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비판적 성찰

        한미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eek some ideas which can activate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Korean Christian faith and academic commun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the following three issues and alternatives were discussed; the rise and development of Korean Christian education,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and the alternatives for overcoming the current crises. Since the 21st century arrived, university departments of Christian Education are faced with a challenge by the managerial logic. Furthermore, it is the reality of today’s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that similar disciplines like pastoral counseling and practical theology unnecessarily compete with it. Thus the author deeply contemplated and suggested some ideas as the plausible resolutions for the current crises. First, a new way of teaching and teacher training must be sought. As far as the current teaching conditions used, the digital divide between old teacher and young student will accelerate. Lastly,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as the academic discipline needs to update its research and instructional technologies in order to advance its academism in a wider academic context including global CE networks. The Korean Christian education is now asking at the crossroad, “Will our children teach their children as we are?”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기독교 신앙 및 학문 공동체에서 논의되고 실천되어온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의 출발과 발전과정, 그리고 현재의 당면한 위기에 이르기까지 비판적 시각에서 성찰하여 한국에서 기독교교육학이 확고하게 자리매김하는 학문이 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해 보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발생은한국에서 크리스천 공동체가 처음으로 형성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둘째, 신학교육기관의 설립은 한국 기독교교육학의 발생과 관련이 깊다. 교역자를 양성할최초의 신학교육기관인 평양 신학교가 1901년 설립되었으며 그곳에서 기독교 교육은 실천신학 과목이나 목회학 과목 속에서 다루어 졌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기독교교육학회와교회학교들의 연합도 한국기독교교육학의 발전에 공헌한 바가 크다 하겠다. 넷째, 한국의기독교교육학은 그 시대정신을 반영하는 여타의 기독교학문과 그 맥을 같이 하여왔다. 60년대 이후 한국 교회는 산업화와 정치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예수가 제시한 복음과 진리의 길을 따르는 것이 곧 그 시대의 우리들에 대한 요청(소명)이라고 믿어 왔다. 이러한 예수의식과 제자양육에 관한 생각과 경험들을 좀 더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성찰한 것들을 함께 나누는 장이 곧 학회가 되었으며, 기독교교육학의 발전은 대학에서 기독교교육학이 교수되고 연구되어야 활발히 발전 할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가 제안하는 한국기독교교육학의 위기 극복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대의 아동 및 청소년과 기성세대와의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를 해소하기위해 첨단 매체를 이용한 교육방법 및 교사교육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21세기 기독교교육은 하이터치(high touch)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마음의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 내에서 교사를 지원하는 자들이 줄어들고 전문적인 교사훈련이 축소되거나 사라지고 있다. 그들에게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은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일군으로서의* 이 논문은 한국 기독교교육학회 2010년 11월 20일 추계 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한 논문임. 소명교육일 것이다. 넷째,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은 기독교교육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조직화하는 연구와 교수기능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더 나아가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기독인재상을 연구하여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이제는 기독교교육학회의 궁극적인 목적과 성과를 학문 후속세대가 살아갈 시대적 요청에 비추어 되새겨 보아야 할 때이다. 기독교교육학자들의 연구가 교회현장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연구가 되기위해서는 기독교대학과 교회와 기독교교육학자들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기독교교육학의 미래는 위기이고 어둡다고 했지만 이 땅에 교회가 존재하는 한 기독교 교 육 학 은 계 속 될 것 이 기 때 문 에 미 래 가 암 울 하 다 고 는 생 각 하 지 않 는 다 .

