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남ㆍ녀 체육영재 선발자의 체형특성에 관한 연구

        류영주,백영호,신상근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교사교육연구 Vol.51 No.3

        본 연구는 2009년 체육영재 선발에 참가한 부산, 울산, 경남지역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남자체육영재 선발자(n=50), 여자체육영재 선발자(n=10), 남자체육영재 비선발자(n=63), 여자체육영재 비선발자(n=31), 일반남자학생(n=14), 일반여자학생(n=14), 총 182명을 대상으로 체형특징을 분석하여 선수자원의 감소와 기초종목 기피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체육영재를 발굴, 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SPSS(Version 18.0)를 이용하여 성별과 집단간 상호작용효과를 보기 위해 two-way ANOVA를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초등 남ㆍ녀 체육영재선발자의 신체 10개 부위의 형태 계측치와 H-C 체형 3요소에 대한 특성을 파악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 남ㆍ녀체육영재 선발자와 비선발자, 일반학생의 신체 10개 부위 중 1개 부위를 제외한 9개부위의 형태계측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평균 체형의 특징에 있어서, 남자체육영재 선발자는 ‾S=2.8-3.8-3.3의 중배엽형 외배엽형, 남자체육영재 비선발자는 ‾S=4.2-4.2-2.8의 중배엽형 내배엽형, 일반남자학생은 ‾S=5.7-4.6-2.5의 중배엽형 내배엽형으로 나타났다. 여자체육영재 선발자는 ‾S=3.3-3.0-3.9, 여자체육영재 비선발자는 ‾S=3.6-3.5-3.3의 중앙형, 일반여자학생은 ‾S=6.9-4.5-2.1의 중배엽성 내배엽형으로 나타났다. 비만의 정도를 나타내는 내배엽성요소에 있어서 남ㆍ녀 체육영재 선발자와 비선발자가 남ㆍ녀 일반학생보다 유의(p<.001)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과 골의 발달정도를 나타내는 중배엽성요소에 있어서 남ㆍ녀 일반학생이 남자체육영재 선발자와 여자체육영재 선발자, 비선발자보다 유의(p <.01)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윔의 정도를 나타내는 외배엽성요소에 있어서 남자체육영재 선발자, 여자체육영재 선발자와 비선발자가 일반여자학생에 비해 유의(p <.05)하게 높은 것으로 각각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olve issues of reduced number of athletes and avoidance of basic sports, and to recruit and train athletic talents by comparing the H-C somatotypes of selected sports talents, non-selected sports talents, general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7 through 9 years of age who were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The total subjects were 127 boys and 55 girls. All subjects of this study lived in Pusan, UIsan Metropolitan City and Gyongsang Nam Do Province.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elected sports talent boys (n=50), non-selected sports talent boys (n=63), selected sports talent girls (n=10), non-selected sports talent girls (n=31), general school boys (n=14), general school girls (n=14).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for a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variables and 3 somatotype components conducting two-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body height, body weight, humerus readth, femur breadth and 4 site skin fold, all anthropometric variables were ignificantly ifferent in boys and girls of selected sports talent and non-selected sports talent and general school. In the mean somatotype, selected sports talent boys were esomorph-ectomorph (‾S=2.8-3.8-3.3); non-selected sports talent boys were mesomorph-endomorph (‾S=4.2-4.2-2.8); general school boys (‾S=5.7-4.6-2.5). In the mean somatotype (‾S), selected sports talent girls were central type (‾S=3.3-3.0-3.9); non-selected sports talent girls were central type (‾S=3.6-3.5-3.3); general school girls were endomorphic type (‾S=6.9-4.5-2.1). In the degree of obesity on the ndomorphic component, selected sports talent boys and girls, non-selected sports talent boys and girls were significantly (p <.001) lower than those of general school boys and girls. In the degree of muscle and bone development on the mesomorphic component, general school girls were significantly (p <.001) higher than those of selected sports talent girls. In the degree of lean on the ectomorphic component, selected sports talent girls were significantly (p <.001)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school girls.

