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 특성의 변화추이 분석

        황매향(黃梅香),김봉환(金鳳煥),최인재(崔忍在),허은영(許銀英)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연령에 따른 진로발달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09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청소년들의 연령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진로관련 변인들을 탐색해 보았다. 한국 청소년 지표 조사 IV-청소년 진로·직업 지표 조사」에는 중학생, 일반계 고교생, 전문계 고교생 6509명이 연구대상으로 표집되었다. 진로발달 이론에 근거하여 진로발달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변인들로 일에 대한 가치(내적 가치, 외적 가치), 성공에 대한 귀인(내적 귀인, 외적 귀인), 진로미결정 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직업 역량을 선정하고, 각 변인들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로의사결정 준비성, 진로정보 탐색 행동, 합리적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이해만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다른 변인들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일관된 변화를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청소년의 진로발달의 특성을 논의하고, 진로 발달의 지표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 및 진로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The data from "2009 Korea Youth indicators survey Ⅳ-Youth Career, Job Index" collected by Korea Institute of Youth Policy were analyzed. The subjects were 6,509 boys and girls from middle schools, general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Occupational value(internal, external), attribution of career success(internal, external), career decision level(decidedness, assurance, readiness, independ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exploring, training), career competence(self understanding, work world information,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analysed. Readiness of career decision making, career information exploring behavior, and understanding o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grades. It implies the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might be similar to US in some area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imply the social-cultural differences might influence on the uniqueness of career development of Korean adolescents.

      • KCI등재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한국의 중2병 이미지 분석: 2010, 2015, 2019년 한국 언론 기사를 중심으로

        황매향,여태철,임현정,김종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3 No.-

        This study identified high-frequency words and related words in media articles related to eighth-grader syndrome in Korea in the 2010s (2010, 2015, 2019), analyzed and visualized the centrality of the words using text m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first,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by year, parents, academics, skin, puberty, children, treatment, communication, self, and thoughts were found as high frequency words. Second, as a word with high degree centrality, in 2010, skin related words such as skin, treatment, and scar took an important position. In 2015, Frostbite dream broadcasting appeared as a new keyword, and complex, marriage, and dissatisfaction appeared, but in 2019, it was found that college admissions for 2022, plan to expand regular admissions, an introduction letter, and fairness occupied the central position. Third, as words with high betweenness and prestige centrality in 2010, there were skin, scars, and troubles whereas in 2015, there were complex, past, and controversy. However, in 2019, student record, admission, selection, academic record, and further education showed high betweenness and prestige centrality. The year-by-year differences between these key words and intermediate words reflected the times of each period. Through this, we confirmed the trend of changes in the image of early adolescence as seen by the public. 이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2010년대(2010, 2015, 2019년)의 한국의 중2병 관련 언론 기사의 고빈도 단어와 연관 단어를 식별하고, 그 단어의 중심성을분석하고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도별로 약간씩차이가 있었으나 부모, 학업, 피부, 사춘기, 자녀, 치료, 의사소통, 자신, 생각 등이고빈도 단어로 나타났다. 둘째, 연결 중심성이 높은 단어로 2010년도에는 피부, 치료, 흉터 등의 피부 연관어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고, 2015년도에는 동상이몽 방송이새로운 중심어로 등장하면서 콤플렉스, 결혼, 불만 등이 중심 단어로 나타났으나, 2019 년도에는 22학년도 대입 전형, 정시 확대 방안, 자기소개서, 공정 등이 중요한 위치를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위세 중심성이 높은 단어로 2010년도에는피부, 흉터, 트러블 등이었고, 2015년도에는 콤플렉스, 과거, 논란 등이 었으나, 2019년도에는 학생부, 전형, 선발, 내신, 진학 등이 주요한 매개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중심어와 매개어의 연도별 차이는 각 시기의 시대상을 반영한 결과로 이를 통해대중에게 비춰진 초기청소년기의 이미지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학업 상황에서의 자기통제 역할과 증진 가능성에 대한 탐색: 신경과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euroscientific basis that supports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self-control. Self-control is a major non-intellectual factor of academic achievement and it might develop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well as in the early childhoo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elf-control is the difference in strategies rather than personal traits; the strategy for self-control is the executive function that requires high-order thinking function, and it continues to develop after childhood; the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of the neural network including the frontal lobe responsible for the executive function is adolescence. The findings of neuroscience research on self-control suggest that enhancing self-control should be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and that it i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growth beliefs on self-control of teachers, school counselors and students. 이 연구는 학업성취도를 예언하는 자기통제가 생애 초기만이 아니라 아동기와 청소년기에도 지속적으로 발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신경과학적 근거 탐색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기통제가 학업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 자기통제의 발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기보다는 자기통제에 필요한 전략을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가의 차이라는 점, 자기통제에 필요한 주요 전략은 고차원 사고기능을 필요로 하는 실행기능으로 아동기 이후 성인초기까지 계속 발달한다는 점, 실행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을 비롯한 신경망 발달의 중요한 시기가 청소년기라는 점 등을 관련된 경험적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자기통제에 대한 신경과학적 연구결과는 학교교육이 자기통제 증진을 중요한 교육목표로 삼아야 함을 시사하고, 자기통제의 증진 가능성에 대한 교사와 학교상담자, 나아가 학생 자신의 신념을 확립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상담자 훈련과 테크놀로지의 접목 가능성 탐색