      • KCI등재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

        윤경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의 성찰과 반성’이라는 큰 주제 아래 “분단 70년, 한국 기독교의 권력유착 사례와 그 성격”을 논구한 글이다. ‘분단 70년’을 고려할 때 2015년까지 다루어야 했으나 이 연구대상 시기는 해방 이후 미군정기(1945-1948), 이승만 집권기(1948-1960), 박정희 군사집권기(1960-1971) 그리고 유신 독재기(1972-1979)까지 한국교회와 정권유착 관계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와 그 성격을 다루는데 그쳤다. 첫째, 미군정기 권력유착과 한국 기독교 특히 교회문제는 적산불하(敵産拂下), 곧 패전한 일본의 한국 내 재산처분을 미군정이 처리하는 과정에서 한국교회가 받은 특혜를 중심으로 천착했다. 둘째, 이승만 정권하에서의 권력유착 문제는 그 정권이 ‘기독교 정권’이라 할 만큼 여러 특혜를 받은 구체적 사례를 적시했다. 반공이념을 국시로 내세우면서 상대적으로 친기독교적 정책을 펼친 이승만 정권에서 진행된, 예컨대 종교인들에 대한 각종면세 혜택을 비롯해 군대와 형무소 안에 실시한 군종제(軍宗制)와 형목제(刑牧制) 등을 비롯해 일요일과 크리스마스를 공휴일로 정한 것과 공영방송을 통한 기독교 선교방송 허용, 기독교방송국 설립 허가, 그리고 국가의 주요 행사를 기독교적으로 실시한 것 등등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셋째, 박정희 군사정권 하의 권력유착관계를 좀 더 천착해 구명했다. 먼저 군사정권 초기의 기독교계 추이를 돌아보며 베트남 파병과 군목파견에 따른 정권유착과 대통령조찬기도회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권력유착관계, 전국신자화운동 등을 추진하면서 권력과 한국교회 특히 교회지도력과의 권력유착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끝으로 유신독재기 권력유착 사례를 이 시기 진행된 초대형 전도집회와 이러한 초대형 집회를 가능하게 한 물적 토대(物的土臺) 제공자 역할을 한 기독실업인회에 대해 구명했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통해 해방 이후 한국교회와 기독교계는 종교적 전도와 선교를 내세웠지만 매우 정치적이었으며 권력과 유착한 정치집단의 성격이 강하였음을 부인하기 어렵게 되었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해방 이후 지난 70년간의 한국교회와 기독교는 교세로는 매우 크게 성장 발전했다 할 수 있으나 본래 기독교 복음정신에 비추어 볼 때 매우 세속적이었다는 자기반성과 성찰이 요구된다 하겠다. 특히 개신교의 탄생을 가능하게 한 루터의 종교개혁 500주년을 2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한국 기독교계는 자기성찰과 반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writing that reviews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cases and nature of Korean Christianity’s adhesion to power’ under the big theme of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The period to 2015 should be dealt with when considering ‘Seventy years after national division' but this study only dealt with the specific cases and nature on the adhes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hurch and regime in Regime of U. S. Army(1945-1948), Rhee Syng-man’s reign(1948-1960), Park Chung-hee’s military reign(1960-1971) and Yushin(Revitalizing Reform) dictatorship period(1972- 1979). First, adhesion of power during Regime of U.S. Army and Korean Christianity, especially the church problem was explored with a focus on enemy property transfer(敵産拂下), that is, special favors given to Korean Church in the proces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ndling defeated Japan's assets in Korea. Second, the power adhesion problem under Rhee Syng-man government pointed out specific cases of receiving many privileges enough to call the regime as ‘Christian regime’. We examined specific cases conducted in Rhee Syng-man government that carried out the relatively pro-Christian policies while presenting the anti-Communist ideology as a national policy, for example, designation of Sundays and Christmas as holidays including military chaplaincy and Prison chaplaincy implemented in the military and prisons including various exemptions for religious people and permission of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through public broadcasting, approval of establishment of Christian broadcasting system and Christian major events of the country. Third, power adhesion relations under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were further explored. We first reviewed the trends of the Christian world in the early military regime and examined the specific cases on adhesion of regime caused by dispatch of armed forces to Vietnam and army chaplain dispatch, power adhesion relations with a focus on Presidential Prayer Breakfast and adhesion of power made between power and Korea Church, especially with church leadership while promoting national believers movement etc. Finally, power adhesion cases during the Yushin dictatorship period were examined for mass missionary meeting conducted during this period and Christian Business Men’s Committee who played a role as a material foundation provider enabling these mass meetings. Through these case studies, it can be said to be difficult to deny that although asserting religious evangelism and mission, Korean Church and the Christian world after the liberation were very political and had the strong nature of political groups that adhered to pow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ongregation of Korean Church and Christianity is considered to have developed and grown very significantly for last 70 years after the liberation but self-reflection and introspection on being very worldly in the light of the original spirit of the Christian gospel are required. In particular, the reflection and self-reflection of Korea Christianity can be said to be further required in a situation with two years ahead of the five hundredth anniversary of the Lutheran Reformation that enabled the birth of Protestantism.

