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수준 및 과학과 핵심역량과의 상관성 분석

        방경현,김현섭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2 교육발전 Vol.42 No.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자기효능감과 메타인지 수준을 조사하고 이들 두 요인과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의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충남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 총 37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각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학자기효능감은 중학생의 경우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으나 유미한 차이는 없었는데, 하위요소인 과학성취기대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고등학생은 남녀 학생이 거의 유사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중고등학생 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과학성취기대감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중학생의 메타인지 수준은 모든 하위요소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고등학생은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약간 더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는데, 하위요소인 연습 영역은 여학생이 매우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리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전체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게 높았으나 연습 영역에서는 고등학생이 매우 유의미하게 높았다. 중고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 수준은 전체적으로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높았지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학적 탐구능력은 중학생이 고등학생 보다 약간 높았다. 과학자기효능감, 메타인지, 과학과 핵심역량의 세요인 모두에서 학교급간의 성별에 따른 변화 경향성이 남녀 간의 정반대로 나타났는데, 남학생은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증가한 반면, 여학생은 감소하였다. 세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요인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과학자기효능감과 과학과 핵심역량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교수 전략과 실행 방안을 구안하는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개념

        박재황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counseling which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in Korea and also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counseling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between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an interview method to collect the data. The questionnaire for the interview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6 items(Have you ever heard of the word ‘counseling’?, Have you ever taken counseling?, What are three words associated with counseling?, What do you think counseling means? When do you think counseling is necessary?, What do you think will be happening in the counsel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7 junior high and high school teacher interviewers and 505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χ² of the SPSS 14.0 ver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ing. The students described counseling as process of solving problems relating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movement into upper level of education through talking with school teachers. The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and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generally not significant with some exceptions. It was impli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s and scholars in counseling should understand the students' meaning of counseling sincerely to facilitate their behavior toward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이 상담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상담의 개념화가 성별 및 중고 학생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중고등학생의 상담에 대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인터뷰 질문지는 2개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은 응답자의 인적사항에 관한 문항으로서 참여자의 학교 급(중학교 혹은 고등학교), 고등학교생의 경우 학교의 유형(인문계 혹은 전문계), 학년, 그리고 성별을 포함시켰다. 두 번째 부분은 인터뷰를 위한 문항으로서 상담에 대한 경험 탐색의 2개 문항(상담이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상담을 받아 본 적이 있는가?)과 상담 개념 탐색을 위한 4개 문항(상담이라는 말을 들으면 떠오르는 단어 3개는? 상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상담은 어떤 경우에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는가? 상담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는가?)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면접 교사의 수는 57명이었으며 학생의 수는 총 505명이었다. 참여 학생의 성별 및 학교 급별 분포는 여학생 246명, 남학생 259명, 그리고 중학생 267명, 고등학생 23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고등학생은 상담을 ‘성적이나 진로 및 진학을 중심으로 고민이나 문제가 있을 때 선생님과 대화를 통하여 그 고민이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성별과 학교 급별 간에는 대동소이하였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응답 정확성

        이정환(Jung-whan Lee),김석호(Seokho Kim)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이 응답한 가구 월소득의 정확성을 살펴보고, 그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체적으로 가구월소득에 대한 학생의 응답과 부모의 응답간 차이가 아주 크지는 않았는데, 학생의 응답 60% 정도가 부모의 응답과 일치했다. 가구월소득에 대한 응답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의 경제활동에 있어서는 맞벌이 하는 부모를 둔 학생이 홀벌이를 하는 부모를 둔 학생보다, 학급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응답오차가 큰 경향이 있었다. 응답오차의 방향과 관련하여, 맞벌이부모의 학생은 홀벌이부모의 학생보다, 학급성적이 낮은 학생일수록, 가구 월소득이 적을수록, 아버지와의 관계가 좋은 학생일수록 가구의 월소득에 대해 부모가 한 응답보다 더 많게 응답하는 경향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ccura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 on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racy. Data are based on a surve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responses on their monthly household incomes. Response error is associated with being male and children of dual income families, and having low school grades. Students of dual income families, with low school grades, from low household income families and with good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s tend to report larger amounts of monthly household income than their parents.

