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매개 중심 -

        성원숙(Won Suk Sung) 한국평생교육HRD학회 2023 평생교육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No.2

        연구배경 : 평생학습은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직접적이면서 본질적인 목적이다. 평생학습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하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평생학습 환경에서의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246명으로 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 설문지법은 자기 보고식(self-report)으로 온라인으로 전달하고 회수하였다. 연구에서 설계된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설문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통계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미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시사점 : 기존 평생교육과 관련한 연구와 비교하면, 평생교육 현장에서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지 않으므로 명확한 차별성이 있다고 하겠다. 또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경우 사회적 지지에 비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했을 때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을 봤을 때,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경험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Lifelong learning is a direct and essential purpos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lifelong learning,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n various lifelong learning environments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Methodology / Approach :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subjects were 246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For empirical analysis,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delivered and collected online in self-report format. Based on the model designed in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statistical SPSS and AMOS. Findings /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directly.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quality of lif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on quality of life was negligible. Fourth,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And, social support showed negligi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 Compared to existing research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who play a leadership role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so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quality of life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is higher when mediated by self-efficacy rather than social support, it suggests the need to provide experiences and programs that enhance the self-efficacy of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 KCI등재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 탐색 : G 광역자치단체의 평생학습마을학교 운영위원을 중심으로

        은주희(Eun Ju Hui),정홍인(Jeong Hong In),이 성(Lee S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주민평생학습활동가는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에서 평생교육사의 역할을 자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지역공동체 내 평생학습문화를 확산하기 위하여 적극적이며 주도적인 활동을 펼치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의 참여동기를 탐색하기 위하여 현재 평생학습마을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G광역자치단체 내 평생학습마을학교 위원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인터뷰와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참여동기는 거주지역에 대한 문제인식, 마을리더의 필요성 인식, 마을이 가진 문제해결에 대한 의지표출, 주변의 기대와 요구충족이 참여동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평생학습을 통한 주민들의 변화, 학습마을 공동체의식 강화, 마을의 가치를 통한 내적 동기 강화가 참여의 지속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평생학습마을을 하나의 조직으로 이해하고 주민평생학습활동가의 참여동기를 도출하였다는 점과 그것을 지방자치단체에서 어떻게 전략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지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in G-local governmen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are engaged in active and pioneering activities to promote the lifelong learning culture within the communities in which they live by choosing to perform the lifelong educator’s role. To investigate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terviews with community members of lifelong learning community schools located in G-local government were conduct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their participation motivation include recognition of the local problem, awareness of the need for community leaders, and desire to meet the expectation of community and residents. In addition, the factors of their continuous motivation for activity includ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entiment through lifelong learning, cohesion among c ommunity members, and strength of participation’s intrinsic motivation.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derived, and strategies for how local authorities can support citizen-lifelong learning-activists were proposed.

      • KCI등재

        주민학습문화센터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에 나타난 학습 특성 분석: 평생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지희숙(Hiesuk 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이 연구는 동 주민학습문화센터에서 평생교육 전담 인력으로 활동하며, 평생학습마을을 조성해가는 평생학습매니저의 역할 수행 과정에 나타난 학습의 특성을 질적사례 연구 방법으로 분석했다. 자료 수집은 문헌 조사, 평생학습매니저 12명의 심층 면담, 참여 관찰을 활용하였다. 주민학습문화센터의 평생학습매니저는 일상적 주민학습상담, 주민학습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마을 공동체사업 기획 및 운영, 마을 평생학습축제 지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평생학습매니저의 학습 활동은 기존의 공공의 지원에서 빠진 주민교육의 틈새를 발견하고 메워가는 공공적 학습이며, 마을 주체들과의 만남과 대화로 구성되는 일상적 방식이며, 평생교육의 가치를 자신의 삶에서 전유하고 마을로 확산하는 학습의 운동성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hat appear in the role fulfillment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that act as personnel responsible for lifelong education in local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and construct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using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Data collection was made through literary analysis, in-depth interviews with 12 lifelong learning managers, and participative observations. Lifelong learning managers of community learning and culture centers fulfill the roles of daily resident learning counseling, resident learning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community group project planning and operation, and community lifelong learning festival support. The learning activities of lifelong learning managers are community learning activities that fill gaps that have been discovered in resident education left by existing public support and they are daily methods constructed through conversations with the main agents of community and they are using as their strategy the motility of learning in which the values of lifelong education are possessed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then spread out to communities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역량 분석

