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최현실(Choi Hyeon-Si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 가정의 증대에 따른 한국사회의 통합의 원리를 서구의 다문화주의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동안 다민족국가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싱가포르의 다민족 통합사례인 ‘상호성의 원리’를 찾아 적용하였다. 싱가포르와 중국의 다민족적 역사는 비록, 국가주의적 사회주의적 통합의 성격이 강하지만, 이들 양국의 소수민족정책을 면면히 살펴보면, 그 속엔 민족과 인종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의 문화와 언어를 존중하며 공존하는 다문화적 사회통합이라 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칙’이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는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된 다인종국가이지만 성공적인 사회통합을 이루고 있다. 그 첫 번째는 싱가포르 사회의 구성원이 사회적 성공을 향유하기 위한 조건으로 ‘민족에 상관없이 실력우선’을 취해 다인종적 위계질서를 지양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중 언어와 종합교육정책을 통해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사회통합정책을 적극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공공주택정책을 통해 국가의 경제성장에 따른 이익을 경제적 소외자와 각 민족에게 골고루 나누어 사회통합의 장애를 제거하였다는 점이다. 싱가포르의 민족과 인종, 종교를 구분하지 않는 동등대우 그리고 교육과 언어정책의 공평성, 경제적 형평성의 유지정책은 한국에 이주해온 외국인들과 그 자녀들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향후 한국사회에 생산적 주체로 양성되는데 좋은 사례가 된다. 한편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당고조 2년(619년)에 만들어진 민족정책의 기본원칙조서와 追中前弊(추중전폐), 당태종의 夷夏一家(이하일가), 오늘날 중국정부의 當家作主(당가작주) 등에서 민족자치구역의 전통이 있어 오랜 역사동안 소수민족이 민족적 특수성을 유지한 채 중국 사회와 융화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상호성의 원리’가 나타나고 있다. 중국의 역대 정책에 나타난 ‘상호성의 원리’를 한국사회의 통합정책에 적용한다면 한국어 교육만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다문화가정 자녀가 원한다면 부모나라의 문화와 모국어를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교육기관에서도 한국인을 대상으로 초ㆍ중등 교과에 사회연구(Social Studies) 과목을 설치하는 등 다문화교육(Multi-cultural Education)을 강화하여 외국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등 상호간의 문화이해를 확대한다. 그 외에 제도적 장치 안에 결혼이민자들이 적극적으로 의사표명을 할 수 있는 공식 체널(예를 들어,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내에 자조집단을 마련하고 지도자를 양성하여, 이들의 목소리를 국가 및 지방정부의 기관에 전달하는 채널)을 마련하는 것도 향후에 고려해 볼 다문화적 사회통합의 방안이 될 수 있다. This manuscript has finding principle of integrating society in Korea, instead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from multiculturalism of the Occident. I intend to find 'reciprocity principle' from the instance of China and Singapore. which have preserved the multiracial nation for a long history, and apply it to th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The 'reciprocity principle' does not make any excuse of differentia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confucian value's being connected with a value system, which conforms with the universal faith and emotion of the Oriental people. Instead, it actively admits the difference on an open position, and tries to accept it. The reciprocity principle also includes community position, which values much of members' mutual agreement on and observance of values and goals the society commonly seeks after. Although this kind of principle was derived from a position different from liberalistic position, it is considered to be on the same track with the Western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history of Singapore and China mostly represents confucian, communal, nationalistic, and socialistic integration. It also shows the union and the assimilation at the same time. However, if you closely examine each nation's policy of minority race, you will discover the 'reciprocity principle,' which respects cultures and languages, regardless of the nation and race. Singapore is a multiracial country of people of Chinese, Malaysian, and Indian. However, it has succeeded in integrating the society as one. 'Singapore's only one policy' includes not only the national communalism, but also the 'reciprocity principl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Singapore maintains the multicultural rank and order through 'the merit system regardless of the race' so that members of society can enjoy the social success. Even though people of Chinese descent account for the majority and hold the merit advantage, Singapore, through the bilingual education and the general educational policy, actively promoted the society-integrating policy where various races coexist with each other. Also, Singapore got rid of the obstacles to integrating the society by raising the rate of moving into public housing to 89%, and by distributing profits from the economic growth to each race and those economically estranged. The policy of Singapore is an essential element in cultivating those immigrated into Korea and their children to be the productive subject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lso, it is a good example that implies a policy, which aims at equal treatment regardless of nation, race, and religion, fairness in education and linguistic policy, and maintenance of economical balance, is needed in integrating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China consists of 56 races. And, 'reciprocity principle', in which minority races, for a long history, can maintain their racial peculiarity, and develop cultures in harmony with the Chinese society, is well described in the record of basic principles of racial policy written in the second year(619) of the Danggojo reign. It is also found in the principle of Chujungjeonpye(To make the people feel at ease by removing tributary states, being friendly with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staying away from the troubles), Dangtaejong's Ihailga(To Make all the minority races a family by governing them with virtue), and the Chinese government of today's Danggajakju(Minority races act as the owner of the land they reside in, and govern their territories by themselves).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China includes the idea of Hwaibudong(Get along well with others, but do not mix with people for no good reason) and the principle of Dobyeonghaengibulpae. Also, through coexisting mutually, respecting the harmony and differences, and opposing to the single homogeneity, it has served to let cultures of other races keep the peculiarity and develop for itself with