      • KCI등재

        다중 의제를 활용한 중고등학생의 협상 수행 양상

        정민주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4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usefulness of multi-issues negotiation tasks by considering how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struct options in utilizing of multi-issues in carrying out negotiation tasks Methods: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it presents multi-issues simulation negotiation tasks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s how they construct and adjust alternatives in using of them. Results: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aspect in which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e up with various alternatives by using the way of combining the set of negotiation agendas into multiple agendas. Even when the negotiations come to a deadlock, the students actively carried out the way of adding new issue or changing existing ones. Second,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activate diagnostic questions with a view to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ir issues when they reconstruct alternatives by utilizing the issues. Third, this study identifies the aspect in which, in the process of the simulated negotiation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reated the options of negotiations by subdividing the attributes of a particular issues or newly setting a non-existent issue. Conclusion: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finds the usefulness of the context of the multi-issues negotiation tasks.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들이 협상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다중 의제를 활용하여 어떻게 대안을 구성하고 조정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다중 의제 협상 과제의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이를 위해 A지역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다중 의제 협상 과제를 제시하고 모의 협상을 수행하도록 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분석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은 협상 과제에 제시된 다중 의제를 전략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대안을 역동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중고등학생들이 여러 의제를 활용하여 대안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선호나 가치를 파악하는 질문을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고등학생들이 의제의 속성을 세분화함으로써 새로운 의제를 만들어 대안을 창출해 내는 특징을 포착하였다. 결론:종합해 볼 때, 중고등학생들이 다중 의제 협상 과제를 수행하면서 의제를 결합하고 전환하고 변용함으로써 대안 구성의 역동성과 창의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황매향,김지현,유정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3 청소년상담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by examining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aspiration, the orientation to occupational sex role, and the orientation to prestige of occupations. Korean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ected to have a cognitive occupational map that is congruent with the Korean Job Map based on the 2001 Korean labor market. The responses of 374 Korean students indicated sex difference in the career aspiration. Girls had higher aspirations in Social and Artistic occupations. The two-dimensional occupational map (Sex type by Prestige level) suggested (a) Junior 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similar images of sex type of occupations with the Korean Job Map and (b) they were still confused in the prestige level of occupations. The uniqueness of Kore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and cultural validity of Gottfredson's career development theor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직업에 대한 포부 그리고 인식의 형성, 발달과정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Gottfredson (1981)에 따르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직업의 이미지가 있으며 그것은 비교적 인생의 초기단계에 형성된 다. 이는 두 개의 축 (dimension), 즉 직업의 ‘성별 유형’과 ‘사회적 지위’로 구성되는 직업인지지도에 의해 확인 된다. Lapan과 Jingeleski (1992)는 미국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위의 이론을 검증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는 한국의 중, 고등학생들의 직업 인식의 발달을 직업인지지도의 양상과 변화를 실제 한국 직업세계를 반영하는 직업지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직업영역에 대한 포부수준은 연령이 증가되면서 여학생들은 보다 여성적인 직업에서 높은 포부수 준을 보여주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남․여학생이 모두 직업의 성별 유형과 사회적 지위에 대해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Holland의 직업 유형에 따른 직업인지지도를 통해 알아 본 중․고등학생들의 직업 에 대한 인식은 성별,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Holland의 직업 유형에 따른 직업의 성유형에 대해서는 성별, 연 령집단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학생들의 직업인식 내용은 성별, 연령별로 차이를 보였고 실제 직업세계와도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윤소정(Yune, Sojung),전보라(Jeon, Bora),정상훈(Jeong, Sanghoon),김회용(Kim, Hoy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와 시간관리능력, 시간관과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B시 중학교 10개교와 고등학교 6개교 총 4001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습플래너 사용도와 시간관리능력, 시간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학교별로 학생 4~6명의 포커스그룹 집단을 구성하여 학습플래너 활용도를 제고하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 결과는 Giorgi(1985)가 제시한 4단계 질적분석 방법을 통해 학습플래너 제고 방안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 수준이 높은 집단이,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학습플래너 활용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플래너 사용을 잘하는 집단의 학생들은 미래지향적 시간관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세우기, 우선순위 정하기, 계획하기, 실행하기, 평가하기, 정보이용하기 등의 시간관리 능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플래너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플래너에 대한 인식을 바꾸는 것이 가장 시급하며, 스스로 학습 플래너의 효과를 경험할 수 있는 직·간접적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ime perspectives, and time management skill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00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 city. Questionnaires about learning planner usage, time perspectives, and time management skills were conducted. We also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explore methods that could heighten the use of the learning planner.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The statistical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 by using SPSS 18.0 for Windows.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y a 4-step qualitative analysis method proposed by Giorgi(198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rather than male students, the higher learning achievement group, rather than the lower achieving group, and high school students, rat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better at using the learning planner. Second, the group that had a high usage of the learning planner had prospective time perspective as well as a high level of time management skills in planning goals, determining priorities, planning and conducting, evaluat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usage of the learning planner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aising awareness among students about the learning planner is the most urgent issue. It will be helpful to provide many opportunities, directly or indirectly, for students to experienc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learning planner to increase student success.

      • KCI등재

        중고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정옥분,임정하,정순화,김리진,윤정은 한국인간발달학회 2012 人間發達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한국적 교육현실에 적합한 중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예비문항은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중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보완 과정을 거쳤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의미전달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조사는 서울시와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3,71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증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척도는 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에서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과정을 통해 내용타당도의 증거가 확인되었다. 2단계에서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동기 요인 27문항, 학습능력 요인 22문항, 학습전략 및 기술 요인 29문항으로 총 78문항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 하위척도는 공부의지도, 인생목표, 학습목표, 자기결정성, 공부미래확신도, 공부희열도로 정리되었고, 학습능력 하위척도는 학습몰입, 논리적 사고력, 핵심파악능력, 학습집중력으로 정리되었으며, 학습전략 및 기술 하위척도는 목표관리, 예습/복습, 지식관리로 정리되었다. 3단계로 자기주도학습능력 3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해 확증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와 개념신뢰도 및 분산추출 지수가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용 자기주도학습능력 척도는 신뢰도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반분신뢰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 바람직한 수준임이 확인되었다.

