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과 시사점

        최화숙,권낙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nd draw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which relate to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the trend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listed as five categories; the significance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teachers' perception and need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ource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process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rend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First, it is common to need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extension of the teachers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t an agreement point of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range. Third, it was insufficient to the case study which applied to the domestic school. Fourth, it is required to deal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among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to widen the understanding for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연구 동향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의의를 다룬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모형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요인에 관한 연구,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관한 연구 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동향에서 공통적으로 시사하고 있는 바는,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신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범위에 대한 공통된 합의점이 없었다. 넷째, 국내 학교 현장에 적용한 실제의 사례 연구가 부족하였다. 다섯째, 연구 동향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모형 연구에 있어서 모형 개발의 근거를 주로 이론적 탐색 과정에 두었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참여의 양상 및 쟁점 분석

        이주연,우라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4

        최근 고교학점제에 따라 학생의 과목 선택권이 강조되면서 수요조사 및 수강 신청을 토대로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도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은 중요한 의사결정의 자원으로 고려되었으나, 수요조사 및 수강 신청 결과가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중요한 근간으로 작용하게 된 작금의 상황은 학생 참여의 의미를 재고해보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참여의 양상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된 쟁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본 경험이 있는 교사와 연구학교를 모니터링하며 지원하는 고교학점제 담당 장학사, 총 9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라 교사들은 기존과 같이 ‘교육과정 개발의 자원’으로서 학생의 수요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기도 하였으나, 수요조사 및 수강 신청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설 과목을 확정함으로써 학생을 ‘교육과정 개발의 참여자’로 고려하기도 하였다. 일부 교사들은 학생의 요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대안적인 방안들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학생이 ‘교육과정 변화의 촉진자’로서의 역할도 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여러 쟁점들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과목 선택 역량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 과목 개설 요구에 대한 개별 학생들 간의 목소리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들의 개입은 어느 정도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학생 참여를 더욱 유의미하게 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In developing the school curriculum, the ‘student’ has been regarded as a resource for decision-making. However, with the recent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aises the meaning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goal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meaning and the issues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terviews with nine people, including teachers and supervisor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were regarded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 curriculum as in the existing method. Students also had the meaning as important ‘participants’ in determining the subject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sometimes as ‘change facilitators’ who make teachers to find alternatives. In this process, there are difficulties in relation to how well students have understanding and competency in subject selection, differences in the voices of students about the demand for opening subjects, and the extent to which teachers should intervene when the needs of students are important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a change in the perspective on student participation is necessary to develop curriculum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actical support should be prepared to resolve detailed issues related to student participation.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상에 제시된 다문화 내용 요소를 분석한 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으로 하나의 체제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육과정 각 구성 요소별로 지향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즉, 정체성과 다양성 있는 목표 구성, 소수 인종과 문화 집단의 총체적 관점이 포함된 내용 선정,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회를 통합적인 방법으로 제공, 목표, 내용 및 방법 등과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하나의 체제로 연결할 수 있는 인적․물적 지원도 개발 방향의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일부 소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뿐만 아니라 내용, 방법, 평가 그리고 기타 인적․물적 지원까지도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체제와 방향으로 구성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은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필요에 의한 프로그램 제공이 아니라 체계적인 틀을 갖춘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atching up to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which relat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searched the changes from school-based curriculum in the present. Also analyzed the multicultural contents element which is presented in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he result for the search of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Fir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preferentially aimed at purposing not only identity of the minority race but diversity of culture. Second, reasonable and various contents which contain general perspectives of the minority and cultural community should be selected. Thirdly,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efficiently, equ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hrough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utilize only the integration methods. Fourth, in evaluating aims,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and systematic. Lastly, this process can provide the ground for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ositive through only the correl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not a minority but all the various and different students. Second,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tituted toward the system and direction for realization of multi-education for not only aims, contents, methods, evaluations but various personal and material support. Thirdly, contents presented by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not provide an extemporaneous composed program but be developed to the direction with systematic struc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to draw the pla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ey Words : multicultural society,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 탐색

