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도출

        엄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교육 강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진로교육 역량을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교육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진로교육 역량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2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6개의 역량군과 17개의 역량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을 도출함에 있어서 이론적인 측면과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대부분의 역량에 대하여 교수 및 연구원 집단과 초등학교 교사 집단이 갖는 인식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만, 교수 및 연구원 집단은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 집단은 실제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기능적인 측면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반영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들로부터 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역량의 체계는 향후 관련 연구나 후속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이 초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관련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career educational capabilities requi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delphi study so as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plor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compared ·analyzed·generalized precedent researches for capabiliti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wrote a draft of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ew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expert conference, conducted two times of delphi study for 12 expert panels so as to verify validity of drawn capabilities and confirm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finally through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were finally confirmed by 6 capability group and 17 capabilities. Second, in developing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theoretical aspects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field were reflected. Third, Arrangement of career counsel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s actively discussed. 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awn in this research should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s career counselling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노주희,김민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 활동이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37명으로 실험집단 1은 19명, 실험집단 2는 18명으로 구성되었다.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그림책 16권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 1 유아들에게는 초등학교 관 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으로 게임 및 역할극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 2에게는 초등학교 관 련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한 실험집 단 1과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사후 효능감 점수 모두 사전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1의 사후 자기 효능감 점수가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만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사후 자기 효능감 점수 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가 유아의 초 등학교 적응 관련 자기 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이며 그림책 읽기 후 확장활동을 실시를 통해 초등학교 관련 그림책 읽기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 탐색

        정진철,김재호,방재현,남중수,정지은,이현민,임소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특성 및 현황 분석,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 도출, 셋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변화 방향 도출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선행연구의 종합 및 분석을 통해 크게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여 총 11개의 직무를 제시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의 방향 또한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고 11개의 직무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에서 진로전담교사와 학교관리자, 담임교사의 역할과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role of elementary career teachers.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o derive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ird, to derive the chang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expert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ggesting 11 tasks of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ividing a total of 11 tasks into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rd, proposing the roles and cooperation plans of career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inciples in each job.

      • KCI등재

        초등학교 사회(역사) 교과서의 대안적 구성 논리와 방안

        문재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6 역사교육연구 Vol.- No.26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re composed of national and ethnic histories as their main contents. The elementary history textbooks are composed of contents focused on political history while they contain poor contents of life history. Many studies so far have presented criticisms of and alternatives to such political history-focused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subject, but they were poor in making proposals for specific contents. This article thus attempts at a logic and plan for alternative com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nalyzing the issues raised so far in the discussion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t outlines problems like emphasis on the absoluteness of historical knowledge, their contents with focus on national and ethnic histories, lack of the description of life history, reinforcement of unique historical recognition etc. The current article then examines an alternative logic for the composi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in which history should be approached from national stories (national history) to people’s stories (life history), from eminent figures’ stories to common peoples’, from adults’ perspective to children’s, and from overcoming crises to understanding mutual cultures. Lastly, as a specific way to compose alternative history textbooks for solving problems with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t is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composed of people’s life stories and help students understand historical periods from their life. Also, it is proposed that focus be put on various methods to encourage children to be interested and on historizing in which the learners participated directly in history education. The proposals are expected to be a basis for solving repeated problems with periodically renewed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nd better textbooks are developed.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는 국가사와 민족사를 주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는 차별을 두기 위하여 초등학교는 생활사, 중학교는 정치사, 고등학교는 문화사를 중심으로 교과서 내용을 구성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정치사 중심으로 내용 구성이 되었고 생활사 내용 구성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동안 이러한 정치사 중심의 초등학교 역사 내용 구성에 대해서 여러 연구들에서 비판과 대안들을 제시하였으나 구체적인 내용 구성에 대한 제안은 미흡하였다. 그래서 이글에서는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대안적 구성 논리와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그동안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 논의에서 제기되어 온 내용들을 분석하여 역사 지식의 절대성 강조, 국가사와 민족사 중심의 내용 구성, 생활사 서술의 부족, 획일적인 역사인식의 강요 등의 문제점을 개괄하였다. 다음은 이를 바탕으로 역사 교과서의 대안적 구성 논리를 국가 이야기(국사)에서 사람들의 이야기(생활사)로, 위인들의 이야기에서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로, 어른의 눈높이에서 어린이의 눈높이로, 국난극복에서 상호문화이해로 접근해야 함을 검토하였다. 끝으로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인 대안 역사 교과서 구성 방안으로는 사람들의 생활이야기로 구성하고 생활 속에서 시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할 필요가 있다. 또 아동들이 흥미 있어 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서술하고, 학습자가 직접 참여하여 역사를 배우는 역사하기를 강조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이 바뀌어 교과서가 새로 나오더라도 계속 반복되어 나타나는 초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교과서를 개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아동이 인식한 학교교육에 관한 연구

