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최성호,정정훈,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This study was aimed to discuss the theoretical aspect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provide deep and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qualitative data analysis, as it is now getting growing attention in Korea. Although discuss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have become more detailed and extensive an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dop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n analytic method for data analysi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Korea.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scholars' methodological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ssed and found firs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analyze messages from mass media, second, a balanced approach is required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third, the consideration of the procedures in content analysis can ensure researcher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analytic results, and fourth, in spite of the third finding, a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before taking the procedures as fixed rules. The discussion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extensive insights to data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ers.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해 좀 더 깊고 세분화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질적 내용 분석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최근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세분화 되고 있는 측면을 고려한다면 질적 분석의 한 접근으로서 질적 내용 분석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 발달과정, 그리고 그 분석 단계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 첫째, 질적 내용분석은 대중매체 속의 메시지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째, 내용분석에 있어 질적, 양적 측면의 균형이 필요하며, 셋째, 내용분석에 있어서 절차에 대한 고려는 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절차를 정형화된 규칙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질적 연구자들의 자료분석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Ⅴ: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보고서

        김희진,서고운,조혜영,민윤경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2022년에 「학교 밖 청소년 지역사회 지원방안 연구: 질적패널조사를 중심으로」연구가 마지막으로 수행됨에 따라, 협동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주제로 질적 종단자료 심층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수집된 학교 밖 청소년 질적패널 대상의 종단적 면접자료를 활용하여, 질적연구와 학교 밖 청소년에 전문성을 지닌 전문연구자들과 함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발달 및 성인기 이행, 지원서비스와 관련한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① 학교 밖 청소년이 학교를 그만둔 이유와 경험, 자퇴에 대한 인식 변화, 그리고 성인기 이행, ② 후기청소년기 학교 밖 청소년 진로발달 및 자립과정, ③ 취약한 상황의 학교 밖 청소년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분석, ④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받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 준비 경험에 관한 종단적 질적연구로, 총 4개 주제의 심층분석이 수행되었다. 20대 중·후반의 기존 패널과 10대 중·후반인 신규 패널의 면담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 사례도 있었으나, 대체로 분석 내용에 맞게 기존 또는 신규 패널의 질적자료를 따로 분석하였다. 각 연구자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으며, 본 보고서의 마지막 장에 이러한 내용들을 통합하여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와 이후로 구분하여 정책과제들을 제시하였다. ‘학교를 그만두기 전 단계 지원’에서는 학교를 그만두기 전의 일련의 과정에 대한 더욱 체계적인 관리, 취약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을 위한 학교 내 전문가의 적극적인 개입,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진로교육 강화를, ‘학교를 그만둔 이후의 지원’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체계 강화, 취약한 환경의 학교 밖 청소년 지원 강화, 대입지원 강화,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으로 요약, 정리하였다. As “A Study on Community-based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With a Focus on Qualitative Panel Data” was conducted last in 2022, we attempted an in-depth analysis of qualitative longitudinal data in more diverse topics for cooperative research. To this end, we used the longitudinal interview data on the qualitative panel of out-of-school youth collected from 2018 to 2022 and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with specialized researchers with expertise in qualitative research and out-of-school youth, focusing on their career development, transition to adulthood, and social services. Specifically, the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in total 4 topics: ① reasons why out-of-school youth dropped out of school and their experiences,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quitting school and transition to adulthood, ② the process of career development and independence of out-of-school youth in adolescence, ③ longitudinal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xperiences of out-of-school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④ longitudinal qualitative research on career preparation experience of out-of-school youth who received social services.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interview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between the previous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20s and a new panel of youth in their mid- to late teens, but generally qualitative data of the previous panel or the new panel that meets the contents of analysis was separately analyzed. Each researcher that participated in the in-depth analysis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se contents were integrated in the last chapter of this study, providing policy tasks for before an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Support before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more systematic management for the process before quitting school, active intervention of in-school experts for youth in vulnerable situations, and enhancement of career education in formal education. ‘Support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ncluded reinforcement of the out-of-school youth support system, greater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 in a vulnerable environment, greater support for college admission, and reform of the negative perception on out-of-school youth.