      • KCI등재

        한국화교로 본 한국의 다문화주의 성찰

        안미정(An, Mi-Jeong),우양호(Woo, Yang-H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 한국민족문화 Vol.56 No.-

        서구의 다문화주의 이론이 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판적 고찰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이 글은 한국의 오랜 이주집단인 화교를 통해 한국의 다문화주의를 성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화교는 한국의 소수민족 집단, 디아스포라 혹은 ‘이방인’ 등 단일민족 담론 속에서 차별을 받아 온 오래된 이주집단으로 지적되어 왔다. 세계 여러지역의 화인들과 달리 한국화교들은 대부분 출신지가 중국의 산동성이며, 거주국이 아닌 대만의 국적을 가지고 있다.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한국화교의 특징을 이 글에서는 한국사회와의 상호작용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한국화교들의 재이주하는 현상은 한국사회의 이념적 편향성, 민족국가 담론, 경제활동영역의 축소와 같은 내부적 압력으로 인해 그 출구를 외부세계에서 찾은 결과이다. 한국의 역사적 변동에 따른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산물인 것이다. 이들의 재이주는 단지 차별받은 이들의 이주인 것만이 아니라, 한국사회로서는 일찍이 문화적 다양성을 경험할 수 있었던 기회를 상실해버린 것과 다름없는 것이었다. 또 한국화교의 대만 국적 선택은 흔히 해방 후 한반도의 냉전체제 산물로 귀결되곤 하지만, 식민지시대로부터의 연장선상에서 개입된 동아시아 국제관계의 영향임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즉 중국 대륙과 한반도에 형성되어 있던 식민주의와 반공주의의 두 개의 이념이 공진(共振)하는 속에 이뤄진 것이다. 이처럼 한국화교가 세계의 화교화인들과 다른 특징은 그 집단의 본질적 특징이 아니라 한국사회와 함께 변동해 온 결과이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이문화란 민족과 국가를 중심으로 ‘타문화’로 지칭되고 있지만, 한국화교가 보여주고 있는 것처럼 타문화는 자문화와 별개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상호관계 속에서 서로 형성되어 왔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다문화주의가 한국사회에 요청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부분일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flect on multiculturalism in Korea, Western theories of multiculturalism is seen through the ethnic immigration group of overseas chinese(Korea-Hwagyo) in Korea. Korea-Hwagyo is an old immigrant group in Korea. They are minority groups, diaspora or "stranger" and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in a Korean ethnic discourse. The Korea-Hwagyo hometown, unlike in many regions, most of Shandong Province(山東省) of China, Taiwan is their nationality. This is not the nationality of the country of residence. Overseas Chinese Korea has a number of features across the nation and the country. I looked at this in terms of interaction with the Korea Society. Many Korea-Hwagyo are re-immigration to other area that it can be seen as early as the Korea Society ditches to lose the opportunity to experience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they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aiwan is not the only effect of the Cold War.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of South Korea"s colonial indicator is also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Korea-Hwagyo had to choose their nationality in the two ideologies that are in colonialism and anti-communism. These points are another feature of the Korea-Hwagyo and Overseas Chinese in the world. It is the result of a variation of the Korea society together. It is called "cross-culture" in Korea and refers to the "Other culture" based on ethnicity, nation and race. However, as Korea-Hwagyo is showing us that culture should be recognized in correlation to each other. It is requested that multiculturalism in Korea will be because to say that multiculturalism must recognize these inter-relationships.