        황매향,유성경,정인숙,유주희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computer simulation-based counselor training platforms that combine deliberate practice and technology, recognizing the need for a sustainable, quality training system for counselors. To this end, virtual simulation-based education that is used in medical training, such as virtual patients, was examined, followed by five computer simulation-based counseling training platforms used in other countries (Skillsetter, USC-ICT, SIMersion, Second Life, and Kognito).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of the selected platforms suggested that counseling simulations with virtual clients reduce the risk that comes with practicing with actual clients, facilitate counselor growth through deliberate practice of skills, and minimize the barriers of time and space, increasing access to training.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each platform (inclusion of deliberate practice principles, platform structure, implementation of virtual clients, methods of interactions with virtual clients, and development of case scenarios) were discussed, as well as the applicability of computer simulation-based training in South Korea. Last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자 훈련의 질적 향상과 지속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의도적 실습(Deliberate Practice; DP) 훈련 방식과 테크놀로지를 접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상담자 훈련에 적용할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 방법을 먼저 활용하였던 인접 분야인 의료 실습 교육에서의 가상환자 실습 방법을 통해서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의 초기 적용 과정을 확인하고, 상담자 교육에 가상내담자와 같은 테크놀로지가 활용된 사례로 해외의 컴퓨터 시뮬레이션 상담 훈련 플랫폼 5개(Skillsetter, USC-ICT, SIMersion, Second Life, 및 Kognito)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플랫폼의 특징과 함께 이를 활용한 실습 교육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검토하였고, 가상내담자와의 상담 시뮬레이션 실습이 실제 내담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줄이고, DP의 교육 요소 활용을 촉진하여 상담 실습내용의 질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실습생의 자가 학습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적 적용을 위한 실천적 고려로 다양한 측면(DP 교육 요소, 플랫폼 구성 방식, 가상내담자 구현 방법, 가상내담자와 상호작용 방식, 시나리오 사례 개발)에서 플랫폼의 강점과 한계점을 도출하고 국내 상담자 교육에 컴퓨터 시뮬레이션 교육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함께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발달 추이

