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성교육세미나 수업 과정을 통한 경력교사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변화 탐구

        오한나,이영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교육세미나 대학원 수업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경력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드러난 의미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H대학 대학원에서 2016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된 창의성교육세미나를 수강하였던 경력교사인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수업 중 이루어진 토론 및 토론보고서의 내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성교육세미나 수업 과정을 통해 경력교사들은 창의성에 대한 개념, 창의성에 대한 실천, 창의성에 대한 신념 부분에서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연구 초기, 중기, 후기에 따라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 변화에는 창의성교육세미나 수업 속에서 경험한 다양한 도전과 적용의 과정이 의미 있는 작용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창의성교육세미나 수업을 통해 경력교사들은 협력 공동체로서의 경험을 하고 창의성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유아 창의성 교육 실천을 위한 현장의 방해요소 사례들을 공유하며 창의성 교육 현장 적용의 노력을 다짐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창의성 교사교육의 시사점과 방향성 제시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erceptions of creativity and its process change for experienced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2 graduate student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 and were enrolled in a creativity education semina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graduate seminar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6. An online discussion script and discussion report papers were the main data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perceptions changed in terms of concept, practice, and belief about creativity as a result of the seminar course. The teachers’ experiences of various challenges and applications in the creativity education seminar affected their perceptions of creativity as they became more familiar with this difficult concept. They became confident to apply creativity in their practice through the seminar. The reflective thinking process about their previous practices influenced these teachers, and they pledged to make greater efforts to apply creative education in the early years settings. Participants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ey provided various ideas about creativity education. Also, cooperative support groups in the graduate course provided positive effects to the experienced teachers. The study provided an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nd further direction about creativity education.

      • KCI등재

        창의성에 대한 이해 지평의 확대와 국어교육적 재조명

        최홍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This study aims at probing the meaning scope about creativity and through the process I want to shed new light on creativit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giving rise to new understanding, based on the reflection that inquiry on creativity was not enough so fa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I raised the uncertainty of creativity and mysterious approaches, the origin of the uniqueness and the relevance with tradition as the misunderstanding and issues about creativity. This is a new approach about creativity and a base to lead to three dimensions including spacial, time and educational horizons. I expanded the scope of understanding about creativity through the enlargement of spacial horizons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of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expansion of time horizons depending on the tradition of the past and the extension of educational horizons concerning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Also, I added two elements of the essence of it: looking at deeply and differently. The proposal is based on the interpretation that creativity can carry out a role as mediation to relate with oneself as penetrating the essence of problems. Moreover, I clarified the needs to set up hierarchical differentiations in accord with individual experiences through educational horizons. Such discussion can be the found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reativity in Korean educ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lead to the effect of feedback about all over creativity as general education. By pioneering a new horizon, I hope that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various studies in relation with creativity. 이 연구는 창의성에 대한 일련의 교육적 수행과 실천의 담론에 앞서, 창의성에 대한 천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반성에 따라 창의성의 의미역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국어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재조명하고 새로운 이해를 가져오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의 연구가 국어교육적 차별성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국어교육적 특질만을 앞세운 나머지, 창의성 그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창의성에 대한 오해와 쟁점으로 창의성의 불명확성과 그에 따른 개인 차원의 신비적 접근, 독창성의 기원과 전통과의 연관성 문제를 제기하여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는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공간적, 시간적, 교육적 지평의 확대라는 세 차원을 이끌어내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사회 문화적 환경의 관여에 따른 공간적 지평의 확대, 과거 전통의 관여에 따른 시간적 지평의 확대, 위계 및 수준 설계에 따른 교육적 지평의 확대를 통해 창의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 이를 통해 창의성은 문제의 본질을 깊이 헤아려 꿰뚫어보면서 자기와 관련짓는 중재로서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깊이보기와 달리보기를 그 본질로 추가할 것을 제안하게 되었다. 나아가 교육적 지평을 통해 개인 차원의 경험과 위계에 부합하는 단계 설정의 필요성도 밝혔다. 이러한 논의는 국어적 창의성의 개념 정립의 단초를 마련하면서, 동시에 교육 일반으로서 창의성 전반에 대한 송환의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창의성에 대한 국어교육적 모색이 새로운 지평 개척을 통해 창의성을 과제로 하는 여러 학문에 기여하게 되길 희망하는 것이다.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을 위한 시 · 도 교육청 정책 지원 방향 탐색

