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재의 구어적 특성 반영에 대한 고찰 - 한국어교육의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이기영 어문연구학회 2025 어문연구 Vol.123 No.-

        실생활에서 한국인 원어민 화자들이 사용하는 ‘진짜’ 한국어를 학습하고 싶다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질문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한국어 말하기 교재가 한국어 구어적 특성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말하기 교재와 통합 교재를 비교하여 구어적 상황(맥락, 참여 대화자의 구성, 관계 등)의 실제성, 교재의 대화문에 구어적 특성의 반영 정도, 말하기 교재와 통합 교재 간의 구어적 특성 반영 여부의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두 교재 모두 구어적 상황에서 제한적인 구성을 보였으며, 구어적 특성의 반영 빈도는 통사적 특성의 요소들이 가장 높았고, 화용적 특성, 음운적 특성, 어휘적 특성이 그 뒤를 이었으나 통사적 요소에 비해 현저히 낮은 빈도를 보였다. 또한 말하기 교재는 담화·화용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활발한 상호 작용, 담화 표지, 감정 표현 및 의사소통 전략을 강조했으나, 음운적·어휘적·통사적 특성은 통합 교재가 더 잘 반영하였다. 담화·화용적 특성이 대화 참여자 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사회·문화적 배경 지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고려할 때, 말하기 교재에서 이를 잘 구현한 점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대화 발생 맥락과 장소, 대화 참여자의 구성과 구어적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어민 화자들의 말뭉치 연구를 통해, 구어체 어휘나 구어 문법에 대한 수집 및 외국인 학습자들의 말하기 실태 등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져 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어 교재에서의 구어적 특성 반영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가 ‘진짜’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상과 교육 현장의 현실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향후 말하기 교재와 텍스트 구현 방향에 기여하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hich originated from foreign learners’ questions about learning the “real" Korean language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in daily life, aim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Korean speaking textbook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Korean. The purpose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e of these textbooks and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o this end, speaking textbooks and integrated textbook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authenticity of spoken contexts (e.g., situations, participant composition, and relationships), the degree to which spoken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extbook dialogu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presentation of spoke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types of textbooks.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types of textbooks showed limited composition in spoken contexts. Among the spoken characteristics, syntactic element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resented, followed by pragmatic, phonological, and lexical characteristics, though the frequency of the latter thre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yntactic elements. Additionally, speaking textbooks effectively reflected pragmatic features, emphasizing active interaction, discourse markers,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However, phonological, lexical, and syntactic features were better represented in integrated textbooks. Considering that pragmatic features are crucial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understanding sociocultural contexts, it is noteworthy that speaking textbooks effectively incorporated these elements. Nevertheless, there remains a need to include a greater variety of dialogue contexts/locations, participant compositions, and spoken characteristics that reflect real-life usage. This requires continued research on native speakers' language corpora to collect spoken vocabulary and grammar, as well as ongoing studies on the speaking behaviors of foreign learners to make the findings applicable to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on of spoken characteristics in Korean textbooks, this study hope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ideal of foreign learners who wish to learn the “real" Korean language and the reality of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speaking textbooks and the implementation of authentic texts.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의 화용적 특성 기반 문법 교육 연구 - ‘(이)나’와 ‘(이)라도’를 바탕으로 -

        최수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5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3

        본고에서는 보조사 ‘(이)나’와 ‘(이)라도’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화용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는 ‘(이)나’와 ‘(이)라도’의 경우 기본 의미는 같을지라도 그것이 사용되는 화용적인 맥락은 상이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교재에서는 이 두 문형을 모두 ‘차선책’이라는 기본 의미만으로 설명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교재만을 가지고 공부할 경우 ‘(이)나’와 ‘(이)라도’를 단지 ‘차선책’이라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동의어로 인식할 가능성이 크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고에서는 드라마 말뭉치를 통해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밝혀보았다. 먼저 한국어 사전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의미를 살피고, 화용적인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소들을 바탕으로 분석 기준의 틀을 세운 후 그 기준에 따라 드라마 말뭉치에서 나타난 ‘(이)나’와 ‘(이)라도’의 화용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형태・통사・의미에 대한 연구에 비해 미진했던 문형의 화용적 특성에 주목하여, 유사 의미를 가진 두 문형의 화용적 특성 및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화용적 특성에 기반하여 문법을 교육하는 데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hich are used in Korean education. The pragmatic difference between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he quasi-spoken corpus. First, the meaning of “(i)na” and “(i)rado” was examined in Korean language dictionaries and textbooks. Second, criteria of analysis for their pragmatic features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agmatic features of “(i)na” and “(i)rado” was analyzed in terms of utterance inten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such as their status and degree of intima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basic data about appropriate grammar depending on situations by focusing on not only the meaning, form, and syntax but also the pragmatic feature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 KCI등재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 개선 방안 연구

