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와 핵심 개념 탐색

        김연재 한국무용학회 2022 한국무용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핵심 개념과 교육 목표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문헌 분석과 심층 면담(전공/일반 예술교육자와 학습자),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는 신체소양, 인지소양, 심미소양으로 구성된다. 구성요소의 핵심 개념은 신체소양은 ‘호흡’, 인지소양은 ‘안목’, 심미소양은 ‘공감’으로 나타나며, 이는 한국무용 소양 함양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단계이다. 이와 함께 한국무용소양 함양의 교육 목표는 신체소양의 핵심 개념인 ‘호흡’을 알기 위해서는 나의 호흡을 통해 신체감각을 깨우는 ‘심신감지’와 동작의 호흡을 이해하는 ‘동작수련’을 통해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인지소양의 교육 목표는 핵심 개념인 ‘안목’을 형성하기 위해 한국무용 작품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는 ‘작품탐색’과 한국무용에 내재한 사회, 문화적 안목을 갖기 위한 ‘전통분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미소양의 교육 목표는 핵심 개념인 ‘공감’하기 위해서 한국무용의 감성을 개인적, 문화적 차원으로 공감하기 위한 ‘문화감성’과 나의 예술적 감성을 한국무용으로 표현해내는 ‘유미표현’을 통해 공감을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 교수자가 한국무용소양의 구성요소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며, 향후 한국무용소양 함양을 위해 실천적 차원의 교육 모형과 수업 방법에 관한 심층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생활한국춤의 무용적 의미 정립과 직업적 전망

        김경숙,김기화 한국무용연구학회 2011 한국무용연구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1 No.-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의 하위 범주에 속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은 생활무용에서 장르적 개념인 한국무용, 특히 한국전통무용으로 인식되어 왔을 뿐 이 용어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한 정립이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생활한국춤의 의미를 평생교육의 이념에 근거하여 논의 정립하였다. 세부적인 연구 논제는 용어 정립에 따른 생활한국춤의 범주와 가치, 새로운 학문분야로서의 전망, 그리고 무용계의 심각한 현안인 직업적 전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활한국춤의 학문으로서의 전망과 직업적 전망을 구체적으로 정립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개발, 지도자양성, 교육현장의 구축 등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고 실행되어 이를 임금구조로 연계하는 일련의 과정이 있어야 함을 제안 하였다. 아직까지 생활한국춤이 무용의 한 분야로서 정립되거나 이를 통한 새로운 취업을 모색하기에는 많은 부분 해결해야 할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생활한국춤을 조금 더 큰 사회 구조 안에서 바라본다면 우리 무용계가 취할 수 있는 많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큰 틀 안에서 미래의 무용계를 위해 기성의 무용인들은 생활한국춤의 발전을 도울 수 있는 당면한 문제들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통일된 목소리로 합리적인 방안을 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춤 연구에 관한 맥락적 고찰 : 한국무용연구회의 25년간 성과를 중심으로

