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기도의 대중국 관광마케팅 전략 연구

        김흥식,좌승희 경기연구원 2009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2009 No.11

        세계관광기구(UNWTO)에서 2020년 세계 5대 아웃바운드 송출국으로 전망한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은 지난 5년 간 연평균 20% 성장하였으며, 관광시장 지출액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세계 5위 지출국이자 아시아의 첫 번째 관광지 출국이 되었다. 관광산업에 대한 인식변화와 함께 관광산업의 지위와 경제적 역할의 증대가 중국 관광시장의 성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92년 한 중 국교 수립이후, 해로와 공로를 통한 노선이 꾸준히 확대되면서 방한 인바운드 시장에서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는 비율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약 17%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는 중국 관광시장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세분시장별 관광마케팅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방한 관광동기 형성 관점에서 중국인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을 분석한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기도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위하여 중국인 관광객의 행태적 특성을 고려한 관광유형별 마케팅 방안 및 세분시장별 관광상품을 개발함으로써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의 신성장동력 산업화를 통해 경기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 관광마케팅 관련 기존 문헌연구 검토, 중국 시장 동향 파악 위한 관련자료 검토, 국내외 사례 연구와 방한 중국단체관광객 및 재한 중국인 유학생 설문조사, 여행사 관계자 심층인터뷰 등의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1998년 중국 전 지역으로 한국비자 발급이 확산되면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2008년까지 안정적으로 성장하였지만, 방한 만족도는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일본 등 경쟁국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방한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방한동기는 쇼핑, 휴양/휴식의 비중이 높아졌고, 방문목적지 중 경기도의 방문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주요 관심사는 쇼핑, 휴양/휴식과 관광지 방문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행정보는 주로 인터넷과 구전을 통해 입수하며, 단체관광객보다 체재기간이 긴 개별관광객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단체관광객은 주로 호텔을 이용하는 반면, 개별관광객은 호텔, 유스호스텔, 친구/친척집 등 다양한 숙박시설을 이용한다. 쇼핑장소는 재래시장에서 면세점, 백화점까지 다변화되고 있고, 주로 인삼 및 한약재와 의류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관광시장 특성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관광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타지역에 비해 소비여력이 월등히 높고 개방도가 높은 동부연해지역, 즉 북경, 천진, 상해, 강소, 절강, 복건, 산동, 광동, 해남 등지의 전략적 핵심지표 설정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 관광수요는 쓰나미 효과가 있기 때문에 성 소재지와 교통허브거점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중국 문화와 중국인의 정서를 고려한 경기도 관광상품 개발 및 마케팅 활동의 현지화가 필요하다. 넷째, 고급 관광수요 유인 위한 경기도 관광 브랜드를 구축해야 한다. 중국 관광시장은 고도성장으로 인해 대량관광(Mass Tourism)시대로 진입하고 도시화의 급속한 진전으로 동부연해지역 및 도시지역이 관광소비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환경의 문제점은 관광 수용태세 관련(안내체계, 음식서비스, 쇼핑, 중국관광객 대상 전문식당 지정제도 실효성 미흡), 관광상품 관련(단순한 형태의 관광상품 및 덤핑상품의 난립, 중국인 대상 결제시스템 미흡, 중국어관광통역안내사 육성정책 미흡 등), 홍보 및 마케팅 전략 부족(차별화된 관광마케팅전략의 부재, 중국 관광시장 분석을 통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전략 부족 등)등으로 이와 같은 문제점 극복을 위한 경기도 관광의 SWOT분석과 관광유형별 마케팅 대책, 세분시장별 관광상품 개발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경기도는 중국과의 지리적 인접성, 한류로 인한 긍정적 이미지, 인천대교 개통으로 인한 관광객의 직접 유치, 관광객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풍부한 개발 가용지 등 관광환경의 강점과 기회를 살림으로써 ‘저렴한 경비’와 ‘짧은 거리’ 여행을 추구하는 기업 인센티브 또는 수학여행단 유치, 기업/단체 인센티브 여행 후 자녀를 문화교육 여행목적지로 재방문 유도, 편안하게 다녀올 수 있는 첫 여행지로 프로모션 하였다. 그리고 교육목적여행, MICE 관광, 한류관광, 의료관광, 쇼핑관광, 해양관광, 역사관광, 생태관광, 게이밍 산업 관광/전통주 기행과 같은 특별목적관광(SIT) 등 관광유형별 마케팅 방안을 수립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30~40대 남녀, 20대 여성, 인센티브 관광객, 수학여행단, Ferry&Cruise 관광객, Stopover 관광객, 실버 관광객 등으로 목표시장별 포지셔닝 컨셉을 설정하고, 관광마케팅믹스전략(4ps) 중 관광상품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관광상품을 제시하였다. 경기도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여, 산업시찰 관광상품 ‘삼성 투어’, 전통문화와 프리미엄 아울렛몰을 연계한 ‘경기 도당굿을 찾아서’, 전통혼례 체험 ‘Love in Gyeonggi(Wedding Arirang)’, 온천/스키장과 민속주 공장/술박물관을 연계한 ‘설국으로의 초대/한국전통주 기행’, 수변자원을 활용한 결혼기념 패키지상품 ‘앙코르웨딩(Wedding Anniversary)’, Health Tour/미용관광(Beauty Tour)상품 ‘Before&After’, 낙조 및 생태체험이 가능한 ‘제부도 낙조공원’, 전통 한증막을 이용한 에스떼 관광상품 ‘No Pain, No Beauty’, 자매결연도시 방문객 대상 ‘이웃사촌 나들이’, 수학여행단 대상 ‘조선문화유람단’ 등이 이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관광정책의 효율적 집행을 위하여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 직무교육 강화, 커뮤니케이션 원활화를 위해 시범적으로 중국어 안내 인턴제도 도입, 경기도 관광불편센터 운영, 중국인 개별관광객을 위한 Taxi Tour Guide Program 개발, 중국 관련 역사문화자원의 관광자원화를 위한 DB 구축, ‘인롄(銀聯)카드(China Union Pay)’가맹점을 활용한 홍보 강화, 중국 실버시장을 겨냥한 은퇴이주프로그램 홍보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arketing strategies for attracting Chinese tourists to Gyeonggi-Do. As Chines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has been rapidly growing, many countries have started paying attention to the potential of the market and compete with one another to attract more Chinese tourists to their countries in mega competition era. First of all, we analyze the growth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to formulate effective and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Second, our study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Korean Wave and Chinese outbound tourism to Korea and analyzes the influence of the Wave on Chinese tourism market through the behavioral analysis of Special Interest Tourist (SIT) as well as group package tourists. Based on the analysis, we categorize the tourism marketing measures by type for attracting more Chinese tourists to Korea. Finally, this study develops the practical 10 tourism products for Chinese tourists by market segmentation and major findings show that the policy priority should be toward the expansion of tourism-related infrastructure.

