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디어·미디어담론이 생산하는 전통춤의 이미지 연구: 2016년 TV역사드라마와 관련 인터넷기사를 중심으로

        유화정 ( Yoo Hwaj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7 무용역사기록학 Vol.44 No.-

        본 연구는 현대 미디어 담론이 전통춤 이미지 생산에 일조한다는 가정 하에, 그 내용과 특징을 알아 보기 위해 역사드라마 속 전통춤 장면과 관련 인터넷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6년에 방영된 TV역사드라마 8편 - <달의 연인-보보경심려>, <육룡이나르샤>, <대박>, <구르미 그린 달빛>, <장영실>, <장사의 신-객주>, <옥중화>, <마녀보감> 속 전통춤 장면과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뉴스 카테고리에 게시된 관련 인터넷기사들이다. 전통춤 장면의 분석을 위해 `맥락, 연행자와 감상자, 춤의 종류, 강조되는 움직임과 에포트, 의상과 소품, 클로즈업 숏(close-up shot)`의 요소를 중점적으로 보았으며, 관련 인터넷기사의 내용에서 전통춤과 전통춤의 연행자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밝히기 위해 반복·강조되는 표현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터넷기사의 생산관행이 전통춤의 이미지 및 담론 생산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전통춤 장면에 나타나는 전통춤의 이미지는 아름다운 외형과 신비로운 분위기, 그리고 보는 이를 강렬하게 유혹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그려지고 있었으며 이는 전통춤 연행자의 이미지와 동일했다. 또한 대부분 젊은 여성 주역연기자들이 춤의 연행자를 담당하였으며 카메라의 클로즈업 숏 기법은 연행자의 얼굴을 중점적으로 촬영하고 있었다. 드라마에 노출된 전통춤의 종류와 동작의 외형은 드라마의 시대적 배경이나 인물들의 신분과 같은 역사적 조건에는 합당하지 않았으나, 연행자의 성별과 신분이 여성무희·여성무당에 국한된 점은 실제 역사적 사실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했다. 인터넷기사의 내용 분석에서는 전통춤의 명칭이 전문적인 지식에 의거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전통춤 및 연행자를 묘사할 때 각 장면 속 춤의 종류나 서사적 상황이 서로 다른데도 불구하고 유사한 표현어들을 사용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이는 인터넷기사 내용이 드라마의 제작자나 연예매체 기자의 의도보다는, 연행자를 연기한 여성연예인의 소속 기획사에서 제공하고 포털 사이트에서 여과한 자료라는 점과 관련 깊다. 결국 전통춤 장면을 홍보하는 인터넷기사는 해당 연예인의 인기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성된 것이기에 이것이 전통춤 담론으로서 대중들에게 전파될 때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중미디어물을 제작하거나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기득권의 의도를 인식함으로써 그들의 상업적 이익을 위해 변형된 의미와 이미지를 제대로 파악하고 억압되지 않는 문화소비를 지향하고자 한다. 특히 현대 미디어와 미디어담론이 생산하는 전통춤의 이미지를 밝힘으로써 무용계 안팎에 존재하는 `춤`, `춤추는 사람`, 특히 `춤추는 여성`에 대한 이미지를 연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raditional dance scenes in historical dramas and related internet article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assuming that contemporary media discourse has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traditional dance imag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from eight historical TV dramas, which were broadcasted in 2016: < Lovers of the Moon-BoBo Kyungsimryeo >, < Yookryongyinarshia >, < Daebak >, < Gurumigrindalbit >, < Jang Yeongsil >, < The Master of Business-Gaekju >, < Okjunghwa >, < Manyubogam > and related articles posted on the news category of the portal website Naver. The study showed that the image of a traditional dance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was portrayed as a beautiful, mysterious, or powerful means of tempting viewers. Most of young, female main actors played the dancers, and the close-up shots focused on the performers` faces. The types of traditional dances exposed to the dramas and the appearance of their movement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conditions,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dramas or the status of the character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gender and status of the performers were confined to female dancers or female shamans could not go beyond the historical fact at all. I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internet 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names of traditional dances were not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It was also found that, when describing traditional dances and performers, similar expressions were used despite the different types of dances and narrative situations in each scen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articles were provided by the agency of the female entertainers who played the actors and filtered through the portal site, rather than reflecting the intention of the drama`s producer or entertainment media reporters. In other words, the internet articles promoting the traditional dance scenes were written as a means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entertainer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bears many problems when propagated to the public as a traditional dance discourse. This study is significant, revealing the image of “dance”, “dancer”, and “dancing woman” in and out of the dance system by revealing the image of traditional dance produced by contemporary media and media discourse. Final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generalizing the images related to dance and preventing the excessive prejudice over dance.