      • KCI등재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다중지능과 뇌파활성도

        김유나,정성현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본 연구는 체육영재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체육영재 학생들의 다중지능과 뇌 활성도를 파악하여 향 후 운동선수 양성 프로그램, 우수선수발굴시스템 개발 및 보완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2012년 A대학의 체육영재센터로 선정하여 총 30명을 유목적표집하였다. 이 중 제외한 자료의 경우 전문가 회의를거쳐 저학년의 경우 검사지 이해 부족과 뇌파검사의 집중력 부족으로 검사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저학년 2학년 11명을 제외하고 19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영재 프로그램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는 신체운동지능, 언어지능, 자아성찰지능, 대인관계지능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영재 프로그램에 따른 뇌파활성도에서 알파파, 베타파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다중지능의 향상과 알파파, 베타파의 활성은 체육영재프로그램을 통해 체육영재의 집중력, 심신의 안정 이 외 전문실기 경기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불안, 걱정 등을 해소시킬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ltiple intelligences and brain activity based on Sports Talented program. Ultimately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ports Talented program. Students study the subjects were sampled a total of 30 people in 2012, A University of Sports Talented Center.11 of 30 people second grade data were excluded because of insufficient concentration. These findings obtained by the process is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intelligence tests physical exercise intelligence, language, intelligence, self-reflection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brain wave activity test result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is the alpha wave and beta wav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that the improve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ability of alpha wave and beta wave activity to resolve the concentration, mental and physical stability, anxiety, and anxiety of the athletic gifted are improved.

      • KCI등재

        체육영재 판별 도구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박정화,최흥섭,이진훈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0 교과교육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영재 판별 도구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일선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판별 도구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K도 체육 영재교육 직무연수에 참가한 초·중등교사 30명(남 28, 여 2)을 대상으로 '체육영재란?', '체육영재가 갖추어야 할 경기력이란?', '체육영재의 판별 조건은?'이란 주제로 워크숍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체육영재에 대한 개념의 주요인은 지능, 신체적 조건, 스타(플레이어), 환경, 지도자 등이고, 체육영재에 대한 개념에서 특이한 점은 인성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체육영재가 갖추어야 할 경기력의 주요인은 신체적 요인,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지능 등이고, 체육영재가 갖추어야 할 경기력에서 특이한 점은 지능 요인 분리와 환경적 요인에 대한 고려였다. 셋째, 체육영재의 판별 조건에 대한 주요인은 지능, 심리, 관찰, 인성, 움직임, 체력, 체격, 예술, 적응력 등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현재의 체육영재 판별 방법이 주로 신체적 조건과 스포츠 수행 능력(경기력) 중심의 편향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어 온 것에 대한 재논의가 요구되며, 일선학교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판별도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보다 광범위한 지역 및 학교급별 연구 대상과 장기간의 워크숍을 통한 체육영재 판별도구 개발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 수렴 및 협의 과정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ools to identify physically gifted students as well as to examine P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dentification tools. A study was conducted on 30 (male 28, female 2)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K province training program entitled, Who is a physically gifted student?, What kinds of athletic abilities do physically gifted students possess? and What are the conditions for identifying physically gifted students?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factors for identifying a physically gifted student is intelligence, physical fitness, having being a star player, environment, and trainer. Furthermore, personality factors were also considered to be important; Second, the main factors of athletic performance which physically gifted students must possess are physic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elligence. Interestingly, PE teachers considered intelligence factors as a separate issue while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ought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Third, intelligence, psychology, observation, personality, movement, fitness, physique, art, and adaptability are the main factors in identifying physically gifted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developing effective tools for identifying physically gifted studen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o current perspectives which mostly focus on physical conditions and athletic performance. Finally, consistent development of various identification tools which can be easily used in the school fields are necessary.

      • KCI등재

        장애인 체육영재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매트릭스(Matrix) 분석의 적용

        이현 ( Hyeon Lee ),김욱 ( Uk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7 No.4