        최석민(Choi Seok 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창의성 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개인과 기업, 나아가 국가 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창의성은 현재 우리가 속한 지식 사회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핵심 능력과 태도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창의성 교육 은 국가수준에서건, 시 · 도 교육청 수준에서건 학교 지원의 핵심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 · 도 교육청의 창의성 교육 정책들이 창의성과 관련된 특정한 준거에 서 학교의 준비 및 실천 정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정책적 지원을 실천하려고 한다 는 점에서 정책의 방향 설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접근은 이론상의 완전함 에 준거를 두고 현재의 도달 수준을 평가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그 대답에 충분함을 논 리적으로 가정하기 힘들며, 그 근본 가정에서 교육의 많은 메타원리 중 하나로서 창의 성을 보지 못하게 만든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은 학교 현장의 실제 (reality)의 관점에 근거한 연구를 통해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초 · 중학교 교사와의 다양한 면담을 통해 이를 드러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현재 창의성의 교육적 중요성에 대해 현장 교원들은 충분히 공감하고 있으 나 창의성 교육과 학력 중시 풍토, 창의성 교육과 진도 나가기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창의성을 중심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학교의 평가가 개편 되지 않으면 그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일상적 교육활동과 창의성의 교육 이 분리되거나 교과 수업 목표와 창의성 교육 목표가 통합되지 않을 경우, 실적 중심 교육 정책이 지속될 경우, 학교 현장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면담 자료에 기초하여 시 · 도 교육청에서 창의성 교육을 정책적으 로 지원하는 방향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핵심에는 학교를 중심 에 둔 창의성 교육 정책의 추진 만이 현장 착근력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자 한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education has taken as a matter of course. To raise one s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market, the creativit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elements of human agency. So Korean government and many offices of education have developed many kinds of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ut the main approach of supporting policy is as follows.; after analyzing or appraising the readiness of school creativity education in a particular way, then it tries to support the insufficiency. If school were seen in this way, then it should be only fair that school were always in the states of lack. For me, this approach needs something supplementary one. So I talked over the problems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school reality with teachers; an email questionnaire, group meeting, face to face talk with the school visit, and the conclusions are 1) teachers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education, 2) but added on approach put teachers in an awkward situation. 3)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school exam, and Korean SAT towards creativity education are strongly needed. Finally, I proposed some suggestions for the supporting policy for school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those interview. The gist of my argument is that the best one for it is to assist making school members to improve power of autonomous intellectual inquiry.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의 관점과 접근 방안

        손지현(Jihyun So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2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 문헌 분석과 미술교육에서 다뤄진 창의성 연구를 기초로 창의성 연구의 개념, 내용,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창의성 연구의 범주를 토대로 미술교육의 창의성 연구를 사고력으로서, 과정으로서, 산물로서, 통합적 접근의 4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미술교육에서 창의성 연구의 관점을 바탕으로 미술적 창의성과 관련된 사고력을 설명하고 미술 활동 과정에서의 창의적 자아표현, 미술적 성장, 작가를 모델로 한 창의적 사고 모델 등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창의적 산물인 학생 작품에서 창의성의 질적 특성을 분류한 아이스너의 창의성 유형학(typology)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시각문화와 창의경제의 중요성이 요구되는 현대에 창의성을 개인적, 선천적 특성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재개념화가 필요함을 들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approach to creativity in art education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concepts related to creativity and art education that can be developed to cultivate students’ creativity.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notions about creativity in art education due to the reformat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definitions of creativity due to the changes of field of art education to integrate concepts of visual culture and global creative economies. It is advocated that research and practice in art education can develop cognitive, productional aspects through artistic process. Topics discussed in this article, related to reconsidering creativity in Postmodern times include history of creativity research, creative thinking, artistic creativity, creativity typology, and education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creativity in sociocultural context.

