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암묵적 지식

        김경은(Kim, KyoungEun),정수정(Jeong, Su Jeong),윤정진(Youn, Jeong-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의 목적은 암묵적 지식을 통해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인성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인, 창의인성교육을 살펴보았고, 2018년 4월 12일부터 6월 20일까지 부 산 및 경남 소재 3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암묵적 지식을 통해 대학생들의 창의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대학생들은 창의인성 을 창의성과 인성의 결합으로 보고, 창의인성의 구성개념에는 관계유능성, 문제해결 을 위한 실천적 태도, 창의적 사고 등이 포함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창의인성교육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통적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개방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 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인식하는 창의인성에 대한 개념 및 구성요소와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생들을 위한 창의인성교육의 접근 방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personality of college students and the understanding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From April 12 to June 20, 2018, 382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concerning the implicit knowledge of creative person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viewed creativity as a integ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he construct of creativity included ‘Relational competence’, ‘Practical attitude to solve problems’, and ‘Creative thinking’. Second, college students were highly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suggested that it was important to provide an open educational environment away from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for fostering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This study thereby would be helpful to make an approach to creative personality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초등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개발

        이윤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2009개정교육과정의 핵심인 창의·인성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개발연구이며, 개발단계는 요구분석, 프로그램개발, 타당도검증을 거쳐, 교사연수 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요구분석에서 교사들은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 시행의 어려운 점으로 초등의생활 교육 자료와 창의·인성 교육 자료의 부족을 꼽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자료 개발과 교사연수실시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교사연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 교육내용개발과 수업기법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와 수업과정안, 참고자료를 필요로 하였다. 교육전문가들도 의생활교과목의 특성을 살린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 교사연수의 교육목표는 '교사들의 의생활을 활용한 창의·인성 수업능력의 향상'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교사들은 창의·인성이론에 대한 지식 획득, 초등 의생활교육에 대한 이해, 의생활영역에서 함양시킬 수 있는 창의·인성 요소파악, 2011개정교육과정 내에서 의생활영역 창의·인성교육 내용 개발, 수업방법과 수업기법의 개발, 수업장학을 통한 수업의 피드백제공과 학습자의 창의·인성 결과물 평가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셋째,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 교사연수의 교육내용 및 조직은 일반영역과 의생활영역으로 나누어 구성하였고, 일반영역에서는 '창의·인성교육의 이해'를, 의생활 영역에는 '의생활교육과 창의·인성 교육', '의생활 영역별 창의·인성 교육의 실제', '창의·인성 평가의 전략'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다.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의 실제'에는 정규교과 과정과 창의적 체험활동에 적용할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함양을 위한 교육내용, 수업모형, 수업기법, 수업장학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연수방법은 강의 및 토의, 비디오 관찰, 연습, 마이크로티칭으로 이루어졌다. 이상 본 연구에서는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 교사연수 교육과정을 의생활영역의 특성에 맞게 개괄적으로 방안을 제시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과정안, 활동지 및 교수․수업자료 등을 포함하는 학습 자료의 개발과 같은 구체적인 학습방안의 제시와 수업장학의 과정을 통하여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teacher development program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contributing to promoting the education centering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survey and development research are the main methods for this research, in particular based upon need analysis, program development, validity examination, for development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of all, the need analysis presents lack of education material on clothing & textile and on creativity & character as challenge for the education, leading to necessity of new materials and teacher development program. In addition, the teacher development program should include both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skills for th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 to education experts, the contents are comprised of handy materials, curriculum, and references, while the skills can be obtained through teacher development progra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and textile discipline. Second, the development project of the research results in such an education objective as 'enhancement of instruction capacity of teachers in creativity and character area through clothing life'. The objective is divided into further specific goals such as acquisition of knowledge on creativity and character, understanding of clothing life in elementary school, identification of factors to promote creativity and character in clothing and textile area, development of a variety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skills, provision of course feedback through scholarship and capacity build-up to self-evaluate creativity and character. Third, educational contents and organization are classified into general area and clothing & textile area, of which the former covers only 'understand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while the latter doe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 clothing life education', 'practi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every area of clothing life', 'Evaluation strategy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he focal course among them is the 'practice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every area of clothing life', which is composed of curriculum contents, instruction model, instruction techniques, instruction scholarship, notwithstanding regular program, to build up creativity and character in clothing & textile education. Teacher development skills include lecture, discussion, video observation, exercise, micro teaching,This research presents an introductory scheme for teacher development program in clothing & textile area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nhancement, leaving further works in the future for continuing progress in development of teachers,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scholarship and in means to examine education effects of those developments.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의 의미와 방향

