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분류 제안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방법과 수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학문 목적’과 ‘취업 목적’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의 수요자들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수요자를 대상으로 교육은 하고 있는데, 과거의 분류에 의해서 교사의 재량으로 교육하는 형편이다. 수요자에 맞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형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대한민국의 각 관청에서 시행하고 있다. 또 각 관청은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각자의 기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국내 학습자’와 ‘국외 학습자’로 분류하였다. ‘국내 한국어 학습자’는 ‘결혼이민자’, ‘중도입국 자녀’, ‘다문화 자녀’로 구분하였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에 입국한 유학생’, ‘교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입국하는 난민’, ‘국외 해외동포 자녀’까지 포함시켰다. 한국어 학습자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 확충과 교사 양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단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국가별 언어와 문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The subject of our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the learner to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orrectly the learner, teacher have to know the suitable way and approach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that various government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 Also they do in each other by a himself criteria. So when they conduct to overlap and repeat for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Korean teachers. In this study, the Korean students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marriage immigrants, immigration midway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Korea, the culture, the work. This study include a refugees in Korea and Korea diaspora children at overseas. Korean students classify proposed to be achieved by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Korean language classify, that just two, ‘student’ and ‘working’. This subject insist ‘Korean students’ and ‘Foreigner student’ from studying purpose. The former purpose to get Korea citizenship, the latter just foreign language for self-purpose. ‘Korean students’ is ‘marriage immigrants’, ‘multicultural children’. ‘Foreigner student’ is ‘student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culture student’, etc.

      • KCI등재

        언어 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의 지향성 및 태도와 한국어 성취도 간 관계 - 국내외 재외동포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이민경(Lee, Minkyu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7 No.-

        이 연구는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가 경험해 온 가정, 교육 기관, 사회에서의 언어 환경에 따라 한국어 학습에 대한 지향성과 태도가 어떠한지를 조사하고, 언어 환경에 따른 한국어 학습의 지향성 및 태도와 한국어 성취도 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한국어만 사용하거나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모두 사용한 언어 환경은 KO,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고 그 외의 언어만 사용한 언어 환경은 O로 분류하였다. 한국어 학습의 지향성과 태도를 살펴본 결과, 가정 언어 환경에서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은 O 집단이 유의미하게 한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가 KO 집단보다 높았다. 학습의 지향성 및 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가정 언어 환경 O, 교육 기관 언어 환경 KO, 사회 언어 환경 KO 집단에서 한국인에 대한 태도가 도구적 지향성과 통합적 지향성, 한국어에 대한 흥미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의 지향성 및 태도와 한국어 성취도 간의 관계는 가정 언어 환경 KO, 교육 기관 언어 환경 O 집단이 도구적 지향성과 한국어 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는 재외동포 학습자가 자신이 경험한 언어 환경에 따라 어떠한 한국어 학습의 지향성과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들의 한국어 성취도에 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소를 발견하여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국내외 재외동포들이 지닌 다양한 특성과 한국어 성취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the language environment at home, educational institution, and society experienced by Korean heritage learne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Korean based on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Korean achievement. A language environment in which only Korean or both Korean and other languages were used was classified as KO, and an environment in which only other languages were used was classified as O. After examining the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Korean, it was found that Group O in the home language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in learning Korean compared to Group KO.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and attitude, the attitude toward Korean in the home language environment O, educational institution language environment KO, and society environment KO group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strumental orientation, integrative orientation, and interest in Korean. The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and attitude toward Korean and Korean achieve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orientation and Korean language achievement in the home language environment KO and educational institution language environment O grou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and provided factors that could serve as variables in Korean heritage learners’ Korean achievement. I expect that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heritage learners according to the language environment and their Korean achievement.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최정선,권미경,최은경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2