      • KCI등재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 : 그 다양한 방법들의 탐색

        최성호,김영천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This research explains domain analysis as a method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is also called cultural domain analysis, as it has been considered as a method for cultural exploration. Although the domain analysis has the most extensive history in traditional ethnographic research and been widely used as a basic analysis method, there are only a few related researches, including the Spradley(1980) and Kim&Kim(2015).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explore the concept, traits, and typical technique of domain analysis; including Freelisting, Pilesorting, Paired comparison. Moreover, researchers introduce a new process of domain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of Spradley(1980) and Newing et al.(2011). The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in the field, by suggesting diverse and practical methods of domain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domain analysis)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 다. 영역 분석은 전통적으로 문화탐구를 위한 방법이기에 문화 영역 분석이라고도 하며, 후에 질적 연구에서 보편화되며 영역 분석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영역 분석은 전통적 문화기술지 연구의 가장 오래된 분석 방법이며 질적자료분석 중 기초적 분석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Spradley(1980)의 책과 김필성과 김영천(2015)의 연구 외에 찾아보기 힘 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역 분석의 개념과 특징 및 대표적인 영역 분석의 기법인 프리리 스팅(free listing), 항목분류(pile sorting), 대응비교(paired comparison)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또한 Spradley(1980)와 Newing et al.(2011)에 근거하여 영역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실제적인 영역 분석의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의 실제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장애인의 직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과 이슈를 중심으로

        나장함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2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기존 연구물들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보다 확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종합·분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연구 맥락에서 연구 종합·분석의 방법론들 전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구 종합·분석의 고전적인 방법,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메타분석 방법의 특성 및 제약 등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연구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과정, 장·단점 등을 논의함으로써 질적 연구 종합·분석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장애인 직업 교육 및 직업 유지"에 관한 개별 질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행하여 서구적 맥락에서 소개된 질적 메타분석의 실행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점들과 이슈들을 탐색하고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논의하였다. 아울러, 질적 메타분석의 사례는"성찰적 자존감"이라는 관련 개념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물의 결과를 종합·분석하였다. The findings of a single study are vulnerab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mpling, the context of research setting, and the amount of time allowed for complet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a single study is evident in that it can hardly provide a generalizable and definitive finding to a research question. In Western context, various types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have been designed to address this problem. Although variations among different research synthesis methods are diverse form one to another(in terms of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strategies), all methods of research synthesis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single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onsistence and dissonance in similar studies. In Korean context, however, these methods have not been publically discussed among researchers, and there has been almost no research addressing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which arise from the application of research synthesi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 review, meta-analysis, and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is study also explores methodological issues in synthesizing qualitative studies on training and workplace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practical issues entangled with practic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is paper conclude with suggestions that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ereby expecting to generate an accumulative knowledge and a new insight from this synthesizing method.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

        신현석(Shin Hyun-Seok),주영효(Joo Young Hyeo),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4 敎育行政學硏究 Vol.32 No.3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후 출판 연도, 질적 연구에 대한 이해도 명시 유무, 연구 영역, 연구 유형, 자료 수집 방법, 연구 참여자 수 및 표집 방법, 신뢰도 검증 방법, 자료수집 기간 등 아홉 가지 분석 준거를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한 교육행정학 분야 연구가 게재되고 있는 학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이 제공하고 있는 영향력 지수 1.00 이상을 기준으로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한국교육행정학회의 『교육행정학연구』, 한국교육 학회의 『교육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의 『한국교원교육 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였다. 이들 학회지에서 1980년 이후 발행된 질적 연구는 318편이 며, 이 가운데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식별한 분석 대상 논문은 190편이 다. 최종 분석 대상으로 분류된 논문은 분석 준거를 적용하여 1차/2차 분석 후 분석 결과에 대한 연구진 간 상호 검토를 거쳐 분석 결과를 최종적으로 양적 데이터베이스화(database)한 후 양적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시대별 및 연구 유형별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주 요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① 사례 연구, 기타 질적 연구, 문화기술지 연구 순으로 연구 접근 빈도가 높고, ②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면담, 참여관찰+면담+문서자료 및 면담+문서자료, 문서 자료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③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으로는 특수 표집 방법, 편의 표 집 방법, 전형적 표집 방법 순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료수집 기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질적 연구가 분석 대상 논문의 34.2%를 차지하였고, 연구 참여자 표집 방법과 신뢰도 검증 방법에서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비율은 각각 분석 대상 논 문의 15.3%, 31.5%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 분야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시사점 및 발전 과제를 도출 및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both current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and prospective resear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 followed four steps. First, the researchers scrutinized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and Korean research articles which analyzed qualitative research trends. As a result, this study constructed nine analysis criteria. Second, we selected four academic journals such a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and『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fter reviewing 318 qualitative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se four journals, the researchers lastly chose a total of 190 qualitative studies. Third, we conducted a primary and secondary analysis for the selected papers and the researchers performed peer review about the result. Fourth, the present study analyzed quantitative data using quantitative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1) that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r collecting data was interview (31.1%), 17.9% were participant observation+interview+documentation and interview+documentation, 2) that a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less than three months for 28.4% and 34.2% did not present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period, 3) that 31.5% of qualitative studies did not present a method to examine qualitative data, and that 4) 15.3% did not show concrete information to choose research participants.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질적 연구 방법에 대한 분석

