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국본풀이로 본 시조왕의 ‘해’ 상징과 정치적 이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6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

      본풀이 자료를 본풀이사관으로 읽으면 역사 이해의 새로운 길이 열린다. 건국본풀이는 민족문화유산으로서 동질성을 지니고 있는 문화적인 창조물인데, 사학계에서는 식민사관에 따라 제각기 주목하고 북방의 여러 유목민족들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해석하는 데 머물고 말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모든 건국본풀이들은 민족문화 유산으로서 같은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문제의식 아래, 건국시조들의 동질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지도자상을 추론해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천지개벽본풀이에는 하늘을 한울, 또는 한알이라 하여 우주적 한울과 생명개체로서 한알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런데 건국본풀이에서 시조왕들은 한결같이 천제의 아들로서 하늘에서 지상으로 강림하거나 큰 알의 형태로 출현한다. 큰 알은 모두 밝은 해를 상징한다. 따라서 건국시조는 천제이자 하느님인 우주알로서 ‘한울’의 대우주 해와, 인간생명의 모태이자 태반의 수정란으로서 ‘한알’의 소우주 아해가 대립적이면서 통일을 이루는 변증법적 존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건국시조들은 한결같이 ‘해’를 상징하고 있다.
      고조선본풀이의 환인과 환웅, 단군은 모두 해의 밝음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아사달과 조선이라는 도읍지 또는 국호까지 동녘이나 양달을 나타낸다. 홍익인간 이념도 인간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는 해의 온생명(global life) 기능을 드러낸다. 천제의 아들로서 아침에 내려왔다가 저녁에 하늘로 올라가는 부여의 시조 해모수, 햇빛을 받아 잉태되고 큰 알로 출산된 고구려의 시조 주몽, 붉고 큰 알로 출현한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모두 해를 상징한다. 박혁거세의 이름도 불구내(弗矩內)와 더불어 세상을 널리 밝히는 뜻을 지녔다. 홍익인간의 이상과 혁거세 사상은 세상을 널리 밝혀서 이롭게 한다는 해의 생태학적 기능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홍익인간의 이상이 혁거세 사상으로까지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해 사상은 가락국의 시조까지 이어진다. 수로왕은 금합 안에서 황금알로 나타나는데 해처럼 둥글었다고 한다. 해처럼 둥근 알의 모양이나 황금빛은 모두 해를 상징한다. 해와 같은 인물이 건국시조가 되었다는 태양시조 사상으로 귀결된다. 세상을 밝히고 뭇생명을 살리는 해의 섭리와 변화 양상에 대한 천문학적 지식을 잘 알기 때문에 태양시조 사상을 확립했을 것이다. ‘해’에 대한 세계관적 인식과 과학적 이해 때문에 상고시대 한국인은 ‘해[太陽]’의 공전주기를 기준으로 ‘한 해[年]’를 설정하는 태양력의 역법도 일찍 깨우쳤을 것이다.
      건국시조는 우리 민족이 이상적으로 여기는 지도자상이다. 진정한 지도자는 해와 같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존재이다. ‘다스리는 것’ 곧 ‘다 살리는 것’이 해의 생명성이자 민주적인 지도자상며 혁거세의 ‘불구내 사상’이자 환웅의 홍익인간 이념이다. 따라서 건국 시조왕들처럼 세상의 빛이 되어 모든 생명을 다 살리는 지도자가 가장 훌륭한 현실의 지도자이자 우리가 만들어가야 할 지도자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에서 노래하는 시조왕은 건국시조로 추대된 태초의 지도자상이자, 지금 여기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이상적인 지도자상, 곧 미래의 생태학적 이상을 실현하는 지도자상으로 재인식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본풀이의 역사적 기능과 건국시조 인식
      • Ⅱ. ‘하늘’의 본디말 ‘한울’과 천손의 건국시조
      • Ⅲ. 건국본풀이에 나타난 하늘과 ‘해’의 상징
      • Ⅳ. ‘해’를 상징하는 건국시조의 다양한 이름
      • [국문초록]
      • Ⅰ. 본풀이의 역사적 기능과 건국시조 인식
      • Ⅱ. ‘하늘’의 본디말 ‘한울’과 천손의 건국시조
      • Ⅲ. 건국본풀이에 나타난 하늘과 ‘해’의 상징
      • Ⅳ. ‘해’를 상징하는 건국시조의 다양한 이름
      • Ⅴ. ‘해’를 상징하는 건국시조의 전통 지속
      • Ⅵ. 건국시조의 정체와 ‘해’ 상징의 지도자상
      • Ⅶ. 태양시조 사상에 터잡은 정치적 이상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임재해, "한국민속학과 현실인식" 집문당 1997

