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긴 인문정신 -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narration is developed in creation myths of Korea and North America Indian, what the meanings, the principles and human ethos are embodied in them.It is a point of sameness that the narrations are added to show informations-also they include how to preserve the whole creations-of the Creation in two nation’s creation myths. This shows that the creation gods created not only all things, but also fundamental principles. And the narration movements underlie as the following principles; the creation, the settlement, the discovery by creation gods. Also these tell that the creation is objected by the settlement action, and these two things are again objected by the discovery action. On that point, I think that two nation’s creation myths are telling not in consecutive order but dynamic. All creation myths show to us human ethos. As in generally known, all creation myths are invented by human’s own, and reflected human’s thought. Therefore, I try to analyze human ethos in the three principles. As the result, I presented two points; (1) the three principles are explaining of unequal relativities in the whole creations. (2) human’s greatness and ignorance about the whole creations are coexisting in the three principles. 본 논문은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창세신화의 기본적 서사 전개 방향과 그 의미, 그리고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창세원리와 거기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고찰한 것이다.한국이나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가 보여주는 기본적인 서사 전개의 방향은 창세물에 대한 정보량를 증가시키는 쪽이다. 거기에는 창세물(또는 창세상태)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전달도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최초의 창세신격이 창세물이라고 하는 구체적 현상뿐만 아니라 거기에 담겨져 있는 본질적 원리까지 창세하였음을 말해준다.그런데 창세신화가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서사 전개 방향의 저변에는 창세신화 특유의 원리가 깔려 있다. 서사 전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인공의 행위라고 할 때, 창세신화의 주인공인 창세신격의 창세행위를 기준으로 그 서사과정을 살펴보면, 창조(창조한 것 : 창조된 것), 조판(조판한 것 : 조판된 것), 발견(발견한 것 : 발견된 것)이라는 세 가지 원리가 거기에 깔려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창조행위는 조판행위의, 창조행위와 조판행위는 발견행위의 타자화된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점에서 창세신화는 창조, 조판, 발견이라는 창세의 원리를 순차적이 아닌, 역동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신화라 말할 수 있다.그러나 창세신화는 ‘창세’에 관한 인간의 정신적 탐구의 결과라는 점에서 볼 때, ‘창세신화’는 곧 ‘창세’에 관한 인류 정신문화에 관한 최초의 서사이기도 하다. 인문정신의 관점에서 창세신화를 분석할 여지가 있는 셈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살피고 두 가지로 요약하였는바, 창세원리는 창세행위와 그로 인하여 창세된 모든 창세물의 불균일적인 상대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 창세에 관한한 인간의 위대함과 무지함은 공존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긴 인문정신 :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최원오 한국구비문학회 2007 口碑文學硏究 Vol.0 No.25

        본 논문은 한국과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를 중심으로 창세신화의 기본적 서사 전개 방향과 그 의미, 그리고 그 밑바탕에 깔려 있는 창세원리와 거기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한국이나 북아메리카 나바호 원주민의 창세신화가 보여주는 기본적인 서사 전개의 방향은 창세물에 대한 정보량를 증가시키는 쪽이다. 거기에는 창세물(또는 창세상태)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에 대한 정보 전달도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최초의 창세신격이 창세물이라고 하는 구체적 현상뿐만 아니라 거기에 담겨져 있는 본질적 원리까지 창세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런데 창세신화가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서사 전개 방향의 저변에는 창세신화 특유의 원리가 깔려 있다. 서사 전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주인공의 행위라고 할 때, 창세신화의 주인공인 창세신격의 창세행위를 기준으로 그 서사과정을 살펴보면, 창조(창조한 것 : 창조된 것), 조판(조판한 것 : 조판된 것), 발견(발견한 것 : 발견된 것)이라는 세 가지 원리가 거기에 깔려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창조행위는 조판행위의, 창조행위와 조판행위는 발견행위의 타자화된 대상이 되고 있다. 그 점에서 창세신화는 창조, 조판, 발견이라는 창세의 원리를 순차적이 아닌, 역동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신화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창세신화는 ‘창세’에 관한 인간의 정신적 탐구의 결과라는 점에서 볼 때, ‘창세신화’는 곧 ‘창세’에 관한 인류 정신문화에 관한 최초의 서사이기도 하다. 인문정신의 관점에서 창세신화를 분석할 여지가 있는 셈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창세신화의 창세원리에 담겨 있는 인문정신을 살피고 두 가지로 요약하였는바, 창세원리는 창세행위와 그로 인하여 창세된 모든 창세물의 불균일적인 상대성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 창세에 관한한 인간의 위대함과 무지함은 공존한다는 점이 그것이다.

