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 현장 시범 적용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박윤희,장명희,박동열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focused on the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in nine areas based on the urgent needs among 5 fields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nin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urriculum respectively.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ew of job analysi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department at vocational high schools, review of related materials in each area, job information, job specifications at the entr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nd discussions with industry people. In addition, the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forma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taught with the textbooks for the filed application at the 11 vocational high schools for about one month.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The tests were focused on examining interests on General English, Vocational English, and self-efficacy on Vocational English. Finally,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regarding the use of the developed Vocational English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들이 직업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영어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를 현장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분석하고, 현장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는 데 있다. 특성화 고등학교 5개 계열에서 교재 개발의 필요성이 시급한 총 9개 분야(원예조경, 기계, 전기, 전자, 건축, 금융, 유통․물류, 해양생산, 조리 서비스)를 선정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해당 분야의 영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직업영어 교재를 개발하였다. 각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 기존의 직무 분석 자료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검토, 2) 특성화고 관련 학과 개설 현황 분석, 3) 국내외 관련 교재내용 검토, 4) 해당 분야 직업정보 조사, 5) 특성화고 졸업생의 직무 수행 내용 분석, 6) 분야별 산업체 인사와의 협의를 통해 개발되었다. 분야별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교과서의 개발과 활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분야별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재 구성 체제에 따라 교재가 개발되었다. 직업영어 교재는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으로 크게 구성되었으며, 소단원에서는 학습목표, 학습내용, pre-test, warming-up, 관계 지식, activity, 용어 정리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중단원에서는 학생들이 exercise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문 내용에 포함된 단어를 한글과 영어로 표기한 index도 제시하였다. 또한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적용을 위하여 특성화고 영어 수업모델 선진화 연구학교로 지정된 16개 학교 가운데 9개 분야의 직업영어 교재 적용이 가능한 11개 학교를 대상으로 약 1개월에 걸쳐 수업시간을 활용하여 교재를 적용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효과성은 특성화고 학생들의 일반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에 대한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의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재 적용 전과 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학생들이 직업영어 교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파악하였다. 직업영어 교재의 현장 시범 적용 결과, 직업영어 교재를 적용하기 이전보다 학생들의 일반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흥미도, 직업영어 활용 효능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의 직업영어 교재 내용 이해도는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야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현장 적용 분석 결과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현장 활용도가 높은 직업영어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직업영어 교재 개발 과정에 반영되었다.