      • KCI등재

        전통극의 원형적 가치 전승과 활용에 관한 연구

        손미경(Son mi-kyoung),조소연(So-yeon Cho)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50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을 각각 대표하는 전통극인 경극과 가부키를 원형의 보존과 활용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현대사회에서 그 나라를 대표하는 전통극이 갖는 의의와 역할에 대해 제고할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한국의 전통극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크게 두 가지 문제의식을 가지고 경극과 가부키를 분석하였다. 첫째, 전통극의 원형적 가치 계승을 위해 각국이 어떠한 체계를 갖추고 있는가. 특히 정책의 측면에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두 번째, 전통극을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중일 양국의 전통극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상업적인 성공을 거둔 전통 예술로 자리매김 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현재 전통극의 보급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활용에 대한 의견을 덧붙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전승과정의 부재로 인해 대표할만한 전통극이 없는 한국이 앞으로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 전통극을 계승하고 보급ㆍ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rchetypal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Peking opera and Kabuki, which represent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to reconsider the meanings and roles of traditional theatres representing each country and furthermore, to giv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theatre. For this study, Peking opera and Kabuki were analyzed with two critical mind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stem of each country to pass down archetypal values of traditional theatr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political efforts of the countries. Second, this study considered how to use our traditional theatre in modern society. In order to seek application strategie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in which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theatres went through to be recognized as traditional art that won a commercial success and how traditional theatre propagates now. Korea lacks its own traditional theatre to represent the nation due to the absence of transmission processe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providing implications on processes and strategies to hand down traditional theatre and how to spread and use it.

      • KCI등재

        한(韓)ㆍ중(中) 문화교류를 통한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

        펑홍쉬 ( Peng Hong-xu ),장징 ( Zhang Jing ),장치엔두어 ( Jiang Qian-duo ),노재현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8 No.4

        전통조경은 선현(先賢)들이 현대사회에게 남긴 문화적 자산으로, 고대의 전통문화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조경설계에도 새롭고 창의적인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한ㆍ중 양국은 고대부터 문화교류를 통해 전통 조경문화의 계승과 보호 및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전통과 현대’ 및 '지역성과 국제성'이 서로 어우러져 발전하여 왔음은 익히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ㆍ중 전통조경의 비교 연구를 목적으로 우선 양국 전통조경문화를 선행연구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양국의 문화적 배경을 종교사상, 전통문화, 자연관으로 나눠 해석하고 양국의 조경 역사와 원류관계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ㆍ중 조경 사조(思潮)의 비교 및 전통조경의 발전과정, 한ㆍ중 조경의 예술적 공간과 경지(境地) 등 세 방향에서 분석 고찰하였으며, 양국의 전통조경의 조성 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분석하고, ‘의경조성’ 및 ‘의경수법’을 구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통조경의 이론적 배경 및 조경의 경의성(景意性)에 대해 전통조경의 배치 및 주변 환경과 형식 그리고 전통조경의 색채 등을 명ㆍ청시대의 ‘이화원(頤和園)’과 조선 시대의 ‘경복궁(景福宮)’을 사례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ㆍ중 조경의 특징을 토대로 국제화를 위한 전통적인 조경문화의 계승과 혁신방안을 모색하였다. 한ㆍ중 조경사의 발전 추세에 따른 양국 간 문화교류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앞으로 양국 조경의 발전은 전통문화에 대한 국제 간 협력 및 지역 특색의 창조적 결합, 화이부동(和而不同)한 전통조경 환경의 조성, 다양한 문화의 다층적 상생이 양국의 우호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raditional landscape is a cultural asset left by Seonhyeon to modern society, and it can not only understand the landscape culture of ancient tradition but also provides / provided a new creative material for modern landscape designs / designed. However,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nd China hav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of landscaping in a global backgrou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culture in a global background covers many dimensions, including protection, development and innovation, and that "traditional and modern" and "regionally and internationality" should be harmonized with each other. This study uses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landscaping buildings as research subjects to extract and organize related data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basic literature research that understands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wo countries. I interpreted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two countries by dividing them into religious ideas, traditional culture, and natural views, and highlighted the history of develop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it analyzed the differences created by traditional landscaping between Korea and China, and also specifically analyzed the "creation of righteous army" and "the law of righteous army." In particular, this study sought to inherit and innovate traditional landscape culture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One Belt, One Roa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China's landscap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Yihwawon of the Ming and Qing periods and Gyeongbokgung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andscaping and the significance of landscap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change with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presented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Korea-China landscaping in the global environment.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landscaping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be key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raditional culture, creative combin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creation of a harmonious landscape architecture environment, and co-prosperity of various cultures.