        이정렬 ( Jeong Ryeol Lee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9 No.1

        창의력 계발과 인성 함양을 위한 전인 교육을 추구하는 것은 교육 그 자체의 내재적 목적이며 학교의 의무이다. 최근 고조되고 있는 창의성에 대한 관심은 단지 경제적 부를 축적하기 위한 도구적 창의성 함양을 넘어 인간 고유의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는 교육의 본질적 목적에 대한 요구일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에서 창의성과 인성이 지속적으로 추구되어 왔다는 것을 확인하고, 2009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제시된 ‘창의ㆍ인성교육 기본 방안’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도덕과교육에서 창의ㆍ인성 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덕과교육에서 창의ㆍ인성 교육은 창의성과 도덕성의 관계에 따라 ‘도덕적 창의성’과 ‘창의적 도덕성’을 함양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도덕적 창의성과 창의적 도덕성은 개념적으로는 구분될 수 있지만, 실제 도덕과교육내용에서는 중첩되어 제시되며, 인지ㆍ정서ㆍ실천적 측면까지 포함하는 통합적 접근을 요구한다. 도덕과에서 ‘창의ㆍ인성 교육’은 도덕성의 본질적 의미를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열린 사고와 도덕적 탐구 등과 같은 창의적 사고를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것이다. 또한, ‘창의ㆍ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개인의 창의성뿐만 아니라 집단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적 접근이 요구된다. It is the internal goal of education itself and the mission of schools to pursue whole person education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cultivating character. There is more and more emphasis on creativity lately,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demand on attaining the basic goal of education to lead students to exhibit their true nature as a human being, not just limited in improving instrumental creativity simply for accumulating wealth. This study has found tha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both creativity and character have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And critically considering ‘The Basic Plan for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suggested with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its ground, the study has presented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appears as what cultivates ‘moral creativity’ and ‘creative morality’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morality. Moral creativity and creative morality can be distinguished conceptually; however, the actual contents of morality education are overlapped, and it requires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an embrace cognitive.affective.practical aspects. ‘Educati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lead students to exhibit their creative thinking such as open-ended thinking and moral exploration to seek for ways to actualize the true meaning of morality. Also, it is needed to consider environmental and socio-cultural factors that can influence creativity and character and apply educational approaches suitable for developing not only an individual`s but a we-creativity, too.

      • KCI등재

        창의ㆍ인성 함양을 위한 학교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태연(Ahn Tae youn),권서경(Kwon Suh ke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4

        최근 공교육을 통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지만 학교 현장에서 영어교과와 연계한 창의ㆍ인성 교육이 어떤 형태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영어교육모델 창의경영학교에서 운영된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해 창의ㆍ인성 중심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을 탐색하여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창의ㆍ인성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교육모델학교는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단위학교 중심의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를 추진하는 창의경영학교 사업의 일부로 창의ㆍ인성 계발을 위한 영어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모델학교에서 운영한 74개의 창의ㆍ인성 영어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총 7가지(영어관련 행사 및 대회, 영어 동아리 활동, 영어 재능나눔 활동, 타교과 연계 영어 프로그램, 창의ㆍ인성 영어 독서 프로그램, 국제 교류 프로그램, 방학 중 영어캠프)로 유형화하고,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급별로 나타난 각 프로그램 유형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창의ㆍ인성 교육 이론에서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요소가 어떻게 프로그램에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영어교과와 접목한 창의ㆍ인성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일반학교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of Korea,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pedagogical components of school education; the incorpor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lassroom teaching is recommende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language classrooms based on the analysi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t schools appointed as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Out of 128 English Education Model Schools, the researchers selected 74 sample case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alyzed and categorized them into seven different types based on their objectives, content, and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how that while the total numbers of English education programs implemented in each school-level were similar, certain types of program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one school-level than the other. By qualitatively analyzing each program, this study attempts to extract commonalities among the programs practiced in schools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further examines the ways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have been integrated into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support English teachers interested in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 through English language teaching.