      • KCI등재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서사로서 <셍굿> 연구

        황윤정 한국구비문학회 2022 口碑文學硏究 Vol.- No.64

        This study examin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on myth <Senggut>, which mediates the northern region‘s <Genesis> and the Jeju local creation myth and intends to promot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enggut>. <Genesis>, <Senggut>, and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were compared based on common narrative elements and narrative arrangements such as the phase of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phase of competition for royalties, and the insertion of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When examining the phase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process of creation of the universe was concretely embodied in <Genesis>, as seen by Kim Ssang-dol, and the imagery was relatively inconspicuous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In the case of <Senggut>, a part of the creation process was simpl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akyamuni performed the creation work. In the context of the competition for royalties, Kim Ssang-dol's <Genesis> showed the justification for Maitreya and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the absolute god who cannot be judged by value. Compared to this, in <Senggut>, the right and affirmation were given to the Sakyamuni. Regarding the insertion of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there is no such story in <Genesis> that Kim Ssang-dol saw, and the resistance of the old order against the new order remains. In contrast, in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the story of the Jangja punishment was distinct and was linked to the overall narrative, structure, and content. In <Senggut>, the “Jangja-pond tale” is inserted in addition to the creation myth, and within the creation myth, the resistance of the old order and the response and wisdom of Sakyamuni are revealed in detail. Considering these factors, <Saenggut> can be positioned as a mediating narrative between Kim Ssang-dol and the creation myth of the Jeju region. <Senggut> shows a comparatively idealized narrative method about the moment of creation in the narrative aspect. In the logical aspect, unlike <Genesis>, it affirms interest in civilization and shows a favorable description of wisdom, agriculture, and the power of culture. In this way, <Senggut> can be said to mediate the gap between the logic of each myth in a way that intersects the idealistic and flexible narratives. 본고에서는 창세신화 <셍굿>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검토를 통해 이것이 북부 지역과 제주 지역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성격의 서사임을 말하고, 이로써 <셍굿>의 서사적 위상과 의미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우주 창조의 국면, 인세 차지 경쟁의 국면, 장자 징치담의 삽입 여부 등 서사적 공통 요소 및 서사적 배치를 기준으로 북부 지역의 창세신화, <셍굿>, 제주 지역의 창세신화를 견주어 보았다. 우주 창조의 국면을 살펴볼 때,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는 우주 창조의 과정이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고 제주 지역 창세신화에서는 그 형상화가 비교적 뚜렷하지 않았다. <셍굿>의 경우 일부 창세의 과정은 모호화되었고 석가가 창세의 작업을 수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세 차지 경쟁의 국면에 있어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서는 ‘미륵’에게 당위성을 드러내었고, 제주 지역의 창세신화에서 가치 판단의 대상이 되기 어려운 ‘천신(天神)’으로 형상화하였다. 이에 비할 때, <셍굿>에서는 ‘석가’에게 당위와 긍정을 부여하고 있었다. 수명장자 징치담의 삽입 여부에 대하여서 김쌍돌이 본 <창세가>에는 장자 징치담이 없고, 구질서가 새질서에 대하여 저항한 바가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에 비해 제주 지역 창세신화에서는 수명장자 징치담이 뚜렷하고 전체 서사와 구조적, 내용적으로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 <셍굿>에서는 창세신화 외에 장자못형 설화가 삽입되어 있고 창세신화 안에는 구질서의 저항과 이에 대한 석가의 대응과 지혜가 비교적 상세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사항들을 살펴보았을 때 <셍굿>은 김쌍돌이 본과 제주 지역 창세신화 간 매개적 서사로 자리할 수 있게 된다. <셍굿>은 서술적 측면에서 창세의 순간에 대해 비교적 교술화된 서술 방식을 보이고 있다. 논리적 측면에서는 <창세가>와 달리 문명에 대한 관심을 긍정하여 지혜, 농경, 문화의 힘에 우호적인 서술을 보인다. 이렇게 <셍굿>은 북부의 창세적 가치의 강조와 제주의 윤리적 가치의 강조 사이 문명에 대한 관심과 긍정으로 각 신화가 내세우는 논리의 간극을 교술적인 성격의 기술과 유연한 서사의 방식을 교차하는 것으로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창세신화(創世神話)의 특징에 관한 연구