      • KCI등재

        여대생의 대학 전공 계열 및 직업 선택에서의 특성복합체의 타당성

        하대현,김소연,박선민 한국교육학회 2010 敎育學硏究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dictive validity of trait complexes suggested by Ackerman on university major field and career choice. Ackerman proposed 4 types of trait complexes(science-mathematics, intellectual-cultural, social, clerical-conventional), each of which was represented by commonalities among ability(intelligence), personality, and interest traits. To compute individual trait complexes scores, Gf and Gc ability tests, Big five personality inventory, and Holland vocational interest scale were administered to 185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ree important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regression analysis showed significant increments in the proportion of variance of career self-efficacy scores mainly because of ability and personality traits after the vocational interest traits had already been taken into account, indicating the usefulness of traits complexes. Second, trait complexes tended to predict four broad university major fields choice well. Participants who majored in arts and humanities showed the highest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scores. Participants who majored in physical sciences showed the highest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scores. Participants who majored in social sciences and business showed the highest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scores.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oretical predictions. Third, four types of trait complexes tended to predict career choice of university students well: That is,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language and art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intellectual-cultural trait complex.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science, medicine, and computer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science-mathematics trait complex.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business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social trait complex. Those who reported occupations of banker, secretary, public service personnel domains as their best-wish occupations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clerical-conventional trait complex.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as indicating predictive validity of the trait complexes on career choice. 이 연구는 Ackerman이 제안한 특성복합체 개념이 우리나라 여대생의 대학 전공 계열 선택과 직업 선택을 타당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Ackerman이 제안한 4개의 특성복합체(과학/수학, 이지/교양, 사회적 및 사무/관습 특성복합체)를 구하기 위해서 185명의 학생들에게 Gf와 Gc 요인을 포함하는 4종류의 지능검사, 5요인 성격검사, Holland의 직업흥미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특성복합체가 그들의 대학 전공 계열과 희망 직업을 어느 정도로 잘 예측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대학의 전공 계열과 희망 직업군에 따라 특성복합체 점수를 구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밝혀냈다. 첫째, 각 전공 계열에서 4개의 특성복합체 중 가장 높은 점수를 기대한 특성복합체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즉 인문-예술 계열 학생들은 이지/교양 특성복합체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이과 계열 학생들은 과학/수학 특성복합체에, 사회과학 계열 학생들은 사회적 특성복합체에, 그리고 경상 계열 학생들 역시 사회적 특성복합체에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희망 직업군 분류에 따라 4개의 특성복합체 점수를 비교했을 때 각 희망 직업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기대한 특성복합체에서 가장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예를 들어 이지/교양 특성복합체 관련 직업(작가, 문학평론, 음악, 디자이너 등)을 희망한 학생들은 4가지 특성복합체 중 이지/교양 특성복합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런 결과들은 이 연구에서 구한 특성복합체가 어느 정도로 대학생의 전공 계열과 직업 선택을 잘 예측해 줄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논의 부분에서는 향후 과제로 성차 효과, 교과 성취를 위한 새로운 특성복합체 모형의 구성, 발달 연구, 특성복합체 구인의 심리측정학적 한계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재활사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박혜전,손관호,조주현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This survey research was inten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KSVR) was established in 1991. This organization has been playing a significant role of expanding and developing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However, the KSVR has not yet done research concerning the issues of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manpower. This study analyzes factors affecting professional developments levels and the confidential perception of their professional roles as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counselo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ir duties and satisfaction levels as a professional and to provide more specialized services by examining of characteristics of their current condit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uration of work period and the length of time spent for their rehabilitation client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Their perception of work efficiency tend to have much stronger when they work longer and spend more time with their immediate clients. Seco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report that they share their work responsibilities with their clients half and half, reflection the recent paradigm shift empower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paradigm, services providers should focus more on the quality aspect of service delivery rather than one of the quantity so that disabled persons life changes can be occurred. Therefor, future research efforts should deal with rehabilitation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full participation aspects. Thir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ism tends to be developed by participation and presenting papers at the conferenc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such as Korea Society Vocational Rehabilitation. Fourth,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ticipated and expected to have research topics of employment assistance programs, knowledge and skill areas of vocational assess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including other issues of roles func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한국직업재활학회를 통해 발급되는 자격증을 지닌 직업재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직업재활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직업재활학회는 1991년에 창립되어 28년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학회를 통해 배출된 직업재활사에 대한 분석연구는 한 번도 실시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동안의 직업재활사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학회활동을 점검하고, 앞으로의 학회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의 특성으로 학부의 전공은 직업재활학이 67.8%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의 직종도 직업재활사가 60.0%로 나타나고 있다. 하루 중 직업재활 업무에 보내는 시간은 8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내담자와의 직접 관계하는 시간은 1시간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회활동에 관한 사항에서는 회원들의 학회활동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학회연수 강좌에 기대되는 내용으로 직업평가의 지식과 기술, 직업재활 관련 제도 ․ 정책에 관한 사항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재활에 관한 생애학습 환경에 관한 내용에서는 학습의 기회가 없다는 비율이 73.3%로 나타나고 있다. 직업재활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내담자 간 책임의 비율은 50:50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회 연구의 우선순위에서는 장애특성별 직업재활과 직업재활 전문직의 교육체계, 직업재활 전문가의 전문성과 윤리로 나타나 직업재활사의 역할정립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업재활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직업재활 근속기간, 내담자와의 직접적 관계 시간과의 비율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직업구조의 변화와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

