인 온라인에서도 제공해야 한다. The term`cultural heritage`has changed content considerably in recent decades, and this partially owes to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UNESCO. Cultural heritage does not end with monuments and collections of objects. It also includes traditions or living expressions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and passed on to our descendants. These traditions include oral traditions, performing arts, social practices, rituals, festive events, knowledge and practices concerning nature and the universe or the knowledge and skills to produce traditional crafts. Fragil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cultural diversity, especially at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 understanding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different communities helps with intercultural dialogue, and encourages mutual respect for other way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Jeju Haenyeo culture is registered as a UNESCO humanit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tudy reveals four important points of why Jeju Haenyeo culture is listed in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proposes them as a development plan for marine tourism contents in Korea. First, Jeju Haenyeo culture symbolizes and establishes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of its region. This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marine tourism contents in each coastal area and fishing villag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imes and demands of marine tourists. Second, Jeju Haenyeo culture is a sustainable marine environment in a nature-friendly way. This mean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diversify eco-friendly marine tourism contents. Third, it is a viewpoint that the culture of Jeju Island is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eye level of marine tourists. This means that marine tourism contents developed in the future should be revitalized by securing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from the viewpoints of tourists. Fourth, it is a viewpoint that the Jeju Haenyeo culture has been continuously passed through related knowledge and technology through the community. This means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raditional marine tourism contents and its history must be provid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as well.

      • KCI등재

        <수로부인>의 상징체계와 <헌화가> <해가>의 의미

        박일용 ( Park Il-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1 No.-

        <수로부인>에 소개된 두 삽화에서 수로부인은 자신과 신물인 견우노옹 및 해룡(海龍) 사이를 신성적 관계로 인식한다. 반면, 신물인 견우노옹과 해룡(海龍)은 자신의 신성성을 해체하고 수로부인과의 세속적 관계를 원한다. 그런데 이러한 수로부인과 신물들의 태도는 그들의 관계를 수로부인이 ‘약탈되었다[被掠攬’]’고 인식하는 순정공과 기술자의 태도에 억압되어 증상적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수로부인>에 소개된 삽화들이 부부 관계 및 지방지배 질서에 대한 상징체계의 전환 과정을 보여주는 이야기들로서,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상징체계의 전환 과정을 개별적 사건 형태로 표현된 것임을 뜻한다. <수로부인> 이야기는 신성적 상징체계에서 세속적 상징체계로의 전환 과정을 새롭게 정착된 관료 지배적 상징체계에 입각하여 소급적 형태로 기술한 역사적 상징물인 것이다. In the two stories introduced in Sooro-Booin(수로부인), Sooro-Booin(수로부인) recognized a relationship between herself and Gyunwoo-Nowong(견우노옹), Sea-Dragon(해룡) as a sacred one. However, Gyunwoo-Nowong(견우노옹), Sea-Dragon(해룡) wanted to break a godhood to get a secular relationship with Sooro-Booin (수로부인). These Sooro-Booin(수로부인) and God-like beings attitudes toward their relationships appeared as a symptoms, suppressed by attitudes of Soonjeong-Gong(순정공) and a writer that Sooro-Booin(수로부인) had been despoiled. This means that the stories in Sooro-Booin(수로부인) showed a shifting process of a symbol system about a conjugal relation and the order of governing a local, representing the proces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an individual affair. So this Sooro-Booin(수로부인) story is a historical symbol which describes the changing process from a sacred symbol system to a secular symbol system retrospectively, based on a newly established bureaucrat-ruling symbol system.