      • KCI등재

        한국 강제병합 전후 일본 여성 기독교인의 한국 인식: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와 일본YWCA를 중심으로

        가미야마 미나코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5

        . 본 논문은 한국 강제병합기(1894년 청일전쟁부터 1919년 3.1 독립운동 시기까지를 중심으로)에 있어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 그 중에서도 이 시기에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여성 단체로서 활동하고 있던 ‘일본기독교부인교풍회’(1886년 설립. 이하, 교풍회)와 일본 YWCA(1905년 설립. 이하, YWCA)에 소속된 여성들의 한국 인식을 고찰하였다. 특히 양 단체의 기관지, 즉 교풍회가 발행한 「도쿄부인교풍잡지」(이후 「부인신보」)와 YWCA가 발행한 「메이지의 여자」(이후 수차례 개명 후 현재는 「YWCA」)에 게재된 한국 인식의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한일 기독교사에 있어서의 여성 그리스도인을 통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고, 두 단체에 있어서의 당시 기독교 이해 및 선교 이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청일·러일 전쟁 시기에는 ‘조선의 독립을 지원하는 일본’으로서의 모습을 연출하는데 일본의 기독교 여성들도 지원 활동을 전개했지만, 한국 강제병합기에 들어선 이후부터는 교풍회와 YWCA 모두가 공통되게 일본의 식민지하에 놓인 한국의 상황을 그대로 긍정하며 받아들이고 있다. 또한 1919년의 3.1독립운동에 관해서는 한국에서 발생한 ‘소요사건’이라는 이해에 머물면서도, 한국인에 대해서 동정과 유감의 뜻을 나타내며 정치적 상황과 기독교 신앙과의 관계 가운데서 갈등하고 있음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교풍회가 YMCA보다 일본의 식민지화 정책에 더욱 적극적인 협력의 태도를 보인다. 결국, 당시의 일본의 여성 그리스도인들은, 일본의 국책이라는 거대한 물결에 피동적으로 휩쓸려 가면서, 남성 그리스도인들 앞에서 스스로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개진하지 못하고, 기독교 신앙과 일본의 제국주의의 양립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 결과 ‘망국조선’을 영적으로 각성시켜 구원의 길로 이끄는 손길로서의 선교 활동이 자진들에게 맡겨진 사명이라고 믿으며 그 역할을 잘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거기에는 한국인을 향한 동정이나 한국인 차별에 대한 반성을 재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기는 했지만, 식민지 지배 자체에 대한 비판적 견해나 고뇌, 갈등은 찾아볼 수 없다. 그 근저에는 뿌리 깊이 존재하는 한국인에 대한 일본인의 ‘우월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한국인에 대한 동정 심리나 반성적인 기사의 내용들도 그러한 우월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포스터의 신앙공동체 이론을 통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연구