      • KCI등재

        다문화사회에서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한국 민속 교육의 설계

        이성희(Lee, Sung-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2 한국민족문화 Vol.43 No.-

        세계화 추세로 인해 ‘이주’가 두드러지게 되어 다문화적 양상이 가속화되어 이제 다문화적 상황은 한국문화와 세계문화를 이해하는 중요한 코드가 되었다. 이에 대학에서의 한국 민속 교육 또한 세계화와 다문화 추세에 발맞추어 더 넓은 지평으로 확대되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대학의 민속학 교수?학습에 있어서 다문화 사회에 필요한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방안을 설계해 보았다. 대학생들이 민속 지식을 구성적으로 이해하며 실제 직업 세계에서의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다문화 사회에서 세계인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하면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할 수 있도록 PBL(Problem-Based Learning)의 교육공학적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의 출신국인 중국과 한국의 민속을 상호문화적 시각으로 이해하고, 실제 세계와 연관된 체험적 지식으로 이끌기 위해 양국의 ‘端午’ 민속을 비교해 보고, 상호 이해할 수 있는 구성주의적 교수 방안을 설계했다. 현재 한국에서 유학하고 있는 외국 학생들의 경우 학교 외의 현장에서 한국인들과 심도 있는 만남을 갖기 어렵다. 한국 학생과 함께 하는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한국인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 학생들은 외국 학생들과 팀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민속을 타자의 시각으로 조망해 보는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다양한 민속 지식 중의 하나인 ‘단오’에 한정하여 연구했지만, 앞으로 다양한 민속 지식에 관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한국 대학생들과 외국 대학생들이 진정으로 타 민속을 이해하며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계기들이 민속 교육 현장에서 이뤄지길 바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 한국 민속 교육의 한 시도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다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미리 고민해 보고, 다문화인으로 살아가야 하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확인하며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상호문화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반응 및 결과물을 통해 교수?학습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을 후속 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sample of folklor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which are composed of both Korean and Chinese students.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essential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folklore education. Secondly, this paper makes a teaching sample of the "Dan-Oh(단오)" using a PBL(Problem-Based Learning) method.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stablish "intercultural competence"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is paper designs a class for Korean and Chinese students. That is because Chinese students are the majority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y classes. They are about 75% among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it designs a class which has several specific aims. Firstly, let the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knowledge of "Dan-Oh(단오)". Secon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ir own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working world. Thirdly, let the students increase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i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 구성 방안 연구