      • KCI등재

        전통 계승의 의미에 관한 비판적 검토-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고은강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硏究 Vol.- No.82

        This article focuses on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n terms of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tradition. Since the Meiji Reform and the start of modernization,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such as Kabuki, Noh and Kyogen, Bunraku experienced a discontinuity of tradition. However, a discontinuity of tradition does not mean the sudden stop or disappearance of tradition. Modernization opened a detouring route to continued tradition. Through the lens of various Japanes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is article reviews the old issue of “discontinuity of tradition vs. inheritance of tradition” with a special focus on how the performing arts have experienced a change of identity, expressed changing attitudes towards gender, and continued popularity. 본 연구는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과 여성성을 중심으로 전 통 계승의 의미를 재검토한 연구다. 여성의 역할과 여성성의 변화야말로 소위 전통 사회와 현대 사회의 가장 큰 차이 중 하나다. 일본 전통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현대 사회와 비교하여 제한되고 정형화되었으며 그에 따라 여성성 역시 전형성을 벗어나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일본 전통공연예술에서 여성의 역할은 미미하거나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작품에 나타난 여성성 역시 전형을 벗어나기 어렵다. 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당연시되는 현대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은 사회 전분야로 확대되었고 전통공연예술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다만 전통의 계승이라는 당면 과제 앞에서 여성의 역할 확대는 굴절된다. 남성 배우의 전유물인 가부키가 여성 배우를 무대에 올리지 않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러나 가부키 역시 현대 사회의 흐름을 완전히 비켜갈 수는 없다. 가부키에서 여성의 역할을 맡는 배우의 변화가 일례다. 변화된 사회적 조건 속에서 일본 전통공연예술 역시 일부 전통의 단절과 변화를 경험한다. 여성의 역할 확대와 여성성의 변화는 단절과 연속을 통한 전통의 계승을 보여준다. 현대 사회에서도 노, 분라쿠가 꾸준히 관객을 불러 모으고 가부키 배우가 대중의 인기를 누리는 전통공연예술의 계승은 특정 요소의 단절을 통해 연속성을 담보한 결과다. 여성의 역할 확대와 여성성의 변화는 앞으로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계승・발전과 불가분의 관계라 할 수 있다. 일본 전통공연예술의 계승 과정은 전통의 계승이 전통의 단절의 반대말이자 전통의 연속의 비슷한 말이 아님을 시사한다. 전통의 모든 요소가 시대의 변화와 무관하게 그대로 연속된다면 오히려 전통은 단절될 것이다. 전통의 계승이란 단절과 연속의 결과물이다.

      • KCI등재

        전통의 현대화 원칙 및 전략 수립을 위한 전통 재조명

        한성구 ( Han Sung Gu ),지준호 ( Chi Chun-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7 한국 철학논집 Vol.0 No.53

