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시간관리전략을 활용한 자기조절학습 및 학습전략 향상 학습컨설팅 사례연구

        김동주(Kim Dong Joo)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Vol.8 No.1

        본 사례는 D여자대학교 학사경고자를 대상으로 하는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서 대상 학생이 직접 의뢰하여 2021.10.15.-2021.12.5.까지 총 8회기 진행하였다. 학습컨설팅 의뢰사유는 대학생활을 적응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학습태도 및 학습전략을 향상하는 것이다. 학습컨설팅 진단도구는 MLST-2 학습전략검사와 CAT 대학적응능력검사를 활용하였다. 학습컨설팅의 목표는 학생의 자기조절학습태도를 수립하여 성적향상과 앞으로의 진로설정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학습컨설팅 실행은 학습동기와 학습태도 향상을 위한 시간관리전략을 활용였으며, 매 회기 실행결과에 대해 자기반성의 개입방법을 활용하였다. 학습컨설팅 결과 스스로 생활습관을 돌아보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면서 시간관리와 자기주도학습태도의 향상이 나타났으며, 학사경고에서 2학기 성적향상장학금 대상 학생으로 선정되었다. 자신의 진로 설정의 목표를 구체화하기 위한 행동 목표를 세우는 태도도 보였다. 본 학습컨설팅 사례는 학사경고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태도와 학교적응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학습컨설팅을 통해 대상 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습태도 함양을 확인한 사례이다. 본 사례는 학사경고대상 학생에게 개인적 상황과 대학 생활 현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중요하며, 이들의 적응적인 대학생활과 자기조절학습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대학 내 주요 센터와 통합적으로 연계하여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This case is a learning consulting program for academic warnings at D Womens University and was conducted a total of eight times from October 15, 2021 to December 5, 2021. The reason for requesting learning consulting is to improve learning attitudes and learning strategies to adaptively participate in college life. The MLST-2 learning strategy test and CAT university adaptability test were used as the learning consulting diagnostic tools. The goal of learning consulting was to establish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ttitudes and to help them improve their grades and set future careers. The implementation of learning consulting used time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attitude. As a result of learning consulting, time manag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mproved as they developed a self-reflection attitude to reflect on their lifestyle, and they were selected as students for the second semesters performance improvement scholarship in the academic warning. There was also an attitude of setting an action goal to specify the goal of setting ones career path. This case is It suggested that learning consulting program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personal situations and college life are important for academic warnings, and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m in integration with major centers in the university to improve their adaptive college life and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팅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과 관련하여 KEPA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첫째, 학습컨설팅의 운영에 있어 KEPA의 역할이 출범, 관리, 평가, 그리고 가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공식적으로는 2011년 하반기에야 출범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KEPA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KEPA는 향후 학습컨설턴트 자격증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효과를 질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책임을 진다. 학습컨설팅의 질관리를 위해서는 학습컨설턴트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EPA가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과 단체들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KEPA의 과제가 발전, 심화, 연계, 창출 등 네 가지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KEPA는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KEPA의 근본은 학술단체이므로 이에 걸맞게 학습컨설팅 관련 학술연구를 심화시켜야 한다. 학술단체로서의 KEPA와 교육기관으로서의 각 대학(원)은 교육과정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컨설팅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습컨설턴트의 자격증은 그의 생계와 연결되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므로, KEPA는 자격증에 적합한 직업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 글의 말미에는 KEPA가 지향하는 학습컨설팅의 모습이 학습문제를 보는 두 가지의 관점, 즉 복합성과 메타문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the roles and tasks of KEPA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First, the roles were overlooked in view of beginning,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bridging. Although the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formally began in late 2011, the KEPA had shown a consistent interest in it for several years. KEPA should administer the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ith quality control. For the quality control, evaluations are needed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nsultants. For the success of learning consultation movement, KEPA should act as a bridge connecting all the persons and institutes interested in learning problems. Second, the tasks of KEPA were overlooked in terms of development, enrichment, connection, and creation, KEPA is needed to incessantly develop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KEPA should actively study about learning consultation in academic ways. KEPA should search a reasonable way to connect tracks of learning consultation with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KEPA should pay a great effort to create the earning jobs appropriate for the certificate of learning consultant.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was filled with the feature of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hich KEPA ought to pursue.