      • KCI등재

        한국 해군의 상징, ‘해군기’

        신성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2 군사 Vol.- No.122

        The Navy Flag represents and symbolizes Republic of Korea Navy(ROK Navy). This passage aims to discuss o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for the flag, symbols inside it, and the historical meanings behind the Navy Flag, the representation of ROK Navy. The official and historical documentation of the Navy Flag can be found in the text "Republic of Korea Naval History" published in 1961 by ROK Navy Headquarters. The text writes that the Navy Flag was first announced in June 15, 1946, when the Joseon Coast Guard was established. The original Navy Flag had the same design as the present one, exhibiting the Taegeuk symbol and the crossed anchors on the deep blue background. However, the anchors do not appear on the Navy's pictorial album published at that time. The analysis on the flag revealed although it is true that the flag was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Joseon Coast Guard, the flag only had the Taegeuk symbol on its background, missing the crossed anchors. It was not until the official launch of ROK Navy, August 15, 1948, that the Navy Flag had the crossed anchors on its background as it is today. The deep blue background, the crossed anchors, and the Taegeuk symbol, each one symbolizes the Korean seas surrounding the country, the naval solidarity, and Republic of Korea itself. It is certain that Admiral Son Won-il and Jung Geung-mo were the central figures in the making of the Navy Flag. Admiral Kim Young-chul, Admiral Kim Il-byung, and Jang Ho-geun are also likely to be involv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records, although further examination needs to be undertaken. Of all the patterns in the Navy Flag, Taegeuk is a unique pattern symbolizing Republic of Korea. However, the crossed anchors derive from the cap badges used by the United States Navy officers. The ROK Navy chose to adopt such pattern in times of the long-lasting close ties with the United States Navy. Thus, in terms of the history of patterns, the Navy Flag patterns include Taegeuk, the symbol of Republic of Korea and the crossed anchors from US Navy. After its establishment, the Navy Flag became the prototype model for the flags of the Navy units. It also influenced the badge of 30 year service for Navy officers and chief petty officers. The Navy Flag, which consists of Taegeuk and the crossed anchors, is also used in the insignias of naval officers. 해군기는 한국 해군의 얼굴이자 상징이다. 이 글은 한국 해군을 대표하는 해군기의 제정 과정과 문양에 반영된 상징, 역사적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해군기에 관한 공식 역사 서술은 해군본부가 1961년에 발행한 대한민국해군사 에 나타난다. 해당 역사서는 해군기가 조선해안경비대가 발족하던 1946년 6월 15일에 제정된 것으로 서술한다. 제정된 해군기는 진남색 바탕지에 태극, 교차된 닻으로 구성된 오늘날과 동일한 문양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당대 해군화보집에는 닻이 없다. 분석 결과 해군기가 조선해안경비대 시절에 처음 출현하였으나 진남색 바탕지에 태극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된다. 교차된 닻이 포함되어 오늘날과 동일한 문양으로 완성된 것은 대한민국해군이 출범하던 1948년 8월 15일 즈음이었다. 해군기의 진남색 바탕지는 삼면으로 둘러싸인 한국의 바다를, 교차된 닻은 해군의 단결을, 태극은 한국을 상징한다. 해군기를 제작한 주인공으로 확실한 인물은 손원일과 정긍모 제독이다. 김영철ㆍ김일병 제독과 장호근도 기록상 개연성이 높은데,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해군기 문양 중 태극은 한국을 상징하는 고유한 문양이다, 그러나 교차된 닻은 미군정기에 미국 해군장교들이 사용하던 모표 문양에서 유래한다. 창군기부터 미국 해군들과 유대관계를 맺어오던 상황에서 이를 해군기 문양으로 차용한 것이었다. 문양사적인 측면에서 해군기 문양에는 한국을 상징하는 태극과 미 해군식의 교차된 닻 문양이 공통적으로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해군기는 제정된 이후 해군 부대기 제작의 기준이 되었다. 장교와 부사관이 패용하는 ‘근속 30주년 기념휘장’ 문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태극과 교차하는 닻으로 형상화된 해군기 문양은 해군장교의 견장형 및 수장형 계급장을 장식하는 문양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劉熙載 ‘書如其人’의 내재적 의미 고찰

