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과 자유학년제 교육과정 편성 및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관한 연구 -서울시교육청 소속 중학교를 중심으로-

        정효영 ( Jeong Hyo-yo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른 한문 교과의 시수 편성과 한문 교과 연계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중학교에서 자유학년제 또는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한문 교사에게 자유학년제와 관련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라 중학교에서 교과별 시수의 감소와 자유학기 활동의 편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만, 이전 교육과정에서의 한문 시수와 비교, 심층 면접, 학교교육계획서 분석 등이 미비하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재 시점에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 교과의 시수 변동과 한문 관련 자유학년제 선택프로그램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교알리미의 정보공시 자료에서 ‘자유학기제 운영에 관한 사항’, ‘학교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에 관한 자료를 통하여 서울 소재 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먼저, 한문 교과의 학년별 시수 현황, 자유학년제 시행에 따른 한문 교과 시수 증감 여부, 한문 교과 시수, 한문 교과 연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다. 서울 소재 중학교의 80% 이상의 학교에서 한문 교과가 개설되어 있었으며, 2학년에 편제된 경우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주당 2∼3시간으로 한문 교과를 운영하는 학교가 다수였다. 한문 교과 연계 주제선택프로그램은 102개의 프로그램이 운영 중이었으며, 이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과 성취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다수였으며, 그중에서도 성어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 외 인성, 문화와 관련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이는 정규 교과 수업 시간에 여러 이유로 다루지 못하였던 영역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을 통하여 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문 교과와 한문 교과 연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운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중학교에서 경험했던 프로그램 선택의 경험은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와 연결될 것이다. 이에 학생의 흥미와 수준에 부합하는 한문 교과 관련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프로그램 개발과 각 학교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 자료에 대한 공유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nalyz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nese character-related topic selection program and the composition of number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curriculum organiza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 to provide materials related to the free grade system to Chinese character teachers who are operating the free grade system or the free 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s. Precedent research was reviewed, and the number of hours per subject in middle school decreas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and the organization of free semester activities was investigated. In the information disclosure data of School Alert, it is examined at the oper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through the data on ‘Details on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Details on the Organiz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School Curriculum’. First, it was possible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subjects by grade level, whether the number of hours of Chinese character was reduc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grade system, the number of hours for Chinese character, and the topic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grade system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More than 80% of middle schools in Seoul, Chinese character subjects were offered, and most of them were organized in the second year. In addition, there were many schools that operated Chinese character subjects for 2-3 hours per week. There were 102 programs in operation for the subject selection program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many programs related to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and among them, programs related to idioms accounted for the majority. Other programs related to personality and culture were being ope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areas that were not covered for various reasons in the regular curriculum are being supplemen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selection program of the free grade system. Although this study has obvious limitation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operation of the free-grade subject selection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Chinese character and the Chinese character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ddle schools. The program choice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 will be linked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high school.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ubject selection program for the free grade system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subject that meets the interests and level of the students and to share the program data operated by each school.

      • KCI등재

        자유탐구지도 연수프로그램이 중등과학교사의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 및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윤희숙,김희경,이기영,조희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이 과학교사의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과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자유탐구의 이론, 자유탐구의 지도방법, 자유탐구의 예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한 후, 연수에 참여한 중등과학교사 67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에 자유탐구 교수 효능감 검사와 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수 프로그램이 자유탐구의 교수 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자유탐구의 목적으로 ‘비판적 사고능력의 증진’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증진’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아졌으며, 자유탐구의 주제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연, 생명현상 탐구 주제’에 대한 선호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과제 수행 유형에서 다른 과제 개별 수행에 대한 선호도가 사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평가 방식에 있어서는 다면적인 평가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연수 후 자유탐구의 도입에 대하여 ‘지도시간 부족’이나 ‘학급당 학생 수의 많음’, ‘학생의 시간 부족’ 등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수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유탐구지도 연수 프로그램의 개선과 관련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ree Inquiry'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for free inquiry.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of which contents had three aspects of free inquiry: the theory, teaching methods, and the teaching cases of free inquir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sking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for free inquiry, and participants were 67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teaching efficacy for free inquiry was improved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In addition, there were changes of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of the purposes, subject type, group type and evaluation methods of free inquiry. About the purposes of free inquiry, the responses to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and 'improvement of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 were increased, and about the subjects of free inquiry, responses to 'inquiry about nature phenomena rela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increased. About the 'group type', the responses to 'individual project' were decreased, while the responses to the multifaceted evaluation were increased about the evaluation method. As the barriers for implementing free inquiry, the perception level about 'number of students', 'the lack of teaching time' and 'a shortage of students' time' increased than the level in pre-test.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the program about this is needed to improve teachers' efficacy. Finally, Implications for free inquiry teacher training program was discussed.

