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regorc 학습 스타일을 적용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 개발

        이재무 한국정보교육학회 2013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7 No.4

        기존의 교수 시스템들은 각 학습자들의 다양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콘텐츠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각 학습자들의 학습스타일을 고려하여 최적의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적응형 교수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적응형 교수 시스템은 적응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Gregorc의 학습 스타일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본 적응형 교수 시스템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고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하여 적응형 교수 시스템을 이용하는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비적응형 교수 시스템으로 학습하는 집단을 비교집단으로 구별하고, 독립표본 t 테스트를 통하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적용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적응형 교수 시스템은 전통적인 교수 시스템과의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학업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regorc 학습 스타일별로 효과 분석을 한 결과 활동순차적 학습 스타일이 가장 긍정적 학습 효과가 있었으며, 개념임의적 학습 스타일은 학습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developed an adaptive instruction system for individual learning. We applied Gregorc’s learning style to support the adaption. This proposed Instruction system provides instruction content based on a more effective instruction method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style. We applied Gregorc’s learning style to create a clear treatment of differing learning styles. Proposed adaptive instruction system was applied to college students studying computer learning. A t-test indicated that our proposed adaptive instruction syste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in an overall style comparison. In addition, our Abstract-Sequential learning style indicated the most effective results while the Abstract-Random learning style indicate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in each style analysis for Gregorc’s learning style.

      • KCI등재

        한국 학생들의 아랍어 학습 동기분석: 아랍 문화적 요인의 역할

        최진영 ( Jin Young Choi ) 한국중동학회 2011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1 No.2

        외국어학습 및 학습동기에서 문화적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1950년대부터 언어학습 프로그램에 문화적 요소를 개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응용언어학자들은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 학습이 해당 언어사회의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언어학습과 문화간의 밀접한 관계는 이론적으로 입증되었고, 실제로 문화적 요소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학습자들의 경우 언어습득 또는 학습의 능률이 매우 저조하다는 결과가 많이 발표되었다. 언어가 문화적 사실을 전달하거나 구체화 한다는 전제하에 문화적 이해가 부족할 경우, 학습자들은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거나 해당언어의 학습을 제대로 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특히, 제 2외국어 또는 외국어에 대한 통합적 학습법이 지향하는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향상은 문화적 요소의 이해를 전제로 하는 적합한 언어사용의 확대를 의미한다. 이러한 점에서, 아랍어 학습에서 아랍 문화적 요소에 대한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올바른 이해는 학습능력의 제고를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아울러 문화적 요인은 학습자들의 학습동기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능력을 향상시켜준다. 본 논문은 한국학생들의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역할과 학습동기의 유형 및 양태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아랍어 학습자들을 아랍어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구분하여 학습동기에 대한 2개의 유형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첫째, "아랍어를 어떻게 학습하게 되었는가?"를 묻는 학습 개시(trigger)와 둘째, "아랍어를 현재 왜 학습하는가?"를 묻는 학습 목적(orientation)에 대한 동기를 물었다. 아울러 국내 2개 대학에서 아랍어를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교육 프로그램에 아랍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었는지, 그리고 그 필요성 및 학습향상을 위해 필요한 문화적 소재는 무엇인지를 물어보았다. 학습동기를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크게 두 개의 범주 즉, 내형적 동기와 외형적 동기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아랍어 전공자, 비전공자 각각 학습개시 동기와 학습목적 동기가 내형적인지 외형적인지를 분석했다. 내형적 동기는 자기만족을 위한 것으로 아랍어를 배우는 이유가 아랍문화, 정치, 사회, 역사, 종교에 대한 관심과 여행, 대화 등과 같은 자기만족을 위한 동기들이다. 반면, 외형적 동기는 자신의 목적 실현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 실행을 통한 목적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이다. 예를 들어, 직업취득, 학점, 졸업, 교사임용, 타언어와의 차별 등이다. 전체적으로 한국학생들은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교수들도 학생들이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갖는 다양한 아랍문화적 소재를 발굴하고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적합한 교재를 개발해야 한다는 필요성에 공감했다. 학습 동기 분석에서 아랍어 전공자들의 경우, 학습개시 동기나 목적 동기가 대체적으로 비전공자들보다 외형적 특징을 더 취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아랍어 전공자들의 아랍어 학습이 자기만족 보다는 취업기회 확대나 학점취득 등 실용적인 목적을 위한 것임이 밝혀졌고, 이러한 현상은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두드러졌다. 반면, 비전공자들은 전공자들보다 학습동기가 내형적 특징을 취하고 있었다. 비전공자들은 실용적인 목적보다 자기만족을 위해 아랍어를 학습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아랍어 학습에서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입증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소재가 포함되는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공자들의 학습동기가 너무 외형적 특징에 치우침에 따라 언어와 문화에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는 통합적 동기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에 관한 메타분석