        김영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out new insights to apply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Korean churches by diagnosing problems in the reality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and by looking at different ideas and theories, through Foster’s multicultural education of communities of faith through which transformation embracing diversity can integrate with traditions,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where multicultural society is rapidly in progress. The purpose begin with, raising the questions,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and understand basic i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Why could Forster’s educational theory of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be the alternative?’and this study deals with the background of the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and the framework of education. I sought to derive education models of his multicultural community of faith from the visions of existing together, practicing together, hoping together. and I reinterpreted Foster’s theory and described actual programs(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models) applicable to situations within the Korean society and Korean churches for the Christian people in ecclesial communities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on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 communities of faith presented by Foster’s will lead to the education designed to bring about a new awareness especially to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forms of education including community, different ways of life, the embrace of diversity, and hospitality, unlike conventional education focusing mainly on knowledge acquisition, such as professor-based instruction, school-based education, etc. Secondly, this study based on Foster’s education theory is not a study accepting indiscriminately or denouncing western theories, but a study suitable for situations in Korean society and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with a holistic perspective. It can be presented as a study which may establish a system of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divided states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nd Christia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t can also be seen as a basic theory of multicultural ministry which forms the perfect blend of theory and practice, such as new institutions, pastoral approaches, re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inistries, and pastoral counseling. Thirdly, this study can present directions for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that bring regions and the world together. I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method of recovering churches again as the place of the public community and making them coexist with their regions and neighbors beyond their internal dimension through education connected to communities includ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and to other relevant communities or local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will provide alternative pathways for problems and for the statu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allenges of multicultural societies that Korean churches are facing. Now I am hoping this study will be a paper acting as the pump priming water to give directions and points of application to Korean churches through Christia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inistries.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화가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에서 급속하게 진행되는 오늘의 한국 상황에서, 전통과 변혁의 통합교육과 다양성을 포용하는 다문화적 신앙공동체를 추구하는 포스터의 이론에 기초하여,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 현실의 문제점을 진단하며,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개념 및 다양한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한국교회 다문화 기독교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통찰력 모색함을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먼저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기본이해와 한국의 연구동향은 어떠한지?, 왜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제기한다. 그리고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의 배경과 교육프레임, 다문화 신앙공동체교육 재개념화에 대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포스터의 이론을 종합, 정리하여 성인초기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실제 프로그램(다문화 기독교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과거 전통적인 교육 구조, 즉 지적인 차원에만 초점을 둔 교수중심, 학교식중심 등의 교육과는 달리 공동체적, 다양성, 포용성, 환대성 등을 포함한 교육구조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과 특별히 다문화 기독교교육 부분에서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는 교육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서구의 이론들을 무비판적으로 답습,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통전적 조망’으로 한국사회의 상황과 한국교회의 실상과 맞는 연구로서, 특별히 한국의 분단과 연결하여 통일교육에 대한 부분과 새터민 등 탈북이주자에 대한 부분들도 연계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연구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목회적 부분, 즉 한국교회의 전문적인 다문화목회에 있어 새로운 제도와 목회방식, 다문화적 목회상황 재정비, 목회상담 등 이론과 실천의 온전한 조화를 이루는 다문화목회의 기본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셋째, 포스터의 다문화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에 근거한 다문화 기독교교육 연구는,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세계 지역화(glocalization)를 준비하는 다문화 기독교교육의 방향성을 정립하며, 삶의 장인 지역사회와 각 유관기관과 연계한 교육으로, 교회의 내적 차원을 넘어서 지역과, 이웃과 공존하며, 외적인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는 공적공동체의 자리를 다시 한번 회복시킬 수 있는 대안 연구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교회가 직면한 다문화 기독교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들에 대한 한 대안으로 제시되며, 한국교회의 다문화 기독교교육과 다문화목회의 적용점과 방향설정에 대한 마중물교육의 연구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3개 기독교교육 학술지 논문제목에 나타난 주제어 동향분석 연구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9 기독교교육논총 Vol.0 No.60