      • 중학교 자유학기제와 사범대 연계 운영 사례 탐색

        옥일남(Ok Ilna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7 교육발전 Vol.37 No.2

        2013년 자유학기제가 시범 도입된 이후 2016년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시행되었다. 시행 이후 중학교 현장에서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교육 현장의 새로운 변화를 야기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반면에 성공적인 안착을 위하여 이웃 유관 기관과의 협조 속에 실질적인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학교 안의 변화만이 아니라 학교 밖 관련 지원 연계 기관의 변화도 나타났다. 이 일환으로 사범대 예비교사 양성 기관에서의 연계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의 변화를 위한 자유학기제 참여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를 탐색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중등학교의 학생들과 대학교 예비교사들의 진로 체험의 특성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교직 적성을 확인하고 좀 더 능동적으로 교직 준비를 하게 되는 계기로 작동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통해 무엇보다 교실 수업의 변화로서 학생 중심 참여 수업의 교실 속 도입 경향이 강조되어 제시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Free semester system is introduced in 2013, and was spread throughout the nation in 2016. There are some wide variations in middle school. The system showed a high level of faculty satisfaction, and made a change in classroom activities. However it needs to maximize the chances of effective various programs of related public organizations for successful operating. For this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 and University, college of education, Seowon University provided preliminary teachers with trained for Free semester system class. Both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liminary teachers had their career experience. Most of all, student based instruction was applied to change of classroom activities in the system.

      • KCI등재

        자유학기제에 적용가능한 대통령기록물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송나라,이성민,김용,오효정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The presidential records reflect the era of the times, and it has valuable evidence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of government operations. People’s interest in the presidential records increased in response to its recent leak. The presidential archives were moved to Sejong in line with its desire to provide public-friendly services. This study will help users access the archives and utilize archiving inform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all middle schools have began conducting since 2016.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education can be provided by external organizations. As middle school students are still unfamiliar with archives,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vides a good environment for accessing archives and records. Although it serves as an opportunity to publicize archives, existing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uring the free learning semester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archives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shows a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using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 Fir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research understood the definition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as well as its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four type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linked to the presidential archives. Second, through website analysis and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is research investigat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education program. A total of 46 education programs of institutions were analyzed, focusing on student-led education programs in the foreign archives as well as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ee learning semester in domestic libraries and archives. Thir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four types of free learning semester education programs using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records, and provided concrete examples. 대통령기록물은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국가 국정운영의 행정투명성과 설명책임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적 가치를 지닌 자료이다. 최근 잇따른 대통령기록물 유출 사건으로 인해 국민들의 대통령기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세종 신청사 이전으로 국민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대통령기록관의 목적에 맞춰 본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관에 접근하고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면서 중학생은 한 학기동안 외부기관에서 교육을 받을 수있게 되었다. 이는 기록관이 낯선 중학생들에게 기록관과 기록물에 접근할수 있는 좋은 환경을 마련해주고 기록관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이나 아직관련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국내·외 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적용가능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함으로써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국내·외 사례분석,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자유학기제의정의 및 유형을 이해하고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의 대통령기록관에 연계 가능한 교육프로그램을 파악하였다. 둘째, 웹사이트 분석과정보공개청구를 통해 국외 기록관과 국내 도서관 및 기록관의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였다. 국외 기록관은 학생 주도의 교육프로그램, 국내 도서관및 기록관은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총 46곳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자유학기제 교육프로그램 4가지 유형과 구체적 적용 예시까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단계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 생성 단계의 자유변수 제거

