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거캠페인에서 Focus Group Interview(FGI)의 유용성 연구

        김준철(Joonchol Kim)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논총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거캠페인 전략 수립과 메시지 개발에 있어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의 유용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 시 실시되었던 포커스 그룹 인터뷰 실증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정후보의 선거캠페인 전략과 메시지에 관련된 문제점이 무엇이며, 이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 그 방향을 제시해주는 자료들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진행 중 참석자 간의 상호토론과 인터뷰 도중에 제시된 새로운 정보를 통해 인터뷰 시작 전에 지지했던 후보를 다른 후보로 바꾸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앞으로 각종 선거캠페인에서 FGI 조사 분석 자료는 특정 후보의 선거캠페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의미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조사방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이 인터뷰에 참석한 유권자들의 감춰진 속마음을 읽어 적절한 전략과 효과적인 메시지를 개발하는 데 있어 강력하고 유용한 방법이라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in establishment of strategy and message in election campaign. This research takes the FGI example that was proceeded during the period of the presidential primary election of the Grand National Party in 2007. The study shows findings and what/how to deal with the problems emerged. It proposed strategies and tactics based on the factors found among attendants. It shows that some attendants changed their minds during the session from the results of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information that was presented by the moderator. Throughout the study, the usefulness and powerfulness of FGI was proved in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and message in accordance with its target voter's mind reading.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개발

        김 경(Kim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하여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은 계획, 모집, 진행, 분석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일주일 간격(2019년 5월 7일부터 5월 14일까지)으로 1차, 2차가 진행되었고, 도출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가 종료되고 일주일 후(2019년 5월 21일)에 전문가 집단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내용에서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총 회기, 단계, 활동제재, 활동형태, 활동목표, 활동순서가 도출되었다. 둘째, 2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내용에서는 활동제재 단계별 구분, 활동제재와 활동목표, 활동형태에 적합한 활동재료 설정, 지적장애학생 장애정도에 따른 분류, 프로그램 실시 강사, 프로그램 시간, 프로그램 장소, 평가요소 등이 도출되었다. 이로써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세부안이 확정되고, 최종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for character educ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method was developed to develop the art therapy program, and focus group method was composed of planning, recruitment, progress and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2019.5.7.∼2019.5.14), and an advisory group of experts was hel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art therapy program(2019.5.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s, the total session, phase, activity session. The form, activity goal, activity order were deriv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focus group interviews are divided into stages of active sanctions, activity material setting,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egre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 disability, program execution instructor, program time, program place, evaluation component etc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details of the art therapy program were confirmed, and finally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 KCI등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 사용경험과 욕구에 관한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우지희,장완호,김종배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중증장애인들의 전동휠체어에 대한 사용경험과 전동휠체어에 대한 그들의 욕구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전동휠체어를 사용하는 중증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서 사용된 질문은 Krueger 와 Casey가 제시한 4 가지 질문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인터뷰내용은 녹음하고 2명의 저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내용에 대해 합의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들은 전동휠체어 구조물과 휠체어 자체의 결함, 사후관리서비스에 대한 문제점을 경험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동휠체어의 추진 및 지지구조물, 중증장애인에 대한 평가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처방을 포함하는 보조공학 서비스의 개선 및 확대를 원하고 있었다. 또한 전동휠체어에 대한 구입 및 사후관리 서비스에 대하여 국가차원에서의 현실적인 재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치료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휠체어 사용자가 속한 환경, 원하는 활동을 고려하여 적절한 휠체어 추진구조물을 제공해줘야 하고 사용자의 기능을 고려한 전동휠체어 착석옵션과 같은 지지구조물을 처방하여 중증장애인이 기능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도와야 한다. 결론 : 본 연구는 전동휠체어 처방 시 작업치료사가 고려해야할 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효율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변화를 이끄는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and experiences of severely disabled people in using a powered wheelchair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 Five severely disabled people using a powered wheelchair were recruited. The interview employed a question-asking method modified from the question-asking method presented by Krueger and Casey.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using Krueger’s principle. Results : The subjects experienced defects of the wheelchair itself, problems regarding the components of the powered wheelchair, and wheelchair follow-up service. Accordingly, they want to enlarge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involving a wheelchair user assessment and proper prescription, and improvements in the supporting and propulsion structure of a powered wheelchair. Financial support concerning powered wheelchair payments and expenses for a follow-up service are also expected. Occupational therapist are considering a wheelchair user belong to the environment, the desired activity and user’s function when wheelchair prescriptions must be provided proper propulsion component and support structure such as power seat function. (note from editor, unfortunately, the red text is not clear. If you can revise itI can check your revision). Conclusions : This study presented a point to be considered who occupational therapist able to prescribe using powered wheelchair with severely disabled people.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have led to institutional change for effectiv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note from editor, this part is also unclear).