      • KCI등재

        학습컨설팅 역량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이명숙(Lee Myung Sook),안도희(Ahn Doe hee),도승이(Do Se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는 학습컨설팅 역량 척도(LCCS: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y scale) 를 개발하여 타당화를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컨설팅 관련 교육을 받는 학습클리닉 요원 228명이 참여하였다. 먼저, 학습컨설팅 역량 척도 개발을 위 하여 Dougherty(2000, 2013) 등의 연구와 국내외 학습과 학교기반 컨설팅 관련 연구 연구를 토대로 학습컨설팅 역량과 하위역량의 6 개념을 추출하였다. 6 개의 하위요 인은 컨설팅 계획과 대인관계 기술, 의사소통 기술, 컨설팅 기술, 학습기술, 평가 및 종결 기술, 지원 활동 및 윤리이며, 총 50 문항의 예비척도를 구축하였다. 예비척도 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 부하량이 .60이상인 총 44개 문항의 양호도를 확인하였으며, 학습컨설팅 계획과 대인관계 기술, 의사소통 기술, 컨설팅 기술, 학습 기술, 학습컨설팅 평가 및 종결 기술, 학습컨설팅 지원 기술, 윤리로 구분 되는 7개의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7개 하위요인의 총 설명변량은 67.11%로 나타 났다. 다음으로 이렇게 개발된 최종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최종 LCCS의 전체 신뢰도 Cronbach α는 .95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들의 신뢰도 범위는 .85에서 .94로 양호한 수준을 보였고, 최종 LCCS의 요인구조 적합도 지수인 X2/(df), CFI, TLI, RMSEA, SRMR가 수용 가능한 기준치를 충족시켜 구조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판명되었다. 본 척도개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learning consultation competency scale(LCCS). A total 228 consultants who work at the Offices of Education-affiliated learning clinic in Chungcheong and Gyeongsang reg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irst, a preliminary LCCS of 50 items consist with 6 sub-factors such as consultation plans and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onsultation skills, learning skills, consultation evaluation and termination skill, supporting activity and ethic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studies of Dougherty(2000, 2013), Brown, Pryzwansky, and Schulte(2001), and Kampwirth(2010).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4 items consisting with 7 sub-factors were confirmed as valid meeting criteria of factor loadings above .60. These 7 sub-factors were labeled as consultation plans and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consultation skills, learning skills, consultation evaluation and termination skill, consultation supporting skill, and consultant ethics.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in order to validate the final LCCS. As a result, the model fit indices of X2/(df), CFI, TLI, RMSEA, and SRMR were met the sufficient fit criteria, the overall reliability Cronbach α for the LCCS was .951 and the reliabilities of 7 sub-factors ranged from .851 to .936, and the final LCCS can serve as valid and reliable measure for the leaning consultation competencies.

      • KCI등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

        윤채영,김정섭 한국교육개발원 2015 한국교육 Vol.4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A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DDIE program developing model. The literature review of this paper looks at the concept, process, model of school based consultation, and student learning difficulties. A needs survey was conducted with 42 school teachers. And to validate the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developed in this paper, a pilot test was implemented for four months at an elementary school in Pusan. To verify the effects of its implementation, a MANCOVA was conducted. Afterwards, the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ough feedback from the students (clients) and the teachers (consulters), and from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conducted via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was that the mean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lightly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seen within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a neutral intervention. A final model was completed with the verification process of content validity by experts' comments and a review based on a focus group interview. Value: This school-based learning consulting model is expected to have a support system based on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experts (consultants) and teachers in a public school. That support system will allow for diagnosis and interventions to address students' psychological, adaptive, and behavioral problems related to learning. 본 연구에서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ADDIE모형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요구조사와 문헌분석을 통해 컨설팅과정, 주요 컨설팅요소를 추출하고, 설계과정에서 모형개발의 방향 및 목표, 학습컨설팅 구성요소, 컨설팅과정, 학습컨설팅에 적합한 의사결정요소를 선정하였다. 개발과정에서는 선정된 내용을 분류하고 계열화하여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과정과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을 위한 의사결정요소를 구조화하였다. 그리고 실행과정에서 개발된 모형을 초등학교 현장에 학습부진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여 모형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 평가과정에서는 학습컨설팅이 이론과 실천을 연계하는 분야임을 감안해 현장전문가와 이론전문가 4인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모형을 완성하였다.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은 컨설팅 과정 속에서 문제해결과정에서 요구되는 의사결정사항에 대한 고려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병행구조로 개발되었다. 즉, 개발된 모형은 컨설팅 진행과정에서 문제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을 때는 의사결정사항을 근거로 이전 단계로 돌아올 수 있는 순환구조의 틀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습문제를 주로 다루는 학습컨설팅의 특성을 감안하여 학습문제 진단체제와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처치해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학생의 심리・적응・행동 문제를 전문적으로 진단-처치할 수 있는 문제해결체제를 마련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