        황매향,선혜연,정애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1

        This study examines a developmental trend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Korean adolescents and its pattern differences with their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were analyzed from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rom 6060 students during 2005-2008 by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cross three developmental periods: 2nd grade of middle school,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1st grade of high school. As grades went up, their elaboration and organization strategie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increased whereas effort management, time management, and help seeking were decreased.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se academic achievement had been increased over time used more strategies of effort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continuously than those who did not. This suggests that managing effort and time is a potentially important predictor of student’s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school counselors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1~4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어떤 발달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발달양상이 성별 및 학업성취 향상 여부에 따른 집단 간에서 다르게 나타나는지도 확인해 보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정교화, 초인지는 정적 변화를 보였으나 노력조절, 시간관리, 교사활용의 변화율은 부적 변화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연, 조직화, 공간관리, 친구활용, 자원관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초기상태와 각 시기별 변화가 성별 및 학업성취 향상 여부에 따라 집단 간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시간, 성별, 학업성취 기저선을 주요 변수로 하는 위계선형성장모형을 검증한 결과 역시 그 차이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취 향상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노력관리와 시간관리의 경우 초기상태 수준에서 학업성취 향상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나 변화율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우리나라 중등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우리나라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정체 상태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업상담에서의 그릿의 의미와 증진 방안 탐색

        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9 초등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Grit in the academic counseling an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implications for the academic counseling. For this, the background of g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ilar concepts were examined. Grit consists of two factors, consistency of interest, which maintains interest in the task that he or she intends to achieve, and perseverance of effort, which strives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Self-control, self-regulation, and task persistence are related to Grit as non-intellectual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Based on the discussions which suggests the growth of Grit, various discussions including the Grit enhancement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were reviewed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grit. As a result, in the cognitive aspect, teaching directly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Grit, understanding Grit through the grit experience of their owns and others, adopting the growth mideset, and setting long-term and short-term goals; in behavioral aspects, facilitating brain development, helping to gradually increase deliberate practices, preventing media overuse; in the emotional aspect, overcoming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stress and frustration in the process of exercising Grit, and promoting interest discovery through the flow experienc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nd further investigations were proposed. 이 연구는 그릿이 학업상담에 갖는 의의를 알아보고, 학업상담을 통해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그릿 개념이 제안된 배경과 유사한 개념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릿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에 대한 관심을 바꾸지 않고 유지해 나가는 흥미유지(consistency of interest)와 긴 시간에 걸쳐 꾸준히 노력을 기울이는 노력지속(perseverance of effort)의 2개 구인으로 구성되고, 노력지속은 그간 성공을 예언하는 비인지적 요인으로 제시된 자기통제, 자기조절, 과제지속과 밀접히 관련되는 반면, 흥미유지는 그릿이 포함하는 고유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그릿이 개입을 통해 변화가능하다는 근거를 확보하고,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개입전략 도출을 위해 그릿 증진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 그릿의 특성에 대해 직접 가르치는 것, 자신 및 타인의 그릿 경험을 통해 그릿을 이해하는 것, 능력은 변화할 수 있다는 변화신념을 채택하는 것, 실패에 대해 성찰하는 것, 단기 및 장기 목표를 설정하는 것; 행동적 측면에서 의도된 연습을 점진적으로 늘려갈 수 있도록 도와 뇌발달과 그릿 발휘를 촉진하는 것, 매체 과다사용을 개선하는 것; 정서적 측면에서 그릿 발휘 과정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좌절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는 것, 어떤 활동에 대한 몰입 경험을 통해 흥미발견과 흥미지속을 촉진하는 것 등이 그릿 증진을 위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6학년 남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황매향,김영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교육논총 Vol.3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남녀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 감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인천시에 있는 4개의 초등학교 6학년 552명을 연구대상으 로 하여 사회적지지 척도 검사,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 지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그렇지 않았다. 그리 고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는 데, 남아는 친구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이 가장 높고 교사지지와의 상관이 가장 낮았으나, 여아는 부모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이 가장 높고 교사지지와의 상관 이 가장 낮았다. 또한 남아는 평가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이 가장 높고 도구지 지와의 상관이 가장 낮았으나, 여아는 정서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이 가장 높고 평가지지와의 상관이 가장 낮았다. 이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관계의 정도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확인하였다는데 의 의가 있다. 가정에서는 부모가, 학교에서는 교사와 친구들이 아동들에게 지각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를 높여서 제공해 주며, 성별에 따른 효과적인 사회적 지지를 제공함 으로써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아동이 주변에서의 사회적 지지를 지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