        윤덕경 한국무용연구회 2006 한국무용연구 Vol.24 No.1

        오늘날 한국춤 분야는 몇 십 년 전과 비교하면 과히 괄목한 성장을 이룩했다. 이러한 성장은 어느 한순간 어느 한 사건으로 홀연히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하나의 현상은 관련 된 사건의 연속선상에서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즉 한국춤 분야의 발전과 변모는 시대적,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 제반 사건의 맥락에 의해서 이루어 졌다는 것이다. 일제 식민지시대에 핍박받고 해방이후 물밀듯이 들어 온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양문물 의 영향으로 단절되고 왜곡되었던 우리 춤의 정체성 찾기는 우리 춤계의 필연적인 일이다. 또한 서양문물의 도입과 현대사회로의 변모는 춤 분야의 다양한 분화와 창작으로의 도전을 부추겼다. 한국춤의 긍정적인 미래상을 세우기 위한 노력과 오늘의 한국춤의 재 모습을 확인하는 일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1980년대는 한국춤의 신무용에서 창작춤으로 이행해가는 시기였으며 전통에서 단절된 한국춤의 본래의 모습을 찾는 일과 한국춤이 공연이라는 형식미를 추구하는 본격적인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진 시기였다. 1980년대의 한국춤 연구의 대표적이고 유일한 모임으로는 한국무용연구회가 있다. 한 국무용연구회는 1981년 5월 2일 문예진흥원 강당에서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정관을 통과 시켰다. 정관에 나타나 있는 한국무용연구회의 목적은 한국무용 문화의 학술 연구 활동과 창조적인 예술창작활동을 통하여 한국의 예술무용 반전에 기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목적을 위한 사업으로 학술연구, 창작무용발표. 교육, 학술연구 및 창작활동의 국제적 교류, 출판홍보로 정하고 있다. Comparing from several decades ago, today’s field in die Korean dance had showed a surprising development. This growth was not made from a sudden event or a happening. It was completed in the current of incidents and other various contextual in the history. Thus, the development and changes in the field of Korean dance has been made by the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basis. After being persecuted by the Japanese colony and the independence from it finding the true identity of our traditional dance, which had been hidden by the shadow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was necessity. Though the Western civilization had a negative side, it incited the variety and creativity in the Korean dance. To find the effort in creating a positive idol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dance and to find the true feature of it, we should look and find it in the contextual of the history of dance. The 1980s was the time whe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changed into the creative dance and it also is the time when a lot of attempts were made for the beauty of form for the performance. The 1980s also is the time which the traditional dance was cut off for the new dance so we should look up this time to find the true fe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dance. The most well known and famous society of this time, the 1980s is the Society of Korean Dance Studies. The society made a statute and held an inaugural meeting at May 2, 1881. The marks which were wort up in the statute showed the activities in scientific research and the goles to change the Korean dance with creativity. The projects for these goals are scientific researches, the creative dance announcement, education, the international exchange of the scientific researches and the creative activities and the brochures.

      • KCI등재

        실버타운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복한 노년: 사례연구

        김승일 ( Seung Il Kim ),이현경 ( Hyun Kyung Lee ) 大韓舞踊學會 2012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한국무용 참여와 행복한 노년의 관련성에 대한 사례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한국무용 참여 계기와, 한국무용을 통한 노년생활의 변화는 무엇인가? 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실버 타운 내 한국무용 수강자 2명과 한국무용 전문지도강사 1명을 유목적 표집한 후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면담과 문헌조사, 서술적 설문조사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와 항시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왜 한국무용인가? 의 하위주제는 참여계기와 차별성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한국무용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과거의 한국무용 경험, 젊은 시절의 관심과 공연관람 경험 등이 주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중 한국무용을 선택하게 된 것은 한국무용이 지니는 차별성, 예를 들어 몸에 무리가 가지 않는 움직임을 통한 안정감, 문화적 친근감, 세대적 공감 등의 요소가 노인들로 하여금 한국무용 프로그램을 거부감 없이 친근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긍정적 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춤추는 행복의 하위주제는 풍요로운 노년, 열정적인 노년, 시니어의 꽃이 되다 로 나타났다. 노인들은 한국 무용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노년생활을 여유롭게 즐길 줄 아는 평온하고 건강한 정서적 안정을 찾게 되었으며, 새로운 열정과 활력을 쏟을 수 있는 하나의 목적을 얻게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나 이러한 경험들은 긍정적이고 밝은 성격을 유지 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여 타인에게도 밝은 인상과 건강한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한국무용 프로그램이 정서적 안정과 생활에 활기를 주어 노인들로 하여금 성공적 노년으로의 길을 제공하는 훌륭한 매개체로서 손색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특징이 반영된 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수요에 걸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Korean dance participation of the aged and changes of their lives.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What made the aged people participate in Korean folk dance? What are the changes of their lives through Korean folk dance?`` For accomplishing the research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of two Korean folk dance participants in silver town and one Korean folk dance instructor, all of whom can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he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search, descriptive survey research, etc.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encoding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e for their participation and differentiation was revealed as the sub-topic of ``Why they participate in Korean folk dance``. With regards to the cause for participating in the Korean folk dance program, their past experience of Korean folk dance, interest since their younger years, and experience of watching performance were revealed. Second, abundant old age, passionate old age and becoming the flower of seniors were revealed to be the sub-topic of experiencing happiness through dancing. It was revealed through such result that the Korean folk dance program is an excellent medium of providing the path of aging well for the aged by giving them emotional stability and vitality in their lives.

