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 읽기부진 진단을 위한 추론적 이해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최영미 ( Choi Yeong-mi ),박영민 ( Park Young-min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4

        추론적 이해 능력은 읽기 이해 능력의 측정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추론적 이해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읽기 수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읽기부진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는 한정되어 있어 중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능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중등학생을 위한 추론적 이해 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추론적 이해 검사는 연결 추론과 정교화 추론의 2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어휘 의미 추론, 핵심 내용 추론, 인과관계 추론, 생략 정보추론, 사건 추론, 인물 정서 추론의 6가지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빈칸 메우기 검사 유형의 총 20문항으로 검사 도구를 구성한 후 앵고프 방식에 따라 읽기부진 진단 기준을 설정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경기·인천 지역의 일반계 중학교 2학년, 659명을 대상으로 실시였다. 그 결과 이 검사 도구의 신뢰도는 .807로 높은 편이며 난도는 -1.359로 쉬운 편이고, 변별도는 1.407로 높은 편이다. 이후 후속 연구에서는 추론적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한 보다 많은 문항을 개발하고 중학생의 다른 학년 및 고등학생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ssessment to measur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iagnose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e assessment of the students' ability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was set up as six sub-areas based on two factors: Two factors is bridge inference and elaboration inference. Bridging inference consists of word meaning inference, main idea inferenc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ference, omitted information inference. Elaborative inference consists of event (in narrative text) inference, and emotion of character(in narrative) inference. This assessment consisted of 20 questions based on the Close test. and the reading level was set according to the Angoff method. The reliability of this test tool is .807, which is high in real time for 659 second grade students in general middle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using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In addition, the difficulty is easy to -1.359, and the discrimination is 1.407. In the future, more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further studies for other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의 확장과 초등수학교과서의 공간추론 내용의 분석 - 도형영역을 중심으로

        이정민 ( Lee¸ Jungmin ),김봉준 ( Kim¸ Bongjun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본 연구에서는 De Moor의 공간추론에 대한 개념의 확장을 모색하며, 그 관점으로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영역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발문을 조사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추론에 관한 국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사용된 De Moor의 공간추론 개념을 분석하여 그 내용들을 범주화하고 구조화를 모색하였다. 그 결과 De Moor의 공간추론의 개념은 시각화와 추론으로 구성되는 수학적 사고과정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그 개념의 구조를 공간능력과 추론으로 확장하였다. 그리고 공간추론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새롭게 제안하였다: 공간추론은 일상생활이나 학습활동에서 공간능력을 사용하여 추론을 수행하는 수학적 사고과정이다. 이 공간추론의 정의는 공간추론은 수학적 사고 과정이며 인간의 인지능력의 매우 중요한 부분인 공간능력과 수학적 추론(넓은 의미로)으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공간능력은 기존의 알려진 정의(전인호, 2021)에 따라 공간시각화와 공간방향으로, 추론은 일반적으로 연역적 추론과 귀납적 추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안을 하였고, 여기서 공간능력과 추론의 하위 구성요소들의 수준을 조정하면 대상 학년 수준에 적용가능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De Moor의 확장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관점으로 초등수학 수준에 적용 가능한 공간추론 분석 기준을 세워 현행 초등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의 발문에서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 경향성을 양적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간추론 개념의 구조적인 면에서 구조의 구성 일부분에 편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공간추론을 구성하는 공간능력과 추론의 일부 하부 요소에서 학년과 단원에 따라 심한 편중성을 보였는데, 특히 공간능력의 경우는 학년별로 혹은 단원별로 일부 하위 구성요소에, 추론의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국소)연역적 추론에 편중되었다. 따라서 교육 과정은 학생들의 공간추론 신장을 위하여 학년과 단원에 따라 공간추론 내용을 구조적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선 다양한 공간능력과 추론을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적 방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De Moor’s spatial reasoning was sought, and from that point of view, the contents of spatial reasoning were investigated in the figure area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the first part, we analyzed De Moor’s spatial reasoning concept, which was us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veral domestic previous studies on spatial reason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o categorize and structure its contents. As a result, De Moor’s concept of spatial reasoning could be viewed a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composed of visualization and reasoning, and based on this,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was extended to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And the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is newly proposed as follows: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that uses spatial ability in daily life or learning activities to perform reasoning. This definition of spatial reasoning means that spatial reasoning is a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 and consists of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reasoning (in a broad sense), which are very important parts of human cognitive ability. Here, spatial ability is proposed to be spatial visualiz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based on existing known definitions (Jeon, 2021; McGee, 1979), and reasoning is generally composed of deductive reasoning and inductive reasoning. And it was shown that the structure of spatial reasoning concept applicable to the target grade level can be constructed by adjusting the level of subcomponents of spatial ability and reasoning. In the second part, as a result, in the structural aspect of the spatial reasoning concept, there was a tendency to be biased towards a part of the structure. Spatial ability constituting spatial reasoning and some sub-elements of reasoning showed severe bias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atial ability, some factors were biased by grade level or unit, and in the case of reasoning, overall (local) deductive reasoning was biased. Therefore, th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so that spatial reasoning contents are not structurally biased according to grades and units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spatial reasoning. suggested.