        우리는 근대의 본질과 수용의 타당성에 대해 성찰하기 전에 이미 일본이라는 타자에 의해 이식된 근대 속에 던져졌으며, 이로 인해 근대에 대한 가치 판단은 유보되거나 정서상 회피, 또는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구한말 전통 문화와 사상의 무기력함으로 인해 야기된 망국의 상황도 사람들이 근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근대란 연속되는 역사 시간 속에서 전통과 현대라는 상대적 개념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규정받는다. 따라서 회피하거나 망각하고 싶은 근대라 할지라도 현대를 이해하고 그 원류가 된 전통 시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근대에 대한 정면적인 직시가 필요하다. 근대의 실패는 전통 계승의 실패라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통 계승 실패의 원인을 분석해 가다보면 우리가 근대를 실패한 시기로 인식하는 원인의 일부를 알 수 있지 않을까? 과거와의 단절을 꾀하는 반전통주의는 서구 교육의 전래와 깊은 연관이 있다. 신교육은 반전통주의를 서구화 교육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하였다. 서구문화를 추종하는 개화론자들은 조선이 뒤처지게 된 원인을 전통교육에서 찾았다. 따라서 조선이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전통과의 단절, 그리고 급격한 서구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반전통주의는 근대교육으로의 진전이라기보다는 서구교육에 대한 일방적인 예속이라고 볼 수 있다. 신교육의 일각에서 나타나는 극단적인 반전통적 입장은 기존의 교육 체제를 철저히 부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수천 년간 계승되어 내려온 교육 내용과 형식마저도 도외시함으로써 문화적 주체성을 잃어버리게 되었다. 서구 교육의 수용이 지닌 양면성을 고려할 때, 전통교육을 부정하는 모든 신교육을 곧 근대교육으로 파악하는 단선적 이해 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한말 발간된 잡지와 신문의 전통 교육 계승 관련 글들을 중심으로 근대 지식인들이 전통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 단절 원인과 그것의 결과로 야기된 교육적 병폐의 양상을 논함으로써 오늘날 새롭게 조명해야 할 전통적 요소를 찾아 교육적 참고로 삼고자 한다. We were already thrown into the modern by the Japanese before reflecting the relevance of modernization and acceptance, and the value of the modern was postponed. The late period of Chosun, people sank into a state of torpor and traditional culture and ideology has caused people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modern times.Modern times, however, are defined in the relative concept of tradition and modernity in the history of modern tim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odern era and its origin, it is necessary to look squarely at the face of modernity. Failure of modern times is a failure of traditional succession.So, if we analyze the causes of the failure of the traditional heritage, why can`t we see some of the reasons why we perceive it as a failure? In this thesis, it seeks to understand the diverse views of the traditional elites of the journal and the newspaper, which are published in the traditional education of the journal, and are looking at a variety of views. Moreover, we should seek to explor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new tradition by discussing the aspects of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the cause of the accidental break and the educational problems caused by its results.

      • KCI등재

        전통도덕교육론 연구의 분석 및 방향 탐색

        김민재(Kim Min 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도덕교육론을 표방하면서 출간된 2000년 이후의 ‘저서’들을 중심으로 그간에 이루어졌던 전통도덕교육론 연구들을 분석하고, 향후의 연구 방향을 거시적인 수준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사실 전통도덕교육론과 관련된 연구들은 과거에도 다수 있었다. 그러나 일반 논문 형태의 단발성 실험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2000년 이후로 관련 연구들이 저자의 특정 문제의식 아래 모아져 단행본으로 출간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통도덕교육론을 표방하거나 깊이 있게 탐색한 단행본에는 어떤 서적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또 그 서적들에서 전통도덕교육론의 핵심으로 지적하고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기초해 향후 전통도덕교육론 연구의 방향 내지는 과제에 대해 제언을 시도하였다. 제언에서는 크게 세 가지 사항이 중심이 되는데, ⓐ 첫째는 전통도덕교육론의 의미를 확립하는 것이야말로 전통도덕교육론이 하나의 이론[論]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는 진정한 출발점이라는 것이고, ⓑ 둘째는 불교와 도가 관련 전통도덕교육론 연구가 시급하다는 것이며, ⓒ 셋째는 전통도덕교육론의 활용 측면, 즉 교수학습 및 평가방법 관련 연구도 필요하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ies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which have been made so far, focusing on books published since 2000, being labeled as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nd examine research direction in the future at an introductory level. First of all, this study checked what were included among books that profoundly investigated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nd analyzed what contents the books pointed out as the core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Then, based on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suggestion at a macro level about research direction or topics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in the future. First, making clear the meaning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is the starting point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to take root as one theory. Second, it is urgent to make a study of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relating to buddhism and taoism.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relating to traditional moral education theory as well.

      • KCI등재

        고령친화 전통시장 조성을 위한 커뮤니티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예산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정광수,이정수,이상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본 연구는 고령친화 전통시장 조성을 위한 커뮤니티환경 개선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예산 지역 3개 전통시장에 적용가능한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고령친화 커뮤니티환경 조성 수준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령친화 전통시장은 고령자의 행동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전통시장별로 요구하는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시설이 다르다. 셋째, 고령친화 전통시장 커뮤니티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기준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appropriate ways for elderly-friendly community in traditional Markets. For these purposes, we derived applicable elderly-friendly community facilities via questionnaire and surveyed the barrier-fre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ree traditional markets in the Yesan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traditional market is a place for communication, culture, and exchanging items for living in local area, so it should be established as elderly-friendly traditional market. Second, some community facilities should be re-located around traditional markets for elderly-friendly society in local area. Third, physical conditions of traditional markets should be refurbished according to guidelines of Barrier-Free(BF) Certification Standards.