      • KCI등재

        관광지 이미지에 의한 중국관광객 시장세분화 연구

        이종주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3

        2016년 8월부터 사드로 인한 중국관광객 감소의 경우를 제외하면 최근에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관광객들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한국경제연구소(2015)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한국 재방문율은 2011년 이래로 감소하고 있으며, 한국체류일수도 2011 년에 10.1일에서 2014년에 5.7일로 감소하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2015년 외래관 광객실태조사(2016)에 의하면 2015년에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5,467,782명으로 이들 중 60% 이상이 한류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한류로 인해 한국을 방문하게 되 는 중국관광객은 매우 많기에 한류로 인한 방한 중국관광객에 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국관광객의 낮은 재방문율과 체류일수 감소의 문제를 방한 중국관광객의 시장세분화를 통해 해법을 찾기 위해 다음의 연구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관광지 이 미지를 사용해서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관광객을 분류한다. 둘째, 시장세분화를 통해 한국 관광지 이미지에 대한 의미 있는 차이가 각 세분시장별로 존재하는지를 확인한 다. 셋째, 각 세분된 시장은 인구통계적 특성, 한국드라마, 연예인, K-pop과 한류관여 도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SPSS 20.0을 활용한 분석을 통해 세분된 시장에 따라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로 도출된 세분시장에 따른 중국관 광객들의 인구통계적 특성, 드라마, 연예인, K-pop와 한류관여도의 차이를 고려한 차 별화된 마케팅전략 방안을 강구하였다. Despite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Chinese tourists who visit Korea, the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says that the revisit rate of Chinese tourists has decreased since 2011. It has been reduced to 5.7 Korea stays in 2014 from 10.1 Korea stays in 2011. 0ver 60%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15 were an effected of the Korean wave. The number of Chinese coming to Korea for the Korean wave has become huge and more important tourism market gradually. Therefore, this paper segments the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for the Korean wave using the image of tourism to resolve the issues about reduced stay and low rate of return visit. First, it segments Chinese tourists market coming to Korea using the image of tourism. Second, it confirms whether each of the segmented market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Korean tourism image through market segmentation. Third, it confirms whether each of them is distinct based o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drama, the celebrity, k-pop and Korean wave involvement. And it confirms the difference existing in the segmented market and points out the right direction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 KCI등재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 확대에 따른 제주의 중국인 관광객 유치확대 방안