        박용진 ( Yong Jin Par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구전 창세신화에 속하는 「초감제」와 「창세가」는 모두 일종의 무가로서 중국 신화 및 도교와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한국의 무속신앙이 오랜 세월 전해 내려오면서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초감제」와 「창세가」 모두 무가로서의 기본골격은 한국민족 고유의 전통적인 신화 맥락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마고할미」 신화는 한국의 여러 곳에서 전승되어 오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다. 「마고할미」 신화 역시 중국의 영향을 받은 부분도 보이지만 시대 변화에 따른 민간 전승자들의 가치관이 반영되어있다. 「초감제」와 「창세가」는 어느 정도 다듬어진 신화인데 비해 「마고할미」는 보다 순수한 구전 설화로서 민간의 소박한 세계관과 가치관이 담겨 있는 한국의 고유한 창세신화라 할 수 있다. 『규원사화』, 『환단고기』, 『부도지』 등의 창세신화는 비록 원본을 상실한 체 필사본 형태로 전해오고 있지만 처음부터 문헌의 형식을 갖춘 것들이다. 그리고 이런 문헌들은 대부분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를 비판하면서 고유의 사상과 문화에 대해 자부심이 담겨있는 내용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이는 문헌 신화의 전승자들이 대부분 의식이 있는 지식층으로서 민족에 대한 주체성과 자긍심이 비교적 강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이들 문헌에 실려 있는 창세신화들은 구전 창세신화에 비해 비교적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은 독창적인 내용을 많이 담고 있다. 이와 같은 문헌 창세신화는 태초에 대해 기술함에 있어서 여러 사료들을 인용하고는 있지만, 신화적 상상의 세계에 대한 의문을 저술자 나름의 사관을 가지고 철학적으로 재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구전 창세신화와 문헌 창세신화 모두 한국의 창세신화가 중국의 창세신화와 차이가 나는 점은, 무엇보다 인간의 탄생을 하늘로부터 기원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창세신화뿐만 아니라 건국신화의 주인공에까지 나타나고 있어 한민족의 천손의식을 담은 표현이라 할 수 있다. “Chogamje” and “Changsega” which belong to orally transmitted creation myth, are all examples of shaman songs, which suggest similarities between Chinese mythology and Taoism. This is because Korean shamanistic beliefs, having descended for ages, had been influenced by the Chinese culture. Nevertheless, both “Chogamje” and “Changsega” are all based on Korean indigenous traditional mythical context in terms of basic framework of shaman songs. Furthermore, it can be said that the myth of “Mago-halmi” represents Korea`s creation myth which has been passed down in various parts of Korea. Though the myth, “Mago-halmi” suggests that it was influenced by China, values which were handed down by private person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re also reflected. By comparison with “Chogamje” and “Changsega” which were somewhat refined, “Mago-halmi” may be a more genuine oral folk tale as well as Korean characteristic creation myth including the folks` simple world view and value. Though creation myth including “Kyuwon-Sahwa”, “Hwandan-Gogi” and “Budoji” have been passed down in the form of manuscript, with their original copies having lost, they initially were in accordance with literature style. And most of these literatures show a lot of confidence of indigenous thought and culture, with criticizing toadyism to China. This is because most descendents who transmitted the myth of literature were intellectual and knowledgeable with rather strong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In that sense, the creation myths in the literature have creative contents that was not affected by China in comparison with orally transmitted creation myth. Even the creation myths in literatures were based on different historical records in describing on the beginnings of the world, the question to the world for mythical imagination was reconstituted, philosophically by authors with a view of history.

