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변종현 ( Jong Heon B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공식적인 학교 통일교육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의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북한과 통일문제를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과가 바로 도덕과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토대로서 학생들의 통일의지와 통일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글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과정까지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내용체계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 북한 및 통일문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요소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foundation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general,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 is rely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official subjects. It is the moral education that playes the most critical role for unification education among various elementary school subjects, which can help to stimulate the will for Korean Unification and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and suggest some ideas to activat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sequence and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y to magnify the function of making elementary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unification-related issues.

      • KCI등재

        2007년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학교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 개선 방향

        서강식 ( Kang Sik Suh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업을 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일차 자료로서 초등 교사들이 가장 신뢰하는 자료이다. 또 장차 교단에 서고자 준비하는 교육대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공부하는 자료이다.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의 중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2007년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과 개선점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수행하기 위해 먼저 제4차 교육과정 시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의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를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근거로 하여 바람직한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결론으로 다음과 같은 초등 도덕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제재의 해설 부분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지도서에서 제재의 구성과 수업 계획이 중복되는 부분을 정리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실 현장에서 도덕과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도록 한다. 셋째, 교수·학습 지도안의 양식을 초등학교 교실에서 교사들이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또 편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차시 교수·학습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is a first resource material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 on when they are going to study about teaching- learning in moeal educaion. Also many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 We may find some desirable developmental points of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from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o teacher`s guide book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t 2007 year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we have to develop the quality on explanation of the unit. Second, we ought to structure and lesson plan of unit in order to help the class lesson practically. Third, It is desirable to develop the mode of teaching-learning plan. Fourth, we must to develop the lesson plan, so teachers can know the flow about period in moral education.

      •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평가의 개략적 개념과 한창 화두로 떠올랐던 수행평가에 관해 살피고, 이러한 평가가 초등 도덕과에서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오늘날 학교 현장의 초등 도덕과 평가의 실태가 어떠한지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초등 도덕과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 평가 준거 등을 차례로 탐색하였다.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 안은 도덕과 공식 목표와 실제 목표가 일치되도록, 환원주의 평가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의 오류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비판적 검토

        변종헌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a basic foundation for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In general, unification education in our elementary school is relying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well as official subjects. It is the moral education that playes the most critical role for unification education among various elementary school subjects, which can help to stimulate the will for Korean Unification and strengthe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Unification. In this vein,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and suggest some ideas to activate unific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contents for unification education needs to be reorganized in terms of the necessity of sequence and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as to try to magnify the function of making elementary students to be more interested in unification-related issues.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공식적인 학교 통일교육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 과정의 통일교육은 일반적으로 교과와 비교과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가운데서 북한과 통일문제를 가장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다루는 교과가 바로 도덕과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의 토대로서 학생들의 통일의지와 통일역량을 함양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 글의 목적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과정까지의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내용체계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 북한 및 통일문제와 관련된 핵심 내용요소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의 전통윤리교육 분석과 과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7 No.1