      • KCI등재

        신체활동 본위의 창의·인성교육을 위한초등 체육과 교육과정 분석 및 지도 방향 탐색

        신기철 한국초등체육학회 2013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9 No.3

        2009년 이후부터 우리나라 학교교육의 또 다른 이름은 창의․인성교육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연구는 학교교육의 기본 방향으로서 제시된 창의․인성교육이 체육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토대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초등체육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창의․인성교육에 대해서 전반적인 검토를 수행하면서 창의․인성의 등장 배경과 양자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고, 그동안 체육교육 분야에서 창의성과 인성에 초점을 두고 수행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서 창의․인성교육의 개념 정립을 시도하거나 비판적 관점을 견지한 선행 연구에 특별히 주목하였다. 이어서 2009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항에 걸쳐서 창의․인성의 통합적 지도가 논리성과 실효성이 있는지를 논의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체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으로서 창의성과 인성의 유기적인 통합, 학습자 중심의 창의성과 인성의 요소 재정립, 교육 내용 편성에 있어 창의․인성 요소의 선택권 강화를 주장하였다.

      • KCI등재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 개발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을 중심으로-

        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and developed the teaching models element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ased on its identity and nature. Above all, I investigated premises and assumption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literary consideration, and then found out eightee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lements. Thus, I proposed Pract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Cre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Model, Inquiry Learning Model, and Role Playing Model(experience study) in ‘Clothing and self-expression’ unit. The study identified that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meets natur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strengthens the basics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uture, I recommend the activation of philosophical debating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various class models of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follow-up study of the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정체성과 본질을 바탕으로 가정교과에서의 창의․인성 교육의 특징과 요소를 탐색하여 도출하고, 가정교과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문헌 고찰을 통해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성과 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을 탐색하고,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를 18개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과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의 전제와 특징, 창의․인성 교육 요소를 발현하기에 적합한 가정과의 창의․인성 수업 모델로서 실천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창의적 문제해결학습 모형, 탐구학습 모형, 역할놀이(체험학습) 모형을 ‘옷차림과 자기 표현’ 단원에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창의․인성 교육이 가정과교육의 본질과 부합되는 개념임을 확인하고, 가정과에서의 창의․인성 수업의 기초를 마련한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가정과에서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철학적 논의의 활성화, 가정과교육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요소에 대한 다양한 검증, 다양한 창의․인성 수업모델 제시, 창의․인성 수업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교육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한자,한자어 교육