      • KCI등재

        멤피스 창세신화 - 발화를 통한 창조행위의 비교종교학적 의미 -

        유성환 ( Yoo Sung Hwan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종교와 문화 Vol.0 No.31

        『멤피스 창세신화』는 고대로부터 전승된 이집트의 종교 문서 중 가장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멤피스창세신화』는 이집트의 종교를 다룬 여러 문서를 통해 단편적으로만 소개된 것이 사실이다. 이집트로부터 전승된 창세신화 중 『헤르모폴리스 창세신화』는 창조이전의 상황에 초점을 두고 태초의 대양이 보유한 본질적인 속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집트의 가장 기본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는 『헬리오폴리스 창세신화』는 태초의 대양을 배경으로 창조주이자 원발자인 아툼이 자신의 몸을 발현하여 우주를 창조하는 창조과정을 기술하는데 여기서 아툼은 자위 혹은 체액 방출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우주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신들과 다른 모든 대상을 창조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두 창세신화보다 비교적 후대에 창작된 『멤피스 창세신화』는 기존창세신화에 제시된 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멤피스의 주신 프타의 창조행위를 설명하는데 이 창세신화에 따르면 프타는 태초의 대양과 동일한 신격을 보유한 창조주로서 아툼에 선행하며 창조과정 역시 심장을 통한 창조적 인식과 혀로 대표되는 조음기관을 통한 창조적 발화가 핵심을 이룬다. 『멤피스 창세신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원론적인 창조과정이다. 요컨대 창조주의 창조행위를 통해 현상계에 발현되는 모든 개별자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성한 말씀” 혹은 “성각문자”가 동시에 창조되는데 따라서 창조행위를 통해 창조된 모든 개별자는 창조주가 원래 의도했던 창조적 인식의 형상, 즉 완벽한 이미지로서의 “성각문자”에 기인한다. 프타를 인식과 발화를 통해 모든 것을 창조한 창조주로 상정한 『멤피스 창세신화』는 향후 그리스 철학에 등장하는 신성한 데미우르고스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의 “말씀” = “로고스”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멤피스 창세신화』에 따르면 “성각문자”는 그리스 철학의 에이도스와 조응하며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이 가지고 있던 사물과 완벽한 기호 간의 관계는 그리스의 이원론 개념이 독자적인 신화를 통해 표현된 탁월한 지적 성취로 평가 받을 만하다. There were a number of creation myths in ancient Egypt. The Hermopolitan Theology, which is one of those myths, focuses on the conditions before creation. Ancient Egyptians believed that the Primeval Ocean existed before creation, which was composed of four elements such as Wateriness, Infinity, Darkness and Lostness. According to the Heliopolitan Theology, which was the most dominant and widely accepted creation myth, the god Atum created the world through masturbation or the ejaculation of his body fluid and ruled the created world as the creator god/divine king. As such, the Heliopolitan Theology is not only the cosmogony that explains the creation of the world but also the “cratogony” that shows how the divine kingship was transferred from the divine domain to the human sphere. In comparison with the two aforementioned creation mythos, the Memphite Theology was composed in the later period and relat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tah and Atum. In this creation myth, Ptah is the creator of all other deities and equated with the Hermopolitan Ogdoad. The Memphite Theology places Ptah on the top of the Heliopolitan Ennead in order to establish his primacy in the Egyptian pantheon. The so-called “mythological reversal”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of the Twenty-Fifth Dynasty that sought to justify their rule by designating Memphis that was the capital of Old Kingdom as their new power base. However, the active intellectual movements witnessed during New Kingdom also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the new idea such as the Memphite Theology. The Memphite Theology describes Ptah as a creator god that uses the heart that is the seat of the Divine Perception (“Sia”) and the tongue that represents the Divine Annunciation (“Hu”). Then the creation myth moves on to Atum and his Ennead of the Heliopolitan Theology. In this regard, the Memphite Theology makes it clear that Atum`s “seed” and “hand” are in fact Ptah`s “teeth” and “lips” and that, unlike Atum who uses the physical means for the creation for world, Ptah uses teeth and lips to use the power of the creative speech. The creation myth stresses that the heart and the organs involved with the divine speech have the creative power and explains that what has been perceived by sensory organs are reported to the heart, which then generates knowledge with the information reported by them and delivers commands through the tongue. The next is the various aspects of the cosmos created by Ptah.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Memphite Theology equates the creation of everything with the creation of hieroglyphs, which also means the divine speech. The hieroglyphic writing has a dual nature as they are images of things in the real world and representations of idea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reation account signifies that everything that was created is itself a kind of hieroglyph of the creator`s original concept. Identifying Ptah as a creator god that made everything happen through perception and annunciation is a remarkable intellectual achievement that predates the notion of demiurge in Greek philosophy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earlier and this also influenced the concept of Word (Logos) in Christian philosophy.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that Ptah created everything and every hieroglyphic signs at the same time. If hieroglyphic signs can refer to all of the concepts and things in the real world,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ideal images and its infinite copies and this reminds us of Plato`s dualism. According to the Memphite Theology, the hieroglyphic writing corresponds to “eidos” in Greek philosophy and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signs and things in ancient Egyptian world can be considered as another ancient version of the Greek dualism.