        박소현(So Hyun Park),이금숙(Keumsook Lee) 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한 산업화과정 이후 후기산업화와 지식기반경제로의 전환과정과 외환위기, 금융위기 등 사회경제적 격동기를 거쳐 온 지난 30여 년간 한국의 직업구조 및 직업분포에 나타나는 변화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직업구조의 시계열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대응일치분석을 통해 직업구조의 제속성인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특성과 직업의 상호관계를 파악한다. 특히, 고용분포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별 산업구조와 노동시장의 크기와 성격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한국의 직업구조는 사회구조 및 경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빠른 속도로 산업구조가 고도화된 반면 전문직과 단순직으로의 이원화가 강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또한 취업인구의 사회-인구통계적 속성과 직업과의 대응관계에서 차원1의 비정칙값을 통해 본 직업과의 관계는 산업, 성/학력, 지역(시군구), 성/연령 속성 순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출산율 저하, 인구고령화,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 등으로 취업인구의 구성에 큰 변화가 예견되는 우리사회에서 국가적 차원의 인력의 수급대비 및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고용정책의 방향수립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employment in Korea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in which have transformed from industrialized economy to knowledge-based economy very rapidly as well as having experiences of both IMF and financial crisis. For this purpose, we analyze the trends occupational distribution an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employment since 1980. By applying correspondence analysis of Multidimensional Scaling(MDS) methods, we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ed persons by occup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group, educational attainment, industry, region. We found the occupational structure of Korea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with the socio-economic transformation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In particular, the occupational (job) structure has been highered in general. However, it has also been dualized extremely into two groups, one is the specialized-skilled-white color jobs and the other is the simple-unskilled-blue color job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as the importation basis for the provision of labour supply and employment policy plan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at the local level.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 개발

        김경한 ( Kyong Hahn Kim ),현경희 ( Kyung Hee Hyun ),한소현 ( So Hyun Han ),최수정 ( Soo Jeong Choi ),장명희 ( Myung Hee Ja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5 외국어교육연구 Vol.29 No.2

        지금까지 우리나라 특성화고의 직업영어 교육은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대한 고려 없이 전문교과 내용만을 일대일 번역 식으로 가르치는 수업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특성화고의 직업영어 교육과정은 1학년 기초영어부터 3학년 직업영어까지 위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이라기보다는 보통 영어 교과와 전문교과가 이원화되어 상호 독립적으로 운영되었다. 특히, 기초영어 과정은 일반계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서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요구, 수준, 진학 등 특성화고의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이제 일반계고와 차별화되고,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기반하며, 직업 상황에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배양에 초점을 둔 직업영어 교육과정, 교재 및 교수법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에 입각하여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은 향후 직업영어 교육과정 및 교재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특수목적영어교수법(ESP), 내용중심교수법(CBI), 의사소통중심교수법(CLT)에서 직업영어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찾고, 직업영어 교육과정의 방향과 직업영어 교수·학습의 원칙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이에 대해 전문가의 타당도 검사를 받아 모형을 수정하였다.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의 현장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인천광역시 소재 특성화고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4차시의 시험 수업(pilot study)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관찰지 및 학생사후반응지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직업영어 교수·학습 모형을 완성하였다.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has so far focused on improving English instruction in academic high schools, while ignoring the particular language need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ew vocational high schools use texts specifically designed for vocational students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needs. Instead texts are used which focus on translation and vocabulary improvement, which do not enhance communicative skills are used. Therefore, it is imperative that new texts be developed, which focus on the particular communicative skills needed to prepare students for careers in various trades. With this unmet need in mind,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teaching vocational English in Korean EFL contexts. Ideally, vocational English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ESP),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and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 Drawing from these three approaches, a voc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model was proposed and trialled in classroom settings. Both teachers and students found the instructional model more effective than the current model.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nstructional model could be effective in training teachers to teach EFL in vocational schools, and thus result in an increase in instruction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students in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 KCI등재