      •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광고 창의성과 창의적 광고

        남승규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05 社會科學論文集 Vol.23 No.2

        이 연구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광고 창의성과 창의적 광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창의성의 주요 측면들은 독창성과 유용성인 반면에, 광고 창의성과 창의적 광고의 주요 측면들은 독창성, 유용성, 완성도 및 임팩트를 포함한다.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창의성의 개념과 요인구조를 새롭게 규명할 필요에 따라서 먼저 창의성의 여러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 창의성을 광고에 접목하여 광고주나 광고인이 아니라 광고에 영향을 받는 소비자들이 보는 광고 창의성과창의적 광고를 살펴보면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최미정(Mi-jeong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어떻게 개발할 것인가? 둘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창의성의 개념, 창의성 교육의 방법,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을 탐색하여 교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60 시간으로 구성되며 일반 영역과 구체적 영역으로 구분되어 각각 창의성 교육의 기초, 교육과정 운영과 창의성, 수업과 창의성, 창의성 평가의 이해와 실제로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 수행을 위해 교사 4명과 이들이 담임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1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 교사 2 명에게는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고 두 집단 학생들의 창의성 향상정도를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가 가르치는 실험집단 학생들과 통제집단 학생들의 창의성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P. <.0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 were based on concepts of creativity, creativity education method, and teacher s role for creativity education. The Program contents were composed of found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 curriculum management & creativity , teaching & creativity , and theory & practice of creativity evaluation . To verify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163 4th grade students and 4 teachers were se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yonggi-do.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participat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figure test of TTCT A and TTCT B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e tests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SPSS for Windows(11.0). The pretest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the conduct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ity education, the post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P< .01)

      •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은주,고영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2개소의 만 4세 유아 총 38명(실험집단 22명, 비교집단 16명)이다. 실험집단은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활동을, 통제집단은 만4세 연간교육과정에 근거한 활동을 10주간 총 25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후에 실험 및 비교집단 유아들에게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 전경원, 2001)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창의성 전체 및 하위요인(척도별 창의성, 영역별 창의성)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어린이집 만4세 연간교육계획에 의한 교육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창의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2.63, p<.01). 둘째, 디자인사고 과정을 적용한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척도별 창의성인 유창성(F=21.14, p<.001), 융통성(F=13.19, p<.01), 독창성(F=11.09, p<.01), 상상력(F=27.94, p<.001)과 영역별 창의성인 언어창의성(F=9.91, p<.01), 도형창의성(F=5.91, p<.05), 신체창의성(F=15.94, p<.001)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 창의성 향상을 위해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창의성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있어 연구의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교과별 창의성 교육 연구의 특성 비교 : 과학, 수학,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김지숙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 수학,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창의성 교육 연구의 교과별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실과의 창의성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창의성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교과 명칭’과 ‘창의성’을 조합한 주제어를 활용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 내용에 따라 분류한 후 종합하는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과의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성을 교과의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바탕으로 하며, 교과 관련 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나 활동으로 명시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지침의 구체성과 다양성은 교과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학과 수학교육 연구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정의는 교과 고유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나, 실과교육 연구에서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학과 수학교육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실제 연구에 적용된 요소는 주로 인지적 요소에 국한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학교육 연구에 비하여 과학과 실과교육에서는 창의성 연구의 내용이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reative education studies in three elementary subjects such as science, math and practical arts and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reative study in practical arts education. For these purpo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Bpia, KISS and eArticle and analyzed using MS Excel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term ‘creativity’ in three subjects’ curriculum was based on a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in subject areas and related to problem solving process or activity.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ree subjects in their diversity and concreteness of curriculum guidelines to foster creativity. Third, the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science and math subjects reflected their subject’s characteristics well compared to that in practical arts. Fourth, even though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were presented diversly in science and math related studies, only some of those were applied in research. Fifth, creative education studies in math were conducted in diverse research areas compared to those of science and practical arts.