        이혜진(Lee, HyeJin),안문상(Ahn, Moonsang),이진구(Lee, JinG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육방법으로 알려져 있는 팀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의 학습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향후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국내 대학교육 변화에 대한 계량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국내 학술논문 40편, 학위논문 8편, 총 48편이 최종 선정 후 179개의 효과크기를 산출·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보다 팀 기반 학습은 0.703, 플립러닝은 0.593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p=0.000), 역량에 따른 학습별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팀 기반 학습이 인지 역량 0.737, 비인지 역량 0.606으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 효과크기가 더 컸다. 하위변인별 팀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 간의 차이에 대한 메타ANOVA를 시행한 결과 팀 기반 학습이 플립러 닝에 비하여 인지 역량의 학업성취도(p=0.033)와 문제해결력(p=0.037)이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비인지 역량의 학업만족도(p=0.011)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효과크기를 보여 역량 영역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차수에 대한 메타회귀분석 결과 플립러닝에서 교육 차수가 증가할수록 교육 효과가 증가 하였으며(p=0.003), 학업만족도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p=0.036). 또한, 전공 과정 학생들에서 팀 기반 학습의 효과크기가 0.629로 플립러닝의 효과크기 0.452에 비하여더 효과적인 학습법이였다(P=0.011).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팀 기반 학습과 플립러닝의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quantitative basis for the change of Korean uni versity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presenting the lea rning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TBL) and flipped learning (FL) known as a way of learner-led education. Meta-analysis was carried out by collecting papers on the effectiv eness of the two educational methods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rom 2008 to Dec ember 2017. A total of 48 papers (40 published papers and 8 domestic dissertations) wer e finalized. 179 effect sizes(ES) of TBL and FL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ES of TBL and FL were 0.703 and 0.59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raditional lecture clas s(p=0.000). Cognitive and non-cognitive competence and sub-categories were analyzed. Although TBL had a larger effect size with a cognitive capacity of 0.737 and a non-cog nitive capacity of 0.606 than FL,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BL showed statisti cally significantly higher ES than that of FL in academic achievement(p=0.033) and prob lem solving ability(p=0.037) of the cognitive domain and academic satisfaction(p=0.011) o f the non-cognitive domai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le arning effect according to competence area. As a result of meta-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S of educational effect(p=0.003) and academic satisfaction(p=0.036)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education session in FL. In the majors, the effect size of TBL was 0.629, which was a more effective learning method than FL with effect size of 0.452(p=0.011).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FL and TBL in Korea.

      • KCI등재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정은(李貞恩),양승희(梁承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연구 84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학 분야 학습자 중심 수업의 전체 효과크기는 0.624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 중심 수업이 중간 효과크기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수업모형에 따라서는 팀 기반 학습, 액션러닝, 플립러닝, 문제중심학습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총 15가지의 종속변인 중 큰 효과크기를 보인 것은 임상수행능력이었다. 간호분야 지식, 창의성, 자기주도학습,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 등의 종속변수에서는 중간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종속변수를 세 가지 영역으로 묶었을 때, 전공능력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개인역량과 학습태도의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이밖에도 학습자 중심 수업의 운영 방법과 관련된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 교수자 중심 수업보다 학습자 중심 수업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새로운 교육방법을 적용하기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n the nursing field by using meta-analysis of 84 studies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team based learning. As a result, the total effect size of learner centered class in nursing was 0.624. This means that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has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al model,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order of team based learning, action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problem based learning. Among the total 15 dependent variables, the greatest effect size was in clinical performance. The medium effect size was i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nursing knowledge, creativity, self directed learning,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Whe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grouped into three domains, the effect size of the major competency was the largest, followed by the individual competency and the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 sizes of the moderate variables in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er centered i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applying a new method of learner 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동양사상에서 ‘학습자 개별성’의 이해에 관한 시론적 검토: 양명사상을 중심으로