      • KCI등재

        창세신화의 창세신과 신적 영웅, 그 변별적 자질의 분석과 의미-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엘랄 작품군을 중심으로 -

        최원오(Choi, Wonoh)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4

        본 논문은 남미 테우엘체 원주민의 창세신화 엘랄 작품군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작품군에 등장하는 신들을 창세신과 신적 영웅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 신적 영웅은 ‘영웅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점 등을 아울러 밝힌 것이다. 엘랄 작품군 은 테우엘체 원주민에게 창세신화의 범주에서 전승된 것이기 때문에, 이 작품군의 주인공인 코츠와 엘랄이 창세신으로 인식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본 논문은 코츠는 창세신, 엘랄은 신이면서 영웅, 즉 신적 영웅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논증하였다. 한편, 창세신화는 시초의 것, 원형적인 것 등을 제시하여 현실적 세계 의 당위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코츠와 같은 창세신의 주된 자질은 영속적인 것들의 창조로, 엘랄과 같은 신적 영웅의 주된 자질은 비영속적인 것들의 조정과 경계 획정으로 그 당위성이 설명되는 것이다. 그 점에서 코츠는 우주 및 자연의 기원이 되는 창세신의 원형에 해당한다면, 엘랄은 문화영웅이나 인간적 영웅의 기원이 되는 ‘영웅의 원형’에 해당한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의 창세신화에서처럼 복 수의 창세신이 등장하는 경우, 그 변별적 자질과 의미를 분석하는 데뿐만 아니라, 신적 영웅 및 영웅의 비교문학적 연구를 시도하는 데에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based on the study of the creation myth(Elal Cycle) of Tehuelche Aborigines of South America, that the gods can be classified into creation gods and divine heros, and that the gods show the prototype of the heroes. In Elal Cycle, Kóoch argues that creation gods and Elal can be distinguished as divine heroes. The main qualities of the creation god, such as Kóoch, are the creation of perpetual things, and the main qualities of the divine hero, such as Elal, are explained by the adjustment and boundary delimitation of non-perpetual things. In that respect, if Kóoch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creation god, which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and nature, the Elal corresponds to the ‘archtype of the hero,’ which is the origin of a cultural hero or human hero.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analyzing the distinctive qualities and meanings of two creation gods as they appear in the Korean mythology.

