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성미혜 ( Mi Hae S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8 No.1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83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 Song (2010)의 연구에서 3.17점으로 나온 결과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 Yee (2004)의 연구에서 2.94점으로 나온 결과보다는 낮은 것이지만, Seo (2007)의 연구에서 2.74점으로 나온 결과보다는 높은 것이다. 동일한 도구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조사한 한 Song (2010)의 연구에서 2.75점으로 나온 결과를 볼 때, 본 연구와 선행연구에서 간호사보다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이 간호전문직에 대한 느낌과 견해가 긍정적이며 기대수준이 높은 결과를 반영한 것이라 사료된다. 반면 간호사가 간호학생보다 낮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나타낸 것은 간호사들이 긍정적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가지도록 다양한 교육과 지지가 필요함을 암시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은 5점 만점에 3.27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Seo (2007)의 연구에서 2.64점, Han (2000)의 연구에서 2.78점으로 나온 결과보다 높은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종합병원에서 실습을 하여 실습기관으로부터 양질의 임상실습을 받은 결과라 사료되지만 선행연구에서 실습기관이 명기되지 않아 이에 대한 정확한 규명을 위해서는 추후 실습기관별 비교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하부영역 별로는 실습환경, 실습지도, 실습내용 순으로 실습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Lee (2001)의 연구에서 실습내용, 실습환경 순으로 실습만족이 높게 나타난결과와 부분적으로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95% 이상의 학생들이 대학병원에서 임상실습을 받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Lee(2001)는 교육기관이 자체 부속병원을 갖추지 못한 경우 교수와 병원과의 유기적 산학 협동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임상실습으로 인해간호학생은 임상실습에 대해 불만을 가질 수 있으며 좌절감도 겪을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습기관이 부속병원이거나 교수진과 협력관계가 잘 이루어져 계속적인 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기적인 간담회 개최로 교수와 병원과의 유기적 산학 협동관계가 원활하여 실습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76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한 An (2006)의 연구에서 2.74점, Kwon과 Yeun (2007)의 연구에서 2.71점으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한 것이다.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자신에게 내리는 평가를 의미하며 개인의 행동과 적응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학생들의 경우 학업성적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An, 2006). 따라서, 임상실습 시 간호학생이 다양한 임상상황에 심리적으로 적응을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간호학생의 자아존중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간호학생의 학년, 대학생활만족, 간호학 선택 동기, 간호학에 대한 만족, 학점, 대인관계, 건강상태에 따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An (2006)의 연구에서 학년, 소득, 생활수준, 부모의 학력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결과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Kang (2010)의 연구에서 성별, 종교, 학업성적, 간호학 선택 동기, 실습만족도, 전공만족도, 실습동료와의 관계, 어려웠던 대인관계, 주실습지도자, 주된 실습기관, 실습량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의 경우 간호학선택 동기와 대인관계가 이들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간호학 선택 동기와 대인관계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임상실습 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한Kang (2010), Seo (2007)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만족은 이들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임상실습 만족 정도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Lee (2003)는 임상실습 만족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실습 전 교육의 강화, 평가 기준의 공지, 단순 반복적인실습내용의 조정, 실습 시간의 준수, 실습 관련 참고도서의 비치 및기타 편의 시설의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Kang 등(2006)은 실습평가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고 느낄 때 임상실습 만족도가 떨어진다고 하였으므로, 임상실습 만족의 하부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실습시간과 실습평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Kwon과 Yeun (2007)의 연구에서 간호학생이 지각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이 어떤 것을 할 수 있고, 가치 있다고 믿는 정도로써 사람들은 자신의 자아존중감과 일치되게 행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확고한 자아존중감을 가진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보다 개인의 성취, 직무만족들과 관련이 있다(Ha & Choi, 2005; Park, 000).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을 예측하는 요인 중에서 자아존중감이 24.9%로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won과 Yeun (2007)의 연구와 Cho와 Lee (2006)의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이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Kwon과 Yeun (2007)의 연구에서 전공만족, 사회성, 자아존중감이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37.5%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사의 자아존중감이 높으면 자아개념이 긍정적이며 간호전문직 자아개념도 향상되어 자신의 직업에 대해서도 가치를 부여하게 되어 직업을 통해 성취감을 얻고 그 성취감은 직업적 확신과 발전을 추구하게 된다(Kwon & Yeun, 2007)는 것을 입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설명력이 45.8%인 결과와 Kwon과 Yeun (2007)의 연구에서 37.5%의 설명력을 나타낸 결과는 전문직 자아개념이 매우 다양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인을 포함한 전문직 자아개념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자아존중감 외에 임상실습 만족과 간호학에 대한 만족 및 대인관계가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는데, 임상실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임상실습의 만족과 임상수행 능력이 저하되며, 더 나아가 간호직에 대한 확고한 정체성을 가질 수 있는 간호전문직 개념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Lee, 2004),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향상을 위해 이들 요인들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본다. 아울러 존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복합적인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므로 향후 다양한 요인을 포함한 후속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 규명되지 못한 요인들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n 365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analysed by the SPSS WIN 1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 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2.83. Professional self-concep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satisfaction on college life, motivation on choice of nursing, satisfaction on nursing, school work credit, interpersonal relationship, health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ignifi- 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steem,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were found.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were self-esteem,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nur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explained 45.1%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strategy increasing self-esteem is needed to enhance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성숙도,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및 전문직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에 대한 융복합 연구