        이 연구는 장애인 체육영재 발굴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지도자 집단, 행정가 집단, 연구자 집단, 선수 집단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집단별로 5명씩 총20명을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조사절차는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SWOT과 역할 중심매트릭스를 혼합한 틀을 적용하여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강점의 세부요인은 “장애인 선수 선발체계의 위계화 및 체계화”의 경우 행정가와 지도자 집단에서, “재능 및 잠재력 있는 어린 선수 조기 발굴 및 육성”은 지도자 집단에서, “선수 선발의 기준과 명칭의 명확화”는 연구자 집단에서, “동기부여와 목표의식 생성”은 선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약점의 세부요인은 “영재발굴 및 관리를 위한 영재발굴을 위한 전문가와 관리 시설을 위한 시스템 부재”의 경우 행정가와 연구자 집단에서, “부상으로 인한 조기 낙오 및 중도탈락”은 지도자 집단에서, “영재교육을 위한 전문지도자 부재”는 선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회의 세부요인은 , “장애인체육 영재발굴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의 경우 행정가와 연구자 집단에서, “원활하고 순환적인 선수 수급”은 지도자와 선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위협의 세부요인은 “국가 및 시도 차원에서의 예산 지원 문제”의 경우 연구자 집단에서, “부모의 지원 문제”는 지도자와 선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학문적 정당화와 현실적 타당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애인체육 영재의 발굴을 위한 출발점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hods for the search for talented players for disability sports. Subjects were 20 people by selecting 5 persons from each of the 4 expert groups who divided into the leader group, the administrator group, the researcher group, and the player group. The investigation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matrix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 mixture of SWOT and role-based matrix.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specific factors drawn in strength were the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as administrators and the leader group in “hierarchy and systemization in the system of selection of disabled players”, the leader group in “discovering and training talented young players earlier”,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 group in “clarifying the standard and title of selection of players” and the player group in “motivation and generation of a sense of purpose”. Second, the specific factors drawn in weaknesses were the groups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ere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 group in “lack of experts and system exclusive for discovery and management of the talented players for disability sports”, the leader group in “early dropout by injury”, the player group in “lack of expert instructors for training of the talented people”. Third, the specific factors drawn in opportunities were the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ere the administrator and researcher group in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r discovery of the talented players for disability sports”, leader and player group in “smooth and circulatory supply of players”. Fourth, the specific factors drawn in threats were the group which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was the researcher group in “the issue of budget support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leader and player groups in “support of parents”. With such results,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starting point for the discovery system that could guarantee academic justification and realistic validity by reviewing both ideology and reality of the talented players for disability sports.

      • KCI등재

        체육영재 선발 및 육성을 위한 스포츠 심리학의 현장적용 사례

        안정덕(Jeong-Deok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는 2009년 7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실시된 부산대학교 체육영재센터의 체육영재양성 사업에 참가한 스포츠심리 분야의 현장사례 연구이다. 부산대 체육영재센터는 부산?울산?경남의 초등학교 1,2,3 학년 중 남?여 구분없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3차에 걸친 운동능력 검사와 운동적합률 검사를 통해 60명(육상:40명, 수영:10명, 체조: 10명)의 체육영재를 선발하여 운영하였다. 하계 및 동계 캠프와 매주 토요일을 활용하여 종목별 전문훈련을 진행하였다. 스포츠 심리학 분야에서는 몇 가지 실험적인 현장적용을 시도하였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경우에는 보충설명을 제공하면 검사지를 통한 심리측정이 가능하고, 3학년의 경우는 추가 설명이 없어도 충분히 실시할 수 있었다. 둘째, 다중지능검사는 체육영재들의 지능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유용하며, 심리상담 기초자료로써 효휼성이 높았다. 셋째, 체육영재들의 성격은 대체로 외향적이면서 직관과 감정을 선호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FAIR 집중력 검사에서는 사후 측정 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제시되어, 체육영재 프로그램이 주의 집중력을 높이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자체 개발한 체육과제 집착력 검사지와 체육활동 자기관리 검사지는 추가적인 타당도와 신뢰도 검사과정을 거친다면 공식적인 심리측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was an analysis of sport psychological application for the kinesthetic gifted children's selection and upbringing in Pusan University's center for kinesthetic gifted children from 2009.7 to 2010.2. The 60(athletics: 40, swimming: 10, gymnastics: 10) of kinesthetic gifted children were selected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from Pusan, Ulsan and Kyungsang-namdo without distinction of sex. We progressed summer and winter camp during vacation, and managed a special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exercise items on every saturday. We attempted experimental a field application, and obtain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were possible to test psychological measurement with supplementary explanation, and in the case of third grade, it was enough possible without any supplementary explanation. Second, multi-intelligence test was efficient as the method to check kinesthetic gifted children's intelligence and useful as the basic data for counseling. Third, the character types of kinesthetic gifted children were appeared preferring outgoing, intuition and emotions. Forth, with the FAIR concentration, we confirmed that the center's program effected positively on improving concentration. Fifth, we found the potential that the physical task commitment questionnaire and the exercise activity self-administer questionnair would be used as official psychological measurement tool after the review process of additional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영재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내용과 평가를 중심으로