        김희정 한국서예학회 2015 서예학연구 Vol.26 No.-

        이 논문에서는 현대철학(미학) 가운데 해석학의 방법인 기호학과 상징론, 그리고 동양미학의 방법론으로 사용되는 비덕의 범주를 통해서 유희재 ‘書如其人’론의 내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서여기인’론이 어떤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상징형식으로 체계화되었는지의 의미구조를 논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을 차용한 이유는 이 방법들은 ‘美’의 의미구조를 밝히고, 전통을 새롭게 바라보는데 유용한 도구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전통적 방법으로 다시 전통적 의식이나 양식을 해석하면 습관적 시각에서 새로움을 발견하는데 곤란함이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유가 사상, 특히 성리학이 주류 이념으로 확립된 이후의 동아시아 사회에서 삶을 영위한 사람들의 사유와 행위는 자신도 모르게 이 주류 사상에 동화되어 집단무의식 상태가 됨으로써 이것을 마치 天性처럼 여기고 信念으로 굳혀 誠心껏 실천하고 지키면서 살았다. 이렇게 특정 사상에 영향을 깊이 받아 굳어진 ‘전통’적 관점으로 다시 ‘전통’을 해석하다보면 그것에 매몰되어 그것과 다른 현상을 터부시할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철학이나 새로운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전통을 재해석함으로써 전통의 현대화 방법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고찰을 통하여, 유희재는 서예를 수양을 위하거나 수양된 효과로 나타나는 효용론적 태도로 예술을 규정하여 도덕적 의지를 고양하고자 한 藝敎의 수단으로 여겼음을 알았다. 이는 전형적인 유가미학적 태도이며, ‘서여기인’론은 이러한 유희재의 미적 태도를 상징하는 하나의 의미기호로 작용하였다. 그는 이러한 태도를 정당화하기 위하여 서예를 ‘心學’으로 보고, 서예작품의 관건은 기법이나 방법보다는 서예가의 性情의 여하에 따라 결정된다고 말한다. 이는 ‘성정’을 주재하는 ‘心’에 의해서 서품이 결정되기 때문에 ‘書’의 所以然이 되는 ‘其人’의 바른 ‘心’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서여기인’은 결국 유가적 심미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상징체계로 작동된 것이다. 이는 祭儀와 윤리, 인성 등 외재적 규정에 예술을 종속시키는, 즉 사회적 규범과 질서를 유지하는데 예술을 활용해온 유가의 예악전통에 기인한 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은 한편으로는 개인의 이성을 고양하고 사회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는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감성과 자유를 스스로 억제하는 기제로 작용하는 양면성이 있다. 유희재가 ‘서여기인’론에서 얻고자하는 바는 서예를 통한 도덕적 감성을 고양하여 내면적 선의 자율성(순수 선의지)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라 여겨진다. 이는 어떤 邪念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전통이라는 ‘先理解’를 바탕으로 자신의 사유를 확대시켜 공공성으로 지평을 넓힌 것이다. 그러므로 유희재의 ‘서여기인’론은 ‘快’를 통한 ‘미적 자율성’의 성취라는 근대 미학적 태도를 수용하지 못하고 예술의 성취뿐만 아니라 사회적 현상마저 ‘원인과 방법’의 규명과 실천보다는 개인의 修養에서 찾는 의식으로 환원하고 말았다. 이러한 태도는 교육과 문화가 개인의 의지와 능력, 성정을 고양하고 정화하는 심적 작용에는 긍정적 부분이 있는 반면 개인의 삶이 어떤 커다란 구조와 개인 간의 상호 관계망 속에서 형성되고 변해가는 현상에 비추어보면 모순된 일면이 있다. 또한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 인성 교육’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서예에 대한 태도를 여전히 忍耐를 통한 修養의 방편으로 인식한다면 시대에 부응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유희재의 ‘如其人’의 범주를 인품이나 도덕성으로 확대하기 보다는, 그가 구체적으로 명시한 ‘才·志·學’에 한정해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근대미학의 매개인 ‘快’에서 착안하여, 서예의 인식과 교육도 인내와 수양보다는 즐거움(快)을 매개로 천부적 재능(才)을 발견하여 좋은 방법으로 배우고(學), 이를 통해서 의지(志)를 북돋우며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새로운 의식으로의 전환이 요청된다. 在这个论文,它通过一个使用了现代哲学(美学)中的解释学方法的记号学和象征论,比德论, 考察了刘熙载“书如其人”论的内在的意味。“书如其人”论,并有象征性,这是怎幺回事论的意味构造那化体系,以象征形式。借用这些新硏究方法的是理由, 因为说明'美'的意味构造, 以为把‘传统’遵定新鲜意识的好有的道具。而且在一个新的理念和新的研究方法的基础上,因为它是有效的现代性的传统,重新诠释传统的方式。 “书如其人”论是一个作动为一体的象征体系,最终规定儒家的审美基准。这是象祭仪和伦理,人性,使艺术来从属于外在的规定,而用于维持了社会规范和秩序的儒家的礼乐传统态度起因的。 这些传统的效果有有两面性。一方面高扬的个人的理性和安定的社会,另一方面自愿抑制个人感性和自由。 这种态度是教育和文化,提高个人的意志和能力,净化性情的心理的积极的作用。反而,个人生活形成在个人与个人的关係网里的互动,形成而变化在大的构造之内的矛盾。而且, 现代社会要求“创意人性敎育”, 书艺与这种要求有不可分关系, 如果你仍然书法的认识在修养和忍耐的话, 有符应不了时代的要求。因此刘熙载说的'如其人',而不是范畴扩大到人品或道德性,他将不得不寻找它明示限定一个人才·志·学“作为具体的。所以着眼在近代美学的媒介的'快', 对书法的认识和敎育也不是要求忍耐和享受的修养, 而是以‘快’为媒介, 要请发见天赋的才能(才), 找到效果的学习方法(学), 通过‘才’ ‘学’鼓励意志(志)以高扬自由的个性表现的意识转换。