        김정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4 No.-

        본 연구는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이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개별 교육과정 및 교재, 평가 도구 개발의 준거로서 활용될 수 있는 타당한 등급 체계와 내용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의 개발은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의 국제적 통용성 확보와 체계적 실행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였다. 한편 이 교육과정은 국제적 통용성에 과도하게 초점이 맞추어져 등급 체계와 내용 구성 시 해외 초ㆍ중등학교 교육 현장의 환경 요인과 특성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주요 논의점과 개선 제안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초ㆍ중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시간 및 외국어 교육과정의 도달 목표 수준 등을 고려할 때 최종 도달 수준을 하향 조정하고, 기본 숙달도 단계인 A1, A2 등급을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 개발 과정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내용 체계를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나아가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의 특성을 고려해 내용 체계 전반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의 요구와 한국어 의사소통 환경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해 교육과정의 특성에 맞게 교육 목표 및 능력 기술문을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해외 초ㆍ중등학교 한국어 교육과정(2021)’이 각 국가나 지역의 교육 여건과 요구에 맞는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 교과서 개발, 평가 도구 개발 등을 하는 데 준거가 되는 자료로서 기능하므로 그 명칭에서 교육과정이 아닌 ‘참조 기준’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KCI등재

        명명과제에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의 단어 형성과 어휘부 연구

        강현진 이중언어학회 2023 이중언어학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ined word method of Korean word that appeared in the performance of Korean learners' word naming tasks, to examine the pattern of word formation, and to examine one aspect of the Korean lexicon of foreign learners. Based on onomasiological approach, second language learners tried to examine how Korean language units actually opera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ask performance, The learners made Korean sentences and then created new words. In the results of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se words, learners were using the agglutinative languag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e of the new lexicon will resemble the Korean lexicon. 본고는 한국어 학습자의 명명 과제 수행에서 나타난 한국어 어휘의 조어 방식과 단어 형성 양상을 살펴 보고,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휘부의 특징의 일부 모습을 추정한다. 표현론적 접근에 근거하여 학습자들이 한국어 언어 단위들 실제 어떻게 운용하는지 살피고자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명명과제를 수행하게 하였다. 과제 수행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형태론적 단위를 선택하고, 이를 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문장을 형성한 후 한국어의 형태적 특성이 나타난 단어를 새롭게 형성하였다. 제2 언어 한국어 어휘부는 모어 화자의 어휘부와 같이 한국어의 교착어 특성과 형태론적 특성이 반영되어 있을 것임을 가정할 수 있다.

      • KCI등재

        An Acoustic Study on English Tense-Lax Vowel Pair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Li, Jian Hua(이건화),Lee, Sook Hyang(이숙향)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어화자와 한국어화자의 영어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산출의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의 화자집단 간 비교·분석이다. 피험자로 참여한 10명의 중국어모국어화자와 10명의 한국어모국어화자가 3쌍의 단어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를 3번 반복으로 읽었다. 각 모음의 제1포만트(F1)와 제2포만트(F2) 및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중국어화자는 주로 시간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한 반면 한국어화자는 주로 모음의 스펙트럼 특성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을 구분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펙트럼 특성상 일부 단어쌍에서 중국어화자는 F1값에서만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인 반면 한국어화자는 F1값과 F2값에서 차이를 보였다. /ʊ-u/ 단어쌍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 특성에서는 중국어화자는 세 단어쌍 모두에서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지속시간 간 차이를 보였지만 한국어화자는 /i-ɪ/에서만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이 영어의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대조에 스펙트럼 특성과 시간 특성을 동시에 이용하지 못하는 결과에 대한 한 가지 요인으로 L1의 부정적 간섭의 가능성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pect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nglish tense and lax vowels produced by Chinese and Korean speakers. 10 Chinese and 10 Korean speakers served as subjects and read 3 pairs of words heed/hid/-hid/hɪd/, had/hæd/-head/hɛd/, who’d/hud/-hood/hʊd/ 3 times. The first two formants and vowel duration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ense-lax vowel pairs mainly with temporal characteristics while Korean speakers mostly with spectra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spect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tended to differentiate tense from lax vowels in some pairs with the difference only in F1 while Korean speakers did with difference both in F1 and F2. Both Chinese and Korean speakers had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u/ from /ʊ/. With respect to temporal characteristics, Chinese speakers differentiated the tense from lax vowels in all three vowel pairs while Korean speakers distinguished only in /i-ɪ/ but not in /æ-ɛ/ and /u-ʊ/ pairs. L1 negative transfer was suggested as one of the factors for the results that Chinese and Korean speakers did not use all the spectral and temporal features in tense vs. lax vowel contrast in English.