      • KCI등재

        유아기 유추추론 발달 및 관련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은정 ( Eun Jung Kim ),유윤영 ( Yoon Yung Yoo ),오진희 ( Jin Hee Oh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추론은 모든 사고의 핵심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탐색하는데 필수적인 사고능력이다. 현대의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들을 연결 짓고 논리적으로 관계 지으며 종합하고 적용하는 사고능력인 추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추론능력이 형식적 조작기 이후에나 발달한다는 전통적인 관점의 영향으로 유아기 추론발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1980년대 이후 불거진 인지발달에 대한 새로운 동향과 추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형식적 조작기 이전에 추론이 발달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유아기 추론능력 발달 가능성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특히 추론의 영역 중 사고의 기초가 되는 유추추론의 유아기 발달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유추추론 발달에 대해 살펴보고 유추추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 유추추론능력 발달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유아의 인지발달을 돕기 위한 교육의 기초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유아기는 유추추론 발달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서 고등사고기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유추추론의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해야 한다. 둘째, 유아의 유추추론 능력은 유아의 사전경험, 과제의 복잡성,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유아의 유추추론 능력을 정확히 밝힐 수 있는 적절한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아가 자신의 일상생활 속 맥락적 상황에서 유추추론을 할 수 있는 과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유아의 유추추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서 사회문화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즉, 유아의 유추추론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일상적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교육과 교사-유아간의 상호작용,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프로그램에서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Reasoning is core process of thoughts and base of cognitive development. And today education took a keen interested in reasoning. It`s possible to develop of reasoning until formal operational period as traditional view of cognitive development. The recent cognition researchers suggested that infants can reason on the contrary to the early studies. However we don`t have enough to generalize of reasoning development of early years to utiliz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alogical reasoning development and variables of young children to embody them to apply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previous studies trend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especially mathematical and analogical reasoning of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young infants and children could analogical reasoning as thinking strategies and base in daily experiences. Analogical reasoning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as related to diverse factors including experiences, background knowledges and cultures. When young children provided educational environments to stimulate analogical reasoning, it will be promote the cogni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 및 지도 방안

        서지영,박영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2

        연구목적 추론적 이해는 읽기이해 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위해 추론이라는 사고 기제를 효과적으로 반영한 교수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활동을 적절하게 구현할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 구안을 위해 추론적 이해의 개념과 유형, 학습 자료로활용할 수 있는 신문 기사의 양식적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전문, 본문 등의 양식적 요소와 추론의 유형을 결합하여 추론적 이해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활동과 지도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로서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 등은 추론을 위한단서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 신문 기사의 표제와 부제를 활용한 학습활동은 추론의 방향, 추론의 범위,추론의 방법 등에 따라 유형화하여 구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추론과 후방 추론, 중심 내용 추론과뒷받침 내용 추론, 배경지식이나 기사 내용 활용 추론 등을 유형화의 범주로 삼을 수 있다. 신문 기사는표제와 부제와 같은 독특한 양식적 요소 외에도 삶과 밀접한 읽기 자료로서 읽기에의 접근성, 흥미와동기 유발 등의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다. 따라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활동을 구안하고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추론적 이해 능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추론 과제의 인지적 난이도 수준에 따른 추론 과정 구성요소 분석 -고등학교 수준 수열 단원을 중심으로-