      • KCI등재

        오키나와(沖繩) 창세 신화의 재편 양상과 신화적 논리

        정진희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ere have been studies concerned with myth about origin of communities. While much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reational themes as such origin of man, universe and cultures,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aning of ‘origin of community’ itself. This paper shows that the Okinawan creation myths are the discourses that declare the structual principles of the communities by telling the community’s origin stories. And this paper shows that a reorganization myths(myths’ changes) means that the communities and its structual and mythiacl principles have been changed. The typical type of village origin myth is that the ‘first fair’ who will be the sacred ancestors, had born human beings who will be the descendants. What this myth say is, for the descendant is due to be sacred ancestor, that universal village is a inner-completional community. But the version of Kourizima(古宇利島) in this type, tells about not community but human-being itself. And the myth of Taketomizima(竹富島) tell the creation of Taketomi island in the beginning, for rationalizing the newly political position, related to Ryukyu-dynasty, of Taketomi community. These version and type appeared due to the villages’ changes of politiacl position. As such, under the impact of Dynasty and its mythology, the myth of village origin have been changed as a world-view discourse. On the other hand, under the control of Ryukyu a new political imagined community like as Miyako(宮古) and Yaeyama(八重山), had appeared between dynasty and village. The myths of these communities tend to imitate mythical principles and motif of the mythology of Ryukyu dynasty. Consequently, I can say that Okinawan creation myths have been functioned as the discourses about world-view of mythical communities. 마을 단위의 공동체에서 전승되는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태초 남녀의 결합으로 자손이 번성하게 되었다는 시조 신화가 대부분이다. 신화의 주인공과 신화 전승 집단을 조상과 후손 관계로 규정하는 마을 시조 신화는 조상과 후손, 성(聖)과 속(俗)의 순환 논리에 의해 내부 완결적 구조를 이루는 마을 우주의 구성 원리를 드러낸다. 고우리지마 시조 신화 유형처럼, 일반적 시조 신화의 서사를 근간으로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가 더해지는 창세 신화도 보인다. 이러한 유형은 마을이라는 제한된 전승 범위를 넘어서는 광포 설화로 전승되는데, 성속(聖俗) 단절의 모티프를 통해 보편적 인류의 삶의 원리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마을 시조 신화와 변별적 면모를 보인다. 한편, 야에야마 지역의 다케토미지마 섬에서 전승되는 창세 신화는 인류 기원이 아니라 섬의 창조가 서사의 핵심이다. 류큐 왕조와의 관련 하에서 재편, 형성된 우타키(御嶽:토착적 마을 성소)에 결부되어 전승되는 이 신화는, 공간 창조의 태초로 거슬러 올라가 다케토미지마의 현재를 정치적 위상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한편,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에는 류큐 왕조의 지배 지역 확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하게 된 ‘야에야마’와 ‘미야코’라는 공동체의 기원을 말하는 이야기도 있다. 전통적 공동체인 ‘시마’와 왕조 사이에서 형성된 이들 신화에서는, 왕조 창세 신화의 구성 요소와 내적 논리를 모방하는 신화 재편 양상이 엿보인다. 요컨대, 오키나와의 창세 신화는 전승 집단의 현재적 우주를 설명하고 규정해야 할 필요에 의해 호출되어 온 담론의 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창세 신화에 대한 주제적 접근 시각과는 별도로, 전승의 ‘맥락’을 고려하여 그 담론적 의미를 묻는 역사적 시각의 연구가 축적될 때 창세 신화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 므엉족의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

        최원오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본 논문은 한국의 창세신화(본토, 제주도)와 베트남 므엉족의 창세신화 속 신화소 및 그에 갈무리되어 있는 세계관과 가치관 등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한국의 경우 <창세가>(본토), <천지왕본풀이>(제주도)이며, 베트남의 경우 므엉족의 <땅과 물의 기원>이다. 주요 연구방법은 공통적 신화소가 보여주는 차이점 및 이를 기반으로 창세신화에 나타난 세계관과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비교 분석 결과, 천지개벽, 창세신의 출현, 창세신의 결연, 일월조정, 인간창조, 물과 불의 기원, 인세차지경쟁(영토차지경쟁), 악인(怪獸, 惡靈 포함) 징치 등 다수의 공통적 신화소가 확인된다. 그러나 세계관, 가치관 등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발견된다. 한국의 자료는 창세신(신적 영웅 포함)과 인간이 윤리적 심성의 계보로 이어져 있고, 이를 중시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면, 베트남 자료는 창세신과 인간이 근원적 혈통의 계보로써 이어져 있고, 그에 근거한 관계의 중요성 및 ‘하늘-지상’, ‘물-용수’, ‘땅-마을’, ‘동물-인간’ 등 짝 간의 협력과 협조를 중시하는 세계관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한국의 자료는 과정보다는 결과를, 베트남 므엉족의 자료는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reation myths of Korea(mainland, Jeju Island) and the mythical elements(mytheme) of the creation myths of the Mường in Vietnam and the worldview and values ​​that are captured there. The research subjects are <Changsega>(Mainland), <Cheonjiwangbonpuri>(Jeju Island) in Korea, and <Nguồn gốc của đất và nước(Origin of Land and Water)> of the Mường in Vietnam. The main research method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seen by common mythemes and the worldview and values ​​in creation mythology.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several common mythemes including opening of Heaven and earth, the emergence of the Genesis god, the marriage of the Genesis god, the adjustment of the sun and the moon, the creation of human beings, the origin of water and fire, the competition for ownership of the human world and the punishment of wicked people (including monster, Evil spirits) are confirmed.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in worldviews and values. The creation myth of Korea leads to the genealogy of creation and human ethics, and shows a world view that values ​​it. Vietnam's creation myth shows the genealogy of the creation and the human origi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And It shows a worldview that emphasizes coope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ky-ground', 'water-cosmic tree', 'earth-human village', and 'animal-human' pairs. As a result, Korea's creation myth shows values ​​that emphasize results rather than process, and Vietnam's creation myth shows values ​​that emphasize process rather than results.