        어현준(Hyunjun Eo),이광근(Kwangkeun Yi)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3

        다단계 프로그래밍이란 매크로 프로그래밍, 부분 계산(partial evaluation), 실행시간 코드 생성(runtime code generation)등을 포섭하는 일반적인 방법론으로, 계산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주어진 부분 입력을 통해 다음 단계를 전문화(specialize)함으로써 효율적인 계산을 수행하게 해 준다. 다단계 프로그램은 일반적인 계산 외에 코드(다음 단계의 프로그램)를 생성, 조립 및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코드에 자유변수를 허용하는 다단계 프로그램을 코드에 자유변수가 없는 다단계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코드에 존재하는 자유변수는 동적으로 바인딩(binding)되기 때문에 이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자유변수가 있는 코드는 환경을 입력으로 받는 함수의 코드로 변환하고, 필요한 환경은 코드를 조립하는 시점에 넘겨 줌으로써 코드에서 자유변수를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자유변수가 제거된 다단계 프로그램은 Davies와 Pfenning이 제안한 방법에 의해 단계가 없는 람다 계산(lambda-calculus)으로 변환된 후 람다 계산법에 의해 실행되어질 수 있다. We present a transformation which converts open-code multi-staged programs into closed ones. Staged computation, which explicitly divides a computation into separate stages, is a unifying framework for existing program generation systems. Because a multi-staged program generates another program, which can also generate a third program and on,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staged language is not straightforward. Dynamic binding of (lexically free) variables in code also makes the implementation of a multi-staged language hard. By converting each code into code of function which takes environment for free variables as its argument and giving an actual environment at the code-composition site, we can transform a open-code program into a closed-code one. Combining with Davies and Pfenning’s method, our closed-code-conversion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the unstaged language to be useful for executing multi-staged programs. We also prove the correctness of our conversion: the converted program is equivalent to the original program, and the converted program does not have open code.

      • KCI등재

        혁신학교인 K중학교를 통해 본 자유학년제 운영 특징에 대한 사례 연구

        김아람 ( Kim Aram ),김아미 ( Kim Ami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와 일반학기의 연계를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난 2017년 경기도교육청을 비롯한 몇몇 시도교육청에서 전면 시행되었다. 이후 2018년도에는 교육부의 적극적인 권고로 전국 중학교의 절반에 해당하는 1500여교에서 자유학년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난 2017년도에 자유학년제를 시행한 K중학교를 중심으로 자유학년제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혁신학교인 K중학교의 문화적 맥락이 자유학년제 실천에서 어떠한 특징으로 드러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와 연계 자유학기의 일반 교과수업 및 자유학기 프로그램 수업을 참여관찰하였고, 교사(5명), 학생(9명), 학부모(2명)를 대상으로 개별 또는 그룹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혁신학교인 K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실천에서는 크게 세 가지 특징이 드러났다. 첫째, 교사 중심으로 형성된 개방적이고 협력적인 혁신학교 문화가 자유학년제가 잘 운영될 수 있는 핵심적인 토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K중학교 교사들은 자유학년제 도입 이전부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수업개선을 꾸준히 실천하며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을 구성해나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학년제에서 요구되는 수업이나 활동이 K중학교 교사들에게는 기존에 해오던 수업개선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여겨지고, 학생들 또한 일반 교과수업과 자유학기 프로그램의 차이를 크게 느끼지 못하였다. 셋째, K중학교의 자유학년제는 매우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나, 교사와 학생, 학부모에게는 행복과 불안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사들에게는 과도한 업무로 인한 부담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고, 학생과 학부모에게는 대학입시를 비록한 평가제도의 변화 없는 자유학년이 마냥 즐거울 수 없는 기간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년제와 혁신학교가 확대되는 최근 한국교육의 정책적 흐름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Free Year program is an educational policy introduced by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a few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7. It expands the free semester program into a year-long program by including free semester programs into the following semester. In 2018, the Ministry of Education actively promotes a Free Year program in 1,500 schools, half of the nation's middle schools.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case of Free Year program run by K middle school in 2017. It focuses on how K middle school’s school culture as an innovative school contributed to its implementation of the Free Year program. Researchers observed classes throughout the year,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5 teachers and 2 parents and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9 students. This study reveals three characteristics of K middle school when implementing the Free Year program. First, the teacher-centered, open and collaborative cul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supported its implementation of the new program. Secondly, K middle school teachers have already been constructing professional identities as experts who autonomously redesign curriculum. These experiences supported teachers when introducing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quired for the Free Year. Students followed teachers’ innovative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hich lessen their burdens of accepting new programs during the Free Year. Lastly, despite of its stable operation of the Free Yea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K middle school showed both satisfaction and anxieties. Teachers had to endure excessive workloads. Parents and students could not enBoy the Free Year programs whole-heartedly as they still face the entrance exam for university.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n the recent educational policy trends in Korea which focus on expanding innovative schools and the Free Year program.