        이 글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의 전통윤리교육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 과제를 제시한 것이다. 초등학교 도덕교육이 성공적이지 못한 이유가, 주지주의 도덕교육의 결과로 인한 기본생활과 예절의 습관화의 실패에 있다는 성찰을 바탕으로, 이러한 기본생활습관교육이 바로 전통윤리교육이라는데 초점을 두고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바른생활``·``도덕``은 우리 조상들이 강조하였던 기본생활습관교육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바른생활``은 초등학교 전 학년의 기본생활습관 형성을 위하여 목표와 내용의 상세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도덕``의 18개 가치덕목은 시민사회생활에 필요한 가치덕목과 전통윤리덕목의 조화이긴 하지만 주로 전자에 중점이 있으며, 목표와 내용의 상세화도 전통윤리교육 측면에서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 교과서 집필이 현재 진행 중이기 때문에 완결된 분석은 어렵지만, 교육과정과 1,2학년 ``바른생활``·``생활의 길잡이``, 3,4학년 1학기 ``도덕``?``생활의 길잡이``에 드러난 전통윤리교육에 대한 관점을 분석할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전통윤리교육이 보다 원리적·심층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적 도덕교육론 정립, 동서양 도덕교육론의 균형 잡힌 시각 제시, 교육과정 구성과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전통윤리교육전공자들의 적극적 참여, 전통문화 내지 동양사상의 정수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 활용 등에 주의를 기울여 전통윤리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아울러 초등학교 전통윤리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과제로는, 18개 가치덕목의 선정 기준과 원칙 마련, ``서양윤리와 동양윤리``·``현대윤리와 전통윤리``의 조화를 위한 적용 원리 마련, 전통윤리의 본질과 가치를 현대사회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 기본적인 태도와 몸가짐·예절 등은 ``바른생활`` 교과에서 완전학습을 통해 습관화, 전통 가치의 다양한 활용, 미래사회의 새로운 변화에 대한 대비, 현대사회 제반문제에 대한 대응 등을 들 수 있다.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moral subject focussing on `07 revised curriculum. Then I will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and bring up tasks concerned with it. The failure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n most cases, was due to the intellectualism of moral education that has resulted in lack of habits of decency and manners in the students` daily life. The right living course and the moral subject are as good as traditional living habits education was emphasized by our ancestors. To let students to practice of eighteen values or virtues in the moral text book, we need to make detailed in education`s goal and contents. But the older the students is the more difficult the habits education. Then the habits education at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is much better than other year students. The moral text in `07 revised curriculum is not complete written. For this reason, maybe my analysis related this subject will be continued the next study. The problem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s a poor role of the specialist, and their lack belief of that. In order to solving these problems, The participating persons have to convict the role and effect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task of the moral subject is the spread of the goal, contents, belief of the traditional ethics education to the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곽영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asures of animal ethics education in moral subject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the time and ethical background of animal ethics edu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ntents related to animal ethics education presented in the moral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n example of how to apply animal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classes. Result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does not properly express the era and ethical background, questions about its sequence may be raised, and particularly, it does not present meaningful contents in the approach of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The frequency of exposure to animal term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rest of the times, and the animal ethics theory of Singer, Regan, and Kant needs to be applied more actively. Conclusions In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ased on the times and ethical foundations, securing sequence. In particular,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animal ethics education should include various practical approaches that are insufficient.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동물윤리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윤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도덕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제시된 동물윤리교육과 관련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도덕 수업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적용방안에 대한 예를제공하고자 하였다. 결과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배경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있고, 계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으며, 특히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의 접근에서 유의미한 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에 대한 노출 빈도는 시대적 관심에 부합하게 높여야 할 것이며, Singer, Regan, Kant의 동물윤리이론이 보다 적극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결론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은 시대적, 윤리적 토대를 바탕으로 접근되어야 할 것이며, 계열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고, 특히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미흡한 실제적인 접근 방안들을 다양하게 포함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정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1

        최근의 학교폭력 실태의 특징 중 하나가 학교폭력 발생의 저연령화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학교폭력 발생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예방교육의 일환으로 교과교육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학교폭력의 개념, 원인과 함께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실시보다 교과교육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갖는 장점 및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및 인성교육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목표 및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넷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적합한 교과로 도덕과를 선정하여 제7차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차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교육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위하여 초등 도덕과의 교육내용 개선 및 차기 교과서의 교육내용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ideas that preventive education from school bullying & violence needs to be carried out from elementary school because we found that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ers, who commit school bullying & violence, grows significantly. So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a subject-based instructional approach for preventive education of school bullying &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composed of four parts: (1) The first part identifies the concepts of school bullying & violence and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chool bullying & violence and analyzes what mainly causes school bullying & violence. (2) The second part provides that subject preventive education of school bullying & violence is more effective than another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3) In the third part, the researcher analyzes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are relevant to the character education. (4) In the final part, the researcher proposes the ways to improve moral education contents and to develop the textbook of the revision of moral education for the preventive education of school bullying &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안 연구

        곽영근(Young Kuen Kwa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방법을 찾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이솝우화』의 개별 우화와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에서 『이솝우화』의 활용 시 주의해야 할 우화 정보와 이유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도덕교육에서 도덕 발달의 형식성을 추구하기 위해 『이솝우화』를 통한 주요 학습 질문과 간략한 활용 방안을 예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자신과의 관계 영역’에서 202편, ‘타인과의 관계 영역’에서 85편,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에서 46편, ‘자연과의 관계 영역’에서 25편의 관련을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19가지 내용 체계 질문과 성취기준에 연결될 수 있었다. 또한 『이솝우화』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가치인 ‘성실’, ‘배려’, ‘정의’, ‘책임’과 이에 더해 ‘성윤리’의 측면에서 주의해야 할 192개의 우화를 추출하고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도덕교육의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을 위해 우화별로 도덕적 질문을 제안하고, ‘늑대와 개’ 우화를 선정하여 도덕 발달의 형식적 접근으로 활용한 일부 예시를 제시할 수 있었다. 결론 오랜 기간 도덕 이야기 자료로 활용되어 온 『이솝우화』는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에 의한 접근, 도덕 발달 형식에 관한 접근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지, 비도덕적 요소에 대해 주의를 가져야 할 것이며, 향후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논의를 전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tilization of Aesop's Fables in moral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I would like to present the individual fables of Aesop’s Fables by linking the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asons for fables to be careful when using Aesop’s Fables in elementary school moral subject educ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pursue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in moral education, I tried to illustrate major learning questions and simple utilization measures through Aesop’s Fables. Results Aesop’s Fables were related to 202 in the “Relationship with oneself” section, 85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46 in the “Relation with Society and Community” section, and 25 in the “Relation with Nature” section, which is the content system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tail, Aesop’s Fables could be linked to 19 content systems of question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from Aesop's fables, I was able to extract 192 fables to be careful about in terms of “sincerity”, “consideration”, “justice”,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core values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exual ethics”. And, moral questions for each fable were proposed for an approach to the formality of moral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Finally, I was able to select ‘Wolf and Dog’ fable and present some examples of using them as a formal approach to moral development. Conclusions Aesop's Fables, which has been used as a moral story resource for a long tim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story material for the revised 2022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curriculum's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approaches to moral development forms. However, caution should be taken regarding non-moral elements, an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on specific utilization strategi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김은수(E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9