        한은수 ( Eun Su H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0 No.-

        이 논문은 2013년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학습자의 창의·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한자·한자어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쓴 것이다. 2013년도부터 시행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성격을 보면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중시하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총론의 교육과정 구성의 방침을 보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모든 교육활동을 통해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와 같이 명기하고 있어 ‘창의’와 ‘인성’이 2009개정 교육과정의중핵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 초등학교의 교육목표를 보면 ‘초등학교의 교육은 학생의 학습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 배양과 기본 생활 습관 형성, 바른 인성의 함양에 중점을 둔다.’라고 되어 있어 그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창의성이란 ‘독창적이고, 가치가 있는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창의적 산출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이나 성향’을 말하는 것으로 하위 요소로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 독창성 등이 있다. 인성이란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인성교육’이란 무엇인가? ‘사람의 성품을 바르게 되도록 가르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개인의 품성 발달을 위해 도덕적 가치나자질을 교육하는 것이다. 인성 교육의 덕목은 그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여 선정되므로 시대나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 성과에 힘입어 인성 교육의 덕목을 존중, 배려, 책임, 신뢰성, 정의(공정성), 시민성 등으로 설정하였다. 창의·인성 교육을 학교 현장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포괄적이고 종합적이며 창의 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으나 이 논문에서는 편의상 인성 교육 요소와 창의성 교육 요소를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먼저 인성 교육과 관련하여 6가지 덕목에 따른 한자·한자어 교육 내용을 예시하고, 그 중 존중과 배려의 덕목신장을 중심으로 한 한자·한자어 교육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책임, 신뢰성, 정의, 시민성 덕목의 신장 방법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창의성 교육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는데 창의적 성취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적 동기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가 한자·한자어 학습을 할 때 재미와 흥미를 갖고 학습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렇게 한자 학습을 할 때 학습 성취도도 높고 창의성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창의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주로 이용하는 교과서의 구성 내용이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텍스트가 중요한데 본고에서는 창의성 구성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을 기르기 위한 한자·한자어 학습의 용례를 제시하고, 실제적으로 교과서에 구현된 내용 검토를 통하여 창의성 신장 방법을 탐색하여 보았다. 창의·인성 교육이 현재의 교육적 화두이기는 하나 그 구체적 실현 방법은 학교현장에서 교육 전문가들이 탐색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창의·인성 교육이 학교 현장에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발달 수준에 맞는 교육 방안을 설정하여야 하며, 단기적으로 효과를 보려는 조급증과 강박관념에서 벗어나 거시적인 안목을 가지고 관련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해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the rais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education curriculum in an elementary school from 2013 by means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words education method. As for the 2009 Revised Education Process Curriculum which is implemented from 2013 clearly remarks the student focused education process stressing autonomous and creativity of learners”. As for the curriculum structure policy in the introduction, it indicates that “the curriculum is made to raise creative personnel who practice consideration and sharing,’ and ‘every education activity is constructed to practice personality education, which clearly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in the educational o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it also remarks that ‘th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tresses basic ability improvement for learning and ordinary life, forming basic life habit and forming right personality.” Creativity means an ability or tendency to make independent and valuable thinking and to produce creative outputs which includes fluency, flexibility, accuracy and uniqueness as sub-factors. Personality is ‘thinking, attitude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What is ‘personality education?’ It is to teach ‘people to have right character.’ In other words, it is to educate moral value and quality to develop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 The virtue of personal education is selected by reflecting the social reality. Thus, it varies by time and country. This study numerates the virtues of personality education as respect,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reliability, justice (fairness), and citizenship. To embody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school fiel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both characters comprehensively and integrally. But, in this study, the two was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discussion. First of all, as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words education details by 6 virtues were exampled among which the education method was reviewed focusing on respect and consideration. Creativity education was reviewed in the next. To achieve creativity, it is essential to have internal motivation. For this purpose, it is important to have interest and fun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words, which would be effective for high learning achievement and creativity. And, the textbook text is important for creativity. The examples of Chinese character and Sino-Korean words to raise fluency, flexibility, uniqueness and accuracy were explored. It was followed by the practical review of the embodied contents in the textbook to raise creativity. Whil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s the main issue of current education, its specific realization method may vary and is developed by educational specialists in the school field. To take a deep root for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ield, it is essential to set educational goal for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related specialists to keep studying on the topic with macroscopic viewpoint and without being impatient for short-term effects.

      • KCI등재

        중등교육에서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한문교육

        강민구 ( Min Gu K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3 한문교육논집 Vol.40 No.-