        최정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敎員敎育 Vol.36 No.3

        This study examined how to carry out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high school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ight gifted high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such as organization regulations,operation and evalu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for the 2019 school year of eight gifted high schools, and evaluation plans were collected. In order to collect concrete data on the contents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iv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and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Brereday's(1964) comparative methodology and thematic cod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school curriculum,the analysis of the schedule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the evaluation contents of each physical education subject showed tha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gifted high schools were operated as credits, operated curriculum by the autonomy of teachers, the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classes for a small number of students, the possibility of various classes with the latest class environment, the operation of P/F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high schools were suggested as the standardization of P/F standards, the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using sports exchange exhibitions, the oper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the recommend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individual sport activities to act as a basis for lifelong sports. 본 연구는 8개 영재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을 내용과 평가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영재학교특성에 맞는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8개 영재학교의 2019학년도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 및 평가에 관한 규정, 체육과 평가계획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각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체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5명의 영재학교 체육 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Bereday(1964)의 비교방법론과 주제별 부호화 과정을 통해 연구 목적에 맞게분류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교육 과정 편성에 따른 체육과 운영실태, 체육교과 편제표, 체육과 교과목별 평가내용에 차이를 분석할 수 있었다. 영재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성은 학점제, 현장 교사의 자율성에 의한 교육과정 운영,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수업, 수업환경의 최신화로 다양한 수업 가능, P/F 평가시스템 운영으로 분석되었다. 영재학교 특성에 맞는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방안 모색 결과는 P/F 평가 기준의 규격화, 스포츠 교류전을 활용한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학생 참여 중심의 체육과 교육과정 운영, 평생스포츠 기반을 위한 1인 1기 활동 참여의권장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장애인체육 영재의 개념화

        이현 ( Lee Hyeon ),김지태 ( Kim Ji-tae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이 연구는 장애인체육 영재를 개념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Nov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 분석을 활용하여 각 3개 집단(지도자 집단, 연구자 집단, 선수 집단)의 10명(총 30명)으로 부터 장애인체육 영재의 개념화에 대한 지식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집단의 개념도 특성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Win version 22.0 통계프로그램 활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인체육 영재의 개념화를 위한 각 집단에 대한 상위개념 및 종속개념을 분석한 결과, 상위개념은 일반적 특성인 신체지능, 경기지능, 과제집착력과 특수성인 장애인 특수성, 환경적 요인 등 총 5개의 개념으로 개념화 되었으며, 신체지능 21개, 경기지능 27개, 과제집착력 22개, 장애인 특수성 16개, 환경적 요인 14개의 하위개념이 포함되었다. 둘째, 장애인체육 영재의 개념화를 위한 각 집단의 지식개념의 확장정도 및 구체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위개념의 특성(위계, 상위개념의 종속개념 수, 특성점수, 밀도)을 분석한 결과, 위계, 상위개념의 종속개념 수, 특성점수는 3개의 집단 모두 신체지능의 지식개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밀도의 범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집단의 개념도의 특성(위계, 상위개념의 종속개념 수, 특성점수, 밀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the talented people for disability sports. 10 people from each of the 3 expert groups of instructor group, researcher group and player group(30 subject) were selected by quota sampling method. Concept map analysis devised by Novak and Gowin (1984) was conducted for examination of the knowledge concept about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talented people for disability sports. In addition,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with SPSS 22.0 statistics program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map of each group.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 and subordinate concept of each group for conceptualization of the talented people for disability sports, the superordinate concept was conceptualized with the 5 concep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intelligence, competition intelligence and tenacity of task performance and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distinctiveness of disabled people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included was 21 in physical intelligence, 27 in competition intelligence, 22 in tenacity of task performance, 16 in distinctiveness of disabled people and 14 in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ordinate concepts (i.e., hierarchy,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of each superordinate concept, score of characteristics and density) conducted for examination of the degree of expansion and knowledge concreteness of the knowledge concept of each group for conceptualization of the concept of the talented people for disability sports, the knowledge concept of physical intelligence was the highest in hierarchy,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of each superordinate concept and score of characteristics in all the 3 groups, and the range of density in the 3 groups was not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map of each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of the hierarchy, the number of subordinate concepts of each superordinate concept, score of characteristics and density.

      • KCI등재후보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민철,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6 과학영재교육 Vol.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how physical education text-based storytel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effects to them in the area of the mathematic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The subject of the present study consist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n the sixth grade in an elementary school in Hwasung. Pre-exam on their mathematic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was conducted. After a 10-week-program post-exam was conducted. Paired t-text and Wilcoxon- nonparametric test with SPS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education text-based storytel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were developed mathematical attitude meaningfully in statistics(p⟨.05). Among sub-domains of this area, interest on mathematic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is program. Second, physical education text-based storytel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mproved mathematical learning flow meaningfully in significantly improved(p⟨.05). Among sub-domains of this area, concentration on task and interests and enthusias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is program. Third, physical education text-based storytel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improved mathematic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significantly for male students. But they were developed after this program for female. In conclusion, physical education text-based storytelling program for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mathematical attitude and learning flow.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수학 관련 정의 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화성시 소재 지역 공동 초등학교 영재학급 6학년 학생 15명이 참여하였다. 10차시의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체육 텍스트 기반 수학영재 프로그램이 초등영재 학생의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수학교과에 대한 흥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스토리텔링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초등영재의 수학 학습몰입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제집중과 흥미와 열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체육 텍스트에 기반한 수학 스토리텔링 영재 프로그램이 수학 관련 정의적 특성 및 수학 학습몰입을 유의미하게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 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생 운동체력 향상도 분석