        본고의 목적은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참여한 한국어 교육기관의 학습 자가 온라인 학습에 대해 가지는 인식과 만족도를 분석하여 실시간 온라인 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학습자 96명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기대도, 만족도, 선호도, Webex 프로그램 ․ 학습 기기 ․ 수업 에 대한 인식, 참여도,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시간 온라인 학습 시스템 활용의 용이성, 교수자들이 제공하는 콘텐츠,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 등이 학습자들의 학습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학습에서 수동 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학습 참여도도 높지 않았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시간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도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참여할 수있는 역할을 부여할 수 있는 콘텐츠와 활동 개발, 상호작용 활성화 전략, 학습자들의 동기 유발 방법과 참여도를 높이는 방법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학습 기기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므로 휴대폰에 적합한 수업 콘텐츠와 수업 전략의 개발도 필요하다. 후속 연구를 위해 실시간 온라인 학습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심층 인터뷰, 대학부설 한국어기관 학습자뿐만 아니라 학부 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학습 수요자에 대한 비교 연구도 제안하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7-2, 247-278.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real-time online learning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levels of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al program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96 learne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t D University to find out the levels of their expectation,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n the virtual classes, their perceptions on Webex program, learning device, and class progress,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the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ase of using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system, contents provided by instructors, and strategies for activating interactions increased the learner satisfaction levels. However, learners played a passive role in learning,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es was not high. Therefore, we proposed the development of contents and activities that can giv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participation in real-time online learning situations, activating strategie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ways to increase learner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re were students experiencing difficulties when using a mobile phone as a learning device, so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class content and a teaching strategy suitable for them. For follow-up studies, we also suggested in-depth interviews on real-time online learning perception and satisfaction and comparative studies on various online learning consumers including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learners of Korea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were proposed.(Dongguk University)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불안과 문화적응 연구

        주월랑(Ju Woalra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양상을 논의하기 위해서 베트남과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에 대한 평균값을 측정하였으며, 이후 여성결혼이민자의 각 변수(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적,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거주기간에 따라 문화적응(F=3.076,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기간에서는 언어불안(F=2.829,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과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관, 한국어 학습기간이 문화적응과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국적별로 분리하여 상관성을 측정한 결과,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의 경우,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이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 문화적응이 높아질수록 언어불안이 낮아지지만, 베트남 출신 여성결혼이민자는문화적응이 높아져도 언어불안은 낮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국적별로 언어불안과 문화적응의 상관성은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국 여성결혼이민자의 거주기간,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학습기관은 문화적응이나 언어불안 간의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살핀 본 연구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단순히 제2언어 환경에 단순히 노출되는 상황이 지속 되더라도, 문화적응을 높이면서 언어불안을 낮추기 위한 개인적 및 사회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discuss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of femalemarriage immigrants targe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and China. To begin with, average values of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were measured andafterwards, in order to verif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of female marriageimmigrants(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the study carried out t 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came up with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residence-length-based cultural adjustment(F=3.076, p<.05) while nodifferences in nationalities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observed. Regarding lengthof Korean language learning, only language anxiety presented significant differences(F=2.829, p<.05). In addition, when the study investigated correlations of language anxiety, cultural adjustment andeach of the variables, it learn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nationalities, length of residence, Korean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and length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ould not affect correlationsbetween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 anxiety. However, the nationality -based correlationsurvey showed 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Vietnam, their language anxiety andcultural adjustmen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en language 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ose results confirmthat as for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 China, the higher their cultural adjustment gets,the lower their language anxiety gets while in term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fromVietnam, even when their cultural adjustment increases, their language anxiety doesn’t decrease. In other words, the nationalitie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ad to correlations with languageanxiety and cultural adjustment and yet, no correlations with cultural adjustment and languageanxiety were caused by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length of residence, length of Koreanlanguage learning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itution. What the results above signify is thatin spite of exposure to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personal and social efforts shouldbe required not only to increase cultural adjustment but also to decrease language anxiety.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 대한 어휘 교육 연구

