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

        최수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본고에서는 보조사 ‘(이)나’와 ‘(이)라도’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화용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이)나’와 ‘(이)라도’의 경우 기본 의미는 같을지라도 그것이 사용되는 화용적인 맥락은 상이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재에서는 이 두 문형을 모두 ‘차선책’이라는 기본 의미만으로 설명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교재만을 가지고 공부할 경우 ‘(이)나’와 ‘(이)라도’를 단지 ‘차선책’이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동의어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고에서는 드라마 말뭉치를 통해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밝혀보았다. 먼저 한국어 사전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의미를 살피고, 화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소들을 바탕으로 분석 기준의 틀을 세운 후 그 기준에 따라 드라마 말뭉치에서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형태・통사・의미에 대한 연구에 비해 미진했던 문형의 화용적 특성에 주목하여, 유사 의미를 가진 두 문형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화용적 특성에 기반하여 문법을 교육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hich are used in Korean education. The pragmatic difference between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he quasi-spoken corpus. First, the meaning of “(i)na” and “(i)rado” was examined in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nd textbooks. Second, criteria of analysis for their pragmatic featur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erms of utterance inten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such as their status and degree of intima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appropriate grammar depending on situations by focusing on not only the meaning, form, and syntax but also the pragmat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지역 한국어학과 학생을 위한 한국어 단기 연수 과정 연구

        김용경 ( Yong Kyung Kim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3 No.-

        현재 국내의 많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는 학습자의 요구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하계나 동계 방학을 이용 하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단기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단기 한국어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 목적, 학습 동기, 교포 대 비 교포, 학습자의 거주 지역, 학습자의 연령, 교육 기간, 학습 지역 등 다양한 변인을 고려 한 맞춤형 교육과정이 마련되고 이에 따른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러시아, 특히 연해주 지역에 거주하면서 한국어교육 또는 한국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기 한국어교육과정을 운영하면 서 나타난 특성과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수에 참가한 학생들은 담화 능력 신장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분단문화 체험, 자연 환경 체험, 전통 문화와 현대 문화 프로그램 운영에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단기 연수를 위해 제언하였다. 첫째, 한국어 단기 연수생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한 국어 단기 연수생에 대한 요구 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집중화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기관의 교수법 이론이 분명하게 제시되어 야 한다. 다섯째, 교육기관의 지역적 특성과 특화된 교육프로그램이 제시 되어야 한다. Currently, a lo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offers the various kinds of Korean language courses depending on the demands and features of learners. Especially, they are conducting the various short 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foreigners in summer and winter vacations. But, to be effective short term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foreign students, the course shall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purpose, and goal of learning Korean of students, ethnic Koreans and non-ethnic Koreans, locations of residence of the students, age of students, education period, and location of education center and others. In addition each Korean education center shall offer the differentiated education course which are proper for the center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found out by operating the short term Korean language courses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Education and Korean Study and residing in Primorsky Province, Russia and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them. Then, the short term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s are proposed which is proper for the learner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courses showedhigh degree of satisfactions over the education programs which were designed to grow the student``s conversational capacity and the courses on Korea``s division into North and South Koreas, the Korea``s natural environment, traditional cultures and modern cultural programs designed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education centers. Based on these results, in Section 5, several proposals are suggested for the effective short term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s. Firs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udents of the short term Korean language training courses. Second, the demand from the students is to be analyzed. Third, the theory of the teaching method for the students shall be clearly suggested. Fourth, regional features of the education center and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shall be clearly suggested. This study is designed to make the foundation for preparing the effective short term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s. It is desirable that in the future, more detailed education courses are prepared and the textbooks are made, thus giving more consideration to the characteristics, demands and level of the learners based on these discussion.

      • KCI등재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 개선 방안 연구

        김정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4 No.-

        본 연구는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이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개별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도구 개발의 준거로서 활용될 수 있는 타당한 등급 체계와 내용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의 개발은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의 국제적 통용성 확보와 체계적 실행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였다. 한편 이 교육과정은 국제적 통용성에 과도하게 초점이 맞추어져 등급 체계와 내용 구성 시 해외 초ㆍ중등학교 교육 현장의 환경 요인과 특성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논의점과 개선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초ㆍ중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시간 및 외국어 교육과정의 도달 목표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최종 도달 수준을 하향 조정하고, 기본 숙달도 단계인 A1, A2 등급을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 개발 과정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내용 체계를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나아가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내용 체계 전반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와 한국어 의사소통 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 교육과정의 특성에 맞게 교육 목표 및 능력 기술문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이 각 국가나 지역의 교육 여건과 요구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교과서 개발, 평가 도구 개발 등을 하는 데 준거가 되는 자료로서 기능하므로 그 명칭에서 교육과정이 아닌 ‘참조 기준’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KCI등재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