      • KCI등재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

        서희정,박세혁,이윤정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10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한국전통문화인식, 한국무용이미지, 문화유산보존 그리고 한국무용체험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고등학생 482명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459부의 설문지를 SPSS 25.0과 AMOS 25.0로 자료처리를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 다. 첫째, 한국전통문화인식 중 한국전통문화관심만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전 통문화교육과 한국전통문화활용능력은 한국무용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 이미지는 한국문화유산보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셋째, 한국무용이미지는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마지막으로, 문화유산보존은 한국무용체험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Korean dance imag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the intention for Korean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The respondents were 45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in Seoul and the Gyeonggi Provi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off, it was discovered that only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Also that Korean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nd utilization create the overall impact on the image of Korean dance. Secondly,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servation of Korean cultural heritage. Next, the image of Korean d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of teens to experience Korean dance. Finally,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was not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eens intention to experience Korean dance.

      • KCI등재

        韓國舞踊 構造의 易學的 해석

        김용복 한국유교학회 200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한국무용은 사상적인 측면에서 天地人 三才思想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비롯된 陰陽과 太極은 한국무용의 동작구조와 원리가 된다. 天⋅人⋅地의 空間構造는 한국무용의 동작원리[道]를 규정하는 것으로써 易學에서 말하는 ‘道’의 의미, 즉 ‘生生의 原理’를 말한다. 天地의 大德을 生生變化로 인식하고, 이 생생변화는 陰陽이 感應하는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므로 天地日月과 감응하는 인간의 氣 흐름은 한국무용 동작원리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天地人 三才思想은 陰陽의 조화와 균형에 의해 신체의 중심을 이루며 동작의 생성과정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天地人 三才思想이 공간적 구조 체계를 형성하고, 춤을 행하는 몸은 천지사방의 氣[陰陽]와 서로 감응하여 氣의 형상을 이루는 것이며, 이것은 時間的 構造의 구체적 동작과 함께 무용형상으로 드러나 춤의 姿態를 만드는 것이다. 한국무용의 모든 동작은 호흡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 호흡은 동작을 구성하는 근원으로써 氣에 의해 이루어진다. 氣의 凝聚作用이 시작되면 점점 구체적인 형체[동작]로 드러나게 되는데, 氣가 없는 춤동작은 생명력이 없는 단순한 움직임이므로 활동력도 없는 것이다. “한 번은 陰하고 한 번은 陽하게 함을 道라고 한다.”는 것은 음양이 순환하여 만물을 변화⋅생성시키므로 만물은 易道의 법칙이 표현된 것이다. 전체적인 보편적 흐름의 운동으로 항상성을 갖는 것과 만물 변화의 생성법칙으로서의 음양은 서로 교체하고 오고감으로써 변화하게 된다. ‘一陰一陽’은 공간적인 定位와 시간적인 流行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다. 엄밀히 말하면 호흡은 음양⋅태극의 원리가 함께 어우러져 이루어진다. 한국무용의 동작구조는 호흡이 한 번은 들숨에 의해 陽의 기운을 생성하고, 한 번은 날숨에 의해 陰의 기운을 생성하는 반복된 순환과정을 뜻한다. 또한 호흡은 변화의 궁극적 본체인 太極의 작용이 천지우주의 역동적인 변화를 일으키도록 하는 움직임의 시작을 의미한다. 태극의 통합원리에 부합하는 한국무용에서의 호흡은 공간적 구조의 靜態的 동작구조와 시간적 구조의 動態的 동작구조와 결합하여 기교적으로 표현되는 춤사위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한국무용의 동작구조는 역학의 원리와 사상이 부합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한국무용은 『주역』에서 말하는 美를 그대로 표현한 놀라운 창조적 예술이다. 본 연구는 한국무용의 구조에 대해 역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한국무용의 철학적 기반을 다지고 한국무용의 동작구조와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무용사 서술을 위한 무용구술채록문의 색인어 추출 연구