        鄭智馨,金炫兌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중국 아웃바운드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5.7%의 고속성장을 지속하면서 세계 제1의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중국 소비자는 경제력 확대와 소득의 증가 및 중산층의 증가로 인해 세계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는 주요한 변수로 주목받고 있으며, 전 세계는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내용은 중국 아웃바운드시장의 동향을 고찰하고, 변화하는 중국인 해외관광객 특성 및 제주의 대중국 마케팅 추진사항 분석을 통해 제주의 중국인관 광객 유치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제주의 중국인관광객 유치확대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중국 지역 별 아웃바운드 시장의 특징 및 변화추이에 따라 시장 세분화를 통한 유치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중국인 해외 관광객 특성에 따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고부가가치 개별관광객을 위한 고급화되고 차별화 된 홍보가 필요하다. 셋째, 중국인관광객 관광수요 유인을 위한 제주도의 관광 브랜드 구축을 위해 중국인의 정서를 고려한 제주 홍보마케팅의 현지화가 필요하다. The Promotion Plans for Attracting Chinese Tourists to Jeju Island Based on the (Rapid) Growth of Chinese Outbound Tourism MarketChinese outbound tourism market has soared into the world’s largest market, while continuing its rapid annual growth rate of 15.7% for the last five years. Chinese consumers, especially, has been to the fore as a major variable which is leading the flow of the world market thanks to the expansion of Chinese economic power, the rise in national income, and the growth of mid-income earners. Thus, the world tourism markets are fiercely competing for attracting Chinese tourists.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to take a look at the recent trend of Chinese outbound market and to propose certain effective alternatives for attracting Chinese tourists to Jeju Island in analyzing the ever- changing trends of Chinese tourists and the marketing plans for Chinese tourists of Jeju Isl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order to attract Chinese tourists effectively, first, (various) attraction strategies through market segmentation are necessary, depending on the features and trends of the regional outbound markets in China. Second,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are necessary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overseas. To accomplish them, in particular, certain high-valued and differentiated public relations are essential. Third, the localization of Jeju’s PR marketing agreeable to the Chinese sentiment is necessary in order to produce a tourism brand of Jeju Island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Chinese tourists.