      • KCI등재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역철학적 연구의 타당성

        이선행(Sun Haeng Yi) 한국양명학회 2007 陽明學 Vol.0 No.18

        한국의 고유사상에 대한 연구는 자료의 부족으로 신화와 주변국의 기록을 참고하여 연구할 수밖에 없다. 신화란 민족이나 문화권의 형성과 함께 형성되었으며, 신화인들의 사유를 은유를 통한 상징으로 표현하였다. 신화는 기원에 대해 설명하는 것인데,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경우 건국의 정당성과 건국의 이념이 잘 표현되어 있다. 신화의 상징은 신화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의 문화를 통해 풀어야 한다.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성립당시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만주와 요동반도 그리고 한반도를 연결하는 환발해만 일대에는 신석기 시대 이후 문화적인 공통성이 적잖이 발견된다. 비파형 동검, 다뉴경 등의 청동기, 지석묘를 비롯한 묘제, 도작농으로 대표되는 경제생활 등이다. 또한 사상적인 측면에서는 천숭배사상ㆍ상제신앙ㆍ성신신앙ㆍ토템ㆍ수목신앙ㆍ옥문화ㆍ제사ㆍ점복문화 등이 공통적인 요소이다. 점복신앙은 은주교체기에 상제신앙과 천명사상의 결합으로 『주역』으로 집대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상제신앙과 천명사상의 형태는 부여와 고구려 등의 문화에서도 보이며, 특히 수골을 이용한 점복문화는 환발해만 일대에 걸쳐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또한 내용상으로도 한국 고대신화에 상징으로 나타난 통치자인 군자의 모습과 인격적 존재인 천ㆍ신, 삼재사상, 그리고 선후천변화의 원리가 『주역』과 동일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한국 고대건국신화의 상징의 의미와 한국 고유사상의 원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역철 학적 방법에 의한 연구가 가장 주요하다. In the study on Korean native thoughts, you cannot but depend on referring to Korean myths and records of neighboring countries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sources. A myth was originated from the formation of a people or a culture and the ideas of the characters from a myth was expressed by the symbols through the metaphor. A myth is what explains an origin and Korean ancient kingdom's foundation myths justify the beginning of a new dynasty and represent the ideas of the foundation. The symbol of a myth should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by the culture of the characters from a myth. If you look at the cultural background establishing Korean ancient kingdoms' founding myths, cultural similarities after the Neolithic Age are easily found our across the circum-Be Hai that connects Manchuria, the Yodong Peninsula and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bronze ware like a Korean lute shaped bronze sword and mirror, grave pattern like a dolmen and econonomy represented with rice farming.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thoughts, in common are Heaven worship, God worship, worship of heavenly bodies , totemism, dendrolatry, culture of prison, a religious service and augury. Especially dendrolatry was integrated into the book of changes combined with God worship and the idea of Providence over the time of change from Yin Dynasty to Ju Dynasty. Interestingly this God worship and Providence are shown through the culture of Buyeo and Goguryeo. In particular, the augury using animal bones is found out extensively across the Pan Bo Hai. Besides, even in the contents, they are in common with the book of changes, the description of a man of virtue as a ruler, personified Heaven and God, the thought of three organization elements composed of Universe and the principle of changes of pre-Heaven and post-Heaven symbolized in Korean ancient myth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approach it with the Yi Philosophy the study of the meaning of the symbols from Korean ancient countries' founding myths and the origins of Korean native ideas.