        나장함,김진호 한국학교수학회 2016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9 No.1

        90년대 중후반 이후 질적 연구법이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소개되기 시작한 이후, 질적 연구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연구 맥락에서 실제로 적용된 질적 연구물에 대한 분석이나 방법론적 논의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연구에서 의도한 목적 달성과 연구 결과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론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회지인 초등수학교육에서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2012년 게재된 논문 5편을 대상으로 샘플링 선정, 자료 수집 및 자료 분석 방법 등을 중심으로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 결과와 논의점을 질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This qualitative study investigates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into educational journals, especially focusing on research articl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Since the mid 90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 As a resul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becoming one of the mai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quite different from before the mid 90s that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emselves alone were undisputed research methods. However, such change in research methods also lead to a matter of concern, the rigor and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identify how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applied, this study carefully selects and analyzes 5 article that used qualitative methods and were published b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in 2012. Several leading scholars' ideas and theorie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used in the analytical process, with careful attention paid to every detailed element of 5 selected articles. In sum, this study conclude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ative researchers and discusses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에 대환 고찰: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적용 가능성 탐색

        나장함 ( Jang Ham Na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개별 연구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기존 연구물들이 제시하는 결과로부터 축적된 지식과 보다 확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종합·분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교육연구 맥락에서 연구 종합·분석의 방법론들 전반에 대한 논의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개별 질적 연구를 종합·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교육학 및 사회과학 관련 분야에서 전무하였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연구 동향의 결과로 개별 질적 연구물은 독립적인 상태로 존재하게 되며, 정책 대안화의 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연구 종합·분석의 고전적인 방법, 양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및 제약 등을 간략하게 살펴본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전통을 따르는 연구 종합·분석 방법의 특성, 실행 과정, 장·단점, 교육과정 및 교육학 관련 연구에서의 시사점 등을 논의함으로써 질적 연구 종합·분석에 대한 이해를 확대하고자 한다. 또한 서구적 맥락에서 소개된 질적 메타분석의 적용 가능성을 진단해 보기 위하여 "장애인의 직업 교육 및 직업 유지"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행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실질적인 문제점들과 이슈들을 탐색하고, 향후 질적 연구물에 대한 종합·분석을 위해서는 어떠한 논의와 시도들이 강구되어야 하는가를 제시하였다. Research synthesis is built on the reflection that individual studies are limited in generalizablity of the knowledge they produce. The findings of a single study are vulnerably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 of sampling, the context of research setting, and the amount of time allowed for completing the study. As a result, the limitation of a single study is evident in that it can hardly provide a generalizable and definitive finding to a research question. Qualitative meta-synthesis refers to the theories, grand narratives, generalizations, or interpretive translations produced from the integration and comparison of findings from qualitative studies. Although variations among different research synthesis methods are diverse form one to another(in terms of their philosophical assumptions, methodological procedures, and analytical strategies), all methods of research synthesis attempt to go beyond the limitations of single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onsistence and dissonance in similar studie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synthesis methods such as traditional narrative review, meta-analysis, best evidence synthesis, and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is study also explores methodological and practical issues entangled with practic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This paper conclude with suggestions that may facilitate the process of applying qualitative meta synthesis, thereby expecting to generate an accumulative knowledge and a new insight from this synthesizing method.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과학교육 질적 연구동향 분석

        이상균,김순식,채동현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of qualitative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and to select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qualitative research’, ‘scienc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and by journal. Also,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the frequency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using krkwic and Ucinet6.0. The results show that first, 138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14 journals from 2005 to 2017. Second,, the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keyword in each article, ‘elementary school teacher’, ‘gifted student’, ‘science teacher’, ‘class’ were higher than other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whole Network Analysis, ‘Analysis’, ‘elementary school’, ‘class’ were analyzed as a highly influential node. And ‘Comparison’, ‘inquiry’, ‘recognition’, ‘gifted students’ were not close to the center of network. Fourth, keywords that appear in all sections are analysis, gifted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an be analyzed continuously based on studies, lessons or recognition,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lored the past and present of the study subjects related to the study of science education quality and discussed future direction of study. 본 연구는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학교육 질적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연구재단의 KCI등재에 등록된 학술지에서 과학교육, 질적 연구를 키워드로 한 학술지 발표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중심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통계 분석 방법과 논문 주요 키워드 대한 빈도 분석, 네트워크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을 krkwic과 ucinet6.0을 활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한 논문은 14종 학술지에서 총 13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논문 키워드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결과 ‘분석’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초등교사’, ‘초등학교’, ‘영재학생’, ‘과학교사’, ‘수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분석’, ‘초등학교’, ‘수업’이 네트워크 중심에 위치하였으며, 비교, 탐구, 인식, 영재학생 등이 근접하였다. 넷째, 전체 구간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키워드는 ‘분석’, ‘영재학생’, ‘초등학생’ 등으로 초등학생과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수업이나 인식, 특성 등을 분석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과학교육 질적 연구와 관련된 연구주제의 과거와 현재를 탐색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광고홍보학 교과과정으로서의 질적자료분석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과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중심으로