      • KCI등재후보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욕창예방방석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재남,조선영,장완호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22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14 No.1

        목적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기능적인 욕창예방방석을 개발하기 위한 사전연구이다.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해 욕창예방방석에 대한 사용 경험을 조사하여 제품의 개선 방향에 대한 욕구와 제품 개발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욕창예방방석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여성 척수손상 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중 임신 중 방석을 이용한 연구참여자는 5명이다.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는 대상자 선정, 2단계는 사전준비, 3단계는 포커스그룹인터뷰, 4단계는 자료 전사, 5단계는 자료 분석, 6단계는 결과 도출 순으로 진행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진행 과정을 모두 녹화한 후 3명의 연구자가 각각 전사하여 공통된 주제에 대해 합의하고 개념, 범주, 주제로 분류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분석한 결과, 15개의 개념, 6개의 범주, 3개의 주제로 도출되었다. 3개의 주제는 욕창예방방석의 구조, 디자인, 서비스로 도출되었다. 방석의 구조에서는 적정한 강도의 소재로 제작되어야 하며, 욕창 호발부위와 이승을 고려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방석의 기능은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과 센서 기반의 피드백이 가능한 제품으로 제작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특히, 임산부 특성상 체중의 측정이 중요하고, 실금의 횟수가 많아질 수 있다는 점이 반영되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관련해서는 방석을 지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방문서비스 및 커버 여분에 대한 사후관리 관련 욕구와 질 좋은 방석이 공적급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제도 관련 의견이 도출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척수손상 임산부가 겪을 수 있는 고충을 이해하고 건강하게 아이를 출산하고자 하는 욕구를 반영하여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개발될 척수손상 임산부를 위한 욕창예방방석은 추후 임신 과정에서 저해될 수 있는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EBP 커리큘럼 기초 연구

        김정인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EBP 커리큘럼 기초 연구김 정 인**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비즈니스 영어 커리큘럼 구성을 위해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수업을 살펴보는 것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다양한 국내외 기업에 취업을 희망하는 글로벌경영학과 재학생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이제까지 도움이 되었던 수업, 학생들이 향후 듣기 원하는 영어 수업과, 영어를 위해 필요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참가 학생들의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영어 수업을 통해 말하기 및 듣기 능력 향상을 기대하고, 실제 현장을 반영한 비즈니스 관련 읽기와 비즈니스 이메일 및 화상 회의 혹은 대면 회의 진행 영어를 배우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비교과 활동에선 말하기나 쓰기에 대한 자기 결과물을 수정하고 확인할 수 있는 피드백 프로그램 및 영어면접, 이력서, 자기소개서 등 취업 관련 비교과가 개설되기 희망했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 영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비즈니스 영어, 커리큘럼, 요구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특수목적영어 □ 접수일: 2022년 9월 29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 서울신학대학교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 서울신학대학교 교수(Professor, Seoul Theological Univ., Email: bandaleye16@stu.ac.kr)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on the EBP CurriculumJungin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ypes of classes are needed for an EBP (English for business purpose) curriculum. To achieve its purpose, six students from Global Business Department and pursue to find a job in a variety fields of local or international companies were interviewed on what the most helpful classes were, the kind of classes they hope to be provided with, and the extracurricular programs they need. From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interview, students expect to improve their speaking and listening proficiency and learn authentic English such as business reading, business e-mail, on and off-line conference call to use its in workplace. In terms of extracurricula programs, feedbacks on their speaking or writing tasks and job interview, resume, and cover letter for employment are expected to provide for students. Results are discussed in light of issues in the development of EBP programs. Key Words: Business English, Curriculum, Needs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ESP