        대졸자의 직업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서 기업특성이 미치는 영향

        이혜영,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2

        신세대 신입사원들은 기성세대와 달리 조직에 헌신하기보다는 자신의 가치실현을 중시함에 따라 개 인과 조직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지 못할 경우 직업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청년 취업 난에도 불구하고 조기 퇴사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졸구직자들은 자신의 가치와 조 화를 이룰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하고, 기업은 지원자 가운데 조직 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사업체 유형, 사업체 규모 등의 기업특성에 따 라 조직 가치에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여,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자료를 가지고 대졸자의 직업 가치와 첫 일자리 직업적응의 관계에 기업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에 따른 직업가치, 직업적응 관계를 보면, 여성은 남성보다 위세가치와 환 경가치를 더 중시하고, 남성은 여성보다 발전가치를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졸자가 2~3년 제 대졸자보다 발전가치, 직장만족도, 업무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도권 학교보다 비수도권 학 교가 위세가치, 업무가치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가치와 직업적응 관계를 보면, 직장만족도에 대해 업무가치와 발전가치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가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업무가치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사업체 유형에 따른 직업가치와 직업적응 관계를 분석한 결과, 민간기업의 경우 직장만족도에 위세가치와 발전가치는 정(+) 의 영향을, 환경가치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연구·법인 기업은 업무가치가 높 을수록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가치와 직장만족도에 대한 사업체 유형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국기업과 환경가치, 교육·연구·법인 기업과 업무가치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규모는 직업적응과 직업가치 간에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구직자는 기업유형별 조직문 화 차이를 확인하여 자신의 직업가치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기업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대학은 대 학생들이 저학년때부터 직업가치관을 제대로 세우고 자신에게 적합한 기업유형을 탐색할 수 있도록 프 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여야 한다. 기업은 지원자들의 직업가치를 적절히 파악하여 개인과 조직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지를 진단할 수 있는 선발체제를 개발하고, 조직 가치와 다른 가치를 가지고 있는 신입사원의 직업적응을 제고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company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of college graduates, paying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ompan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type of enterprise, the company size, etc., with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the occupational adaptation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restige value and the environment value are more important for the women than the men, and the development value is more important for the men than the women. The development value, workplac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higher for 4-year college graduates than 2∼3-year college graduates. The non-metropolitan college graduates give much more importance to the prestige value and the work value than the metropolitan graduat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the work value and development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and the environment valu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workplace satisfaction. Regarding job satisfaction, only the work value has positive(+) effect. Thir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value and occupational adaptation by enterprise type, in the private enterprises, the prestige value and the development value affect positively(+), but environment value affect negatively(-) on workplace satisfaction. In the education, research, and corporate enterprises, the work value has th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workplace satisfac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Fourth, as i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erprise type on the job value and workplace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foreign enterprises and the environment value, and the education, research, corporate enterprise and the work value. The company size, however, do not have a significant adjustment effect between occupational adaptation and job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Job seekers are able to select companies that can harmonize with their job value, by checking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by the type of enterprise. Colleges need to develop programs to build the job value and to navigate the type of company suitable for students from the lower grades of college. Companies should develop a selection system that can diagnose whether the values of applicants and organizations are in harmony or not, and are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ncrease the occupational adaptation of new recruits.

      • KCI등재

        지역 특성화 고등학교 직업교육 모델 개발 : 전라남도 MC(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을 중심으로

        허희옥,박연정,문용선,최종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for reg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Jeolla-Namdo in South Korea.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level analyzed the successful cases of vocational education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levels, including American CTE, Australian VET, German Vocational Education, and Finnish Vocational Upper Secondary Education. Also, educational theories such as Transformational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Situated Learning,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and Expansive Learning, were reviewed to identify design principles of the vocational education model. As a result, Mutual Creative (MC) educ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describ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and methods, teachers, learning environment, operational system and performance management. 과거에 한국 산업 발전에 큰 기여를 하여온 특성화 고등학교는 고등교육의 요구증가, 21세기 산업구조의 고도화, 직업 세계의 빠른 변화 등으로 현재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혁신을 위한 교육 모델의 설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전라남도 지역의 직업교육 현황과 국내·외의 우수 직업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직업교육 관련 이론에 기반하여 직업교육의 모델을설계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원 및 산업체 담당자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현재 특성화 고등학교의 직업교육은 현장 실습형 및 참여형으로 전환되어야 함이 공통적으로 지적되었다. 또한, 국내에서 성공한 사례로 손꼽히는 특성화 고등학교의강점과 미국 CTE, 호주 VET, 독일 직업교육, 핀란드 직업교육의 독특한 직업교육정책과 프로그램들이 분석되었다. 아울러, 직업교육을 뒷받침하는 교육이론으로, 사회적 구성주의, 경험 학습이론, 상황 학습이론, 활동 이론 및 확장 학습 이론이검토되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전남 특성화 고등학교를 위한 상호 창의적(Mutual Creative) 교육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이 모델의 특징을 소개하고, 이 모델이 성공적으로 전남지역에 정착되기 위한 주요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고등학교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은경,유미현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9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이 프로그램이 고교 교육과정을 마치고 바로 사회에 투입되는 특성화반 학생들의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그들의 직업 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전략으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B고등학교 1학년 특성화반 27명이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12차시를 적용하였으며, 진로 인식, 과학 흥미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 특성화반 학생의 진로 인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자기이해 영역과 합리적인 진로 의사 결정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 특성화반 학생의 과학 흥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즐거움과 과학에서의 도구적 동기유발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셋째,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 특성화반 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미래직업 연계형 STEAM 프로그램이 특성화반 학생들의 직업인식, 과학 흥미도, 과학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on the career recognition, scientific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s of students in a specialized class of the general high school. In particular, w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career recognition, scientific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of students in the specialized class who were directly involved in society after finishing high school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B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12 sessions of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was applied, and a pretest and posttest of career recognition, scientific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as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recognition of students in the specialized clas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applying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Among the sub-areas, significant improvements have been made in the areas of self-understanding and rational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after applying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the scientific interest of students in the specialized class has improv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Among the sub-area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made in the areas of interest in science, enjoyment and tool motivation in science. Thir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the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specialized class has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mong the sub-are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in the pleasure areas of science cl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future career-related STEAM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areerl recognition, scientific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among students in the specialized class.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STEAM programs for student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 취업 가능성 및 관련 직업 특성 탐색