      3 任晳宰, "한국구전설화 평안북도편 III" 평민사 1989

      4 임재해,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42) : 11-56, 2010

      5 최래옥, "하늘님, 나라를 처음 세우시고" 고려원 1989

      6 김영균, "탯줄코드" 민속원 2008

      7 노성환, "일본신화에 영향을 미친 한국신화 in: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지식산업사 2008

      8 任晳宰, "우리나라의 天地開闢神話 in 耕學 金永敦博士 華甲紀念 敎育學論叢" 螢雪出版社 1977

      9 임재해, "신라 금관의 기원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10 장회익, "삶과 온생명" 솔 1998

      1 김헌선, "한국의 창세신화" 길벗 1994

      2 임재해, "한국민속학과 현실인식" 집문당 1997

      3 任晳宰, "한국구전설화 평안북도편 III" 평민사 1989

      4 임재해, "한국 축제 전통의 지속 양상과 축제성의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42) : 11-56, 2010

      5 최래옥, "하늘님, 나라를 처음 세우시고" 고려원 1989

      6 김영균, "탯줄코드" 민속원 2008

      7 노성환, "일본신화에 영향을 미친 한국신화 in:고대에도 한류가 있었다" 지식산업사 2008

      8 任晳宰, "우리나라의 天地開闢神話 in 耕學 金永敦博士 華甲紀念 敎育學論叢" 螢雪出版社 1977

      9 임재해, "신라 금관의 기원을 밝힌다" 지식산업사 2008

      10 장회익, "삶과 온생명" 솔 1998

      11 전국역사교사모임, "살아있는 한국사교과서 1" 휴머니스트 2002

      12 김성호, "비류백제와 일본의 국가기원" 지문사 1996

      13 임재해,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 민속원 2006

      14 임재해, "맥락적 해석에 의한 김알지 신화와 신라문화의 정체성 재인식" 비교민속학회 (33) : 575-621, 2007

      15 임재해, "단군신화로 본 고조선 문화의 기원 재인식" 고조선단군학회 19 : 277-372, 2008

      16 임석재, "관북지방무가" 문교부 1966

      17 임재해, "고조선문화의 지속성과 민속신앙의 현실적 전승 인식 in:고조선의 정체성과 지속성" 서울역사박물관 2010

      18 愼鏞廈, "고조선문명권 형성의 기본구조 in:고조선의 정체성과 지속성" 서울역사박물관 2010

      19 윤내현, "고조선 연구" 일지사 1994

      20 성삼제, "고조선 사라진 역사" 동아일보사 2005

      21 임재해, "고조선 ‘본풀이’의 역사인식과 본풀이사관의 수립" 고조선단군학회 21 : 350-407, 2009

      22 愼鏞廈, "韓民族의 形成과 民族社會學" 지식산업사 2001

      23 愼鏞廈, "韓國 原民族 形成과 歷史的 傳統" 나남출판 2005

      24 "管子"

      25 李丙燾, "檀君說話의 解釋과 阿斯達 問題 in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81

      26 "東國李相國集"

      27 孫晉泰, "朝鮮神歌遺編" 鄕土文化社 1930

      28 赤松至誠, "朝鮮巫俗の硏究 (上)" 朝鮮總督府 1937

      29 "新增東國輿地勝覽"

      30 蘇在英, "延烏․細烏 說話攷" 국어국문학회 36 : 1967

      31 "帝王韻紀"

      32 金庠基, "國史上에 나타난 建國說話의 檢討 in 東方史論叢" 서울대학교출판부 1984

      33 愼鏞廈, "古朝鮮 國家形成의 社會史" 지식산업사 2010

      34 鎌田純一 校訂, "先代舊事本紀 in 先代舊事本紀の硏究" 吉川弘文館 1960

      35 鄭求福, "三國遺事의 史學史的 考察 in 三國遺事의 綜合的 考察"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36 "三國遺事"

      37 "三國史記"

      38 Ernst Cassirer, "Language and Myth" Dover Publications Inc. 195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4 0.7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