        1. 창의·인성의 활성화를 위한 한자 교수·학습 방안본고에서는 ‘門’자를 수단으로 삼아 ‘한문’과 교육과정의 ‘문화’와 ‘한문지식’ 영역을 통합하는 동시에 ‘한문’과 고유의 영역을 뛰어넘는 창의·인성 교수, 학습 방안의 일례를 제시하였다. ‘학습 주제’로 ‘門의 쓰임, 형상, 이웃에 대한 관심, 출입 예절 알기’로 설정한다. ‘한문’의 학습목표는 ‘門의 음과 뜻, 쓰임 알기’로, ‘창의’의 학습목표는 ‘門의 형상 알기’로, ‘인성’의 학습목표는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 출입예절, 양보와 배려 알기’로 설정하였다. 1) 갑골문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갑골문과 현재의 자형을 연결하게 하는 교수법은 다양한 사물이나 현상들의 관련성을 찾도록 하여 융통성과 유창성이 활성화된다. 갑골문을 형상적, 시각적, 실용적으로 활용하는 교수 방안은 사실적 표현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에게도 자신감과 성취감을 줄 수 있기에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 유의미하다. 2) 사진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한자는 형상성이 강하기 때문에 한자가 본뜬 구체적 사물을 촬영하는 것은 한자학습의 효과적 방법이다. 동일한 피사체라도 자신만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작업은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 그 과정을 통하여 정체성이나 신념, 가치관을 능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3) 그림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illustration은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고, 이야기를 만들면서 논리력·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한자를 소재로 한 illustration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고정적 사고와 관점을 전환할 수 있다. 또 기존과 다른 수단으로 표현하며 아이디어를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가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융통성·창의성·정교성이 신장된다. 4) 광고를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광고는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하기 때문에 창의 교육의 방안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그러나 광고는 기본적으로 상업성이 강하기 때문에 가급적 상업광고는 배제하고 공익광고를 활용하는 것이 좋다. 공익광고의 속성은 인성교육의 요소와 상당 정도 중복되기 때문에 한자를 공익광고 제작에 활용하는 것은 인성 교육에 적절한 방안이 될 것이다. 2. 창의·인성의 활성화를 위한 한문 교수·학습 방안 1) 역할극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본고에서는 ‘孝’와 관련된 한문 문장으로 창의·인성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습 주제’는 ‘孝에 관한 문장을 읽고 孝의 의미와 가치를 이해한다.’로 설정한다. ‘한문’의 학습목표는 ‘孝에 관한 문장을 바르게 독해한다.’로, ‘창의’의 학습목표는 ‘孝의 개인별 의미와 현재적 가치 알기’로, ‘인성’의 학습목표는 ‘孝의 참된 의미와 가치 알기’로 설정한다. _논어_의 효 관련 문장을 토대로 삼아 자신의 처지와 상황에 맞게 ‘효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연극을 만들게 한다. 역할극을 통하여 학생들이 ‘孝’와 결부된 고정적 사고방식으로부터 탈피함으로써 융통성을 함양할 수 있다. 개인의 상황에 맞도록 효를 정의한 _논어_의 문장에 대한 학습은 융통성과 독창성을 길러주기에 매우 좋은 재료다. 또 역할극을 준비하면서 다듬어지지 않은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정교성을 기를 수 있다. 2) 토론을 활용한 창의·인성 교육 방안토론을 수단으로 삼아 창의성과 인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論語』의 “廐焚子退朝曰傷人乎不問馬”와 같은 문장이 효과적이다. ‘학습 주제’는 ‘重人輕財에 관한 문장을 다양한 시각으로 읽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이해한다.’로 설정한다. ‘한문’의 학습목표는‘重人輕財에 관한 문장을 바르게 독해한다.’로, ‘창의’의 학습목표는 ‘한문 문장의 다양한 해석 알기’로, ‘인성’의 학습목표는 ‘인간 존중, 생명 존중 알기’로 설정한다. “子曰民可使由之不可使知之”와 같은 문장도 다양한 구두와 해석이 가능한 문장이다. 이 문장은 ‘학습 주제’를 ‘공자의 정치에 대한 의식이 나타난 문장을 읽고 그 의미와 가치를 이해한다.’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한문’의 학습목표를 ‘공자의 정치에 대한 의식이 나타난 문장을 바르게 독해한다.’로, ‘창의’의 학습목표를 ‘한문 문장의 다양한 해석 알기’로, ‘인성’의 학습목표를 정치의 의미와 가치’로 설정한다. 이 문장은 상이한 구두와 해석에 따라 역사주의적 관점과 민주주의적 관점에 입각하여 입론하고 논증할 수 있다. 또 최종적으로는 어법과 전반적 맥락에 의하여 가장 정확한 구두와 해석을 취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창의성과 인성이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다. 1. The method of Chinese character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1)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oracle bone script teaching methods which connecting oracle bone script and the present shape of characters makes it to find the relevance of things and phenomena, it makes to acquire fluency and flexibility. Teaching methods that it makes oracle bone script to utilize figurative, visual and practical use gives students who have the burden of a realistic description to gain confidence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2)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photo Because Chinese characters have special formativeness, taking pictures which a concrete example of Chinese characters are very effective as a teaching method. It is a same subject for photo, the work which making its own images will encourage student creativity, and develop student identity, belief, and values. 3)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picture Illustration is a good method which making students to develop their creativity and imagination, and improve their logicality and ability to think. Producing illustration utilizing Chinese characters in Hanmun studies, they can overcome an inflexible thinking and standpoint, and develop flexibility and creativity. 4)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advertisement Creativity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dvertisement, it is a suitable for creativity education. Basically advertisement has a commercial potential, excludes commercial as far as possible, and utilizes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 Creativity education. 2. The method of Hanmun(漢文)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Revitaliz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1)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role play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CCE with the writing of hyo[孝]. The subject of study defines as ``rea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writing of Hyo``. Learning goal of Hanmun. Learning goal sets up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writing of Hyo. Learning goal of Creativity Education defines as personal meaning and contemporary value, and Learning goal of Character Education seta up the real meaning and value of Hyo. On the basis of the writing of Hyo in _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_, they role play with the topic of Hyo. Through role-play, students develop flexibility and exquisiteness. 2)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CCE) teaching methods using discussion For the Revitalizatio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using discussion, it is effective Hyo sentence like “廐焚子退朝曰傷人乎不問馬” in _The Analects of Confucius_. The subject of study defines ``reading the sentence of Jung-in-Geong-jae[重人輕財] through different eyes and understanding its meaning and value``. Learning goal in Hanmun defines as ``reading comprehension of the Jung-in-Geong-jae] sentence``, learning goal in Creativity Education defines as ``diverse interpretation of Hanmun sentence``, and learning goal in Character Education defines as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Lastly, it makes students to understand of correct punctua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se work, build up the creativity and upright character of students.