      • KCI등재

        국외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미국 대학의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인혜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2 No.-

        본고는 국외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피고자,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사의 언어적 자질로 교사의 원어민 여부보다는 한국어능력의 우수함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또한, 원어민 교사와 비원어민 교사 각각의 장점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은 외국어 학습 경험 및 한국 문화 지식을 한국어 교사의 중요한 자질로 보고 있었다. 그러나 자국인 미국 문화에 대한 지식보다는 ‘학습자들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아는 것을 더욱 중요시하고 있었다. 언어교수와 수업 운영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피드백 제공 및 명확한 평가 제시에 대해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다. 교수언어의 사용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어를 잘 가르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수업 시간에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인성·태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학습자들은 대체로 한국어 교사들이 다른 과목의 교사들에 비해 배려심, 이해심, 친근함이 높다고 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외 파견 한국어 교사 교육, 미국 내 한국어 교사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characterize qualities of an eff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 in the U.S. perceived by U.S.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90 learners of Korean at university in the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the students deemed teacher’s mastery of the target language to be more important than teacher’s nativeness; (b) the students found it more importa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students’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than to understand American culture; (c) the students gave weight to giving good feedback and clear criteria; (d) the students agreed upon the importance of teaching Korean in Korean, however, they disagreed about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only in Korean’ in class; (e) the students perceived that Korean teachers were more approachable, understanding, patient, and creating a greater bond with students comparing to teachers of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a)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who will be dispatched overseas and (b) hiring decision of Korean instructors in the US.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특성과 과업

        강은국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2 국어교육연구 Vol.30 No.-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has been undertaken for sixty-odd years, during which it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merely less than 20 years. Many problems remain to be summed up and solved in order to establish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long-term practice. This paper aims to provide solutions to problems thereof in order to upgrade this undertaking. Based on a summary of the cause and an 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it concludes that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 which is guided by the features of the learners’native language and the directive objectives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differs from the case in South Koreaand other non-Korean-speaking countries and regions. Korean grammar teaching in China is featured with two stages, namely, the rudimentary education stage and the specialty education stage. During the rudimentary stage, language proficiency is the objective, mainly achieved by the teaching and use of grammatical forms and other grammatical knowledge. During the specialty education stage, linguistic knowledge impartment is the major goal, achieved mainly by teaching Korean grammatical theories.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60여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20년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육 실천에서의 많은 문제들이 아직 이론적으로 천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교육 실천이 이론의 지도를 받지 못하고 있기에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시급히 해결하고 한국어 문법교육을 질적으로 제고시키기 위해 본고에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의 60여년의 역사를 참답게 총화하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모국어의 제 특성과 중국 교육행정에서 제정한 교육목표에 의해 한국에서의 한국어 문법교육이나 다른 특정 언어권의 학습자를 상대로 한 한국어 문법교육과는 달리 기초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과 전공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으로 대별되는 이중의 성격을 띤 문법교육으로 특징지어지며, 기초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은 문법적 형태를 중심으로 문법지식 전수와 용례 분석을 통해 한국어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진행되고, 전공교육 과정에서의 문법교육은 한국어 문법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전수를 통해 한국어 언어지식 습득을 목적으로 진행되는데 이 양자는 서로 분리되면서도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통일된 유기체를 이루어야 한다.