      • KCI등재

        포커스그룹을 이용한 한국 장애인 미충족 의료 관련 요인 분석: 장애인 건강주치의 2차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김미소,최경화,김정애,박진아,정은혜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ith disabled people and their families to understand the unmet healthcare needs perceived themselves an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2nd pilot project for primary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9 to 17 February 2021.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the disabled who can express their opinions (group 1) or the guardians of the subjects who can not express their opinions (group 2).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for about 100 minutes for each group once or twic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regarding unmet healthcare needs were extracted in subject, provider, institutional, and socio-cultural aspects. Further, the factors resolved and unresolved by the pilot project were extracted. Based on the results, we can recommend that the expanded application to the visiting service, inclusion of doctors from various departments,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cluding physical or occupational therapists, minimizing disconnection among the hospitals and healthcare centers,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ore publicity activities should be applied. 본 연구는 장애인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2021년 2월 9일부터 2월 17일까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장애인이 인식하는 미충족 의료와, 장애인 건강주치의 2차 시범사업 관련 경험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시범사업에 등록하였으며 의사표현이 가능한 장애인 5인(그룹 1)과 의사표현이 불가능한 장애인의 보호자 5인(그룹 2)으로 구성되는 두 그룹에 대해 실시하였고, 각 그룹 당 약 100분의 면담을 1회 진행하였다.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와 관련된 요인은 의료서비스 이용자, 의료서비스 공급자, 제도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도출되었고, 이 중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 참여를 통해 충족된 요인과 충족되지 않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를 해결하기 위해 방문서비스 확대 적용, 다양한 진료과로 주치의 범위를 확대, 물리치료사나 작업치료사 등을 포함한 다학제적 접근, 서비스 단절 최소화를 위해 병원간 연계 활성화, 장애인 당사자 의견수렴을 통한 서비스 개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본사업의 확대 적용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이용하여 의약품 안전관리 분야에서 실사용데이터 활용에 대한 관점을 탐구한 질적 연구

        박한희,정규원,신주영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9 대한보건연구 Vol.45 No.3

        Objectives : Since the passage of the FDA’s 21st Century Cures Act, there has been a worldwide interest in real world data (RWD). We aimed to diagnose the present situation of RWD in Korea and investigate the perception on RWD utilization in the field of drug safety management. Methods : We conducted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engaged in post-marketing and drug approval. Major themes were extracted by authors, which were used to gather results and draw conclusion. Results : Interviewees established positive perception of RWD. Judging from the results of interview, RWD is valuable as a way to supplement existing post marketing surveillance (PMS) syst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nsiderations when using RWD such as data source accessibility, workforce training, and data validation metho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or establishing the approval system using RWD in Korea. 미국의 21세기 치유법안의 통과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RWD) 및 실사용증거(real world evidence, RWE)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실사용데이터 활용을 긍정적인 시각과 함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사용데이터의 허가심사체계 반영과 관련하여 현재 상황을 진단하고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보건의료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의 관점을 파악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의약품 시판 후 안전관리 및 허가 분야에서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국내 실사용데이터 활용에 대해 토론을 진행하였다.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은 재심사제도가 가지는 증례수의 완고함, 고비용과 비교군의 부재 등의 어려움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답하였고, 희귀의약품 같은 PMS로는 안전성을 확인하기 어려운 약에 대하여 실사용데이터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른 한편, 약물 감시에서 실사용데이터 활용 시 이상사례 발생빈도 확인의 어려움, 약물과 부작용의 인과관계 파악의 어려움 등의 우려되는 의견도 상당하여 순차적으로 적용시켜 보완한다면 활용가치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엿보였다. 실사용데이터 활용을 위한 고려해야 할 요소로 보건의료분야의 실사용데이터 자료원의 접근성, 데이터의 적합성 검증 등의 규제적 의사결정을 위한 거시적 차원의 노력과, 인력양성 등의 미시적 노력이 병행하여 국내 수요에 맞게 실사용데이터를 활용한 허가심사체계 기반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살펴 본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성숙,김애화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8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disabilities(LD). A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general and education teachers was conducted. Elev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nin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Prior to the interviews, the researcher sent open-ended questions consisting of four subcategohes: (a) definition, (b) characteristics, (c) screening and diagnosis, and (d) service delivery option. After the interviews, the researcher transcribed and conducted a two-step coding procedure (i.e.,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s in following. Fist, the definitional elements of LD consisted of the low achievement, intelligence, discrepancy, and cause.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ared similar perceptions on the discrepancy and low achievemen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viewed students with LD to have the average intelligence, whil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viewed students with LD to have borderline intelligenc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LD consisted of four categories: (a) academic characteristics, (b) behavioral characteristics, (c) social characteristics, (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ared similar perceptions on (a) academic characteristics-that is reading difficulties, math difficulties, writing difficulties, speaking and listening difficulties, and learned helplessness, (b) behavioral characteristics-that is internalizing behaviors and externalization behaviors, (c) social characteristics-that is social skill deficit, Problems with peer relationship, and noncompliance to the rules and regulation, and (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that is processing deficit and memory deficit. Third,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viewed 'clinical option based on observation and teaching experience' as the most common diagnosing procedure for students with LD. Finally, both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viewed inclusion as an appropriate service delivery option. While several general education teachers viewed full-time special education(i.e., segregation) as an appropriate service delivery option, other special education viewed full-time general education (i.e., full inclusion) as an appropriate service delivery option. 본 연구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일반교사 두 그룹(총 11명)과 특수교사 두 그룹(총 9명)을 대상으로 각 그룹 별 1회씩, 총 4차례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의 내용을 녹음한 후 그대로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에 학습장애 정의, 특성, 선별과 진단, 효과적인 배치 등의 범주에서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하위 범주와 견해차가 나는 하위 범주를 비교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실정에 맞는 학습장애의 정의 및 판별과정과 앞으로 학습장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변화를 위한 방향 모색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교육적 통합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통하여