      • KCI등재

        한국 해군의 ‘근속 30년 휘장’ 제정사

        신성재(Shin, Seong-J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8 No.-

        이 글은 장교와 부사관들이 명예의 상징으로 패용하는 근속 30년 휘장의 제정 과정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해군이 근속 30년 휘장을 제정한 것은 1982년 8월이었다. 동년 9월 1일부터 패용하였고, 휘장은 제정 이래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다. 해군이 휘장을 제정한 목적은 30년을 근속한 간부들의 헌신과 공적을 선양하기 위한 것이었다. 휘장을 구성한 문양 소재는 검30개, 5각형의 바탕, 앵커, 태극, 무궁화, 무궁화 잎사귀 등이었다. 근속 30년 휘장은 명예로운 해군 복무의 표상이었다. 국가를 위해 30년간 헌신한 명예로운 군 복무와 5대양을 향해 항진하는 해군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었다. 근속 30년 휘장에는 육군이 사용하던 문양의 일부가 차용되기도 하였다. 검과 태극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앵커, 무궁화, 무궁화 잎사귀는 해군이 창설되던 시점부터 사용하던 고유한 문양이었다. 제정 즈음에 타군 휘장으로부터 받은 영향도 있지만, 창군기부터 사용해온 문양들이 독창적인 근속 30년 휘장의 출현에 근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body of text explores the enactment process of the 30-year-service insignia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wear on their chests as an honorary symbol. The Navy pursued the enactment of the 30-year-service insignia in August of 1982. The insignia, officially worn since the first of September of the same year, has maintained its form and status as enacted. The intention of its enactment was to honor the dedication and contribution exhibited by officers who have served in the Navy for 30 continuous years. The insignia consists of such symbolic elements as 30 swords on a pentagonal background, an anchor with the national flag embedded in the center, a hibiscus flower, and a wreath. The 30-year-service insignia is a culminating manifestation of honorable service in the Navy. It represents the 30 years of commitment to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ndeavors of its naval forces to sail triumphantly toward the five oceans. The insignia has partially borrowed some of its elements from the symbols of the ROK Army. One example is the images of the swords and the national flag. In contrast, the anchor, the hibiscus flower, and the hibiscus wreath have been the Navy"s very own symbols since the foundation of the Navy. While there exist some remnants of what was drawn from external sources, it is submitted that the 30-year-service insignia has been primarily inspired by the unique symbols used since the advent of the Republic of Korea Navy.