      • KCI등재

        전통시장 속성 및 서비스품질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위생요인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계화,하규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5

        Recently, In traditional markets, visitors are declining. The reason is the growth of large stor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The government continues to support and policy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Government support has been focused on the selective attributes of traditional markets. However, the purchase intention of users in traditional markets is lowered. The reason is that it is in the hygiene of the traditional market.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optional attributes of traditional markets and service quality increase the intention of visit, In addition, the users of the traditional market analyzed the hygiene factor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tention of the vis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First, convenience, accessibility, transparency, attra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of selective attributes of traditional markets were analyzed to affect the intention to visit. Second, the merchant efficiency, the display efficiency, the product efficiency, and the transaction efficiency of the service quality of the traditional market influence on the visit intention. However, facility efficiency was not found to have any effect. Third, merchant hygiene factors, facility hygiene factors, and commodity hygiene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visit. These traditional market hygiene factors were analyzed to control the intention to visi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ygiene factor of the traditional market plays a role in raising the intention of visiting the traditional market in activating the traditional market. The conclusion is that merchants and support groups should be prioritized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hygiene is introduced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최근 들어 대형매장의 진출과 인터넷쇼핑몰의 성장으로 인해 전통시장의 방문객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과 정책이 이어지고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전통시장의 선택적 속성에만 주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전통시장의 이용자의 구매의도는 낮아지고 있다. 그 중요한 이유는 전통시장의 위생에 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요인을 변수로 하여 전통시장의 속성(편의성, 접근성, 투명성, 매력성, 경제성)과 서비스품질(상인쇼핑효율성, 시설의 쇼핑효율성, 진열효율성, 상품품질 효율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전통시장위생요인(상인위생, 시설위생, 상품위생)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방문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전통시장의 선택적 속성과 서비스품질은 방문의도를 높이는가를 분석하고, 또 전통시장의 이용자들이 전통시장의 위생요인이 방문의도에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전통시장의 위생요인을 조절변인으로 두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전통시장의 선택적 속성의 편의성, 접근성, 투명성, 매력성, 경제성 등은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의 요인 중 상인효율성, 진열효율성, 상품효율성, 거래효율성 등은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시설효율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통시장에서 위생요인으로 상인위생요인, 시설위생요인, 상품위생요인 등을 들 수 있는 데 이러한 요인들은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위생요인들은 방문의도를 높이는 조절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전통시장을 활성화 하는데 있어서 전통시장의 위생요인이 전통시장의 방문의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전통시장을 활성화 시키려는 상인과 지원단체가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환경위생의 중요성을 알리고 연구 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통지식에 대한 국제적 규제동향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전통지식에 관한 법령을 중심으로 -

        류예리 한중법학회 2015 中國法硏究 Vol.23 No.-

        2014년 10월 12일 강원도 평창에서 나고야의정서가 발효되었다. 생물유전자 원의 많은 부분을 중국에서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중국의 생물유전자원 보호 법제 동향을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나고야의정서의 적용대상인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중국정부 의 보호 법제가 우리나라 산업계에 끼칠 영향은 국익과 직결되므로 더욱더 주 의를 요한다. 행정법규 형태로 제정될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이행법규는 현재 환경보호부에서 수정을 거듭하고 있다. 중국의 나고야의정서 가입이 늦어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관한 권리 보호 방안이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여 진다. 우리나라 관련 업계와 부처가 가장 궁금해 하는 질문 가운데 하나는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중국의 국내법이 마련되어 있는지, 그리고 있다면 우리나라 한방산업에 끼칠 영향이다. 본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생물다양성협약과 나 고야의정서에서 각각 규정하고 있는 전통지식이 무엇인지와 어떻게 다른가를 이 해하여야 한다. 나고야의정서는 생물다양성협약의 자(子)조약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조약상의 전통지식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이 국내법상으 로 어떻게 전통지식을 규정하고 있고, 그 내용이 우리나라 관련 업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칠 것인지 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중국은 생물유전자원 부 국(富國)일 뿐만 아니라 전통지식의 부국이기도 하다. 중국의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정부도 전통지식 이용에 대한 권리 확보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어, 향 후 우리나라 한방산업, 건강식품산업, 의약산업 등에 엄청난 영향을 유발할 것 으로 예상되므로 본고에서는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의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 식에 관한 법제 분석 및 그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Nagoya Protocol came into effect on 12 October 2014 in Pyeongchang, Gangwon Province. We, the country which rely on genetic resources most part of from Chin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status of China’s legislation for protecting her genetic resources. Especially, because China’s legislation regarding with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directly affects our industries, this area need more attention. China’s national implementing legislation for Nagoya Protocol are being modified. One of the reasons that China delays accession to Nagoya Protocol is to make up the part of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One of the questions frequently asked from related industries and departments is whether China has legislation for prepared for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and if so, what can be their effect to our oriental medicine business.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of all, it is needed to understand differences of provisions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and Nagoya Protocol. Therefore, based o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nowledge of international treaties, we need to bring out implications of China's legislation. China is rich not only genetic resources but also traditional knowledge. And because China’s local government including central government has special interests in ensuring rights of traditional knowledge, this article is going to focus on China’s legislation and its implications.