        이승철(Lee Seung 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본 연구에서는 중국 명대 신유학의 일맥인 양명사상에 대한 교육학적 입론을 전제로, 학습자 및 학습자 개별성에 관한 양명의 이해 방식을 검토하였으며, 이로부터 제기되는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다음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첫째, ‘근기’와 기질‘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개별성에 관한 동양사상 일반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양명의 핵심 교설인 ’심즉리‘의 명제를 통해 양명사상이 제기하는 학습자 이해의 전제를 확인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개별성을 이해하는 양명사상의 논의를 ’성격적 특성의 다양성‘, ’실존적 입지의 다양성‘, ’학습능력의 차별 성‘이라는 세 영역으로 범주화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학습자 개별성에 관한 양명의 관점을 소개의 범주로서 포착하고, 이를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였다는 점에서 동양사상의 학습자관에 대한 논의의 시발로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Yangming s understanding on individuality of learners and learners based on the pedagogical approach of Yangming Mythology, the neo-Confucianism of China, and discu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this article examined the discussion of the oriental thought general about the individuality of the learners, focusing on the Roots(根機) and Temperament(氣質)‘. Second,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emise of the learner s understanding that Yangming poses through the core teaching of Yangming Philosophy. Third, the discussion of Yangming s ideology that understands the individuality of learners was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diversity of personality traits , diversity of existential location , discrimination of learning ability .

      • KCI등재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메타분석

        곽미선,방윤희,김미정,이주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성인학습자들의 학습 참여동기를 주제로 한 45건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 참여동기는 Houle이 제시한 목표지향, 학습지향, 활동지향의 3가지 유형을 활용하였으며, 관련 성과로는 강사, 교육내용, 교육환경/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포함된 학습성과와 가정생활, 사회적(여가), 신체정서, 인지적 변화와 자아성장, 삶의 만족이 포함된 삶의 질 성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는 중간 정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 및 삶의 질 성과 변인의 관계에서는 학습지향, 활동지향, 목표지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향, 활동지향은 중간 수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목표지향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 참여동기 유형별 학습성과로 인식된 변인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는 학령기 학생들처럼 획일적이지 않다. 따라서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표, 교육방법, 강사, 시설 등을 고려하여 운영의 목적을 달리한 다양한 교육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educ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a meta-analysis based on 45 studies on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nd learning for adult learner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learning was three types of go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proposed by Houle. The related performance was learning achievement including satisfaction with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education environment/facilities, Social, leisur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self - growth,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performance related variables is moderate. Second, in the relation between learning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and the variable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e type, learning orientation, activity orientation, and goal orientation were higher in order. Learning orientation, and activity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medium level of correlation, but the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be lower than the middle level.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perceived as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for adult learners to participate in learning is not uniform as school-age students. Therefore, various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with different purpose of operation considering the content and goals of lifelong learning program, education method, lecturer, facilitie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 탐색

        장경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learners in problem based learning,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to derive problem based learning implementation strategies based on them. To do this, 75 learners who experienced problem based learning attended and presented their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The learners’ experiences and thoughts are shown as follows; First, learners did various activities to solve problems such as analyzing the problem, discussion, collecting and study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and presentation. Second, learners studied problem-solving skills, collective intelligence and so on from the experience of problem based learning and pledged that will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am activities, and collect and use many resources in the next PBL class. Third, learners had difficulties in PBL such as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context of problems, collecting and selecting resources, making solutions, etc. Fourth, learners suggested that they require helpful tips, examples, feedback, and guidelines from their tutor. In summary, learners had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in problem based learning but they struggled in those activities and they wanted to have assistance from a tutor. However, what learners wanted would depreciate the value of problem based learning. Therefore, the tutor should consider and explain to the learners the underlying difficulties within the course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nd thus facilitate appropriate teaching based on the philosophy of PBL.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과 어려움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중심학습 운영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을 경험한 75명의 학습자들로부터 그들의 학습경험, 어려움,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분석, 의견제시, 논의,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구성, 발표 등의 활동을 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은 문제중심학습 경험을 통해 문제해결과정, 집단지성, 연구방법 등에 대해 학습하였고, 향후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많은 자료를 수집․활용할 것이라고 다짐하였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제 이해 및 분석, 자료수집, 이해, 내용 선택, 문제해결안 도출, 발표 등 문제해결의 전 과정과 팀 활동 수행에서 어려움을 경험했다고 하였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자들로부터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힌트, 예시, 피드백 등이 더 많이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의미있는 학습경험을 하지만,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수자가 이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기 원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원하는 도움은 대부분 문제중심학습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교수자는 먼저 학습자들이 겪는 어려움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 안내하고 격려해야 하며, 그 후에 문제중심학습이 지향하는 교육철학 범위 내에서 필요한 도움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란(Kim, Mi-Ran),유현석(Yoo, Hyun-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학교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하여 학생의 바람직한 성장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핵심 개념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을 구조화하고 학생 참여 중심 수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전략적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전통적 교수·학습에 비해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MSLQ(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2018년 5월 셋째 주부터 6월 셋째 주까지 서울시 소재 여자중학교 2학년 10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Co-op Jigsaw 협동학습 모형과 전통적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Co-op Jigsaw 협동학습을 한 실험집단의 메타인지 및 하위 변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 변인 수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그 효과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교과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자기 주도 학습의 기저 능력인 메타인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준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교수· 학습 방법임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analyze the effects of Co-op Jigsaw cooperative learning on metacogn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student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s in ‘Biotechnology’ unit of the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 MSLQ was used to evaluate degree of ‘metacognition’. A tool proposed by Ah-young Kim and In-young Park (2001) was used to evaluate degree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o perform the experiment by employing one hundred of second-year students attending ○○Girls’ Middle School in Seou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50 subjects) and control group (50 subjects), and each group took a class consisted of 8 sessions based on the Co-opJigsaw cooperative learning model and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odel,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the score of ‘Co-op Jigsaw’ group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metacognition and its all sub variables statistically.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the score of ‘Co-op Jigsaw’ group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its all sub variables statistic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metacogn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two variables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in the technology education can promote abilities of metacognition of strategic thinking, as well as academic self-efficacy via leading positive progress for students.