        김형복(Kim, Hyoung-Bok),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8

        본 논문에서는 몽골의 설화를 대상으로 하여 그와 유사한 한국 설화를 선정한 다음, 두 설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화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몽골 지역은 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교육이 기록된 책(또는 교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구전에 의한 옛이야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 역시 옛이야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에 흥미를 보인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존 한국 문화교재를 분석하여 개발 방향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몽골과 한국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재의 구성 원리를 다음 5가지로 제안했다. 첫째, 몽골인 학습자에게 친숙하여 학습 동기와 흥미가 쉽게 유발되고 스키마 활성화가 용이한 몽골 설화를 이용한다. 둘째, 모티브가 유사한 두 나라의 설화 비교를 통해 양국 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함으로써 문화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양국의 설화 비교를 통해 습득한 문화 내용은 한국 생활 적응에 필요한 문화 행위로 전이될 수 있도록 연습 활동을 해야 한다. 넷째, 옛이야기인 설화를 바탕으로 문화교육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그 내용이 과거 전통 문화에만 국한되어서는 안 되며 현대한국 문화와 연계해야 한다. 다섯째, 문화 학습도 결국은 한국어 사용을 통해 이루어지고 그 목표도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문화 학습 활동은 읽기, 말하기, 쓰기, 듣기의 언어 기능과 통합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교재 개발 원리를 바탕으로 몽골 설화 〈거북이와 원숭이〉와 한국 설화 〈구토설화〉를 예시로 하여 실제 단원의 개발을 통해 단원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 way to construct Korean cultural textbook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by comparing Korean folktales with representative stories of Mongolian stories. Since the Mongolian region is based on nomadic life, the learning was done by old stories based on oral traditions rather than books and textbooks. As a result, Mongolian Korean learners were interested in learning Korean through old stories. The significance and effect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storytelling has already been discussed in several studies. I analyzed the Korean cultural textbooks developed so far and examine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inted the problems out. Most of Korean textbooks are conveying Korean cultural knowledge unilaterally, and the activity of comparing learner’s culture with Korean culture is also fragmentary. First of all, as in this paper, there were no textbooks to suggest and compare Korean culture, starting with learner-centered interest and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five principles as the constitution principle of Korean culture textbook comparing Mongolian and Korean folktales. First, Mongolian folktale, which is familiar to Mongolian learners, facilitate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facilitates schema activation. This is a learner-centered textbook in that it is approached by learner interest and learner culture. Seco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should be improved by comparing the tales of two countries with similar motif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have become a crucial issue. Therefore, by comparing two tales, learners can understand and accept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 two cultures. Third, cultural contents acqui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arratives of both countries should be transferred to cultural activities necessary for adaptation of life in Korea. The most useful way to transfer cultural knowledge to cultural activities is "comparison". It is necessary for the textbook to design various exercises so that the learners can actively compare cultures out of the fragmentary cultural comparison activities. Fourth, because the 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the story of the old story, its content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past, but should be linked with modern Korean culture. Because it is meaningful to the learners how the value of the past has changed in the past. In other words, foreign learners need to understand how Koreans think and act in everyday life. Fifth, cultural learning should be integrated with language functions of reading,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because cultural learning is eventually achieved through using Korean language and its goal is to improv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based on the principle of developing these textbooks, this paper develops and presents actual units by exemplifying Mongolian tale 〈A turtle and a monkey〉 and Korean folk tale 〈A turtle and a rabbit〉.

      • KCI등재

        일본의 요괴 설화와 한국의 도깨비 설화 비교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 연구

        이행선(Lee, Haeng-S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한국민족문화 Vol.77 No.-