        조호제(Cho, Hoje),홍후조(Hong, Hoo-J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우리나라 고교 교육의 성격을 살펴보고 진로 집중과정과 대학 입시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둘째, 고교교육에서 진로 집중과정의 정당성을 사회, 교과(학문), 학습자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셋째, 이상의 탐색과 논의를 기초로 하여 고교에서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교육과정의 존립수준에 따라 다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 집중과정 개발자로서 고교 교사의 전문성은 교실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에 맞는 교과의 종류, 내용, 수준, 범위 등을 결정하고 여기에 알맞게 교수하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학교수준 교육과정에서는 학교에 개설할 진로 집중과정의 종류를 학생의 진로, 능력, 적성에 맞게 설계하거나 조율하는 교육과정의 적정화를 통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지역 수준 교육과정에서는 단위학교에서 진로 집중과정을 다양하게 개설하는데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한 학교간 역할 분담을 하는데 있어 학교의 규모나 교육 환경을 살펴 특정 지역에 알맞게 진로 집중과정을 분배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전문성이 필요하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는 진로 집중과정의 종수를 획정하고 명칭을 확정하며 나아가 진로 맞춤형 대학 입시를 설계하는 전문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and draw on its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performed the following research. First, this stud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focused courses and entrance exams in Korea. Second, it discussed justification within society, subjects (disciplines), and students focused on a career in high school education. Third, it reviewed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curriculum decision making. The result for the this stud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The speciality of high school teachers as career-focused course developers is required in deciding the type, contents, scope and sequence of the subjects suitable for the careers and teaching in the classroom-level curriculum. Especially, teachers require the ability to make up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needs for the school, a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resolve it in the school-level curriculum. They require the speciality to distribute the career-focused courses to overcome limitations for opening various classes in a regional-level curriculum. They require the speciality to determine the type and names of the career-focused course, and design entrance exams for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 운영의 실천적 논리에 대한 재검토

        손민호(Shon Min Ho),박제윤(Park Je Yu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지배적인 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기술 합리주의적 논리에 대비되는 현장적 관점을 통해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관련된 실천적 논리에 관해 살펴보았다. 학교수준 교육과정 계획의 과정에서 실천적 논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새롭게 정립할 필요가 있는지를 정리해보고, 이러한 관점에 터하여 학교 교육과정의 계획과 운영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특징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학교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교현장의 입장에서는 국가기준은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여러 요구중 하나일 뿐이며, 학교는 학교 나름의 실천적 논리와 교육과정 운영방식의 관행에 의해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이 우리 현실에서 보다 확고하게 정착되도록 하기 위해서 필요한 객관적 조건들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데 있지 않고, 기존의 조건을 전제로 하고 이러한 조건 안에서 현행 학교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담론들에 내포되어 있는 제약들을 검토하는 데 있다. This study observed the existing conditions and restrictions in connection with the school-based curriculum autonomy on a point of view from school scenes. The nation level expects that schools are administered as it needs to. However, the national standards are one of the diverse needs on school curriculum operation when searched through the basis of data analysis, and it could be confirmed that schools have organized and operated the school curriculum by the practical logic on their own way. In other words schools would manage the practice operated from the past, rather than accommodating the strictly compulsory cases suggested by the n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e level. In their way, schools would develop strategies and good organizational reasons to deal with instructions on curriculum standards. Through those analyses what kinds of effort are needed for the practical logic to be operate properly in the administering the school-based curriculum is presented.

      • KCI등재

        효과적인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주재홍 ( Jae Hong Joo ),김영천 ( Young Chu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의 교사, 행정가,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다문화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학교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재구조화 할 것인지에 대한 하나의 개발모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학교 교사들이 알아야 할 네 가지 단계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단계와 세부 영역을 개념화하고 규명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교의 기초로서 다문화교육의 철학적 전제를 ‘다양성의 존중’, ‘교육적 평등’, 그리고 ‘모든 학습자에 대한 높은 기대’로 개념화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을 학교와 수업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실천하기 위한 네 가지의 단계를 교육목표, 교육내용, 수업, 그리고 학습자 평가로 개념화하였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실제와 활동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념화한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형이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에서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가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과 실천전략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대부분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들이 활동이나 경험 중심, 또는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이 많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다문화 관련 교육목표가 무엇인지를 먼저 명료하게 규명하고 이에 기초하여 학교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천해야 한다는 그 관계성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과정을 교육과정 개발이라는 이론적 모형 속에서 구체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chool teachers and educators with a model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o be used for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do so, essential knowledge and ideas in four areas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1) educational objectives, (2) educational content, (3) instructional method, and (4) learner evaluations. These areas were drawn from a critical summary and analysis of previous literature on multicultural education both in the foreign countries and in South Korea. In addition, a new checklist was developed based on the new model in order to show how it can be used in the future at a school curriculum level as school teacher``s self-evaluation process to develop better multicultural schools. Since this model shows educators an entire process of multicultural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it enables them to understand practical issues and strateg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t school level within the broad picture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therefor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characterized by students`` activities and cultural programs.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학교중심교육과정 개발 방략

        김용욱 ( Yong Wook Kim ),윤정하 ( Jeong Ha Yo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1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2008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개정ㆍ고시되면서 큰 변화의 기축이 되었다. 이후, 2010,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라는 명칭으로 교육과정이 줄기차게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고시된 후 적용과정에서 보완 조치 등과 관련하여 행정절차가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과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ㆍ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현장의 교육과정 정상화라는 관점에서 국가수준인 「2011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근거로 학교교육을 위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제이론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국ㆍ내외의 동향비교ㆍ고찰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우리 실정에 부합하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략을 제안하였다. 이상에서 얻은 연구의 결과는 학교현장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을 개발ㆍ적용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According to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plan would apply subsequently to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 since March 1st, 2008. Even though the plan was announced long time ago, there has been constantly revised on the plan itself. Therefore, many educators at schools are having difficulties to follow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ar for their students. In respo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Revis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2011”.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search would be conducted on the document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s and local level curriculums. Second, the reasons for the thesis of the paper were written based on the close observa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were conducted, and of the trends of foreign education systems. Third, a school-based education development plan was suggested after considering the documents that are collected in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n important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new curriculum for many schools in Korea.