      • KCI등재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혜정,윤회정,우애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미래 사회의 핵심 키워드로 제시한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창의⋅인성 교육 방법, 평가 방법 및 발전 방향에 대한 의 견을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 현재 전국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 138명을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들의 78.3%가 창의⋅인성 교육의 중요성은 인정하였으나 그 취지를 정확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25.4%로 매우 낮았 으며 현장 적용 실태에 대해서도 48.6%의 교사들이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둘째, 과학 교사들 은 교과 과정으로 명확히 제시되는 창의⋅인성 교육을 선호했는데, 창의⋅인성 교육 방법으로 협동 학습을 강조한 조별 활동(57.2%), 창의⋅인성 교육 내용으로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과학관련 문제 해결(52.2%),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창의적 체험 활동(54.3%)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창의⋅인성 교육 방법이 제시된다면 55.8%의 교사들이 이를 활용할 의사가 있다는 의견 을 나타냈지만, 창의⋅인성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창의성 지도 및 교 사의 역할 모델 제공,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과 업무 축소가 필요하다고 응답했 다. 셋째, 과학 교사들의 41.3%가 수행평가 항목에 정의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창의⋅인성 교육 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31.2%의 교사가 창의⋅인성 교육 평가가 제대로 이 루어지기 위해서 교사의 자율성 존중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넷째, 창의⋅인성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충분히 교과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여건이 조성되어야 하며, 교사 연수 확대와 지원체제 마련, 학급당 학생 수 및 교사 일인당 수업시수의 감축, 창의⋅인 성 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및 학생의 마인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창의·인성 수학교육 프로그램과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인식 변화

        배성철,황우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인성 수학교육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학습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M중학교 학생 63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초부터 2014년 7월 중순까지 14주간 연구를 수행하였고, 혼합 연구방법으로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창의·인성 수학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 스토리텔링, 교구활동, 문제 만들기 활동을 고려하였고, 인성 교육을 위해서는 수업과정 측면에서 협동학습, 토론 및 발표, 다양한 평가를 고려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살펴보면, 수학적 창의성, 인성에 대한 사전·사후 질문지 40문항을 대응 표본 t-테스트를 통해서 양적 분석을 하였으며, 스토리텔링, 교구활동, 문제 만들기 활동과 관련된 학생들의 활동지 자료와 동료 평가 자료와 수업 후 느낀점 등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생들은 스토리텔링, 교구활동,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서 수학적 창의성 요소와 관련된 흥미와 호기심, 유용성 인식, 독창성, 유추에 유의미한 인식 변화를 보였고, 협동학습, 토론 및 발표, 협동학습을 통해서 인성 요소와 관련된 수업 참여, 협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다양한 창의·인성 교수학습 방법은 학교 현장에서 창의·인성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제공했다고 할수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ity-personality enriche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and apply the program to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tudents’ awarenes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was implemented for 14 weeks from April, 2014 to July, 2014, on 63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mix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 The creativity-personality enriched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includes story telling, manipulatives activities and problem posing activities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For the enrichment of personality, cooperative learning, discussion and presentation,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were implemented. For data collections and analyses, a 40-item questionnaire regarding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ersonality were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the data were analysed quantitatively. In addition, a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students’ class activity sheets for storytelling, manipulatives, and problem posing, as well as peer evaluations and students’ comments on the lesson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revealed significant changes in awareness of interests, curiosity, utility, uniqueness and inference, which were related to creativity, through story telling, manipulatives activities, and problem posing.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as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hich were related to personality. The various methods related to creativity- personality enriched education which were employed in the study provide an insight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reativity personality mathematic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