      • KCI등재

        중국관광객의 한국방문동기 시장세분화 연구

        팽수(Peng, Shuai),남문희(Nam, Moon-Hee),정강환(Jeong, Gang-Hoa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2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는 중국이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의 관광객 수출국이 될 것이며, 2020년에는 중국인 해외여행객 수가 2억 명까지 증가하여 단일 국가시장으로서는 세계 최대의 관광국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방한 중국관광객은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8년 북경올림픽 개최이후 해외여행 자유화로 인해 중국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는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으며, 2010년 7월 이후부터는 중국 관광객이 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외래 관광객 1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방한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 동기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관광객들의 한국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관광객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여, 관광사업의 관리와 마케팅전략 등을 창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방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시행한 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중국관광객의 방문동기에 관한 잠재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라서 유사한 그룹을 구분하였으며, 교차분석(cross-tab analysis)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광형태, 그리고 관광선호도 측면에서 군집 간의 차이점을 탐구하였다. 분석결과, 방한 중국관광객에 대한 방문동기에서 신기성,문화탐색성,일탈성,휴가성,사교성,가족친목성 등의 요인을 탐구하였으며, 관광객의 방문동기요인에 따른 방한 중국관광객의 군집분석 결과, 문화친목추구 집단, 휴가일탈추구 집단, 다목적추구 집단, 저동기 집단 등 4개의 군집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군집과 관광객의 인구통계학적특성 및 관광형태, 그리고 관광선호도 특성과의 교차분석 결과, 방한 중국관광객의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혼인상태, 방문경험, 동반형태, 거주지, 정보원천, 스타, 축제, 기념품의 변수에서 각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관광객은 한국의 화장품과 미용상품,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문화이벤트, 다양한 장르의 축제 등에 관심이 많으며, 한국만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문화와 자연환경 등에도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관광지의 관광시설과 유흥상품, 한류문화 등에도 높은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관광객의 성향과 방문동기에 맞춘 지속적인 한류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UNWTO(UN World Tourism Organization) has predicted that China will be world’s 4th largest tourist importing country, and by 2020, number of Chinese foreign tourist will reach to 2billion, naming it the largest tourism country. The Chinese tourists to coming to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since 2000. Since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ourism after 2008 Beijing Olympic, the rate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has constantly increased and since July 2010, Chinese tourists has exceeded Japanese tourists and became the largest visitor group.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Chinese tourists and identify tourist’s characteristics through market segmentation on their motivations of visiting Korea to generate marketing strategy and management of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and analyzed substantial cause of motivation to visit through factor analysis.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visitors were classified by similarity in their motivation to visit and by cross-tab analysis,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m of tourism and tourism preferenc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n motivation of visiting Korea, novelty, cultural venture, deviation, vacation, sociality and family rel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cultural relationship group, vacation-deviation group, multiple caused group and low-motivational group were identified. Also, as a result of cross-tab analysis of each group and visitor’s democratic characteristic, form of tourism and tourism preferences,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in age, education, job, income, marital status, visiting experience, company, residence, source of information, celebrity, festival and souvenir were identified. Moreover,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re highly interested in cosmetics, stress relieving cultural event and multi-genre festivals along with Korean unique culture, nature, tourist attraction, entertainment product and Hallyu (Korean wave) culture. Based on this research, the need for constant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 according to Chinese tourists’ motivation of visit arises.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는 중국이 미국, 일본, 독일에 이어 세계 4위의 관광객 수출국이 될 것이며, 2020년에는 중국인 해외여행객 수가 2억 명까지 증가하여 단일 국가시장으로서는 세계 최대의 관광국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방한 중국관광객은 200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8년 북경올림픽 개최이후 해외여행 자유화로 인해 중국관광객이 한국을 방문하는 비율은 계속 증가하였으며, 2010년 7월 이후부터는 중국 관광객이 일본을 제치고 한국의 외래 관광객 1위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방한 중국 관광객의 한국 방문 동기가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국관광객들의 한국방문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통해 관광객 시장의 특성을 파악하여, 관광사업의 관리와 마케팅전략 등을 창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방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증 조사를 시행한 후,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중국관광객의 방문동기에 관한 잠재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통해 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라서 유사한 그룹을 구분하였으며, 교차분석(cross-tab analysis)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광형태, 그리고 관광선호도 측면에서 군집 간의 차이점을 탐구하였다. 분석결과, 방한 중국관광객에 대한 방문동기에서 신기성,문화탐색성,일탈성,휴가성,사교성,가족친목성 등의 요인을 탐구하였으며, 관광객의 방문동기요인에 따른 방한 중국관광객의 군집분석 결과, 문화친목추구 집단, 휴가일탈추구 집단, 다목적추구 집단, 저동기 집단 등 4개의 군집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군집과 관광객의 인구통계학적특성 및 관광형태, 그리고 관광선호도 특성과의 교차분석 결과, 방한 중국관광객의 연령, 학력, 직업, 월평균소득, 혼인상태, 방문경험, 동반형태, 거주지, 정보원천, 스타, 축제, 기념품의 변수에서 각 군집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관광객은 한국의 화장품과 미용상품,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문화이벤트, 다양한 장르의 축제 등에 관심이 많으며, 한국만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문화와 자연환경 등에도 관심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관광지의 관광시설과 유흥상품, 한류문화 등에도 높은 기대를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국관광객의 성향과 방문동기에 맞춘 지속적인 한류상품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UNWTO(UN World Tourism Organization) has predicted that China will be world’s 4th largest tourist importing country, and by 2020, number of Chinese foreign tourist will reach to 2billion, naming it the largest tourism country. The Chinese tourists to coming to Korea is constantly increasing since 2000. Since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ourism after 2008 Beijing Olympic, the rate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has constantly increased and since July 2010, Chinese tourists has exceeded Japanese tourists and became the largest visitor group.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Chinese tourists and identify tourist’s characteristics through market segmentation on their motivations of visiting Korea to generate marketing strategy and management of tourism industry.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and analyzed substantial cause of motivation to visit through factor analysis.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visitors were classified by similarity in their motivation to visit and by cross-tab analysis,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 form of tourism and tourism preference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in motivation of visiting Korea, novelty, cultural venture, deviation, vacation, sociality and family relation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cultural relationship group, vacation-deviation group, multiple caused group and low-motivational group were identified. Also, as a result of cross-tab analysis of each group and visitor’s democratic characteristic, form of tourism and tourism preferences, th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groups in age, education, job, income, marital status, visiting experience, company, residence, source of information, celebrity, festival and souvenir were identified. Moreover,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are highly interested in cosmetics, stress relieving cultural event and multi-genre festivals along with Korean unique culture, nature, tourist attraction, entertainment product and Hallyu (Korean wave) culture. Based on this research, the need for constant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 according to Chinese tourists’ motivation of visit arises.