        오영석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s and components of the reasoning process presented in the mathematical sequence section of three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asoning tasks in the future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revealed that most of the reasoning tasks presented in the mathematical sequence section of the three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seemed to require low-level cognitive demands and that low-level cognitive demands reasoning tasks required only a component of one reason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only a portion of the reasoning tasks appeared to require high-level of cognitive demands, and high-level cognitive demands reasoning tasks required various components of reasoning proces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eems to suggest that we need more high-level cognitive demands reasoning tasks to develop high-level cognitive reasoning that would provide students with learning opportunities for various processes of reasoning, and that would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reaso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수학교과서의 추론 과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등학교 수준 수학교과서3종을 연구 대상으로 수열 단원에 제시된 추론 과제의 인지적 난이도 수준과 추론 과정 구성요소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3종의 수학교과서의 수열 단원에 제시된 추론 과제의 대부분이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 추론 과제는 하나의 추론 과정 구성요소만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추론 과제의 일부만이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추론 과제는다양한 추론 과정 구성요소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추론 과제보다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추론 과정의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추론의 본질을 심도있게 이해시킬 수 있는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추론 과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추론의 논증 이론의 도덕 심리학적 함의

        강민겸(Kang, mingyeo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연구는 인지과학 및 진화 심리학의 관점에서 추론의 기원과 기능에 대해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메르시에(H. Mercier)와 스퍼버(D. Sperber)가 정립한 추론의 논증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것이 도덕과 교육의 핵심 배경학문 중 하나인 도덕 심리학 연구에 갖는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론의 논증 이론은 진리를 탐구하는 개인적 차원으로 추론의 기능을 이해해왔던 기존의 관점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론에 따르면 추론은 인류 진화의 과정에서 논증을 생성하고 평가하기 위해 적응한 심리적 기제이다. 추론의 사회적 기능에 주목한 이 이론은 도덕적 추론과 확증편향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틀을 제공해준다. 특히, 심리적 합리주의와 사회적 직관주의 관점에서 보이는 추론에 관한 상이한 이해에 대하여 추론의 논증이론은 대안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analyze the argumentative theory of reasoning established by H. Mercier and D. Sperber, who recently attempted a new approach to the origin and function of reasoning from a cognitive science and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moral psychology which is the main background study in Korean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is theory raises questions it have understood the function of reasoning as a personal dimension of exploring the truth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theory, reasoning is a psychological mechanism adapted to generate and evaluate arguments in the process of human evolution and its social functions play a major role. This theory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oral reasoning and confirmation bias. In particular, it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moral reasoning between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rationalist model and social intuitive model.