      • KCI등재

        구전신화 속 세계창조 서사의 시원적 생태론과 그 의미 : 함경도 망묵굿 <산천굿>을 중심으로

        신동흔(Shin, Dong-Hu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논문에서는 최근 새롭게 보고된 최복녀본과 이찬엽 <산천굿>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구전신화의 세계창조 서사를 새롭게 살폈다. 인간과 자연의 본원적 동질성과 공존성에 주목하는 생태론적 관점의 논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창세신화 자료로 인식돼온 <창세가>와 <초감제> 계열 무가는 인간중심적 사유를 두드러지게 현시한다. 인간을 신과 통하는 고귀한 존재로 본다는 점에서 주체성을 지니지만,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만물을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 보는 편향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인간과 달리 동물과 식물에 대한 기원 서사가 없다는 것은 하나의 중대한 신화적 공백이 된다. 일월 조정과 인세차지 경쟁 등 일련의 서사가 인간을 중심으로 하여 서술되며, 여타의 자연물의 생명적 존재성은 약화되어 있다. <산천굿>은 자연의 입장에서 세계를 사유하고 표현하는 특별한 신화다. 이러한 특징은 신자료에 담겨 있는 ‘선간구경’ 대목의 창세서사에 원형적으로 집약돼 있다. 이 신화 속의 선간(仙間)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만물의 본원으로서, 플라톤의 이데아에 준하는 곳이다. 선간에는 해와 달, 불과 물, 각종 동식물과 광물 등 세상 만물의 시원적 본체가 깃들어 있다. 지상의 자연만물은 그것을 현상적으로 발현한 짝으로 표현된다. <산천굿> 창조서사는 인간을 중심에 두지 않으며, 자연만물의 수평적이고 순환적인 생명적 어울림을 현시한다. 그 사유방식은 명백히 생태적이다. 신화 속에서 인간은 그 생태적인 생명체계 속에 녹아들지 못하고 그것을 훼손한다. 자기중심적인 오만과 욕심에 따른 과오였다. 이에 대해 자연적 신령은 인간을 ‘한낱 미물 짐승’으로 질타하면서 죽을병이라는 재앙을 내린다. 그 재앙은 인간이 모든 오만을 내려놓고 최대한의 겸손과 정성으로 자연산천에 귀의함으로써 풀릴 수 있었다. ‘산천굿’으로 표현되는 그 행위의 핵심은 자연생명의 생태적 순환성 회복에 있다. <산천굿> 창조서사의 세계관을 매개로, 기존 창세신화 자료 속에 숨어있는 시원적인 생태적 사유를 짚어낼 수 있다. 꽃 피우기 화소는 선간의 생명적 본체를 지상적으로 발현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꽃 꺾기와 나무 자르기로 표현되는 문명적 공격과 그에 따른 단절 이전의 태초 세계는 생명적 일원성을 지녔던 것으로 이해된다. 신화의 이면에는 그 본원적인 생태적 생명성 회복에 대한 지향이 담겨 있다. 이러한 신화적 사유는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생명적 문제에 대하여 근본적인 원인과 해법을 암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world-creation narrative in Korean oral myths, based on the recently reported Sancheon-gut text. The following discussion reflects an ecologic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ature. In Korea s major creation myths, human-centered thinking stands out. It is subjective, in that it sees humans as equal to God. However, it is also biased, in regarding natural beings, such as animals and plants, as objects. The fact that there is no Korean creation story to explain the origin of animals or plants is an important mythical void. Compared to humans, natural beings are portrayed as remarkably insignificant. Sancheon-gut is a myth that conceives of and expresses the world from the standpoint of nature. In this myth, heaven is the origin of all nature, including humans; it is a place that corresponds to Plato s Idea. The fundamental forms of everything on earth exist in heaven, including the sun and moon, fire and water, and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 this world, natural beings are understood to be pairs that embody the phenomenal. The creation story of the Sancheon-gut does not place humans at the center, but reveals that all nature exists in a horizontal cycle of vitality. This way of thinking is obviously ecological. In this myth, humans do not melt into the ecological life system and damage it. This is seen as an error, caused by self-centered arrogance and greed. In response, the natural spirit scolds humans for being “useless little beast[s]” and causing a plague of death. The disaster could have been resolved if humans had abandoned their arrogance and returned to the original system of nature. In essence, this action aims to restore the ecological cycle of natural life. Given the creation of the Sancheon-gut, it is possible to identify ecological thoughts, hidden within existing creation myths. It is understood that the original world, before the civilizational break (expressed by picking flowers and cutting trees) had a unitary and coexistent vitality. In the abyss of those myths, the intention to restore ecological vitality is hidden. These mythical though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olving the vital problems facing humanity today.