      • KCI등재

        창의성 측정방법에 대한 비교 : 홀리스틱 교육에서 본 창의성 능력검사와 자기보고식 검사 간의 차이 분석

        박춘성,김진희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에서 강조하는 패러다임의 전환과 관련하여 창의성 측정방법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창의성의 측정을 자기보고식 창의성 측정 혹은 능력검사 측정을 통해 창의성이 평가되는 데, 각각의 자기보고식 창의성 측정과 창의적 능력검사와의 방법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데이터는 한국청소년개발연구원의 2010의 데이터로 총 731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핵심역량을 측정하는 문항에서 창의적 요소를 추출하였다. 핵심역량의 구성요소는 개방성, 탐구성, 객관성, 체계성, 비판적 사고(해석, 추론, 평가, 분석, 설명) 등이 있으며 이 중 개방성, 탐구성은 자기보고식 창의성 측정 검사로 측정하였고, 비판적 사고는 능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즉 자기보고식 창의성 측정 검사요소와 능력검사의 요소로 측정하였고, 이 연구에서는 이중 창의적 요소와 관련된 개방성, 탐구성, 비판적 사고를 추출하여 창의성 측정결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자기보고식 창의성 측정 문항인 개방성, 탐구성과 능력검사인 비판적 사고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창의성의 자기보고식 검사와 능력검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 보여주며 평가도구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e starting point for all psychometric measures of creativity was the divergent thinking tests developed by Guilford. As to time passed, multiple variable were identified for creative measure. This article explores a number of key issues with regard to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As to the several approaches to measure types of creativity, either self-rating of creativity or ability of creativity. This research concentrate measurement isuues that are same or differ for creativity measurements metho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of creativity. One critical issue examined in this study is whether self-reports, ability test of creativity are similar or differ. For this study used data from a total of 7313 people(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We used the survey of a core competency levels, collected in 2010,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But originally, only to measure core competencies in the original data, we extracted the creative elements. In this study, the openness and critical thinking related to the creative elements of the sub-elements of the core competencies of creativity was used as the measurement result.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s of correlation or t-test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differents methods are differents results for creativity measurements. Seconds All measuremnts methods are related to creativity.

      • 창의성으로 검토한 『대학(大學)』의 삼강령과 팔조목

        신창호(Chang-Ho Shin) 창조교육학회 2012 창조교육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유교의 핵심 경전이자 전통 성인교육의 체계를 갖추고 있는 『대학』을 창의성의 개념으로 고찰한 것이다. 창의성은 인류의 생존과 발전의 근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새롭게 다가오는 시대를 대처하는 일종의 생존 방식이다. 본고는 그런 창의성의 문제를 유교의 전통에서 찾아보려는 시도이다. 특히, 『대학』의 삼강령(三綱領) 팔조목(八條目)을 창의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삼강령과 팔조목은 어떤 양상으로 창의성을 구유하고 있고 발현해 나가느냐의 문제를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는 자아실현 작업과 연관시켜 고찰하였다. 서구적 의미의 창의성에는 개인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이 존재한다. 이런 점에서 유교의 대원칙인 수기치인(修己治人)은 창의성의 이론적 구조와 상당히 닮아 있다. 수기는 개인적 특성으로서의 창의성을 담고 있고 치인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논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의 삼강령인 명명덕(明明德)은 개인적 특성으로서 창의성을 내포하고, 신민(新民)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창의성을 포함하며, 지어지선(止於至善)은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맥락의 창의성을 결합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팔조목은 창의성의 발현 단계로 논의할 수 있다. 격물(格物)ㆍ치지(致知)ㆍ성의(誠意)ㆍ정심(正心)은 개인적 특성의 창의성을 발현하는 과정에 해당하고, 수신(修身)ㆍ제가(齊家)ㆍ치국(治國)ㆍ평천하(平天下)는 사회적 맥락의 창의성이 발현되는 단계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조목의 단계별 특성상, 그것은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 맥락의 창의성이 유기체적으로 발현하는 공부의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Great Learning as the concept of creativity which is the core classical canon and taking the system of traditional adult education. Creativity could be the foundation of prosperity and survival of humankind. It is the way of survival coping with new approaching era.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out the creativity issues in Confucian tradition. Especially, I researched Three Doctrines and Eight Articles of The Gerat Learning as the viewpoint of creativity. It was reviewed how aspect Three Doctrines and Eight Articles is possessing and revealing creativity, relating to self-realization finding the way of new life. Personal nature and social context exist in creativity of western meaning. In this point, Sugichiin(修己治人, the cultivating of the self and governing others) which is the great principle of Confucianism looks like the theoretical system of creativity considerably. Sugi includes creativity as personal nature and Chiin could be discussed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erefore, it could be understood that Myungmyungdeuk(明明德, revealing virtue clearly) as Three Doctrines in The Great Learning includes creativity as personal nature, Sinmin(新民, renewing people) involves creativity a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Jieojiseon(止於至善, staying goodness) combines personal nature and social context. In addition, Eight Articles could be said as reveling level of creativity. Gyeokmul(格物, understanding things), Chiji(致知, govering knowledge), Seongui(誠意, making up one's will), and jeongsim(正心, correcing mind) are the process of manifesting creativity of personal nature, and Sushin(修身, cultivating self), Jega(齊家, ordering family relationship), Chiguk(治國, ordering the states), and Pyeongcheonha(平天下, bringing peace to the whole world) are the level of revealing creativity of social context. Nevertheless, due to level characteristic of Eight Articles, I consider it the study process of revealing creativity with personal nature and soci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