        최해리 무용역사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Data related to the Korean modern dance history after the liberation is so poor, thus, most Korean dance historians feel like this period as “vacant of history.” Due to the nature of dances that disappeared right after the performance, the record of dance is always poorer than the other arts. Especially the technology of photo and video recording was not even a mean age at the time, the dance was only remained in the memory and experience of dancers and the audience. Oral dance history is a new scholastic field that collect and research those people’s memories and experiences. With the development of oral history, dance historians have possibility to write a new dance history. Thought oral dance history targeted at living dancers and utilized personal experience, most of the topic areas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dance periods and provided concrete evidence. Above all, oral history narratives as the primary source of oral dance history suggest new horizons for writing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In the dancer’s oral statement, it contains the growth process of dancer, and dancer’s regional, educational, occupational background, etc. That is, the dancer’s narratives are similar to anthropological, sociological, psychological information. Therefore, dance historian can evaluate identity or consciousness of dancers based on narrative flow of the them. Subsequently, dance historian could research on dance structures and systematic development with deep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ist of key words for oral dance history statements. For this purpose, 48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the Archive for Performing Arts at the Korea National Arts Council (KNAC) in 2008 and 2009 were analyzed.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oral dance history scripts of KNAC displayed various aspects of data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showing the missing data and lack of data in the past 55 years. Upon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oral dance history scripts, this study made list of key words considering the uniqueness of Korea dance history. First, 15 key words were cataloged as labeled terms. Then, 36 sub-terms were derived for the items that are associated with labeled items. Finally, 1,977 final-terms were extracted for the items associated with each topic in the sub-terms. In microscopic viewpoint, the key words list relating to the contemporary Korean dance history could be utilized for querying resources of writing Korean dance history in the 20th century. Macroscopically the list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for infrastructure of database of oral history involved in education, research,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한 한국무용 전공인의 의식조사

        윤수미 ( Su Mi Yoon ),명금록 ( Keum Lok Myung ),김예진 ( Yeh Jin Kim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31 No.-

        이 연구는 중년여성, 남성들의 시간적, 경제적인 여유가 늘어남에 따라 여가 생활에 적극적인 소비를 하는 새로운 현상의 하비홀릭족을 모티브로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한국무용 전공인 못지 않게 시간과 학채를 아낌없이 투자하며 명무 주변에서 열정을 보이는 집단을 명무 하비홀릭족이라고 새롭게 명칭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춤의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을 파악하고, 한국무용 전공인이 명무 하비홀릭족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는지를 알아보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거주하고 있는 348명의 한국무용 전공인 중 212명의 한국무용 전공 직업인과 136명의 한국무용 전공 대학생을 조사하기 위한 단일 문항을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SPSS를 사용하여 빈도, 교차분석과 같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구직난과 많은 비용 부담을 한국 전통춤 수요 감소의 원인으로 응답하였고, 물질에 구애 받지 않는 전통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한국 전통춤의 대중화를 한국 전통춤 발전의 주요 과제로 응답하였다. 둘째, 한국무용 전공인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바라보는 기분 정도에서는 좋은 기분이 느껴진다와 존경스럽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수준 정도에서는 취미로 하는 것에 비해 수준이 높다와 그저 그렇다 순서로, 명무 하비홀릭족의 몰입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이 좋아서와 건강을 위해서 순서로 응답하여 명무 하비홀릭족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명무 하비홀릭족이 한국 전통춤에 끼친 영향 정도에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된다와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순서로 긍정적인 응답결과가 나왔으며, 한국 전통춤에 끼친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 전통춤의 인식 변화와 이해를 통한 한국 전통춤 발전과 대중화 항목이 눈에 띄게 나타났다. 넷째, 명무 하비홀릭족의 사회적 활동 실태에서는 부럽다 61명(28.8%)의 응답결과가 가장 높았으며, 아무 생각이 없다 45명(21.2%)와 직접 본적이 없다 44명(20.8%)의 응답 결과도 보여 졌다. 반면, 명무 하비홀릭족의 한국 전통춤 관련 소비 실태에 대해서는 좀 과하다고 생각 한다 126명(59.4%)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한국무용 전공인들은 명무 하비홀릭족을 한국 전통춤을 저해하는 요소가 아닌 공생하는 관계로 관찰하고 지켜본다면 한국 전통춤의 가장 큰 전공자 수요 감소의 원인과 발전 방안의 주요 과제에 새로운 해결 방안을 모색해 주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본다. 또한 대학 내 무용 교과 과정에 비전공자들의 교육방법론과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수업이 신설·권장 된다면, 앞으로 무용 전공 대학생들이 졸업 후 무용 현장에 나왔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사료된다. As more middle-aged men and women can afford more leisure, a new phenomenon called “hobby-holic”has emerged whereby many willingly spend time and money on their past-time activities. In reference to such phenomenon as a motif, this study newly names an emerging group of enthusiasts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ho willingly invest as much time and tuition fees as Korean dance professionals,“Opus Dance Hobby-holics”, even though the exact genesis of this trend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In order to find out what Korean dance professionals think of “Opus Dance Hobby-holics”, this study came up with a self-formulated questionnaire containing close-ended questions, for researching a total of 348 Korean traditional dance specialists, consisting of 212 dance professionals and 136 Korean dance majors in college, who work or reside in the Seoul-Kyunggi area. It then has analyzed collected data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within the analytical framework of SPSS. The outcome of said analysis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Korean dance professionals cited employment hardship and onerous financial burdens as the cause of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traditional dance. They also pointed out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 free from the restraint of finance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the key task for further progres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Second, Korean dance professionals provided positive response on the degree of sentiment towards“Opus Dance Hobby-holics”, the level of Korean traditional dance within such group, and their overall impact on Korean traditional dance. On the contrary, Korean dance majors showed overall indifference on each category. Third, the main cause of“Opus Dance Hobby-holics” was conspicuously identified as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resulting from change in the public attitude towards the dance and heightened understanding thereof. Fourth, in terms of the social activities of“Opus Dance Hobby-holics”, Korean dance professionals were either indifferent to them or witnessed no such activities in person. And they frowned upon the general status of consumption among“Opus Dance Hobby-holics” in relation to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on the foregoing, it is cautiously thought that if Korean dance professionals observe “Opus Dance Hobby-holics” not as a deterrent to the traditional dance of Korea, but rather from a symbiotic perspective, it may prove to be a worthwhile solution for an ongoing decline in demand for Korean dance professionals and also a boon for further evolution of the dance. Also, if college curriculums newly adopt the methodology of training non-dance majors and promote classes disseminating the methodology, such a step may help Korean dance majors to land gainful employment in real life.