        현행 7차 교육과정에 들어오면서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은 이전의 단선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그 효율화를 위한 다각적인 방법적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었던 도덕성 요소, 교수 기법 및 교수-학습 방법을 재발견하고, 그것들의 교육적 적용을 통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도덕교육의 한계 및 취약점을 보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방법적 모색의 일환으로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의 효율적인 도덕성 함양 및 효과적인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과 상상력, 상상력과 도덕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상상력이 갖는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도덕적 상상력이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을 통해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효율적인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earching for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in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 This paper focus on 'moral imagination', and than try to explore its meaning and usefulness in moral education. In past imagination has been a contrary concept of reason, but in recent its meaning is understanding of having relation with creativity, creativeness, making a scientific discovery. And it's the same in morality. We can not think moral things and do moral behavior without imagination. Therefore if we foster moral imagination in our children's mind from childhood, they will grow to be moral agent more than now. And if we use moral imagination at school efficiently, they learn about moral thing more easil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try to explore effectual method of moral education through moral imagination i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moral education and so contribute development of our children's morality.

      • KCI등재

        정서교육을 위한 초등도덕교육과정 탐색

        강미영,김정효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8

        Emotion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of moralit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ough in a generic sense its importance has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eover, the emotion that arises within human relationships also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related to determination or will. Therefore, with increasing awareness to improv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in terms of emotiona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figuration of emotional education ocurring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this purpose the 3rd- and 5th-grade moral education textbooks and their teacher's guidance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degree of involvement, the types of emotion and its presentation of the 5 types of emotional competence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of emotions showed high level of relevence overall, but the contents about emotion were dealt with in a fragmented way,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its contents. In addition, lessons directly dealing with emotions were not sufficient enough . 2) About the types of emotion, the curriculum evenly covered both the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s, but the positivity and the negativity of each emotion were not properly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urpose. Especially, the secondary negative emotions in the reflective level were hardly found in the documents. 3) The analysis of emotional factors and the style of its presentation revealed that the curriculum mainly dealt with the awareness of basic emotions and the recognition of one’s own emotions, but it did not sufficiently address about the ways to regulate one’s emotions and the ways to socialize with others- the ultimate goals of emotional education. Moreover, there was a lack of sequential and systematic relations among emotional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improvements in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for elementary students, in terms of emotional education, as follows: 1) Various types of emotions and factors of emotional competences should be covered in balance. 2) More contents should be included on developing students empathy and on developing abilities to regulate their emotions. 3) Socialization of emotions should be fostered in terms of real-world relationships. 초등도덕교과는 정서를 중요하게 다루어 왔으나 정서의 일반적인 개념에 근거한 정서요소를 불충분하게 다룰 뿐 아니라 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정서를 소홀히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 도덕교과 교육에서 정서역량 중심의 정서교육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현행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정서교육에 대한 기초연구의 성격으로 3, 5학년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의 정서교육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1) 정서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정서관련성은 높은 편이었으나 정서관련 빈도수에 비해 단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정서 자체를 다루고 있는 단원도 부족한 실정이었다. 2) 정서유형은 일차, 이차 정서를 고르게 다루고 있는 편이었으나 각 정서의 긍정성과 부정성이 교육적 취지에 맞게 절절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특히 반성적인 차원의 이차 부정적 정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3) 정서요소와 제시 형태를 분석한 결과 기본적인 정서인식과 이해는 많이 다루고 있었으나 궁극적으로 정서교육이 지향하는 정서조절과 정서사회화 영역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으며 정서요소들 간의 순차적이고 체계적인 연관성이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정서교육에서는 정서유형과 정서역량요소를 균형있게 다루고 공감과 정서조절을 강화하여 관계 속에서 정서가 사회화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초등도덕교과서를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