      • KCI등재

        원효의 불확정[不定] 원리와 법칭의 선험적 원리에 관한 연구 - 원효의 『판비량론(判比量論)』 11절을 중심으로 -

        권서용 ( Kwon Seo-yo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진나 논리학 특히 추론인의 체크 리스트인 구구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동일한 추론인을 근거로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추론대상을 귀결한다는 역설의 문제를 낳고, 두 추론인이 바른 추론인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추론대상을 확립한다는 이율배반을 발생한다는 것이다. 진나 이후의 불교 논사들 특히 원효와 법칭이 진나의 논리체계에서 발생하는 역설과 이율 배반을 어떻게 극복해 갔는가 하는 것을 탐색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다.’라는 미망사학파의 논증에 대해 불확정 추론인을 갖는 추론이라고 비판하는 추론도 마찬가지로 불확정의 추론인을 갖는 추론이기 때문에 정당한 비판이 아니라고 원효는 비판한다. 이렇게 어떤 세계관과 문법체계에 기반 한 추론의 부당성을 논증하기 위해서 다른 세계관과 문법체계에 기반 한 추론을 제시한다고 해도, 바른 추론의 결과 내지 대상을 도출해 내지 못하는 부당한 추론인의 오류를 범한다고 원효는 보았던 것이다. 한편 어떤 논리의 부당성을 논증하는 논리 자체도 궁극적으로는 오류를 범한다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표방하는 원효와는 달리, 법칭은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무상한 것.’과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라는 역설과 ‘소리는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무상한 것.’과 ‘소리는 들리는 것이기 때문에 상주하는 것’이라는 안티노미는 논리적 관계를 통해서 해결할 수 없으며, 오히려 추론을 구성하는 두 개의 항 즉 추론인과 추론대상이 기반하는 현실적 존재 사이의 본질적 결합관계라는 선험적 원리에 의해 해결할 수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상향(bottom-up)식의 논리를 ‘논리의 논리’로 그 타당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언제나 불확정[不定]의 오류를 범한다고 경계한 사상가가 원효였다면,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하향식(top-down)식의 논리의 존재론적 근거를 통해 논리적 관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사상가가 법칭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둘은 같은 지점에 시선을 두면서 다른 길을 걸어갔다고 할 수 있다. The problem in Dignaga’s logic, especially the check list of a table of nine inferences, is the problem of the paradox that it leads to incompatible Logical consequence based on the same logical reason, and although both logical reason are mutually compatible, And to establish an object of reasoning that can not be don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aradox and antinomy of Buddhist post Dignaga, especially Wonhyo and Dharmakirti. Wonhyo criticizes the argument that “the sound resides because it is heard,” which is not valid reasoning, but the reasoning is likewise irrelevant. In order to argue the unfairness of reasoning based on a certain worldview and grammar system, even if it suggests reasoning based on other worldviews and grammatical systems, Wonhyo have seen. On the other hand, unlike Wonhyo, who argues the principle of uncertainty that ultimately makes a mistake, The rule is that the paradox that “the sound is the sound because it is heard” and “the residence because the sound is the sound” and “the sound is made because it is made” and “the sound resides because it is heard” The antinomies can not be solved by logical relations, but rather they can be solved by the a priori principle of the intrinsic coupling between the two terms that constitute reasoning, that is, the reasoning and the reality based on the object of reasoning. While Wonhyo believes that the attempt to secure the upward logic from the logic of logic to the logic of logic always fails to make an uncertainty, Dharmakirti, on the ontological basis of logic from top to bottom. In this respect, the two walked the other way, gazing at the same spot.

      • KCI등재

        일반논문 : 성리학에서의 도덕적 추론의 성격

        김철호 ( Cheol Ho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4 東洋哲學硏究 Vol.77 No.-

        이 연구는 성리학에서 나타나는 도덕적 추론의 유형과 그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에서 도덕적 추론은 연역적 추론과 조합적 추론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연역적 추론은 성인의 언행을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중시되어온 도덕적 표준들을 대전제로 삼는 추론이다. 이러한 추론은 도덕적 판단이 보편적 표준에서 도출되었을 경우에만 정당화된다는 점에서 ‘상향적, 수직적’ 사고패턴을 보인다. 조합적 추론은 기존의 표준이 없거나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예외적 상황에서 행해지는 추론이다. 이것은 논리적으로 독립된 다수의 요소들과 전제들을 협응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수평적, 개방적’ 사고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일상적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행위자의 자율성이 문제되고 후자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유용하지만 판단의 객관성이 문제될 수 있다. 이처럼 양자는 대조적 측면을 지니지만, 상보적 측면을 지니기도 한다. 기존의 표준들은 도덕에 대한 통찰력의 보고로서 개방적 추론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추론의 결과는 공동체의 검토를 거쳐 연역적 추론에서 대전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렇기에 교육적 측면에서 접근할 때에는 양자를 별개의 것으로 보기보다는 전자는 도덕성 발달의 초보적 수준에서, 후자는 도덕성 발달의 성숙한 수준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Neo-confucianism includes two model of moral reasoning. One is deductive reasoning, the other is coordinate reasoning. Deductive reasoning is a useful device for the normal situation. However, we admit into our reflection the instability of the world, we need to adopt a different perspective by seeing moral rules as needing constant adjustment to the changing scenes of life. Coordinate reasoning isn`t described linearly. The descriptive nature of Jen cannot be spelled out in advance of the actions and efforts of the agent in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ideal. In this reasoning, therefore, moral agent uses a number of logically independent factors or premises, cooperatively, in producing a non-logically compelling yet reasoned conclusion. These two models are complementary in Neo-Confucian moral reasoning. In normal situations, deductive reasoning functions chiefly, in exigent situations coordinate reasoning does.