        이혜원,김애화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2008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21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교육적 통합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통합학급 담당 경험이 있는 24명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3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 한 그룹 당 8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방형 질문을 만들어서 계획된 절차에 따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 3개의 주제(theme)가 도출되었다 : (1)통합교육의 정의·실태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 (2)교육적 통합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역할, (3)개별화교육계획(IEP)에 대한 일반교사의 인식·역할. 본 연구 결과가 현장에 주는 시사점,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educational inclusion. Participants consisted of twenty-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had previous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ior to interviews, the researcher sent open-ended questions.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bed and themes and categories were identifi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emerged : (1) teachers'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2) teachers'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onal inclusion, and (3) teachers' perception and responsibility of IEP.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경북테크노파크를 사례로

        안성조 ( Sung Jo Ahn ),이성근 ( Seong Keun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2 地方行政硏究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테크노파크의 기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테크노파크의 기능을 재정립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찾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관련 기업인과 전문가로 구성하여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먼저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한 테크노파크의 기능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테크노파크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백화점식으로 다양하게 추진하다 보니 유사기관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수요자인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테크노파크의 기능중 현재 가장 중요한 기능은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이며 뒤를이어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 기술사업화 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 테크노파크가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기능은 기업 및 기관 인큐베이팅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향후 테크노파크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능은 산학연관 네트워크 기능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산업정책 기획 및 평가, 비즈니스서비스 제공, 기술사업화 기능 역시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기능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nction of Technopark through which to find out a political implication for its reestablishment and revitalization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is study carried out the interview with focus group for functional analysis of Gyeongbuk Technopark. A focus group was formed with businessmen and experts involved in the business for interview which was carried out twice. The analysis on technopark through the interview with focus group showed the findings as below. First, the promotion of technopark in various ways as department-store-like in its function obstructs it being differentiated from similar institutions on which the opinion of the business, the users haven`t been reflected. Second, academy-industry connected network function appeared to be most important among the many technopark`s functions followed by local industrial policy planning & estimati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unction. Nevertheless, business & institutions incubating appeared to be the functions focused most by the current technopark. Third, academy-industry connected network appeared to be the function needs to be promoted in priority in relation to technopark in the coming days, Local industry policy planning & estimation, offering of business servi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ere also included in the group to be promoted preponder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