        장현진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and to identify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employability perceived by workers. To do thi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data surveyed on 2,600 workers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in the ‘Research on Korean Occupational Index for Career and Employment Service(2017)’.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was low, except for some occupations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fields. Second,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employment possibilities of the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re as follows: low importance of the final education, low importance of the major, low importance of qualification, high importance of vocational training, easy to return after the career break,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high level of pleasant work environment, high employment retention, easy to self-employment or start-up, and increasing number of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support employment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 from the occupa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some detailed jobs or to develop convergence occupation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that increase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to science and engineering occupations.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특성화고 학생이 제공받은 직업정보와 취업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조준형(Joon-Hyung Cho),양용진(Yong-Jin Yang),이병욱(Byung-Wook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 학생이 학교에서 직업정보를 제공받은 정도와 취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생의 취업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직업정보의 유형에 관한 유의미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제공받은 직업정보의 정도와 취업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이 직업정보를 제공받은 정도에 따른 취업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확인된 변수에 대하여 Scheffe검증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의 취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변인의 설명력과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 학생이 학교로부터 제공받은 직업정보의 유형은 ‘직무 정보’가 가장 많았고, ‘작업 환경 정보’가 가장 적었다. 둘째,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82로 약 67.5%의 학생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제공받은 직업정보의 정도에 따른 취업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이 제공받은 직업정보는 학생의 취업만족도를 25.1% 설명하고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특성화고 학생의 취업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직업정보들의 상대적인 중요성과 영향력은 ‘산업체의 복지 후생’, ‘직무 내용’, ‘직무 수행에 필요한 기술, 지식, 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성화고 학생에게 제공되는 직업정보 중에는 산업체의 물리·화학적 환경에 관한 정보, 사회·심리적 환경에 관한 정보 등의 ‘작업 환경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유형의 직업정보를 충분히 제공하기 위하여 직무 분석의 과정에 기업의 적극적인 협조가 요구된다. 또한 양질의 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기 위한 충분한 인력과 시간, 비용이 수반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통한 직업교육 환경의 조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on the type of job information necessary to improve student"s job satisfac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to which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ceived job information at school. To this e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ME Specialized High School Human Resources Training Program in 2021 were surveyed on the degree of job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hool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is result,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were provided with job information was analyzed, and a follow-up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Scheffe verification f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xplanatory power and influence of variables on student employment satisfa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ME manpower training program had the most "job information" and the least "work environment information" among the types of job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chool. Second, the average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ME manpower training program was 3.84, and about 68.9%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atisfi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job information provide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job information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xplained the student"s job satisfaction by 25.1%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ve importance and influence of job information that significantly explains job satisfac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welfare of industry companies", ‘job content’, and ‘skills, knowledge, and ability necessary for job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