        설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모티브를 지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전승되는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가 이야기 속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가 내재되어 있는 설화 비교를 통해 그 속에 들어 있는 문화적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내어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데 활용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를 활용한 문화 교육에 초점을 맞추고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도깨비 설화와 일본의 요괴 설화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 문화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다. 일본인 학습자에게 도깨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이해시키기 위해 먼저 학습자에게 친숙한 일본 설화를 선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한국 도깨비설화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설화 〈목수와 오니로쿠〉와 한국의 도깨비 설화 〈도깨비를 골탕 먹인 농부〉를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본인 학습자에게 익숙한 〈목수와 오니로쿠〉의 내용을 먼저 학습함으로써 일본의 오니와 유사한 한국의 도깨비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요괴와 관련된 배경 지식을 갖춘 상태에서 도깨비 설화를 접하게 되면, 학습자 스스로가 이들 사이의 연관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설화 속에 나타난 한국의 자연 환경 및 생활 방식, 도깨비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등이 일본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활동을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꾀하였다. 뿐만 아니라 설화 텍스트에 제시된, 문화적 의미가 담겨 있는 한국어 표현도 같이 학습하기 때문에 언어 교육적 효과도 클 것이다. Folktales have a common motif around the world,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always reflected in the story and influenced by each other. It is worthwhile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find out cultural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stories. Therefore, this thesis focuses on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of Japanese Oni Tales and Korean Dokkebi Tales, for Japanese learners. To help Japanese learners understand Koreans" perceptions of Dokkebi, I first selected Japanese Oni folktales that are familiar to learners. And I selected the Korean Dokkebi story that corresponds to this. And then, I focused 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using the Japanese folktale 〈Carpenter and Oniroku〉 and the Korean folktale 〈The farmer who fed the dokkebi〉. Japanese learners have an interest in Korean dokkebi similar to Japanese oni by learning the familiar contents of 〈Carpenter and Oni Roku〉. If they come into contact with dokkebi story while they have background knowledge related to Oni, learners themselves will be able to fully grasp the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thesis showed how Koreans" natural environment and lifestyle, and how Koreans think about dokkebi differs from Japan through a comparison of Korean and Japanese folktales. In addition, this thesis showed the possibility of language education effect because Japanese learners learn Korean expressions with cultural meanings as well.

      • KCI등재

        일본과 한국 설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 교육 연구

        이행선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3 한국민족문화 Vol.86 No.-

        최근 일본에서는 대학을 비롯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된 강좌가 신설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를 교수-학습하기 위한 내용이나 방법, 교재 등은 제대로 준비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일본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이때 학습자의 흥미와 문화에 초점을 두기 위해서 일본의 설화와 함께 그에 대응되는 한국 설화를 활용하였다. 먼저 일본 설화를 제시하고 그와 관련되는 한국 설화를 제시함으로써 일본인 학습자가 자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를 스스로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통해 양국의 설화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사항을 학습자들이 포착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인 학습자에게 널리 알려진 일본 설화 13편을 선정하여 각 설화의 서사 구조, 중심 소재, 주제 등의 측면에서 유사한 한국 설화를 대응시켰다. 다음으로, 양국 설화의 비교를 통해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였고, 문화 요소를 활용한 활동을, 일본의 <방귀쟁이 며느리(へっこき嫁さん)>와 한국의 <방귀쟁이 며느리>를 통해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 다문화담론과 로컬리티의 이원성