        심혜령 ( Hye Ryeong Shim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한국어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그런데 외국어를 통하여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의 다양한 측면을 학습해야 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어휘력 즉 `얼마나 많은 어휘를 알고 그 어휘들의 형태, 의미, 활용 등의 다양한 정보를 아는가` 하는 것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구어 표현을 위해서는 기본어휘 외에 이른바 고급 어휘 즉 연어, 관용어, 속담, 감탄사, 고유명사 등의 어휘를 아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학습 경험이 적은 초급학습자들에게는 배우기 힘든 어휘들이다. 그런데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는 특별한 언어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즉 한국어 학습에 모국어가 영향을 미친다는 점, 문화적 기반을 같이 한다는 점, 한자어를 공통으로 사용한다는 점, 발음적으로 유사성을 가진다는 것 등을 잘 이용한다면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도 문법 부담이나 어휘 외적인 부담을 최소화한 가운데 충분히 다양한 영역의 어휘를 습득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글에서는 공기관계, 관용어, 속담, 감탄사, 고유명사를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학습할 수 있게 할 방안을 제시함으로 해서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보다 나은 어휘 학습의 기회를 줄 수 있음을 보이려 한다. To Korean learners,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study is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foreign language, you would have to study a variety of aspects of the language. However, between all those aspects, vocabulary, that is, `how much vocabulary a person knows, and understands the various information of form, meaning or inflection of those vocabular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for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 it is necessary for a person to know advanced vocabulary such as phrases, idioms, proverbs, exclamation and proper noun, and yet these are difficult vocabulary for beginners who has little study experiences. But Chinese learners have special linguistic basement. That is, if we properly use the facts such as mother tongue affects Korean study, Chinese and Korean shares cultural basis, both use Chinese characters, and has similarity in pronunciation, we can make Chinese learners to acquire vocabulary of various fields through the lowered burden of grammar and domains other than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show that we can give better opportunities of studying vocabulary to Chinese beginners by stating a way to make them learn co-occurrence, idiom, proverb, exclamation and proper noun.

      • KCI등재

        중외합작 교육기관 내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유소소 한국어학회 2023 한국어학 Vol.100 No.-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in Chinese-foreign cooperative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s paper first introduced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universities’ participation in Chinese-Foreign Cooperation in Running Schools (CFCR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FCRS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as of April 2023, there were a total of 208 officially established Chinese-Korean cooperative colleges and programs in Chines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a total enrollment capacity of 18,816 new students.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in these educational institutions as a driving force for academic achievements in related field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elected and analyzed 93 stud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learners in CFCRS educational institutions conducted by scholars from both China and Korea. It focused on trends with respect to year, type, author affiliation, methodology, and topic, thus presenting an outlook on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고에서는 그간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중외합작판학(中外合作办学)’ 학습자를 대상으로 행해진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언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 대학의 ‘중외합작판학’ 참여 현황을 소개하고 중외합작 교육기관 내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중국 교육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2023년 4월 기준 중국 고등교육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설치된 ‘중한합작판학(中韩合作办学)’ 단과대학 및 프로그램 수가 208개에 달하였고 전체 신입생 모집 정원이 18,816명에 이르렀다. 이는 해당 교육기관 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관련 분야 학술 성과물 산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그동안 중국과 한국 양측 학계에서 축적되어 온 중외합작 교육기관 내 학습자 대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물 93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도별, 유형별, 저자소속별, 방법론별, 주제별로 그 동향을 고찰하였다.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국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에 대한 어휘 교육 연구

        심혜령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To Korean learners, the ultimate goal of language study is improve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foreign language, you would have to study a variety of aspects of the language. However, between all those aspects, vocabulary, that is, ‘how much vocabulary a person knows, and understands the various information of form, meaning or inflection of those vocabular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for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 it is necessary for a person to know advanced vocabulary such as phrases, idioms, proverbs, exclamation and proper noun , and yet these are difficult vocabulary for beginners who has little study experiences. But Chinese learners have special linguistic basement. That is, if we properly use the facts such as mother tongue affects Korean study, Chinese and Korean shares cultural basis, both use Chinese characters, and has similarity in pronunciation, we can make Chinese learners to acquire vocabulary of various fields through the lowered burden of grammar and domains other than vocabulary. Therefore in this study, I’d like to show that we can give better opportunities of studying vocabulary to Chinese beginners by stating a way to make them learn co-occurrence, idiom, proverb, exclamation and proper noun. 한국어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의 궁극적 목적은 한국어를 통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다. 그런데 외국어를 통하여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언어의 다양한 측면을 학습해야 하겠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어휘력 즉 ‘얼마나 많은 어휘를 알고 그 어휘들의 형태, 의미, 활용 등의 다양한 정보를 아는가’ 하는 것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다양한 구어 표현을 위해서는 기본어휘 외에 이른바 고급 어휘 즉 연어, 관용어, 속담, 감탄사, 고유명사 등의 어휘를 아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학습 경험이 적은 초급학습자들에게는 배우기 힘든 어휘들이다. 그런데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는 특별한 언어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즉 한국어 학습에 모국어가 영향을 미친다는 점, 문화적 기반을 같이 한다는 점, 한자어를 공통으로 사용한다는 점, 발음적으로 유사성을 가진다는 것 등을 잘 이용한다면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도 문법 부담이나 어휘 외적인 부담을 최소화한 가운데 충분히 다양한 영역의 어휘를 습득하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이글에서는 공기관계, 관용어, 속담, 감탄사, 고유명사를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학습할 수 있게 할 방안을 제시함으로 해서 중국인 초급 학습자들에게 보다 나은 어휘 학습의 기회를 줄 수 있음을 보이려한다.