        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초등학교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중?고학년 총 420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 교사관 및 아동관 등 총 여섯 영역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것은 아동이 인식한 초등학교 교육목표는 학교란 공부하는 곳이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교란 친구를 만나기 위한 곳으로 보았다. 이들이 인식한 초등학교의 교육내용은 특정 학과목으로 응답하였고, 교수방법에 있어서는 아동들은 재미있으며, IT를 활용하거나 조작활동 등을 선호하였다. 평가측면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자신에 대한 평가를 하는지 객관적으로 알지 못하나 본인이 선호하는 개인화된 평가방법을 언급하였다. 아동은 교사에게 요구사항이 많았고, 선호하는 교사상도 매우 다양하였다. 아동들은 친구가 자신에게 먼저 다가오고 베풀기를 기대하였으며, 역시 선호하는 교우유형 또한 매우 다양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생은 학교교육에 대한 자신들의 적극적인 요구를 갖고 있으며, 학교에서 자신이 의미있는 존재로 인식되고 교사나 친구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함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aims,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teachers and friends of elementary school.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20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erceptions on aims, students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a place to study, and a place to meet friends as their grade levels go up.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n contents, they listed some particular school subjects for responding what they were studying at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teaching methods, they preferred something hands-on, interesting, and with technology, The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way their teachers evaluated them. They asked for personal attentions and care from their teachers and friends, at the same time, they expected themselves to be meaningful and respected beings in the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우수 교사 특성에 대한 개념도 연구

        고재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 특성들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위해 2개 시⋅도 교육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22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연구대상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46개의 최종진술문들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평정한 뒤 다차원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을 개인-조직 차원과 교사-학생 차원의 두 가지 차원에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5개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생활지도를 잘하는 교사, 교수⋅학습지도를 잘하는 교사, 업무처리를 잘하는 교사, 자기관리를 잘하는 교사, 대인관계를 잘하는 교사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생활지도와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들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한 우수 교사의 특성들은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가르친다, 학급관리에 능숙하다,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잘 한다,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잘 유발시킨다, 학생중심으로 수업을 충실히 한다, 교육에 대한 사명감과 뚜렷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5가지 우수 교사의 특성요인은 바로 교수⋅학습지도, 생활지도, 사무처리, 자기관리, 대인관계와 같은 초등학교 교사의 일반적인 자질 및 역할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우수 교사의 특성 요인들 중에서 생활지도 및 교수⋅학습지도와 관련된 특성 요인들을 더 중요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우수한 초등학교 교사의 특성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 및 시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예원,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교육 주체인 초등학생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과 시간에 대한 이미지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춘천시 초등학교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학교 공간(교실, 복도, 화장실, 급식실, 운동장)과 학교 시간(아침활동시간, 수업 시간, 쉬는 시간, 점심시간, 하교 시간)에 대한 문장완성형,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였으 며 오프라인으로 설문지를 투입하였다. 설문 결과는 귀납적으로 주제를 요목화하여 그 의미를 해석한 후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 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초등학생은 자신의 경험과 생각에 따라 학교 공간과 시간에 각각 3-4 개의 정의적 의미와 4개의 정서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또한 성별과 학년에 따라 화장실, 운동장, 아침활동시간, 수업 시간, 하교 시간에 그 의미에서 차이를 보였다. [결 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초등학생은 성인과는 다른 자신들만의 의미를 학 교 공간과 시간에 부여하며 생활하고 있으며 이러한 초등학생의 목소리를 들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의 모든 공간과 시간에는 친구가 존재하기에 초등 학생의 교우관계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ag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regarding school spaces and times, based on the necessity of acknowledging the voices of elementary students as the primary recipients of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targeted 1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City. Sentence completion and open-ended survey forms regarding the spaces within the school (classrooms, corridors, restrooms, cafeterias, playgrounds) and school times (morning activities time, class time, break times, lunchtime, dismissal time) were designed and administered offline. The survey results were interpreted inductively to highlight key themes, an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ifferences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lementary students attributed 3-4 conceptual meanings and 4 emotional meanings individually to school spaces and tim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nd thoughts. Furthermore, differences in meaning were observed in spaces such as restrooms, playgrounds, morning activities, class time, and dismissal time based on gender and grade level.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it is evident that elementary students assign unique meanings to school spaces and times distinct from adults, emphasizing the necessity to listen to their perspectives. Additionally, given the presence of friends in all spaces and times for elementary students, there is a greater need to focus on and educate about their peer relationships within the educational context.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 논문의 내용 분석