      • KCI등재

        서사문의 추론 단서 유무에 따른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

        황상현,박영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6

        연구목적 본 연구는 추론 단서 유무에 따른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를 분석하여 읽기이해 증진을 위한 교재 수정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추론 단서가 포함되지 않은 지문으로 구성된 검사지(X형)를 497명의 고등학생에게, 추론 단서가포함된 지문으로 구성된 검사지(O)형를 477명의 고등학생에게 제공하여 인물 감정 추론을 검사하였다.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검사지 유형별, 성별, 수준별, 감정 유형별로 분석하여 인물 감정 추론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추론 단서가 포함되지 않은 지문을 읽은 학생보다 추론 단서가 포함된 지문을 읽은 학생의인물 감정 추론이 더 정확하였다. 둘째, 추론 단서를 포함한 지문과 포함하지 않은 지문의 평균 차이는 성별, 수준별로 모두 확인되었다. 셋째, 추론 단서는 긍정적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 추론에 더 효과적이었다. 결론 추론 단서를 서사문에 추가하는 방안이 교재 수정의 새로운 방안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sonal emotion inference based on the presence of inference cues, confirming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textbook revisions to enhance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A test consisting of passages without inference cues (Type X) was administered to 497 high school students, while a test consisting of passages with inference cues (Type O) was administered to 477 high school students to assess personal emotion inference. Based on the response data, differencesin personal emotion inference were examined by test type, gender, proficiency level, and emotion type. Results: Firstly, students who read passages with inference cues demonstrated more accurate personal emotion inference compared to those who read passages without inference cues. Secondly, the average differences between passages with and without inference cues were confirmed across gender andproficiency levels. Thirdly, inference cues were more effective in facilitating negative emotion inference compared to positive emotions. Conclusion: The addition of inference cues to narrative tex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novative approach for textbook revisions aimed at enhancing reading comprehension.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특성 및 추론촉진과제의 영향

        이진숙(Jin Sook Lee),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수행 특성을 알아보고, 추론촉진과제 수행이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단순언어장애, 언어연령일치 및 생활연령일치 아동(총 66명)에게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1을 실시한 다음, 그 결과와 기초검사를 토대로 각각 하위 두 집단(총 6집단, 각 11명)으로 나누었다. 각 두 집단 중에 한 집단은 추론촉진과제 중에 하나인 일반지식과제를 실시한 다음,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2를 실시하였다. 나머지 한 집단은 추론촉진과제 중 나머지 하나인 전제회상 과제를 실시하고 예측추론과제2를 실시하였다. 결과: 1) 추론촉진과제를 시행하기 전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추론촉진과제 종류에 따라서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 비교하여 예측추론과제2(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한 후에 실시한 예측추론과제)의 수행을 분석한 결과, 단순언어장애 및 언어연령일치 아동은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하기 전의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 비해서 추론촉진과제 실시 후, 추론촉진과제의 영향을 받은 예측추론과제2의 수행을 유의미하게 더 잘 수행하였다; 3) 오류유형 분석결과를 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다른 집단 아동에 비해서 ‘엉뚱한/빗나간 응답’의 오류유형 빈도가 특징적으로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에 비하여 개인화된 예측추론 수행능력이 부족하다. 언어연령일치 아동 및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능력은 추론촉진과제 실시 이후 향상되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1)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PPI)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 and 2) children’s PPI depending on two inference facilitating tasks, a general knowledge task and a premises recalling task. Methods: Sixty-six children (22 SLI, 22 chronological age[CA]-matched, 22 language age[LA]-matched groups) were assessed with the PPI task. Each group was equally divided into two subgroups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PPI performance, intelligence, and language age. One of the two subgroups had the general knowledge task while the other was given the premises recalling task. Then,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 the second PPI task. Results: First,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PI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CA-matched group.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PPI task of the SLI and LA-matched children appeared significantly higher after performing the first PPI task. Third, the SLI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frequent errors of unrelated responses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implied that children with SLI show more deficits in the PPI than other children. The inference facilitating tasks may be effective in improving PPI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SL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