        강현진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ined word method of Korean word that appeared in the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word naming tasks, to examine the pattern of word formation, and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Korean lexicon of foreign learners. Based on onomasiological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tried to examine how Korean language units actually ope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The learners made Korean sentences and then created new words. In the results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se words, learners were using the agglutinative languag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new lexicon will resemble the Korean lexicon.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명명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조어 방식과 단어 형성 양상을 살펴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부의 특징의 일부 모습을 추정한다. 표현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언어 단위들 실제 어떻게 운용하는지 살피고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명명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과제 수행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단위를 선택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장을 형성한 후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이 나타난 단어를 새롭게 형성하였다. 제2 언어 한국어 어휘부는 모어 화자의 어휘부와 같이 한국어의 교착어 특성과 형태론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을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 KCI등재

        An Acoustic Study on English Tense-Lax Vowel Pair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Li, Jian Hua(이건화),Lee, Sook Hyang(이숙향)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화자와 한국어화자의 영어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산출의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의 화자집단 간 비교·분석이다. 피험자로 참여한 10명의 중국어모국어화자와 10명의 한국어모국어화자가 3쌍의 단어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를 3번 반복으로 읽었다. 각 모음의 제1포만트(F1)와 제2포만트(F2) 및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중국어화자는 주로 시간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한 반면 한국어화자는 주로 모음의 스펙트럼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펙트럼 특성상 일부 단어쌍에서 중국어화자는 F1값에서만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인 반면 한국어화자는 F1값과 F2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ʊ-u/ 단어쌍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 특성에서는 중국어화자는 세 단어쌍 모두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지속시간 간 차이를 보였지만 한국어화자는 /i-ɪ/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이 영어의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대조에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을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는 결과에 대한 한 가지 요인으로 L1의 부정적 간섭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10 Chinese and 10 Korean speakers served as subjects and read 3 pairs of words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 3 times. The first two formants and vowel dur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ense-lax vowel pairs mainly with temporal characteristics while Korean speakers mostly with spectr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spect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tended to differentiate tense from lax vowels in some pairs with the difference only in F1 while Korean speakers did with difference both in F1 and F2. Both Chinese and Korean speakers had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u/ from /ʊ/. With respect to tempo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he tense from lax vowels in all three vowel pairs while Korean speakers distinguished only in /i-ɪ/ but not in /æ-ɛ/ and /u-ʊ/ pairs. L1 negative transfer was suggested as one of the factors for the results that Chinese and Korean speakers did not use all the spectral and temporal features in tense vs. lax vowel contrast in English.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특성과 과업

        강은국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30 No.-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has been undertaken for sixty-odd years, during which it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merely less than 20 years. Many problems remain to be summed up and solved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long-term practice. This paper aims to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thereof in order to upgrade this undertaking. Based on a summary of the cause and an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it concludes that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 which is guided by the features of the learners’native language and the directive objectiv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differs from the case in South Koreaand other non-Korean-speaking countries and regions.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 is featured with two stages, namely, the rudimentary education stage and the specialty education stage. During the rudimentary stage, language proficiency is the objective, mainly achieved by the teaching and use of grammatical forms and other grammatical knowledge. During the specialty education stage, linguistic knowledge impartment is the major goal, achieved mainly by teaching Korean grammatical theories.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60여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20년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 실천에서의 많은 문제들이 아직 이론적으로 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 실천이 이론의 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기에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시급히 해결하고 한국어 문법교육을 질적으로 제고시키기 위해 본고에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60여년의 역사를 참답게 총화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모국어의 제 특성과 중국 교육행정에서 제정한 교육목표에 의해 한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이나 다른 특정 언어권의 학습자를 상대로 한 한국어 문법교육과는 달리 기초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과 전공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으로 대별되는 이중의 성격을 띤 문법교육으로 특징지어지며, 기초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은 문법적 형태를 중심으로 문법지식 전수와 용례 분석을 통해 한국어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진행되고, 전공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은 한국어 문법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전수를 통해 한국어 언어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진행되는데 이 양자는 서로 분리되면서도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통일된 유기체를 이루어야 한다.