      • KCI등재

        박두진 시의 자연 공동체를 구축하는 형식적 특성과 그 현재적 의미

        이경수 ( Lee Kyung-soo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0

        박두진 시의 현재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박두진 시에서 자연 공동체를 구축하는 형식적 특성에 주목했다. 박두진의 초기 시에 주로 등장하는 자연 공동체는 구체성과 추상성, 내용과 형식이 어우러진 하나의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고 있는데 그의 자연 공동체가 추구하는 바가 이후 신앙 공동체로 이행해 간다고 이 논문에서는 보았다. 추상 공간으로서의 자연, 그 자연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힘의 근원으로서의 해, 부가적 반복을 통해 획득한 유장하고 활달한 리듬감, 쉼표를 비롯한 구두점의 기능, 청자 지향성과 명령형·청유형·감탄형·설 의형 어조 등이 박두진이 구축한 자연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형식적 특성으로 긴밀히 상호작용하고 있었다. 박두진의 자연 공동체는 구체적인 자연물들의 생동감 있는 어울림을 통해서도 추상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는 독특한 자리를 우리 현대시사에 펼쳐 보였다. ‘자연-인간-신`으로 이어지는 박두진의 시의 식의 변모는 단계적으로 진행된 것은 아니었지만 후기 시로 올수록 형식적 고민에 대한 결여로 인해 초기 시만큼의 활력을 담보하지는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박두진 시의 역사성과 미래성, 달리 말해 현재적 의미를 고민할 때 여전히 박두진의 시가 개성적 면모를 보여주는 자리는 초기 시의 자연 공동체가 지니는 활력과 구체성과 추상성의 조화를 통한 상징의 완성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시에서 이 둘 사이의 조화와 균형이 다소 기울어 관념이 승하게 되었을 때 그의 시가 이전만큼의 생명력과 활력을 지니지는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 이 논문의 판단이었다. Under the goal of shedding light on the present meanings of Park Du-jin`s poetry,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mal characteristics that made up the nature community in his poems. Making appearance usually in his early works, the nature community succeeds in building a community with harmony among specificity, abstractness, content, and form. The present study assumed that what his nature community sought after would lead to a religious community later. The important formal characteristics of his nature community include nature as a abstract space, the sun as the source of power to grant vitality to nature, the long and lively rhythmic sense through additional repetitions, the functions of punctuation marks including commas, orientation toward the listeners, and the imperative, suggestive, exclamatory, and questioning tones. They are important formal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the nature community established by Park, having close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His nature community also succeeds in building an abstract world based on the vigorous harmony of specific natural objects, thus holding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poetry in Korea. The changing process of his poetic consciousness `from nature through human beings to gods` did not happen in stages, but he gradually lacked a contemplation over the forms toward his later works, thus failing to secure as much vitality as in his early works. When examining the historicity and futurity of his poetry or its present meanings, one can still find its individual aspects in the vitality of nature community in his early works and the completion of symbols based on the harmony of specificity and abstractness.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when certain inclination in the harmony and balance of the two led to the victory of ideas, his poetry did not show as much life force and vitality as before.

      • KCI등재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된 어려움과 성격특성과의 관계

        최영임,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1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 i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was found.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the same-sex communication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faithfulness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in male and female. But in the opposite-sex one while male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agreeableness, faithful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s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female has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extraversion. M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ttern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perceiv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이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남: 185명, 여: 199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된 어려움과 다섯 가지 성격특성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동성과의 의사소통을 더 어렵다고 지각하였고, 남성은 더 높은 외향성과 호감성을 그리고 여성은 더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동성과의 의사소통을 어렵다고 지각하는 사람은 남녀 모두 더 낮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과 더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성차가 있었다. 이성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지각에서는 낮은 외향성, 호감성, 성실성 및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갖는 남성과 낮은 외향성과 높은 정서적 불안정성을 갖는 여성이 더 큰 어려움을 나타내어 남녀간에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을 어렵다고 지각하는 정도를 상중하로 구분하여 다섯 가지 성격특성에서의 패턴을 확인한 결과 동성과 이성에 대해 남녀 모두 일관성 있게 외향성이 낮고 정서적 불안정성이 높은 사람들이 동성 및 이성과의 의사소통을 가장 어렵다고 지각하였으나 호감성, 성실성, 경험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차이가 있어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 지각 정도에 따라 각기 상이한 패턴이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