        This research paper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1,025 academic papers that have been published over 13 years (Jan. 2006 – Dec. 2018) in the academic journals of the three mai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in Korea (Korean Societ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orea Society for Christian Educ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Korean Society of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existing research papers that have focused on the thematic trends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papers, this paper is the first to focus specifically on the papers published in the three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The reason why this paper focuses on these three academic associations is that the majority of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in Korea is affiliated with one or more of these associations. The reason for this research paper's focus on the last 13 years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in Korea is that prior periods have already been covered in a Christian education literature compendium, published by Professor Oh In-tak,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catalogues the Bibliography of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between 1945 and 2005 in Korea. The author of this research paper is the successor of Professor Oh's compendium and will be publishing a new edition of the compendium that further covers the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literature of the past 13years (publication expected in January 2020). This research paper draws on the research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the new edition of the compendium and specifically focuses on the academic literature produced by the three main Korean Christian education academic associations. This paper has categorized the titles of the 1,025 academic papers into 52 sub-themes, which can be captured under the 3 major themes of (i) "church and faith"-related themes (13 sub-themes), (ii) "education"-related themes (24 sub-themes), and (iii) "situation"-related themes (15 sub-themes). The paper analyz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3 major themes and the 52 sub-themes in the academic paper tit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sub-themes that appeared with the highest frequencies under (i) "church and faith" were faith, spirituality, Bible / Scripture, and community, (ii) "education" were Christian education, youth, parents, teachers, and character, and (iii) "situation" were Korean reunification (peace), culture and multi-culture, environment and ecosystem, and elderly (aging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sub-themes that appeared with the lowest frequencies under (i) "church and faith" were God's land, mission work, and doctrine, (ii) "education" were public education, entrance examination,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iii) "situation" were violence and other them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three most common individuals to appear as sub-themes across all 3 major themes were Calvin, Comenius, and Jesus. Notably,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n individuals were rarely the thematic subjects of these academic papers, and references to Biblical characters were predominantly focused on Jesus and Paul. One conclusion of the paper is that Christian education scholars in Korea should focus their academic research more on the individuals tha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136 year-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본 연구는, 한국을 대표하는 3개 기독교교육학회(한국기독교교육학회,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한국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의 학술지(기독교교육논총, 기독교교육정보, 복음과교육)에 지난 13년간(2006.01-2018.12) 게재된 1,025개의 논문을 분석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기독교교육 연구논문 분석에 대한 몇 번의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위 3개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하는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다. 특별히 이 세 학술지를 선택한 이유는, 한국 기독교교육학자들 대부분이 이 3학회 중 어느 한 곳에 속해 있거나 또한 중복하여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논문을 굳이 최근 13년간으로 한정하게 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오인탁교수가 1945년부터 2005년까지 60년 동안의 한국기독교교육학문헌목록을 수집하고 분류하고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어진 후속연구는 자연스럽게 2006년 이후의 것이 되었다. 공교롭게도 필자가 후속연구자가 되어 2018년 12월까지 13년 동안의 기독교교육학 연구문헌들을 최종 편집하게 되었다(2020년 1월 발행 예정). 13년 동안 수집 된 한국기독교교육학문헌 목록내용 중, 3개 학술지에 실린 논문만을 별도로 선정하여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3개 학술지 1,025 논문 제목에 나타난 주요 52개 주제어를, 교회와 신앙영역(13항목), 교육영역(24항목), 상황적 영역(15항목) 등 세 영역으로 분류하여 연구빈도수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빈도수는 다시 전체별, 학술지별로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여 살펴본 결과, 교회와 신앙 영역에서는 신앙, 영성, 성경(성서), 공동체 등이, 교육영역에서는 기독교교육, 청소년, 부모, 교사, 인성 등이, 상황적 영역에서는 통일(평화), 문화 및 다문화, 환경(생태), 노인(고령) 등의 항목이 높은 연구빈도수를 나타내 보였다. 반면, 교회와 신앙 영역에서는 하나님 나라, 선교, 교리 등이, 교육영역에서는 공교육, 입시, 평생교육 등이, 상황적 영역에서는 폭력, 4차산업혁명 관련 항목들에 대한 연구빈도수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인물연구 영역에 있어서는 세 학술지가 공통적으로 칼빈, 코메니우스, 예수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모든 학술지가 공통적으로 한국인물에 대한 연구가 인색한 것과, 성경인물 연구는 예수와 바울 두 사람만 다루어진 것을 볼 수가 있었다. 선교 136년을 맞이하는 선교한국의 기독교교육자들에 대한 연구와 성경인물에 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아진다.