      • KCI등재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가능성 탐색

        이형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mmunity values ​​of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 according to the theory of Posner(2004). The A middle school “Peace Curriculum” is composed of students' ways of exploring and expressing various subjects, centering on the school's unique value of “peace”. In addition,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re central to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bjects for students to explore have a spiral curriculum structure that is hierarchized by grade level, and grade level curriculum is organized by backward curriculum design. This curriculum ensures that students reach a authentic understanding and have a learning experience appropriate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From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cessary to develop a school curriculum. First, teachers must share the value of school education. Second, a deliberation process is needed based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eachers. Third, the process of finding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facing the school is necessary. Fourth, the school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as a grade curriculum. Fifth, in order to develop the schoo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curriculum is organized. Furthermore,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simplified and more empowerment should be transfer to schools and teachers. 이 연구는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따른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범적인 혁신학교로 인정받고 있는 A중학교의 학교교육과정을 Posner(2004)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A중학교의 ‘평화교육과정’은 학교의 고유한 가치인 ‘평화’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표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문서가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공유하는 교육활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해야 할 주제들이 학년별로 위계화되어 있는 나선형 교육과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학년별 교육과정은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방식에 의해 체계화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고 발달단계에 적합한 학습경험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A중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사례를 통해 볼 때, 학교의 고유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의 고유한 가치를 교사들이 공유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한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가 처한 문제를 극복하는 대안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중등학교의 고유한 학교교육과정은 결과적으로 학년교육과정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학교교육과정 개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교육과정을 대강화하고 학교와 교사 차원에 더 많은 권한이 이양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학교 간 협력적 관계에서 개발된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박영진 ( Youngjin Park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교육국제화특구 내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PDS의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osner(1994)의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2017년∼2019년까지의 3개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 비율 증가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교육국제화특구 및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을 시작으로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는 대학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며, 학교 상황에 적합한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하였다. 셋째, 학교별교육과정을 다문화주의 관점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별로 다른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영되어 나타났다. 넷째, 각 학교는 대학-학교 간 협력하에 교육과정 비평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해 나갔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DS school curriculum which is designated and operated for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in the International Special Zone of Educ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lusters. For analyzing the schools the school curricula from 2017 to 2019 were analyzed based on Posner’s(1994) analysis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attempt to structurally change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multicultural cluster area and the school’s characteristics; third, through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reflected in the PDS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curriculum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can be grasped; fourth, the curriculu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criticism.

      • KCI등재

        백워드 설계 방식을 통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안 탐색

        정수경 ( Su Kyung Jung ),강현석 ( Hyeon Suk Kang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단위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목적을 고찰하고, 현행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 방식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현행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 실태를 진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목적 표집을통해 선정된 초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 문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유의 교육 목표에 대한 내용, 방법, 평가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었고, 대다수 학교가 주어진 교육과정 기준에 어긋나지 않는 수준의 소극적 교육과정 편성을 한다는 문제점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 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본 연구는 백워드 설계 방식을 제안하며 그 특징과 가치에 대해 Wiggins & McTighe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한다. 그리고 이들이 제시한 열 가지 교육과정 요소에 따라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백워드 설계 방식을 적용하는 방안을 몇 가지 예시 및 적용 상 유의점과 함께 제시한다. 백워드 설계 방식은 단순히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변화이기 이전에 학습자들의 진정한 이해라는 분명한 교육목표를 고도로 초점화하는 방안으로, 본 연구는 책무성과 전문성 있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백워드 설계 방식을 적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consider the purpose of developing school curriculum and propose backward design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urrent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everal curriculum documents from elementary schools chosen through purposed sampling was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on the actual condition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s a result, some problems have come up; the lack of consistency in educational objectives, learning contents, method, and assessment; the passive curriculum organization kept within bounds of the mandated curriculum. With considering the matter carefully, we suggest backward design and discuss its features and worth theoretically according to Wiggins & McTighe. And then we suggested backward design application for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showing examples and attention points with a focus on three steps from ‘Understanding by Design’ / ten curriculum components from ‘Schooling by Design’. Backward design model is more than a change of developing procedure. It is rather an approach that highly focus on long-term transfer goals and understanding. In such a context, this research implies that backward design is useful for developing accountable and professional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