      • KCI등재

        한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문화 학습현황과 활용전망

        문형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Korean culture acquisition condi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In chapter II, “the Korean Culture Aquisition Process and Proficiency Level”, we looked into the actual state of their Korean language acquisition, speakers and the range of applications of Korean language. Most of the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go on to university with same peers speaking Korean at similar level after studying at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it turns up that many students are having troubles in understanding the class, especially with the technical terms and Korean proverbs, and this mean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taught with Korean culture. In chapter III, “Utilization and Prospect for Korean Culture”, we looked into correlationship between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and Korean language and expected future Korean language. Many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ould like to go on to graduate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and work in the fields related with Korean Language. Many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ants to go on to graduate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and work in the Korean language related fields. Futhermore, they expects that the needs for Korean language will be increasing with growing trade and cultural exchange of Korea. 이 논문은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문화 교육 실태를 점거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내 많은 외국인들 중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것은 한국내 외국인 유학생들 중 중국인 유학생들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Ⅱ장 한국어문화 습득과정과 구사정도에서는 한국어 습득 실태와 구사 대상 그리고 대학수업에서의 한국어 적용정도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한국어를 한국어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은 후 대학에 진학하고 있었고, 주로 같은 과 학우와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수업을 이해하는데 곤란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문 학술용어와 속담 등에 곤란을 느낀다고 밝히고 있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함께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Ⅲ장 한국어문화 활용전망에서는 대학 졸업 후 진로와 한국어의 상관성을 살펴본 후 향후 한국어에 대해 전망해 보았다. 많은 학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기를 희망하였고, 취업하더라도 한국어와 관련된 분야에 종사하기를 희망하였다. 중국내에서의 한국어 전망에 대해 무역규모 증대와 문화교류 확대 등을 이유로 계속 증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효율적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국적별 요구 및 만족도 분석 연구

        조인옥,정여훈,유현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8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Korean learner’s needs and satisfaction by nationality to develop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n language institute. A survey was conducted to see what the learner’s needs are and how the learners are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chool administration, everyday life including cultural perspective in Korea.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purpose of study and the courses they have chosen being converged to their nationalities, which means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learner’s nationalities first when designing the courses. Second, there was a certain tendency on the needs and satisfaction by the learner’s nationality, which means their needs could be predicted that we can develop the customized programs when needed. Lastly, we need to constantly survey on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to provide better environment for them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외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실제적인 요구를 파악하고 학습자 국적에 따라 맞춤형 관리 방안을 모색하여 교학 부분, 행정 부분, 생활 전반에서의 효율적인 유학생 관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들의 학습 목적과 선택한 한국어 과정이 학습자들의 국적으로 수렴되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외국인 유학생 관리가 결국 유학생들의 국적에 따라 변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들의 국적에 따라 학습자 만족도나 요구 사항에 대한 일정한 경향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학습자 요구가 예측 가능함을 의미하며 동시에 체계적 대응 방안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한국어교육 발전을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제적인 만족도와 요구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 연구

        김상수(Sangso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대부분의 한국어 교사는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일 뿐만 아니라 이들의 학업 수행과 한국 생활 전반에 깊이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가치관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과 한국 사회에 대해 갖게 되는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게 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들에게 필요한 가치관과 교육적 신념에 무엇인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사 54명에게 47개의 설문 문항을 제시하였다. 측정 방법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습관과 교과인지관, 교육관과 교과인지관 사이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어 교사들은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확고하고 긍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사의 교육적 신념과 가치 정립을 위한 지속적인 논의와 이들의 처우와 교육 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Most Korean teachers not only teach Korean to foreigners, but also have a great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and overall life in Korea.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that foreign learners have about Korean and Korean societ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beliefs and values of Korean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beliefs of Korean teachers and to discuss their values and educational beliefs. For this purpose, 47 questionnaires were presented to 54 Korean teachers. The five-point scale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learning center, the curriculum branch, and the curriculum branch of the curriculum,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tudents have firm and positive belief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support for Korean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