      • KCI등재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정위

        노영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8 No.-

        이 글에서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의 개념을 정의하며 그 학문을 정위시키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로 학문성의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학문성의 여섯 개의 조건에 대해 설명한 다음, 신학과 기독교윤리학이 그런 학문성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언급하였다. 두 번째로 미국의 기독교윤리학자 제임스 거스탑슨(James M. Gustafson)의 윤리에 대한 정의를 사용하여 기독교윤리학의 학문성에 대해 탐구하였다. 세 번째로 본 논문은 개인윤리와 다른 사회윤리의 영역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학문적 위치를 규명하려 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거쳐, 필자는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 개념을 다음과 같은 한 문장으로 정리하였다. : “한국 기독교 사회윤리학이란 나름의 기독교 사회윤리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먼저 서구사회와 다른 한국사회의 독특한 상황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하며, 한국적 입장에서 일관되게 정리된 신앙과 신학을 가지고, 개인윤리의 영역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사회구조와 제도들의 개선과 사회정의 실현 및 사회변혁에 대해, 인간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성경과 교리적 전통의 입장에서 반성하고, 나름의 사회윤리적 실천들에 대해 탐구하며, 이에 대해 우선은 다른 교단의 구성원들과 의견을 조율하고, 더 나아가 교회 밖의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공적인 합의를 이룬 다음, 이를 바탕으로 하여 목회적이며 사회적인 실천을 책임성을 가지고 결단하고, 이러한 실천의 이행에 따른 결과를 평가 하는 바, 일군의 전문적인 기독교 사회윤리학자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신앙과 합리성의 양면을 겸비한 학문을 의미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d how we would define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rightl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essential conditions of scholarship, firstly. After I referred six conditions of scholarship, I showed a learning as theology satisfied those conditions. Secondly, I examined the scholarship of Christian ethics, using the definition of Christian ethics by James M. Gustafson. Thirdly, this paper explained social ethics, distinguished from personal ethics. Especially, I said Christian ethicists had developed the inquiry of social ethics in advance of the philosophical ethicists. In conclusion, I defined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by line as followings.: “Korean Christian social ethics is a study, having both sides of faith and rationality, done by the research groups such as professional Christian social ethical scholars with its own ethical methodology, which analyzes Korean social situations different from the west by the tool of social sciences, refl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present social structure and social institutions, realizing social justice and transforming society not to be solved in the field of personal ethics, with faith and theology adjusted in a Korean point of view, in the perspective of the Bible and doctrinal traditions emphasizing human sociality, investigates the social ethical practices, tunes up different views of practices among various denominations, makes a public consensus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people outside of church, decides on the contents of ministerial and social practices with his own social responsibility, and evaluates the results following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 KCI등재

        기독교상담에 대한 기독교 상담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장동진,김용태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사용하여 기독교상담에 대해 한국의 기독교 상담자들이 지니고 있는 주관적 인식유형을 파악하여, 각 인식유형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4개의 유형이 의미 있는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첫째로, “하나님과의 관계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와 하나님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상담자의 전문성이나 기독교와 상담학의 통합보다도 성령님과 함께하는 활동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로, “하나님의 관점과 성화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내담자가 하나님의 관점을 갖고, 성화의 과정을 걷도록 함이 강조되며, 일반상담 기술의 사용에 대하여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갖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로,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한 통합 중심 인식” 유형은 기독교상담에서 기독교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 기독교와 상담학의 통합을 강조했으며, 마지막으로 “전인적 회복을 위한 상담학의 통합 중심 인식” 유형은 상담자가 지닌,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내담자를 해석하려는 태도를 조심할 것을 강조하며, 내담자의 전인적 회복을 위하여 상담학과의 통합을 강조함이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Christian counseling among Korean Christian counselors base on Q–methodology. In this study, 4 types of perception were identified. The first type, named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God,” emphasizes the client’s relationship with God in the Christian counseling. The second perception type was named as “focused on the perspective of God and sanctification” and it emphasizes to make the client has God’s perspective and be sanctified. The third type, named “focus on the integration which i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especially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Christianity and counseling and Christian worldview. The last type was named as “focus on the integration which is for the recovery of holistic being.” They beware the counselor’s attitude to interpret the clients with Christian worldview and to have stereotype to the client.