        강신천(Shin Chun Kang),양애경(Ae Kyung Y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최근 방과후학교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방과후학교 교사에 대한 질관리 문제가 중요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하는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를 ``학습컨설팅``이라 전제하고,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처방적이고 실질적인 학습컨설팅 모형을 연구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학습컨설팅 전략을 탐색하고 대안적 모형을 탐구하였으며, 최종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한 처방적이고 실질적 학습컨설팅 모형을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처방적 ``학습컨설팅`` 모형 개발을 통해 학습컨설팅이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할 핵심역량 중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방과후학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가장 큰 우려는 방과후학교의 내실화이며, 교사의 역량은 이를 위한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학습컨설팅을 방과후학교 교사가 가져야 할 핵심 역량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본 장에서는 방과 후 학교 교사가 학습컨설팅을 하기 위해 필요한 처방적 전략과 학습컨설팅 처방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교사 또는 강사가 학습컨설팅 역량을 갖기를 기대하고 나아가 학습컨설팅 모형에 따라 실질적인 학습컨설팅을 실행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quality control for After-school teachers became an important issue as After-school has been growing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is study set learning consulting that is one of important competencies for After-school teachers forth as a premise and its purpose is to study on proposing a strategic and practical model of learning consulting for vitalizing After-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has researched some strategies for learning consulting and then it has inquired an alternative model for learning consulting of After-school teachers. Finally it has proposed a strategic and practical model of learning consulting for vitalizing After-school. This study concluded that learning consulting is one of important competency for After-school teachers through prescribed model for learning consulting that was proposed to vitalize After-school substantial and teachers` competencies will be more important factor than now. We expect that this study makes After-school teachers to get learning consulting competency following its alternative model.

      • KCI등재

        학습컨설팅이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은지,강주리,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consulta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ollege underachievers. The participants were 81 underachievers who warned scholastically at least o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43) or the control group(n=38). The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5.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articipated in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learning consultation was provided with two modes: the personalized and the group consultation. The personalized consultation consisted of two sessions and the group consultation consisted of four sessions. Each session has an approximate duration of 120 minutes. All subjects were administrated both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and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as pretest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two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consul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what kinds of service do college need to provide to college underachievers. 본 연구는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컨설팅이 이들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기존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컨설팅 전문가로부터 검증받은 후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다. K대학에서 1회 이상 학사경고를 받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학습부진 대학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학습컨설팅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43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생(38명)은 학습컨설팅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되었다. 학습컨설팅은 총 8주 동안 개인 학습컨설팅 2회, 집단 학습컨설팅 4회로 회당 120분씩 진행되었으며,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부진 대학생에게 어떤 형태의 서비스가 향후 제공되어야 할지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김소영,최지만,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여 이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A초등학교 4, 5학년 학습부진학생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윤채영, 김정섭(2010)이 제시한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과정에 따라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대상학생에 대한 정보수집과 문제분석을 위해 진단검사는 학습능력진단검사와 주의집중능력검사 등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진단검사 결과와 문헌연구, 학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집중력 관리 중심의 학습컨설팅을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맞춤형 개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은 학습부진의 주요 원인인 집중력 관리를 주제로 보조적인 학습전략을 추가하여 구안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10주간 학습컨설팅을 적용하였으며, 주의집중능력검사를 사전 ․ 사후에 실시하여 공분산분석(ANCOVA)를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컨설팅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y the effects of learning consultation on the management of concentra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0 underachieved students in the fourth and fifty grades. Learning consult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model of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ation(Yun & Kim, 2010). To diagnose and analyze students’ problems, two instruments were adopted: Learning Ability Diagnosis Test and Concentration Ability Test. With the result of the diagnosis, documentary research, and school’s need, it was determined to apply learning consultation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of concentration and to make the intervention program on demand. The learning consultation was performed for 10 weeks, and carried out Attention Concentration Ability Test(Lee, 2011)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otal score, visual attention, aural attention, and continued concentration except learning concentration.