      • KCI등재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에 관한 연구

        오수경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방한 중국인관광객 현황 및 특성, 한국체재기간 중 만족 및 불만족 사항 분석, 국내외 중국인 관광객 유치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중국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위안화 강세에 따른 중국인의 소비시장 확대 및 여가와 관광에 대한 인식 변화로 중국의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2010년 5,739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세계관광기구는 2020년 중국인 해외관광객을 1억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아웃바운드 관광의 70%이상이 홍콩, 마카오에 집중되어 있으며 30%가 이 시장을 두고 한국, 일본, 동남아등 각국이 경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2012년 중국관광객 300만 명 유치목표를 수립하고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국 아웃바운드 시장 점유율은 3~4% 수준에 불과하여 시장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중국인관광객 유치확대를 위해서 비자제도를 완화하거나, 현지홍보 및 마케팅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number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eir compliments and complaints during their stay in the country, and successful cases in drawing Chinese tourists and propose ways to promote the attraction of Chinese tourists to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ntinued growth of the Chinese economy and the rising strength of the yuan currency 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Chinese people's consumption and changing their perception of leisure and tourism. As a result, China's outbound tourism market exceeded 57.39 million visitors in 2010 while enjoying continuous growth and the World Tourism Organization has predicted that the number of outbound Chinese tourists will reach 100 million in 2020. Hong Kong and Macao account for more than 70 percent of China's outbound tourists, and South Korea, Jap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compete for the remaining 30 percent. South Korea is pushing a wide range of tourism policie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with the goal of attracting three million Chinese tourists until 2012. South Korea's current share of the Chinese outbound tourism market is only 3-4 percent; therefore, a variety of strategic approaches are required for market expansion. Many countries have been making diverse efforts to attract a larger number of Chinese tourists, like easing their visa requirements or undertaking aggressive promotional and marketing activities.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also making attempts to draw Chinese tourists by developing their own plans for the purpose and organizing task forces for specific activities, but in fact they are not differentiated from one another.

      • KCI등재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 업무 환경 개선방안

        오수경 ( Soo Kyung Oh ),전명숙 ( Myung Sook Je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3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3 No.3

        최근 한국관광 시장의 특성은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로 인하여 인바운드 시장 중심이 일본에서 중국으로 변화됨에 따라 이들을 안내하는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의 업무역할에 대한 중요성과 업무능력 품질 제고를 위한 업무 환경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관광통역안내사 업무의 중요성은 관광객을 최일선에서 맞이하여 한나라의 전통과 문화, 역사 등 전반적인 내용과 관광자원을 해설하고 관광객의 보호자역할을 하게 되어 국가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역할을 하며 관광통역안내사 스스로가 관광상품의 일부가 되어 관광만족도를 결정하는 중요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관광통역안내사의 자질은 관광상품의 품질뿐 아니라 국가이미지와 구전에 의한 잠재관광객 홍보와 유치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중국어 관광통역 안내사는 중국 인바운드 관광시장의 다양한 구조적인 문제점과 관광인력의 고질적인 병폐로 인하여 관광상품의 품질저하를 주도하는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것이 사실이다.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아웃바운드 시장수요를 만족시키며 지리적, 문화적 장점을 활용한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하여 중국어 관광통 역안내사 업무환경에 관한 문제점 분석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 확립이 절실한 시점이다. Currently inbound main tourism market has been changed from Japanese tourism market to Chinese one. According to this symptom Chinese tour guide role and their qualification, work performance are recognized more severe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work environment of Chinese speaking tour guide and to develop Chinese inbound tourist market. The role of tour guide is not only guiding tourist at the first row of tourism industry but also they becoming a part of tourism product themselves and they create tourist`s satisfaction. The qualification of tour guide influence to the quality of tour product and the image of a country. In Chinese inbound tourism market the qualification of a tour guide has focused on as a major problem issues. In order to hold potential Chinese tourists it should be clear out as quick as possible. To improve Chinese tour guide`s work environment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deal with low priced tour agency, employment of non-licenced tour guide, replacement of official recognized other foreign tour guide, establish of tour guide self esteem encouragement system.