      • 교육공학분야의 협동학습관련 연구동향 분석: 2006-2016까지 『교육공학연구』 및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실린 논문을 대상으로

        이지은,김민지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협동학습은 학습자 중심 교육 패러다임에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고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의 형태이다. 2000년대 들어 학습자 중심 환경 설계에 대해 구체적인 설계원리가 제시되면서 협동학습에 대한 실천과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최근 들어 교육공학분야의 연구동향에 대한 여러 검토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구체적인 주제 영역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에서 협동학습은 아직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영역의 두 대표 학술지에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실렸던 협동학습 관련 실증연구 107편을 대상ᄄ 연구의 맥락, 연구된 변인과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협동학습의 효과를 어떻게 정의하고 측정하였는지 살피며, 협동학습의 과정과 결과 중 어떤 부분에 집중되어 연구되었는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협동학습과 관련되어 연구된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팀의 특성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로는 교육공학분야의 협동학습연구는 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블렌디드 모드에서 1주-8주 미만의 비교적 짧은 기간의 협동학습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둘째, 협동학습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종속변인은 학업성취도였는데, 학습자 개인의 학업성취도 흑은 협동학습결과를 학업성취도로 간주하거나, 개인과 집단 학습 결과를 합쳐서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협동학습의 과정보다는 결과에 집중한 연구가 많았으며, 넷째, 개인의 심리적 변인들은 집단의 특성으로 재개념화되어 연구되고 있는 경향성이 발견되었다.

      • KCI등재

        학습자 맞춤형 문해력 학습(Personalized Literacies Learning) 설계를 위한 시론

        기혜선 ( Kiy Heasun )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71 No.0

        이 연구는 학교 밖 문해력 교육 현장에서 교육적 체계와 방안 마련을 위해 학습자 맞춤형 문해력 학습(Personalized Literacies Learning)을 제안하고, 학습 설계를 위한 개념과 원리를 검토한 시론적 연구이다. 급변하는 문식 환경에서 미래 교육은 첨단 기술을 기반 맞춤형 교육으로 논의되고 있다. 학습자 맞춤형 문해력 학습은 개별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바탕으로 학습의 목적, 텍스트, 활동, 산출물, 학습 속도 등을 맞춤형으로 제시하는 학습 방법으로 학습자 주도성 중심의 역량 기반 학습 과정이며, 첨단 기술의 도구적 활용이 포함된다. 학습자 맞춤형 문해력 학습은 주도적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학습자 프로파일과 맞춤형 텍스트, 맞춤형 학습 경로가 유연한 학습 환경에 중첩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지식구성-이해-실천의 학습 과정을 갖는다. This theoretical study focuses on personalized literacies learning, aiming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s and strategies within literacy education settings. It examines the concepts and principles for instructional design. Amidst the rapidly evolving literacy environment, the study envisions the future of education as a realm of personalized learning driven by advanced technology. Personalized literacies learning tailors learning objectives, texts, activities, outputs, and learning pace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It places an emphasis on student agency,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advanced technologies. Personalized literacies learning, revolves around engaged learners, and encompasses learner profiles, personalized texts, and customized learning trajectories within a flexible learning environment. This approach fosters the learning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comprehension, and literac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