      • KCI등재후보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형정은,정명화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 tion program" on for the college student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rogram will be proceed by the combination of direct consultation and nine times of indirect consultation, so called "integrated learning consultation". This study was used 'mixed-design study'. First of all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the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econd, to underst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ubjects, grade point averages (GPA)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Thir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surveys. For qualitative approach, FGI about the program had been made for the accurate jud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several aspects to consider. First, the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lower. Second, subj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 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acquired learning strategy and evaluating current learning skill were useful, but effort for learning skill and learning disability was not enough to fulfill the demand. Last, analyzing the contents of FGI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because it needs a certain amount time to make it as habbit. Wit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paper provides the discussion of the effects fo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by processing the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의 D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월 15일부터 5월 24일까지 1시간 30분씩 총 9회의 직접컨설팅과 60분씩 총 1회의 간접컨설팅으로, 직접컨설팅과 간접컨설팅이 통합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함께 사용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양적연구로는, 첫째, 자기조절학습 설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연구 대상의 전체평균평점을 조사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연구로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FGI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 학습기술 전략 습득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습법 평가에 도움이 되었지만 학습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과 학습장애요소 제거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FGI 내용 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을 습관으로 형성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의 실시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윤소정(Yune, Sojung),전보라(Jeon, Bora),김회용(Kim, Hoy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컨설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의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3개교의 총 1911명 학생이다. 연구 방법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학습컨설팅을 적용하고, 학습컨설팅의 결과 평가와 과정 평가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결과와 질적 결과 모두를 분석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컨설팅의 양적 결과 분석에는 이원변량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결과 분석에는 의미단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컨설팅 모형은 도입-진단-실행계획수립-실행-종결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습컨설팅의 적용은 3개월에 걸쳐 12명의 컨설턴트들이 투입되어 진행되었으며, 플래너 점검과 피드백, 학부모·교사·학생 연구, 온라인 사이트 운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컨설팅을 통해 학습플래너 작성 능력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습플래너의 유용성 인식과 학습플래너 사용 증대 결심, 시간관리 능력 제고, 성적 향상 믿음에서 의미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학교와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 컨설팅이 중학생에게 의미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secondary school consulting model and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A total of 191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four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in “B” city. A method of learning consulting model was developed using planner execution, and eval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ing. The results of the effects were analyzed. This study used a mixed-design study. For quantitative approach,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pproach, a semantic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consulting model was composed of an Introduced-Diagnosis-Implementation Plan-Do-closing process. Second, the three-month consult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ultants has been introduced to 12 people. Inspections and feedback planners, parents, teachers, student research, and an online site oper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learning planner's ability to create change through learning consulting was achieved, but it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iming. Usefulness of learning awareness and learning planner increased with determination, time management skills, and improving grade enhancement.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faith,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due to the interaction.

      • 읽기 기초학습부진 학습컨설팅 사례 연구: 정서행동문제를 동반한 난독증 위험 초등학생

        김민아(Kim Min A) 한국교육심리학회 2023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Vol.8 No.1

        이 사례는 S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학습종합클리닉센터에 학습컨설팅을 의뢰하여 2021.4.1.∼2021.11.25.에 총 22회기가 실시되었다. 클라이언트는 한글 미해득 초등학교 2학년 남학생으로, 담임교사가 읽기 지도를 꾸준히 하였으나 진전이 없어 의뢰하였다. 읽기의 어려움을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_Ⅴ), 한국어 읽기검사(KOLRA), 수용어휘력 검사(REVT-R)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지능, 수용어휘력, 듣기 이해능력은 정상이나 해독에서 상당히 저조한 모습을 보여 난독증이 의심되는 학생이였다. 초기 학습에 대한 강한 거부 반응과 산만한 모습이 관찰되어 읽기 중재를 바로 실시하지 않고, 라포형성과 정서행동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차츰 정서적으로 안정되면서 집중적으로 읽기 중재가 시작되었으나 한정된 회기동안 한국어 읽기검사 영역 중 해독에서의 변화만 있었다. 난독증은 조기에 지속적으로, 강도 높게, 전문적인 중재가 필요한 만큼 학습컨설턴트 뿐만 아니라, 교사와 부모에게도 난독에 대한 이해 및 지도방법 등 컨설팅 기술을 전달하여 학습에 대해 연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겠다. In this case, the homeroom teacher of ○○ Elementary School in S City requested learning consulting from the Learning Clinic Center, and a total of 22 sessions were conducted from April 1, 2021 to November 25, 2021. The reason for the learning consultation is a male student in the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who has difficulty reading, although his homeroom teacher has been providing reading guidance after school. To identify reading difficulties, the Korean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KOLRA), Korea 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WISC_Ⅴ), and Receptive Vocabulary Test(REVT-R)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ntelligence, receptive vocabular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were normal, but decoding was significantly poor, suggesting dyslexia. Due to his strong resistance to learning and distractibility in the early stages, we did not implement reading interventions immediately, but focused on addressing his difficulties with rapport formation and emotional behavior. As she stabilized emotionally, intensive reading intervention was initiated, but within a limited number of sessions, there were only changes in decoding in the Korean reading test. As dyslexia requires early, continuous, intensive, and specialized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not only learning consultants but also teachers and parents with consulting skills such as understanding dyslexia and teaching methods so that learning can be managed continuou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