      • KCI등재

        수학과 용어 유형에 따른 한국어학습자의 이해 분석

        도주원,장혜원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rrors in the conceptual im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erms in mathematics that are the basis for sol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solving the wor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To do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fou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analyze the specific conceptual images of terms registered in curriculum and terms that were not registered in curriculum but used in textbook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guide Korean language learners by using sufficient visualization material so that they can form appropriate conceptual definitions for terms in school mathematics.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used in the hom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 conceptual image of terms in school mathematics.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ssive term, which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rather than the active term. Fourth, eve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do not have difficulties in daily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instruct them on everyday language that are not registered in the curriculum but used in math textbooks. Fifth, terms in school mathematics should be taugh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s of errors that reflect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n in the explanation of terms. This recognition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teaching word problem solv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ith different linguistic backgrounds.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문장제 해결에 기초가 되는 수학과 용어의 유형에 따른 한국어학습자의 이해 특성 및 오류유형을 파악하여 한국어학습자의 문장제 해결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지도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 별도의 한국어 수업을 듣는 한국어학습자 4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등재 용어와 교과서에 사용된 교육과정 미등재(정의/무정의) 용어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미지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한국어학습자가 수학과 용어에 대하여 적합한 개념정의를 정립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각화 자료를 활용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어학습자의 가정 내 사용 언어와 수학과 용어에 대한 적합한 개념이미지 형성 사이의 구체적인 관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능동형 용어보다 의미 이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동형 용어에주의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일상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없는 한국어학습자의 경우에도 수학 교과서에 사용되는 교육과정 미등재 일상어에 대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한국어학습자의언어적 특성이 반영된 오류 유형을 고려하여 수학과 용어를 지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언어적 배경이 다른한국어학습자의 문장제 해결 지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발음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중심으로 문헌고찰

        허명진(Huh, Myung Jin)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1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2 No.2

        한국어 파열음은 기식성과 긴장성 등 다양한 음운자질을 갖고 있지만 외국어 파열음은 한국어에 비해 단순하다.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음소 중에서 비음이나 유음에 비해 파열음의 오류가 두드러지고, 이는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자질의 다양성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발음교육을 위한 한국어 파열음의 음향·음운적 특성을 살펴보고, 외국인 유학생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변인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그들을 위한 발음교육프로그램 단계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평음, 경음, 격음은 음향자질이 다양하고, 음운위치와 이웃 음운에 따라 변이가 나타난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그들 모국어에 근거하여 음운을 변별하고 발음되므로, 이들 모국어의 음운특성을 고려한 한국어의 파열음 교육단계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발음 교육은 음성습득모형에 근거하여 어두초성에 위치한 음소에서 점차 단어의 복잡성, 문장, 대화 순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plosive sound include lax sound, tension sound, and aspiration sound according to the air flow method unlike other foreign languages. Foreign students have more errors in plosives than nasal or consonant among Korean phonemes. This is though to be due to the diversity of sound production method of Korean plosives. This study examines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plosive sound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m, and based on this,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pronunciation training for foreign students. The Korean plosives have various acoustic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phonemic location and neighboring phonemes. Since foreign students discriminate and pronounce phonology based on their native languag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Korean plosives education level in consideration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native languages. And pronunciation education steps should be based on the speech learning model(Flege, 1995) and gradually expanded from the phoneme located at the word initial- syllable initial, word middle, complexity of the word, sentence, and dialogue

      • 다문화시대의 한국어교육

        최동주(Choi, Dong-Ju)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인간 Vol.4 No.2

        세계화의 심화에 따라, 우리 사회는 다문화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국어교육이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L2 학습자의 특성 및 그것이 언어교수에 함의하는 바와, 다양한 한국어 학습 상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중/다중 언어 사용의 관점을 지향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L2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자 환경의 다양성, 언어 사용 양상의 다양성 등을 세밀히 고려하지 않는 단일언어적 관점의 한국어교육은 동화주의적 태도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이중/다중언어적 관점에서의 한국어교육이 다문화시대에 좀더 어울리는 방향이 아닌가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hat we need to consider in teaching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in today"s multiculural and globalized era. For this purpose, it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L2 learners, their implication to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various learning situations of KSL learners. On the base of former considerations, it suggests that teaching KSL should turn its orientation toward multilingualism. Teaching KSL in monolingual perspective,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2 learners and various learning situations, is similar to assimilationism. Multilingual turn in teaching KSL is desirable in this multiculural and globalized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