      • KCI등재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와의 관계

        서정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3

        한국기독교 수용자의 한 축을 이룬 인물이 이수정이다. 이수정의 기독교 수용은 한국 프로테스탄트 수용역사에 있어 지식인계층 수용의 중심축을 이룬다. 이로써 비교되기를 만주의 서상륜과 ‘로스성서’ 번역자들에 의한 수용 루트가 민중계층 수용의 특성을 지닌 것과 달리 일본을 기점으로 하는 기독교 수용은 ‘양반, 엘리트’ 수용의 특징으로 함축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렇듯 이수정은 한국 프로테스탄트역사에서 엘리트 수용자의 대표적 첫 당사자이다. 그동안 그의 연구는 개인의 생애, 활동, 미국선교사들의 한국선교 착수를 권고하는 선교사 유치 노력, 그리고 특별한 업적으로 성서번역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연구는 한국기독교 수용 역사에서 이수정의 위치를 충실히 정리해 주는 주제들이다. 그런데 본 논문에서는 이수정의 프로테스탄트 수용 활동의 바탕, 즉 ‘콘텍스트’가 되는 당시의 일본, 일본기독교, 그리고 이수정과 관련되었던 일본의 조력자들을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기독교 수용역사에서 일본이 지닌 역할, 하나의 중요한 관계 축으로서의 의의를 확인하는 주제이다. 이수정은 한국기독교의 수용자일 뿐 아니라 한일기독교 관계사의 첫 사람이다. 그는 또한 한국 신구교의 연결 정체성을 지니기도 했다. 또한 미국선교사의 한국선교 유치를 주도하고, 첫 선교사들의 내한에 관여함으로 한미기독교의 중간자로서도 역할을 하였다. 결국 이수정은 서로 다른 주체 간의 관계를 성립시키는 사명을 다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이수정과 일본기독교의 관계, 더 나아가면 한일기독교의 초기 관계사의 관점에 유의했다. 이수정 시대의 한일 기독교, 물론 이 시기의 한국기독교의 실체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말이다, 아무튼 긍정적 관계에서 출발했다. 일본의 초기 기독교인들은 이수정을 한 예로 만나면서 자신들의 선교자로서, 더 근본적으로는 크리스천으로서의 사명을 발견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기독교 상담사의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 연구

        김정수(Jung Soo Kim)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4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counselors' participation in public or private counseling-related projects. Christian counselors are also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public counseling services for reasons such as negative percep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and interest in public contribution as a Christian counselor. In this study, it were discusse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Christian counselors' participation in public counseling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opic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counseling projects from KCS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ofessionalism of Christian counselors, active participation in counseling, and meaningful social contribution were confirmed, and the necessity and significance of more professional network construction and activities were discussed. Finally, discussions for the development of KCSN were also presented. 최근 상담사들의 공공 또는 민간 상담관련 사업 참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독교 상담사 역시 한국에서의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기독교 상담사로서의 사회 기여에 관심을 갖는 등의 이유로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에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와 한국목회상담협회가 설립한 사단법인 한국상담서비스네트워크의 상담사업 참여 경험을 바탕으로, 기독교 상담사의 대사회적 상담서비스 참여 필요성과 의의를 논하고, 발전 방향성과 주제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독교 상담사의 전문성 확인, 적극적 상담 참여, 의미 있는 사회 기여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전문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활동의 필요성과 의의를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KCSN의 발전을 위한 논의점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학문공동체성 함양을 위한 연구