        김승환(Kim Seung-Hwa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3

        세계화의 시대에 지역문화의 개념과 범주는 대략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세계적인 시각에서의 지역문화는 동아시아문화, 북아프리카문화, 라틴아메리카문화, 시베리아문화와 같은 지구적인 개념이고 둘째, 광의의 지역문화는 한국문화, 중국문화, 일본문화와 같이 국가적인 개념이며 셋째, 협의의 지역문화는 부산문화, 청주문화, 광주문화와 같은 지방적 개념이다. 지역문화의 특질이라는 의미에서의 로컬리티는 원래의 의미와 다르면서 지연되는 데리다적 차연(differance) 현상이 발생하는 장(field)이다. 이것은 사용 주체의 세계관, 사상, 의식 등을 반영하면서 자기정체성을 확보하려는 일종의 언어적 인정투쟁의 산물이다. 한국의 문화단일주의는 근대 초기에 저항주체들의 저항에서 강화되었다. 1900년대 초 최남선이나 신채호와 같은 민족주의자들은 단군신화를 신비화하면서 식민지/반식민지의 조선인들에게 민족적 일체감과 문화적 동일성을 심어주었고, 이것이 문화순혈주의라는 단문화주의의 토대가 되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는 문화상대주의적 시각에서 문화적 다양성, 혼종성, 다원성, 복합성, 이질성을 받아들였다. 하지만 받아들인다는 피상적이고 표상적인 차원에서 다문화주의일 뿐, 실제로는 문화순혈주의의 인력 때문에 문화동화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또한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 또는 문화절대주의의 경향이 강하여 타자의 문화를 상대적으로 인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국문화는 지역적 특질 즉 로컬리티를 유지함으로써 민족문화로 존재할 수 있다. 세계적 지구문화(geoculture)의 환경에서는 역설적으로 단문화주의와 문화순혈주의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세계화의 시대에 요구되는 다문화주의와 문화다양성은 민족문화의 순혈주의적 인력(引力)에 가로막혀 있는 형국이다. 다시 말해서 다문화주의가 거꾸로 단문화주의를 용인하고 문화다양성이 거꾸로 문화단일성을 용인하는 모순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다문화주의와 단문화주의의 길항(拮抗)이다. There are three kind of regional cultures. First, regional culture in the global perspective would be understood as East Asian Culture, North African Culture, East European Culture and so on. Second, broad regional culture would be Korean Culture, Japanese Culture, China Culture etc. Third, narrow regional culture as in Korea would be Busan Culture, Cheongju culture and Gwangju culture which are used in one nation state. In these perspectives, each category of the regional culture has its own local identity. I would use locality of the regional culture in the perspective of one nation state like Korean Cultural locality. But we call it not as jiyeokseong(地域性) but as locality because of several reasons. Korean Culture as a regional culture has distinctive cultural environment which organizes its own cultural ecosystem. Locality can be interpreted as local characteristics, but there is a subtle phenomenon of differance as said by Jacques Derrida. Korean monoculturalism has been enforced during the modernization for th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Nationalists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mystified the Dangun Myth which resulted in the Korean cultural homogeneity. Moreover, mystification of the myth established the monoculturalism and Ideology of the Korean Pure Blood. As said by B. Anderson, Korean under the colonial rule might make an imagined community with the cultural homogeneity through language Chosunoe, language of Korean. This monocultural climate in Korea came across the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diversity during the 1990s. Disposition of Korean's monocultural idea oppressed and gave symbolic violence toward the immigrants and other residents in South Korea. Multiculturalism in Korea has adjusted to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change of history textbooks around the year of 2004. Finally, Korean assimilated cultural diversity, heterogeneity, plurality, multiplicity as moving from nationalism to the open ideology. Unexpected problems has come to this issue. Korean culture could exist through its established regional culture in the global cultural ecosystem. If we have a geocultural perspective within this world cultural ecosystem, Korean culture must keep its monoculturalism and its Ideology of the Korean Pure Blood ironically. It is an ironical phenomenon of culture, because Korean culture is itself a regional culture and must keep its cultural identity. In this cultural circumstance, Korean monoculturalism is the global multiculturalism and cultural sameness is the global cultural diversity. It is the parallel antagonism of culture in Korea.