        김동화(Kim, Dong-Hwa),이수근(Lee, Soo-Ke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남녀 초등학생의 기초체력 향상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C대학교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27주간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학교 2~6학년, 50명(남 : 30명, 여 : 20)을 대상으로, 스포츠영재 발굴시스템 KOSTASS(2007)의 측정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으며, 체격 및 체력을 측정하여 독립변인간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이원분산분석, 상호작용이 나타난 변인에 대한 독립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남녀학생 들의 프로그램 적용 전 · 후의 차이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첫째, 남녀학생의 운동체력 이원변량분석결과 성별에서 상지근지구력, 하지순발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사전 · 사후에서는 상지근지구력, 상지 순발력, 복근지구력, 하지근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성별과 사전 · 사후에서는 상지근지구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학생의 운동체력 차이 검증결과 남학생은 상지근지구력, 상지 순발력, 복근지구력, 하지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여학생은 상지근지구력, 상지 순발력, 복근지구력, 유연성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남녀학생의 프로그램 적용 전 · 후의 차이 검증결과 상지근지구력은 적용 후, 하지순발력은 적용 전, 심폐지구력은 적용 후, 유연성은 적용 전 · 후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체육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남녀학생 모두 운동체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신체활동 및 전공실기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체육영재 운동체력의 향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Purpose: Analyze enhancement in athletic fitness of male/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ports talented gifted youth education program. Methods: Korea Sports Talent Assessment System was used to measure physique and athletic fitness of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2-6 (male: 30, female: 30) who participated in 27 week 2014 Gifted Youth Athletes Program of C University. two-way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s among in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performed on variables that exhibited an interaction. Also,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conduct a before/after test on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students. Results: First, Two-way ANOVA on athletic fitness on the students showed that: for gender, a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upper limb muscle endurance, lower limb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nd flexibility; for before/after effect, a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upper limb muscle endurance, upper limb flexibility, abdominal endurance, lower limb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flexibility; for gender and before/after effect, a significant change were found in upper limb muscle endurance. Second,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athletic fitness of male and female student showed that a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upper limb muscle endurance, upper limb flexibility, abdominal endurance, lower limb muscle enduran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and flexibility for male students; and upper limb muscle endurance, upper limb flexibility, abdominal endurance, and flexibility for female students. Third, an analysis of before/after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udents showed that a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upper limb muscle endurance after the program; lower limb flexibility, after the program;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fter the program; and flexibility, bo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gifted youth education program enhanced athletic fitness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It implies that various athletic activities and sports major education programs can help enhance athletic fit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hletic gift.

      • KCI등재

        체육영재 아동의 대근운동기술 수준과 발달적 변화

        김선진,송영훈,이종화,김민주 한국초등체육학회 2014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체육영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의 대근운동기술의 발달과 변화를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44명의 초등학생은 Korea Sport Talent System을 통하여 선정된 체육영재들로 8개월간의 훈련기간 동안 수영, 육상, 체조 등의 전문실기 외에 대근운동기술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기초운동발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훈련기간 전후로 대근운동기술의 수준을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2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 중 부상이나 기타 개인적인 이유로 평가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평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은 아동 27명은 본 연구결과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 17명의 결과가 본 연구에서 분석되었다. 8개월간의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대근운동기술의 발달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운동발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아동의 대근운동기술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물체조작기술의 발달에 의해 나타났다. 둘째, 물체조작기술 중 던지기, 튀기기, 굴리기 기술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체육영재로 선발된 아동은 달리기, 점핑, 슬라이딩과 같은 이동운동기술이 충분히 발달한 것에 비하여 물체조작과 관련한 대근운동기술이 상대적으로 발달이 덜 되었다는 특징을 반영하며, 기초운동발달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부족한 대근운동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체육영재로 선발된 우수한 아동일 경우라도 복잡한 사지간의 협응을 요구하는 기초기술에 대한 충분한 연습과 훈련이 필요하며, 기초운동발달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러한 기술의 협응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