        박상진,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Society forthe Study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KSCRE) and suggest ways to consolidateits identity as an academic community by extracting related factors. KSCRE is asynthesis of diverse academic generations, multitudinous practice fields, and variedacademic disciplin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s of recognition, participation,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membership periods, practice fields, and academicmajors of the participants.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is 70, among whichjunior scholars and leading ministers responded most actively. The return rate was35.9%,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f KSCRE activity, it is shown that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had the lowest average; there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Identity as a KSCRE memberand belongingness were also lowes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memberships of3-5 years and among those who were enrolled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The participants considered “the need of diversified academic perspectives andresearch areas” and “the need to change KSCRE” as the most important issue and“the absence of cooperative research among scholars and ministers” as the mostserious problem. Second,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was the lowest among the three factorsof recognition,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was even lower compared with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which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erewilling to actively participate in KSCRE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theacademy. However, the mean of the participation rate decreased in practice,whic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from various aspects. To grow as a soundacademic community, KSRCE needs to sufficiently announce their activities andevents to their members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member participation. Third,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subcategorized as satisfaction with organizationaloperations, conferences, and academic books and journals. For each subcategory,group with a participation background of 5 to 10 years, group covering primaryand secondary schools, and group with majors in Christian Education showed thehighest mean, whereas the mean for those with memberships of 3 to 5 years wasthe lowest. With regard to the satisfaction with academic books and journals, themean utilization rate was lowest for research and/or education purposes. This isdirectly related to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study of Christian education, whichpossibly threatens the academic community, and thus a follow-up examination ofthis matter is need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easures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for participation, form close relationships,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oryand practice, provide occasions for diverse academic discussions, and enhancemutual solidarity in life. 이 연구는 학문공동체를 진단하는 요인들을 추출하여 한국기독교교육학회의 현황을조사하고, 학문공동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한국기독교교육학회에는 다양한 학문세대와 실천현장, 전공분야가 존재한다. 따라서 참여자의 학회 활동기간과 실천현장, 전공분야에 따라 학회 활동에 대한 인식도와 참여도, 만족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참여자는 총 70명(남 43명, 여 27명)으로 주로 신진학자들과 중진목회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난다. 설문 회수율은 35.9%이며,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 활동 인식도(M=3.84, SD=.58)는 3-5년 간 학회 활동을 한 집단의 평균이 가장 낮았으며, 집단 간 평균의 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원으로서의 정체성 및소속감 또한 3-5년 간 활동한 집단과 석⋅박사과정 학생들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회원들은 ‘다양한 학문적 관점 및 연구 분야의 필요성’과 ‘학회 변화의 필요성’을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학자와 목회자가 연계하는 협력적 연구의 부재’를 가장심각한 문제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회 활동 참여도의 평균(M=2.99, SD=.92)은 세 요인 중 가장 낮았으며,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회원들은 학회의 발전을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할 자세가 되어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참여도의 평균은 감소하였다. 건강한 학문공동체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회에서 주관하는 활동에대해 충분히 안내하고, 회원들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학회 활동 만족도(M=3.50, SD=.60)는 학회 운영 만족도, 학술대회 만족도,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로 세분하여 조사하였다. 하위요인마다 5-10년 간 활동한 집단과 초⋅중⋅고등학교에 속한 집단, 기독교교육 전공 집단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반면, 3-5년 간 활동한 집단의 평균은 모든 요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한편, 학술도서 및 학술지 만족도에 대한 문항 중 ‘연구나 교육 시 학술도서 및 학술지 활용’의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학문공동체성을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후속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이 결과들을 토대로 균등한 참여 기회의 제공, 친밀한 관계 형성, 이론과 실천의 연계 강화, 다양한 학문적 논의의 장 마련, 삶에서 상호 연대감 증진에 대해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