      • KCI등재

        단청의 전통 문양과 프로젝션 매핑을 접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작 연구 - 작품 “이 순간”을 중심으로

        문정혜,김현주 한국영상학회 2017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기술과 인식, 문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시공간을 확장하는 미디어아트를 전통문 화와 결합함으로써 전통문화의 현재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선행연구와 사례 분석을 통해 미 디어아트와 전통문화의 결합이 지니는 결합 전략의 유형과 그 의미를 콘텐츠의 전유, 상징의 재매개, 인터페이스의 리믹스 전략이라는 주요 유형으로 도출해 냈다. 또한 이 세 가지 결합 전략이 프로젝션 매 핑과 전통 문화의 접목 과정에서 전통 건축물의 공간적 활용, 전통적 행사와 기원의 재현, 유적의 복원, 전통적 가치관의 표현 등의 목적에 다양하게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빛으로 그리는 그림의 의미가 내재된 단청문양이 빛의 투사를 통한 공간적 매핑, 몰입과 환영을 추구하는 프로젝션 매핑의 방식과 미 학적 공통점이 있다고 보고, 그 둘의 결합을 통해 전통문화의 현재화와 확장된 미디어아트의 미학적 표 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목적에서 전통적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의 기법을 통해 인터랙 티브한 미디어아트로 구현한 작품 ‘이 순간’은 종교적 깨달음과 축복의 공간을 현대적 방식으로 재현하 고 있다. 작품은 불교와 전통신앙의 깨달음과 수복의 콘텐츠를 전유하고, 단청문양을 프로젝션 매핑으로 재매개한다. 이를 통해 작품은 환영적이고 몰입적인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인터페이스의 리믹스를 이룬다. 또한 단지 관조하는 것이 아닌 관객의 주체적 개입에 의해 공간의 변화가 일어나는 참여적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라는 점에서 기존의 프로젝션 매핑과 전통문화의 결합 방식과는 차별적인 의의를 지닌다. By putting value in media art which reflects contemporary perspectives and technology, we suggest a way to present traditional culture in the current time by combining media art such that it extends the times and spaces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 case study and a literature review, three strategies for combining media art and traditional culture are derived. These are the appropriation of content, remediation of symbols and interface remix. During the proces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traditional culture,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three strategies can be applied to various purposes, such as a spatial application to traditional buildings, reproductions of traditional events and origins, restorations of remains, and expressions of traditional values. Projection mapping in which images and video are superimposed onto the surface of various types of architecture or objects for expressive purposes is conceptually very similar to Dancheong. Dancheong, referring to 'drawing by light', intersects with projection mapping, which is in fact the spatial mapping of light transforming space into an immersive and illusionary subject. In order to present the expanded aesthetic possibility of media art as well as a means of presenting traditional culture in a contemporary manner, we continued to design an interactive media art work, entitled 'this moment' which utilizes the symbols of Dancheong and projection mapping. The work appropriates the story of Nirvana in Buddhism and that of wishing for blessings in traditional beliefs. Remediation of symbols takes place in the meaning and technique of Dancheong, which is projected onto the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he resulting space is illusionary and immersive, resulting in an interface remix. In addition, the work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ases of combining projection mapping and media art in how it is a user-participatory form of interactive media art in which space is transformed by the active interaction of the us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