      • KCI등재

        한국 거주 고려인의 음식문화 변용에 관한 연구

        김영술(Kim, Young-Sool)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80 No.-

        이 연구는 한국 거주 고려인의 음식문화 변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고려인의 음식이 거주국에서 에스닉푸드(ethnicfood)로서 위치에서 한국에서 국가(state)와 민족(nation) 중심의 내셔널푸드(nationalfood) 과정으로 변화를 고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과정을 모국 음식문화의 보충이거나 개인이나 집단의 음식 취향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거주 고려인 음식 소비 형태는 고려인 식당과 고려인 식료품 가게의 증가로 인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둘째, 한국 거주 고려인의 음식문화의 일상 변화는 일상 식사 메뉴 및 소비 형태에서 사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세대별, 출신 국가별 음식 소비 차이는 음식 취향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젊은 층으로 가면서 점차 한국 음식 소비는 늘어나고 있다. 러시아 출신 고려인들은 러시아 음식을 선호한다. 우즈베키스탄 출신 고려인들은 우즈벡 음식을 선호한다. 식습관은 조금씩 바뀌고 있다. 고려인들은 입맛, 세대별, 지역별에 따라 중앙아시아 음식이나 러시아 음식에 대해서는 거리를 두거나 심지어 이들 음식은 고려인 음식에서 거의 찾지 않는 분화도 발생하고 있었다. 반면에 고려인들은 고려인 음식을 소비하면서도 외식을 통한 한국 음식의 소비는 확장되고 있다. 고려인들은 배달 문화 변화에 적응해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거주 고려인의 음식문화 변용은 생존을 위한 적응 전략으로 보인다. 고려인은 한국 음식문화에 친밀감 또는 연대를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관계보다는 고려인 음식에 우선순위를 두는 관계를 하고 있다. 따라서 고려인의 음식문화를 민족의식이나 민족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정체성과 그리고 음식 소비형태(선호도)와 연결시켜 본다면 한국 음식과는 아직도 거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on the changes of food culture of Goryeoin living in Korea.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 of Korean food from ethnic food in the country of residence to national food process in Korea. In this study, this process is viewed as a supplement to the home country’s food culture or as an individual or group’s food tast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od consumption patterns of Goryeoin living in Korea is continuously maintained due to the increase of Goryeoin restaurants and Goryeoin grocery stores. Second, it is about the daily change of the food culture of Goryeoin living in Korea. In the daily meal menu and consumption patterns of Goryeoin, the food culture of Goryeoin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son. The difference in food consumption by generation and country of origin differ according to food preferences. Korean food consump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s the younger generation goes. Russian-born Koreans prefer Russian food. Koreans from Uzbekistan prefer Uzbek food. Eating habits are changing little by little. According to tastes, generations, and regions, Goryeoin distanced themselves from Central Asian and Russian food, or even these foods were differentiated from Goryeoin food. While Goryeoin consume Goryeoin food, the consumption of Korean food through eating out is also expanding. Goryeoin are adapting to the changing delivery culture. Nevertheless, the change of the food culture of the Goryeoin living in Korea seems to be an adaptation strategy for survival. Goryeoin have a relationship that prioritizes Goryeoin food rather than social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intimacy or solidarity with Korean food culture. Therefore, if we connect food culture of Goryeoin with national consciousness or identity as a member of an ethnic community,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preferences), it can be said that it is still far from Korean food.

      • KCI등재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 함양을 위한 한국 주거문화 교육 방안 연구

        박정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2 No.-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주거문화교육의 방향을 ‘토포필리아’로 설정하고,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토포필리아’는 인간의 본능적 성향으로 최초의 낯선 장소라도 인간이 그 장소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발전하는 ‘장소 애’, 즉 장소에 대한 애정과 애착을 의미한다. ‘토포필리아를 위한 주거문화교육’은 ‘장소로서의 지각’, ‘장소로서의 태도’, ‘장소로서의 가치’를 함양하는 교육이다. ‘장소성’의 상실을 경험한 결혼이민자는 한국 다문화사회의 중요한 사회통합 대상이다. 결혼이민자의 토포필리아를 함양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이들의 한국사회 내 안정적 정착과 건강한 사회통합을 위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방법적 대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밝히기 위해 본 연구는 토포필리아의 특성과 교육적 중요성을 논의하였고, 결혼이민자의 주거문화 이해 양상과 실태, 한국문화교육에서의 주거문화교육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밝혔다. 다음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국어・한국문화를 교육하는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나타난 주거문화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토대로 ‘토포필리아로서의 주거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the direction of Korean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s as 'topophilia', and suggested the content and method of education. Topophilia is an instinctive human tendency, meaning affection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is, love and attachment to a place that develops gradually as humans give value and meaning to the place even at the first unfamiliar space.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for ‘topophilia’ is education that cultivates ‘perception as a place’, ‘attitude as a place’, and ‘value as a place’. Cultivating the topophilia of married immigrants can ultimately serve as a method alternativ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ir stable settlement in Korean society and healthy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elucidate such content,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importance of topophilia,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previous studies on the understanding patterns and conditions of married immigrants’ residenti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we looked at the aspects of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shown in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Lastly, based on the above content,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residential culture education as a topophilia’ was designed and the practice of education was presen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