        정경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그 내용을 정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은 크게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과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 현황을 조사한 논문으로 분류될 수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일반교사와 영양교사는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영양교육 시기와 아동의 주요 영양문제에 대해 공통된 견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영양교육 담당자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논문에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학교 영양교육의 주요 담당자를 ‘영양교사’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담당자로서 일반교사와 영양교사의 역할이 분명히 구분되고 각각의 역할이 모두 중요하기 때문에 어느 한 집단에게 책임을 전가하려는 것은 문제가 있으며, 주요 담당자를 논하는 자체가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었다. 한편, 초등학교에서의 영양교육 실시현황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교사와 영양교사 모두 거의 같은 내용의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교육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있으며, 영양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교육매체가 매우 제한적이며, 영양에 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함을 호소하는 공통된 문제점들이 있었다. 초등학교 영양교육 실태에 관한 국내 연구논문들의 전체적인 문제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설문조사시 사용된 영양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대상자들의 정확한 인지가 부족하여 이와 관련된 응답결과를 전적으로 신뢰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많은 연구들이 어떤 의도에 의해 수행되었거나, 선행 연구의 오래된 연구 내용을 수정이나 보완 없이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초등학교 영양교육의 실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교급식을 통해 초등학교에 영양교육의 개념이 도입된 이래 많은 세월이 흘렀고, 그 사이 초등학교의 영양교육 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러므로 선행 연구들의 고정화된 연구 내용에 관례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이러한 변화에 대한 충분한 고찰을 통해 발전적인 방향으로 연구 목적을 설정하고 현재의 상황에 맞는 타당한 연구 내용과 방법을 통해, 초등학교 식생활 교육의 진정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들이 수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researches on the state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s were classified into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First,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recognition on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had same thought about the main nutrition problems of the children and the most effective time to start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most researches, the percentages of thinking that dietary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high. This thoughts are needed to be corrected because roles of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are different in the nutritional education. Second,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researches about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nutritional education were as follows. The class and dietary teachers thaught the same contents when doing nutritional education. Also, both of them used a few limited materi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and complained of lack of the guideline books and sources that gave reliable information about nutrition. Altogether, researches had the several problems in their results because they were conducted with a deliberate purpose or in accordance with ol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It has been many years since the concept of nutritional education introduced to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school lunch. Over the time, there has been many changes in the circumstance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nutritional education. From now on, researches must be conducted which set the advanced goal and use a valid metho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bout these changes instead of just following the fixed subjects of the antecedent researches, for the true development of nutrition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

        이성은,권순교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와 이를 적용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본 조사 1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171명의 초등 교사를, 본 조사 2는 272명의 초등 교사로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변혁적 지도성의 하위 변인을 선정하고, 본 조사1에서는 변혁적 지도성 측정도구의 구성요인과 문항 분석을 하였다. 본 조사 2에서는 개발된 측정도구의 요인별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 한 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을 위해 학교 설립, 교장변인별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에 대한 지각 정도를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4가지가 추출되었고 ‘교사존중’, ‘비전제시’, ‘전문성제고’, ‘학교풍토조성’ 로 명명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 측정 도구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타당도가 확보되었고, 신뢰도 검증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은 학교 설립에 따라, 교장 성별에 따라 그리고 교장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학교장을 대상으로 하고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두 연구방법이 보완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 이후 아동의 개인 요인과 학교 환경 요인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종단연구

        최윤서(Choi Yoonseo),장상군(Zhang Xiang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입학 이후 개인 차원적 요인과 학교 환경적 요인인 성별, 자아존중감, 학업수행능력, 모의 양육행동과 교사-아동관계가 아동의 학교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단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초등학교 1학년부터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8-11차(2016년-2018년)의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종단자료에서 나타난 결측치를 해결하기 위해 완전제거법(listwise deletion method)을 사용하여 최종 252명(남학생 = 127명, 여학생=12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학 후 초등학생들의 개인 및 학교 환경 요인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변화를 다층성장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의 아동의 학교 적응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미비하지만 긍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초등학교 1학년~4학년 시기의 아동의 학교 적응 변화 궤적에 학업수행능력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초등학교 1학년~4학년 시기의 아동의 학교 적응 변화에 교사-아동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교 1학년~4학년 시기의 아동의 학교 적응 변화에 개인 변인 중 성별 그리고 학교 환경 요인의 교사-아동관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에 따라서 유치원⋅초등학교 전환기 아동들의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individual factors (gender, self-esteem, academic performance,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teacher-child relation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Methods This study used the longitudinal data from 8th to 11th cycles (2016-2018) surveyed from 1st grade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listwise deletion method was used to solve the missing values in the longitudinal data, and the final 252 students (male=127, female=125) data were used. Through multi-level growth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 and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on school adjustment after elementary school enrollment. Results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first through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insufficient but increased over time. Second, while controlling for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ly academic performa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ird, while controlling for the gend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ourth, among the individual variables, only gender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a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nclusions Through th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