      • KCI등재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수요조사 연구

        노영희,김혜인,Noh, Younghee,Kim, Hye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는 도서관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수요조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을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중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학생들이 자유학기제를 통해서 향상시키고자 하는 능력요소는 진로탐색능력이며, 중점적으로 운영된 자유학기제 유형은 진로탐색활동이다. 수업방식은 주로 체험중심 수업으로 이루어졌으며, 자유학기제 동안 참여하고 싶은 활동으로는 진로탐색 영역에서는 현장 체험 활동을, 학생선택 프로그램에서는 요리실습을, 동아리활동에서는 스마트폰 앱 개발, 예술영역에서는 디자인 활동을, 체육영역에서는 배드민턴을, 정보활용능력에서는 아이패드 사용하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도서관 프로그램 중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생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해야 할 것이며, 도서관이 제공한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할 필요성이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seventh and the eighth graders' percep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fered by libraries by developing a survey questionnaire on students' needs for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 Libraries. The skills that middle school students want to improve in Free Learning Semesters are career exploration skills, and the type of Free Learning Semester that is most intensively implemented is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grams are often offered in the form of experiential classes. Regarding the activities that the students want to participate during Free Learning Semester, the most preferred activities included field experience activity in the career exploration domain, cooking class in the student choice program, smartphone app development in club activities, design activity in the art domain, the badminton in the physical education domain, and using iPad in the information use skills. In addition, among the library programs in coordination with Free Learning Semester, the students liked the occupational experience program most. Future studies need to includ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based on students' opinions, and investigat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Learning Semester Programs offered by libraries.

      • KCI등재

        자유학기제 화장품교육 융합프로그램 개발

        강현미,정연자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가 이루어지는 현 시점에서 중학생들의 관심과 흥미가 높은 화장품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주당 2시간 총 20차시로 주제별 프로그램을 이론과 실습으로 병행하 였으며, 학습주제 및 목표와 활동내용으로 도입⋅전개⋅정리 순으로 진행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전 달교육과 참여 학습을 통하여 화장품의 이른 사용으로 인한 오남용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피부에 소중함을 일 깨우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사회적·기술적 측면에서 직업군과도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인 자세 로 교육에 참여하는 활동이 되도록 개발하였으며, 향후 학생들에게 올바른 피부관리 교육과 화장품 사용의 지식습 득 및 활용 가치의 교육으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developed and proposed a cosmetics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free semester policy. The program was conducted for 20 sessions, two hours per week, based on theories and practice, and the teaching-leaning plan was made in the order of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summary.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will hav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misusing cosmetics and importance of the skin. Also,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a way that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so that it can lead to career development in the social and technical aspects.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students to acquire knowledge and practical education related to skincare and cosmetics use in the future.