      • 중국인 부유층 관광객 국내 유치 전략에 관한 연구

        金明俊,金成哲 한중경상학회 2013 한중경상연구 Vol.12 No.1

        2010년 중국인 출국자수는 전년대비 20.8% 증가한 5,739만 명으로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아웃바운드 관광시장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UNWTO는 2020년 중국인 해외 관광 객을 1억 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부유층 관광객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국가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의 급성장과 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의 대체 관광목적 지로 한국의 전환수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유층을 타깃으로 하는 관광객 유치 전략 을 제시하기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각종 통계자료와 한국관광공사 등에서 발간된 보고서 및 언론보도자료 등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시장 동향, 방한 중국인 부 유층 관광객 현황 및 특성, 한국체재기간 중 만족 및 불만족 사항, 국내외 유치사례, 유치환 경 관련 문제점,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중국 부유층 관광객을 한국으로 유 치하기 위한 정책 추진방향과 단계별 핵심 추진사업 및 정책제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인바운드 부유층 관광객 지출패턴 결정요인

        김흥식(Heung Sik Kim),이정섭(Jung Sub Lee),김영래(Young Rae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12 관광연구저널 Vol.26 No.2

        중국의 2010년 아웃바운드 관광시장의 규모는 전년에 비해서 20.8% 증가한 5,700만 명이었다. 이러한 증가추세는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베이징, 상하이와 광둥 등 중국의 1선도시의 신흥부유층 관광객의 적극적인 국외여행에 대한 수요에 기인한다. 글로벌 관광시장에서 중국 신흥부유층 관광시장은 블루오션으로 각광받는 등 세계관광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중국인 신흥부유층 관광객 유치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최근 동북아 항공셔틀관광시대의 개막, 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관광수요전환효과, 신한류 영향으로 대외적 이미지 제고 등은 중국인 관광객을 한국으로 유치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중국 신흥부유층 관광객은 특별한 여가와 전통성 및 로컬 경험을 중시하는 맞춤형 고부가가치 독립형 관광객이란 점에서 파급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 부유층 관광객의 시장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이들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한국을 방문하는 부유층 관광객의 지출패턴과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한국관광공사에서 매년 조사되고 있는 [2010년외래관광객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그들이 응답한 연평균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소득이 55,000 위안 미만을 열망자(aspirants), 55,000-200,000 위안을 중산층(middle class), 그리고 200,000 위안 이상을 부유층(wealthy class)으로 분류하여, 부유층을 중심으로 그들의 특성과 지출 결정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유층은 다른 계층에 비해서 지출규모가 크며, 그들은 젊고, 여성인 경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은 호텔에 투숙하면서 높은 체제일수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한․중 관광협력을 통한 중국관광시장 진출전략

        이웅규,嚴姸子 한국관광연구학회 2005 관광연구저널 Vol.19 No.3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한국 및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이며 경제뿐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관광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중 관광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양국간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급팽창하는 중국관광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이를 위해서 우리는 단편적이나마 중국의 관광산업정책과 발전현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대응하여 한국 관광기업이 중국에 효과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보다 장기적이고 치밀한 관광지원정책과 비즈니스 전략만이 우리가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아 효과적으로 중국관광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Segmentation by Preference of Chinese Tourism Festival Visitors

        Ting Hu (호정),Myoung Jae Lim(임명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3

        관광축제분야는 개발의 용이성과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관광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관광시장에서 축제상품은 높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잠재관광객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선호하는 축제유형을 알아보고, 선호유형에 따른 잠재시장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선호축제유형에 따라 4개의 세분시장이 도출되었으며, 각 시장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과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잠재관광객의 선호시장 유형을 알아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세분시장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관광축제 개발자들에게 축제의 특성에 따른 표적시장 수립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in terms of numbers and diversity of festivals in China. With the increasing of festivals attended by residents and tourists, it is essential for festival managers to develop a profile for visitors that can guide marketing and developing procedures. This study aims to segment potential visitors to Chinese tourism festivals based on their preferences an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ed group.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 survey is conducted to Chinese potential visitors. As the results, four clusters a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are found among the clusters. Based on the segmentation results, some marketing strategies are proposed for festival managers to develop their festivals and to find their target mark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