      • KCI등재

        수학과 용어 유형에 따른 한국어학습자의 이해 분석

        도주원,장혜원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rrors in the conceptual im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erms in mathematics that are the basis for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solving the wor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o do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nalyze the specific conceptual images of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and terms that were not registered in curriculum but used in textbook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guide Korean language learners by using sufficient visualization material so that they can form appropriate conceptual definitions for terms in school mathema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sed in the hom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conceptual image of terms in school mathematics.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ssive term, which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rather than the active term. Fourth, eve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have difficulties in daily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instruct them on everyday language that are not registered in the curriculum but used in math textbooks. Fifth, terms in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taugh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errors that reflec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n in the explanation of terms. This recognition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eaching word problem solv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fferent linguistic background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문장제 해결에 기초가 되는 수학과 용어의 유형에 따른 한국어학습자의 이해 특성 및 오류유형을 파악하여 한국어학습자의 문장제 해결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 별도의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학습자 4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등재 용어와 교과서에 사용된 교육과정 미등재(정의/무정의) 용어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미지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어학습자가 수학과 용어에 대하여 적합한 개념정의를 정립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각화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학습자의 가정 내 사용 언어와 수학과 용어에 대한 적합한 개념이미지 형성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능동형 용어보다 의미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동형 용어에주의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상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는 한국어학습자의 경우에도 수학 교과서에 사용되는 교육과정 미등재 일상어에 대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한국어학습자의언어적 특성이 반영된 오류 유형을 고려하여 수학과 용어를 지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언어적 배경이 다른한국어학습자의 문장제 해결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프랑스어 메타 비교구문과 한국어 ‘-다/라기보다’ 비교구문의 형태․통사적 특성 대조분석 및 유형론적 관점에 따른 고찰

        모지향 한국프랑스학회 202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1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어 메타 비교구문과 한국어 ‘-다/라기보다’ 비교구문의형태․통사적 특성을 대조분석하고 유형론적 관점에서 따라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에서는 각 구문의 정의를 살펴보는 가운데, 한국어 메타 비교구문의 범위를 명확히하였으며 한국어의 ‘-다/라기보다’ 구문이 프랑스어의 메타 비교구문과 마찬가지로비교구문의 한 유형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두 구문의 형태․통사적 측면을 대조 분석한 결과 비교표지의 다양성, 해석적 불확실성, 두 서술어 간 통사적 대칭성 문제와 관련한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일반 비교구문의 유형론적인 특성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각 언어와 같은 유형에 속하는 영어와 일본어를 살펴보며 대조분석의 대상을 확장하였다. 프랑스어와 영어의 경우 일반 비교구문의 표지 및 통사구조를 활용하여 메타 비교구문의 의미를 나타내는 반면,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 메타 비교구문에 특유한 표지를 사용하여 해당의미를 나타내었다. 다만 같은 유형에 속한다고 할지라도 프랑스어 구문이 영어의 경우보다 해석적 불확실성이 더 강하다는 점, 일본어 비교표지보다 한국어의 비교표지에서 문법적 특수성이 더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각 언어에 고유한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 Cette étude examine les définitions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métalinguistiques en français et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 -다/ 라기보다 » en coréen, puis tente de les analyser dans une perspective contrastive en observant leurs caractéristiques morphologiques et syntaxiques. En outre, dans une perspective typologique en termes de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nous explorons l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en anglais et en japonais, qui appartiennent au même type que celles en français et en coréen, respectivement, et analysons leurs similitudes et différences. En particulier, en examinant les définitions de chaque constrtuction, nous constatons que la construction coréenne « -다/라기보다 » peut être considérée comme un type de construction comparative, tout comme celle métalinguistique du français. Notre analyse contrastive des aspects morpho-syntaxiques entre les deux constructions révèle des différences en termes de diversité des marqueurs comparatifs, d’incertitude interprétative et de symétrie syntaxique entre les deux prédicats. D’après nous, ces différences seraient liées aux caractéristiques typologiques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En intégrant l’anglais et le japonais dans notre analyse contrastive, nous observons que, tandis que le français et l’anglais utilisent les marqueurs et la structure syntaxique des constructions comparatives ordinaires pour en indiquer le sens, le coréen et la japonais adoptent des marqueurs spécifiques au construction comparatives métalinguistique. Cependant, malgré ces similarités typologiques, chaque langue conserve ses propres spécificités : les phrases françaises se distinguent par une plus grande ambiguité interprétative par rapport à l’anglais, et le marqueur comparatif coréen présente une spécificité grammaticiale plus marquant que son équivalent japonais.

      • 다문화시대의 한국어교육

        최동주(Choi, Dong-Ju)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인간 Vol.4 No.2

        세계화의 심화에 따라, 우리 사회는 다문화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자의 특성 및 그것이 언어교수에 함의하는 바와, 다양한 한국어 학습 상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중/다중 언어 사용의 관점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L2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자 환경의 다양성, 언어 사용 양상의 다양성 등을 세밀히 고려하지 않는 단일언어적 관점의 한국어교육은 동화주의적 태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이중/다중언어적 관점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다문화시대에 좀더 어울리는 방향이 아닌가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we need to consider in teaching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in today"s multiculural and globalized era. For this purpose, it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L2 learners, their implication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various learning situations of KSL learners. On the base of former considerations, it suggests that teaching KSL should turn its orientation toward multilingualism. Teaching KSL in monolingual perspective,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2 learners and various learning situations, is similar to assimilationism. Multilingual turn in teaching KSL is desirable in this multiculural and globalized er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