      • KCI등재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

        신동흔(Shin Dong-Hun)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3

        이 연구에서는 무속신화에 담긴 한국의 신(神) 관념을 살피고자 하였다. 무속신화에 있어 신이란 어떤 존재이고 신성의 본질은 무엇인지를 단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신과 인간의 친연관계에 주목하여, 한국 신화에 있어 신과 인간이 서로 어떻게 통하는 존재인지를 살펴보았다. 한국 신화의 원형적인 신 관념은 창세신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창세신화는 서로 혼합 상태에 있었던 하늘과 땀이 갈라지면서 인간세상이 열렸다고 하거니와, 인간세상이 본래 하늘과 땅의 신성과 연속된 세계임을 전하고 있다. 그리고 창세신화는 인간이 하늘로부터 지상에 내려와 성장한 존재라고 함으로써, 인간이 그 안에 하늘의 신성을 내재한 존재임을 부각하고 있다. 실제로 창세신화 속의 인간은 신과의 차별성보다는 동질성이 더 두드러진다. 신과 인간은 서로 자연스레 소통하면서 경쟁하며, 또는 결혼의 형태로 결합한다. 누가 인간이고 신인지의 구별이,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부터가 신인지의 구별이 불투명하다. 이와 같은 신과 인간의 태생적 동질성과 소통 가능성은 한국적 신관의 원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수많은 무속신화는 인간이 그 안에 신성을 지니고 있음을 전제하면서 서사를 전개한다. 대다수 무속신호는 인간이 신으로 좌정하게 된 내력을 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거니와, 그 신성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안에 있던 것이 자연스레 발현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인간이 존재의 근원에 가 닿을 때 신성이 발현된다는 것이 주요 신화에 깃든 관념이다. 하지만 모든 인간이 신성을 발현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인간이 지닌 신성이란 내면 깊숙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서, 인간은 그 신성이 가리어지고 억눌린 채로 반(反) 신성의 길을 갈 가능성이 상존한다. 어둡고 무겁게 뒤틀린 신성으로서의 ‘귀(鬼)’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고, 신성이 소멸된 존재로서의 ‘물(物)’의 길로 나아갈 수도 있다. 저승할망이 된 동해용 궁따님애기는 전자의 예가 되며, 청지네와 말똥버섯이 된 은장애기 놋장애기 자매는 후자의 예가 된다. 한국 신화에 담긴 신과 인간의 동질성 관념은 다른 어떤 신화체계에서보다도 뚜렷하고 또 광범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것을 세상의 모든 존재에 대한 동질성 인식으로 확장해서 적용하는 데는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한 예로, 한국 신화에 있어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동질성보다 이질성이 부각된 것으로 여겨지는 면이 있다. 신과 인간, 동물과 식물, 사물 등을 포괄하여 존재의 속성과 관계에 대한 인식체계를 보다 폭넓고 세심하게 살피는 것은 차후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