        현영섭 ( Hyun Young Sup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5

        평생학습이 확산되면서 소규모 행정단위에서의 평생학습도 확대되고 있다. 이에 평생교육 전문가 확보를 위하여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양성과정도 늘어났다. 그러나 주민활동가를 위한 양성교육은 개괄적이고 추상적인 과정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주민활동가의 역량 등 주민활동가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역량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4명의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역량 표현을 추출하고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역량 표현이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분되었다. 중심부에는 2개의 역량군이 위치하였고, 주변부에는 8개의 역량군이 위치하였다. 둘째, 중심부에는 `지역과 학습자 대변인`, `대화와 발품`의 역량군이 있었다. 이 역량군은 주민활동가의 핵심적 역량요소로 고려될 수 있다. 셋째, 주변부에 위치하는 8개의 역량군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낮지만 중심부의 역량과 밀접한 연결망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주변부의 역량 역시 주민활동가의 역량 요소로 고려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As lifelong learning spreads, lifelong learning also has been diffused at small scale local governments. And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provided programs for citizen activists for lifelong learning. However, some researchers criticized the program for its abstractness and unreality. Based on these criticism,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competencies for their activitie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4 activists. Conten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ency indicator consisted of 2 parts, that is, the core and periphery. Second, the core contained `a spokesperson for region and learners` and `communication and legwork`. Third, the periphery contained of 8 groups of competencies. The 8 groups were `learning as lifelong education`, `residents-centered`, `use of regional resources`, `people first`, `recognition of diversity`, `dreaming and enjoying`,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ive associ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rpretation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평생학습 주민활동가 정책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실무자의 인식

        이윤진,이기성,김남숙,강은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8 평생학습사회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perceive lifelong-learning activists in the community and some plans for policy activation. To serve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How do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perceive their assigned lifelong-learning activists in the communit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government practitioners of Gyeonggi-do (Gyeonggi province).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on the collected data, 46 concepts were drawn and were then categorized into outset of community activists’ training, major duties, difficulties in continuing activities, outcome of activities, reasons for continuing activities and invigora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ch suggestions were proposed; getting supports for local government practitioners, making preliminary plans to facilitate community activists for lifelong-learning, getting proper supervision from the local government, establishing regulations on community activists’ role and scope of activities, securing sufficient budget and establishing a realistic supporting plan. 본 연구는 지자체 평생학습 실무자들이 지역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정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탐 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담당하는 지 자체 실무자는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고, 경기도에서 평생학습 주민활동가를 양성하고 관리하는 지자체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반복적 비교 분석법으로 심층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46개의 개념을 도출하였고, 주민활동가 양성 계기, 주요 업무, 지속적 참여의 어려움, 주민활동가의 활동성과, 활동지속요인, 활성화 방안으로 범주화하였다. 이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업 실무자 지 원, 주민활동가 활용을 위한 사전계획 수립, 지자체 조직 차원의 관심, 주 민활동가 업무 범위와 영역에 대한 규정 마련, 안정적 예산 확보 및 현실 적 지원책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활동 요구분석

        현영섭(Hyun Young Sup) 한국평생교육학회 2015 평생교육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학습 주민활동가의 활동 요구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개방형 설문으로 현재 하고 있는 활동과 앞으로 하고 싶은 활동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2차 설문을 이론적 배경과 1차 설문을 토대로 58개 활동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차 설문은 현재 활동 수준과 향후 원하는 활동 수준을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1차 설문에는 31명, 2차 설문에는 15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1차 설문자료는 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2차 설문 자료는 종속 2표본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LFF 모델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민활동가는 프로그램 계획 개발 운영 영역에 대한 활동 요구가 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역사회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특화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하는 등의 활동이었다.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 요구 수준이 강한 활동은 학습상담, 코디네이터 양성과정 지원, 지자체 평생교육기관 운영 모니터링, 지자체 평생교육사업 모니터링 등 이었다. 요구가 높은 주민활동가 활동 항목은 1차 설문과 2차 설문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needs for their activitie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lifelong learning activists at 2 times. At first tim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31 activists by a open questionnaire. And at seco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54 activists by a questionnaire with 5 Likert scale style. Second survey was constituted by 58 items which were chosen based on theoretical reviews and qualitative data analyses. And about each item activis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 'The level of acting or participating at the activities at now' and 'The level of wanting to participate at the activities for the future'. Content analysis was used for qualitative data. And 3 methods(paired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formula, and Locus for Focus model: LFF model) were used for analysis of quantitative data. Through thes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in the followings: First,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for solving regional problems showed highest level of needs by lifelong learning citizen activists. Second, just simple activities such as, cleaning for class, management of learner, casting instructors, and so on showed lowest level of needs. Third, counseling for learners, supporting the coordinator incubating program, monitoring lifelong learning program and institutes also showed highest level of needs. On the bases of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