      • 꿈과 끼 함양을 위한 자유학기제 학생 선택프로그램에 대한 모형 연구

        손정은,강인애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창의성이 강조되는 이 시대에 맞도록 학생들이 지닌 다양한 소질과 능력을 발견하고 키워주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교육환경변화 정책의 하나로서 자유학기제가 있다. 자유학기제의 영역 중 하나인 학생 선택프로그램에서는 학생의 꿈과 끼를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하에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 선택프로그램이라는 동일한 이름하에 형태나 형식이 너무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난문하게 되면서,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발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취지에 입각하여 이들 프로그램들을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거나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수업모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관련 문헌 및 기 개발된 선택프로그램의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꿈과 끼 함양 학생 선택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원칙을 도출해 내었다. 도출된 학습원칙에 대해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거쳐서, 꿈과 끼 함양 학생 선택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프로그램 모형을 제시하였다. 프로그램 모형은 꿈과 끼 학생 선택프로그램으로 나누어 각각을 ‘오감형 프로젝트’ 와 ‘놀이형 멘토링’ 모형으로 명명하고 각 모형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상으로 선택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모형은 향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일종의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본래 자유학기제 선택프로그램의 목표와 철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학생들이 진정으로 행복하고 즐겁게 그릭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학습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자유학기제 관련 연구에서 나타난 활동 프로그램 경향 분석

        김민채,김영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free semester programs in schools in order to find a direction to improve the programs. The outcome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ing four points. Fir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started since 2014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y programs were the most frequent one. Second, the program's development for career exploration also accounted for 31% of previous researches and 27.6% of programs aimed at convergence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such as career, arts, sports and others(reading, citizenship, happiness education). The career education was the most emphasized topics in the form of convergence with art, physical education and other activities. According to anal ysis of the program de velopment pattern, 44.8% of pre vious studies did not report the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Third, 51.7% of studies were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and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almost consisted of 20-40 students. The location of the program can be divided into school and suburban areas, like museums, libraries and arboretums etc. 24.1% of programs were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15 to 20 sessions. The design of programs based on conventional curriculum was mostly focused on subjects for arts or STEAM, including ar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ike group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project learning, discussion, creative making we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Fourth, 24.1% of researches verifying effects used quantitative method.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관련연구에서 제시된 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해봄으로써 지금까지 연구된 프로그램의 경향을 파악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다룬 29편의 연구 들을 대상으로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어 2017년까지 급격한 양적 증가를 보였다. 자유학기 활동 중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빈도가 가장 많았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 목적 역시 진로탐색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31%로 가장 많았으며 융합교육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들이 27.6%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내용은 크게 진로, 예술, 체육, 기타(독서, 시민교육, 행복교육 등)이었는데, 주로 진로 교육을 중점으로 융합되어 나타났고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진로와 예술 활동이 융합된 형태였다. 프로그램 개발유형은 프로그램 개발부터 실시 및 효과까지 검증한 연구가 55.2%, 효과 검증까지 이어지지 않은 연구가 44.8%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대상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51.7%로 가장 많았으며 참여 학생 수는 20명 이상 40명 미만이 13.8%로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실시장소는 교내와 교외로 구분할 수 있는데 교외의 경우에는 주로 박물관, 도서관, 수목원 등 지역기관에서 이루어졌 다. 프로그램 운영은 15차시 이상 20차시 미만이 24.1%로 가장 높았다. 기존 교육과정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들을 설계한 경우, 대다수가 미술 혹은 미술을 포함한 STEAM 교육을 위한 과목에 집중되어 있었다. 교육방법은 공통적으로 모둠학습, 협동학습, 프로젝트학습, 창작학습 등이 서로 융합되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효과검증 방법들 중에서는 양적검증이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