        장안리 한국PR학회 2022 PR연구 Vol.26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which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would be more suitable for PR undergraduates and to suggest ways to teach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 with 29 students who have learned either Grounded Theory or Thematic analysis methods in the research methods course. Results Findings show that participants found ways of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interesting, and became qualitative research scholars in the process of applying specific methods. However, they felt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was not easy because they were unfamiliar with the methodology and found the data analysis part particularly challenging. Students perceived Thematic analysis as less challenging than those who learned Grounded theory; and by learning the entire process of research, students earn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which lead to positive experiences in learn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terms of teaching qualitative research to undergraduate students, allowing students to practice various methods led to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gainst qualitative research and provided them an opportunity to grow as researchers. Moreover, the findings suggest teaching lesser challenging methods and focusing on repetitive analysis practice to boost confidence in research method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current study offers what needs to be focused on and the proportion of the course contents that would strengthen what students found most challenging. Implications and topic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suggest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홍보학 전공생들에게 적합한 질적자료분석방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탐색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29명의 홍보학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과 주제분석방법(Thematic Analysis)을 각각 어떻게 생각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질적연구 자체의 특징에서 흥미를 발견하였으며 실제 체험을 통해 연구자로 성장하였고,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 도구로서 객관성 유지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연구 실습 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낯설음에서 오는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데이터 분석의 어려움을 느꼈다. 연구결과 참여자 들은 주제분석방법의 난이도가 낮다고 인식하였고 연구를 모두 마무리했을 때 성취감, 자신감을 느껴 전반적으로 연구방법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질적연구방법의 교수법에 있어서는 질적연구방법을 실제 사용하게 함으로써 방법론에 대한 편견을 해소시키고 자율적 학습과 실전을 통해 질적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쉬운 분석방법 위주의 지도와 반복적 연습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질적연구를 처음 접하는 홍보학 전공생들이 연구방법론을 배우면서 느꼈던 어려움을 근거로 향후 교수법 측면에 있어 질적방법론 수업에 적절한 내용, 구성, 비중 및 방법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수학교육에서의 질적연구법 활용에 대한 분석: 연구결과의 타당성 증진 방안을 중심으로

        나장함 ( Na Jangha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2

        본 연구는 수학교육 관련 연구에서 질적 접근을 적용한 논문들의 질적 접근 활용양상을 탐색하고, 질적 접근의 타당도와 신실성 향상 방안을 논의하고,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 접근 활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수학교육논문집>에 게재된 13편의 논문에 대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여 전반적인 경향성을 진단하였다. 질적연구 적용 양상에 대한 경향성은, 적극적 질적연구 6편, 반(semi) 질적연구 3편, 혼합연구 3편, 문헌연구와 질적연구의 혼입 1편 등으로 나타났다. 기초분석 결과를 토대로, 13편의 논문 중 질적 접근을 적극 활용하여 풍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6편의 논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행하였다. 6편의 논문의 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질적 분석 결과는 질적연구의 타당도와 신실성(trustworthiness)과 관련된 이슈들을 해당 연구의 맥락에서 상세하게 논의하고 있다. 아울러, 이러한 질적 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수학교육 분야에서 질적연구를 활용할 때 유념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고 있다. Qualitative research has become a growing area of interest among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ers for the last two decades. As a consequence, the number of studies based on qualitative methods has rapidly increased while the quality of qualitative research has not gained much credit among scholars in Korea. This study explores to current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related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lso seeks way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approache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al practice of qualitative approache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a general trend was investigated by conducting a basic analysis of 13 papers that used qualitative approaches and published i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Series E > from 2019 to 2020. Of the 13 papers. Through the basic analysis, 6 out of 13 papers were selected as the object of qualitative text analysis. The result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discusses issues related to the validity and trustworthiness of qualitative research in a detailed mann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text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key points to keep in mind when applying qualitative approache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