      • KCI등재

        문화예술태도, 한국무용지식, 한국무용정보요구도 그리고 한국 무용 관람행동의도의 인과관계 분석

        이윤정,서희정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태도와 한국무용의 지식과 정보요구도 그리고 행동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2018년 11월~12월 서울, 경기 그리고 천안지역의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er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첫째, 문 화예술태도는 한국무용지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예술태도는 한국무용정 보요구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지식은 한국무용정보요구도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무용정보요구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한국무용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변수들을 연구하고, 소비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하며, 다양한 한국무 용의 정보와 지식제공이 바탕이 되어 소비자를 움직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attitude on culture and arts, knowledge of Korean dance, demand of information about Korean dance and behavior intention. A survey of 314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Cheonan region in November and December of 2018.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done with SPSSWIN Ver 25.0 and AMOS 25.0 for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this research. First, attitude on culture and arts did not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knowledge of Korean dance. Second, attitude on culture and arts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demand of information about Korean dance. Third, demand of information about Korean dance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behavior inten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es on diverse variabl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Korean dance that can satisfy consumer needs. Third, it is necessary to appeal to consumers on the basis of provision of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Korean dance.

      • KCI등재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 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박해정 ( Hae Jung Par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에 관한 연구로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질적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교육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써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권 무용(학)과가 있는 6개 대학 한국무용전공대학생 2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분석,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 첫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전통문화인식도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무용수행능력은 성별, 학년, 한국무용전공 지속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한국무용전공대학생의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전통문화인식도와 한국무용수행능력의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relates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undergraduates`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ir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have retrieved. For the research processing, frequencie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ost-hoc SNK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pplied . As a result, First,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Second, the difference in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taking into account the demograph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undergradu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spect to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dance for each sex, academic year, dance career and level of commitment to Korean traditional dance studies except experiences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Third, a correlation analysis on the undergraduates` level of awareness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competency in performing Korean traditional d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