      • 중·고등학생의 성태도에 대한 부모양육태도의 영향

        박은미 한국아동보호학회 2021 아동보호연구 Vol.6 No.1·2

        본 연구는 성에 대한 호기심이 높은 시기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태도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시에 거주하고 있는 754명의 중고등학생에 대한 비대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를 SPSS 프로그램(28.0 버전)을 이용하여 평균차이 검증(t-test)을 실시한 결과,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는 성별 차이를 나타냈는데,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 모두 여학생의 평균이 남학생 보다 높았다. 성태도에 대한 부모양육태도의 영향에 대하여 성과 학년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중고등학생의 성태도에 대하여 부모양육태도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부의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중고등학생의 올바른 성태도 형성을 위해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부모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부모교육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parenting attitudes affect on sexual attitude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curious about sex. To this end, a online survey of 75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Gyeonggi Province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t-test using the SPSS program (28.0 version), the aver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both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And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sex and grade as a control variable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sexual attitude, it was confirmed that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had an effect on sexual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more active parental education is needed so that parents can recognize that their parenting attitudes affect the development of healthy sexual attitude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몽골 중고등학생의 학습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관계: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뭉흐체첵,임성택,홍송이 한국비교교육학회 2023 比較敎育硏究 Vol.33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 of Mongoli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Goal Orientation Types to Learning Flow, and mediating roles of Learning Motivation Types in the relations. [Methods] The subjects were 5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students 49%, female students 51%) from 5 schools located in Ulaanbaatar city and provincial areas. Statistical analyses and 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SPSS 26 and Amos 26. [Results] Only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has the direct effect to learning flow indicating that the learning goal that is oriented to mastery-approach is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 of increasing flow.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learning goal has indirect effects to learning flow with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Finally,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have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learning flow.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higher levels of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learning flow, and that learning motivation, especially, intrinsic motivation is the key controller of learning flow in the condition of given learning goal orientations. [연구목적] 최근 몽골 교육은 교사 중심 수업 방식에서 학생 중심 수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세계적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하고 있다. 학생들이 학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과 관련된 심리적 변인들에 주목해야 하며, 특히 학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학습몰입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몽골 울란바토르 및 지방 소재 5개 학교의 중고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으로 학습목표지향성(숙달목표지향성, 수행목표지향성), 학습동기(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와 설명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목표지향성 중 숙달접근지향성만 학습몰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었고, 숙달회피지향성과 수행목표지향성은 학습몰입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었다. 둘째, 숙달접근지향성, 숙달회피지향성, 수행목표지향성은 모두 내재적 동기와 직접적인 정적 관련성이 있었고, 수행목표지향성은 외재적 동기와도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모두 학습몰입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넷째, 내재적 동기는 숙달접근지향성, 수행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였고, 외재적 동기는 수행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만 매개변인의 역할을 보여주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몽골 중고등학생의 교사와 학부모, 학생에게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이병환 ( Byung Hwan Lee ),강대구 ( Dae Koo Ka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교부적응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도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12개교의 중등학교 학교부적응 학생 7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평균과 표준편차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부적응 행동은 부적응행동경험과 교사기대, 학업성적과 부모자녀관계 변인이 영향을 미쳤다. 학교이탈행동은 부적응 행동 경험, 가정폭력경험, 학급풍토가 영향을 주었고, 부적응행동경험과 가정폭력경험이 긍정적 영향을, 학급풍토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이탈은 부적응 행동경험이나 가정폭력, 학급풍토가 영향을 미치므로, 가정폭력에 대한 모니터링 지원이 있어야하고, 학급풍토는 학생들의 자유로운 분위기 형성을 위한 완충망이 될 수 있도록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학교생활에 흥미가 떨어지는 학생일수록 학교생활 적응 및 학습과 관련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학교의 부적응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기제로 단위학교 차원의 상담 지원이나 대안교실 프로그램 운영이 적절한 대처 방식이 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결국 학교에서는 학교부적응 학생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경주해야 한다. 행정기관에서는 학교를 떠난 학생들이 자신들이 지향하는 이념에 적합한 대안학교나 재활기관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chool maladjustment factors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we selected three stage stratified sampling method, and 720 students in 24 secondary schools in ○○province. Statistical methods were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in SPSS WIN 17.0. The significance level was at .05. School maladjustment instrument was composed of instructional maladjustment, school rule maladjustment, and classmate maladjustment. Through the research, its findings as follows: First, instructional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teacher expectancy, academic achieveme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Second, school rule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teacher expectancy,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school type. Third, classmate maladjustment action was affected by maladjustment action experience, one`s psychological traits,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ons, academic achie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