        최동원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성숙도,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및 전문직자아개념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대상은 I지역과 K지역에 소재한 간호학과 학생 221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고, PASW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 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전문직자아개념은 사회적 성숙도 및 학습관련 자기주도성과 순 상관관계가 있었 고,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22.505). 전공만족도 (ß=.179), 간호직 의미(ß=.274), 사회적 성숙도(ß=.118), 자기주도성(ß=.211)이 모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4.4%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올바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의 증진을 위해 사회적 성숙 도와 자기주도성의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및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maturity(SM), Self-directed learning(SDL) and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SCPN), and influencing factors of SCPN of nursing students. The survey was performed on 221 nursing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sed with PASW 22.0.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SCPN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M and SDL. Major satisfaction(ß=.179), Meaning on nursing(ß=.274), SM(ß=.118) and SDL(ß=.211) about SCPN wer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This variables accounted for 34.4% of the variance in SCPN. The findings indicat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nursing students's SM and SDL for increasing positive SCP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전문직자아개념

        채명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175 nursing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the nursing students by questionnaire method. The analysis method wa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t revealed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health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atisfaction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on major and perceptive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satisfaction on major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56.4% of professional self-concep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by implementing a gradual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self-efficacy, career identity and satisfaction on major from the freshman period.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문직자아개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 3, 4학년 175명에게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 수집을 진행하였고, 분석방법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자아개념은 성별, 건강상태, 대인관계, 대학생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학업성적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직자아개념에 대한 영향요인은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공에 대한 만족도로 나타났고, 56.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신입생 때부터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자아개념을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기관 실무자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 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 전문직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양정남,최은정,김장훈,김건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5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2 No.-

        Emotional labor has an increased turnover rate and a negative influence on efficient social welfare servic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a social problem approach is required rather than an individual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verify it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and analysis was made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analysis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turnover experience, 49.7% responded that they had the experience and 43.9% reported that they had turnover intention. It showed a very serious turnover rat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Second,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urnover intentio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was analyzed. While emotional lab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Moreover social support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dicating a perfec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preventive․therapeutic management of emotional labor and the development of new programs to enhanc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 workers. 사회복지사들의 과중한 감정노동은 이직률을 높이고 효율적으로 실천되어야 할 사회복지서비스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감정노동은 사회복지사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서의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이 사회적 지원, 전문직 자아개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 특히, 감정노동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사회적 지원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기관 실무자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을 통하여 분석했다.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의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사회적 지원과 전문직 자아개념을 매개변수로,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성별과 연령, 소득, 직위 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을 통제한 후의 사회적 지원과 전문직자아개념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이직경험이 있는 경우는 49.7%, 향후 이직할 의향이 있다가 43.9% 로 나타나,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의 이직률이나 이직의도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기관 실무자들의 감정노동은 전문직 자아개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사회적 지원과 전문직 자아개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않았으나, 전문직 자아개념은 완전매개(perfect mediating) 역할을 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예방적․치료적 관리의 필요성과 전문직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심은희,양승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3

        목적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한 달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병원 10곳에서 시행하였고, 190부를 배부하고 이 중 회수된1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도구를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test와 Pearson’s correlation,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나이, 경력, 최종학력, 직위 등에 따라 환자중심간호에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그릿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adj R2 =.260, F=17.041, p<.001), 전문직자아개념(B=.251, p<.001), 그릿(B=.201,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문직자아개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통제력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정신간호사의 그릿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선희(Seon-Hui Shin),최혁라(Hyul-Ra Choi),김선명(Seon-M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는 것으로서, 감정노동 상황에 노출되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자아개념과 감정노동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자아개념의 구성요소 중 업무만족감만 감정노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 실무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만족감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감정노동중 표면행위만 이직의도에 정의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아동병원 간호사처럼 전문성을 지니며 감정노동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이 강한만큼 전문가로서의 인정 및 업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감정노동의 내면화나 표면행위에 따른 부정성 해소 방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impact on the degree of turnover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he emotional labor. This study were subjected to empirical analysis on female children’s hospital nur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ly emotional labor and task satisf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becam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pride and task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The relationship only of surface acting and turnover between those of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becam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preferred to nurse specialists in the womens hospital, in order to lower the turnover of nurses.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sought to improve operational feeling of satisfaction, and Also the approach should be applied to ease the negativity of surface acting.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 영향 요인

        전민경 보건의료산업학회 2013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nursing student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with convenience sample of 250 nursing students studying in 1 nursing college. The data were obtained from November 17 to 30, 2012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program. The mean score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steem and, self-efficacy were at the intermediate level, with the value of 3.27, 3.14 and 3.78. There were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steem(r=0.580, p<.001),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r=0.645, p<.001) and there were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efficacy(r=0.611, p<.001). The influencing factors in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were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motivation of nursing(Adj R²=.479). In order to encourage nursing college students professional self-concept, the nursing college should make efforts to develop a curriculum and program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김경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professional self-concept.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77 nursing student in 2 local medium size-city and they were over 18 years of age. The data was done by structural survey through the 1:1 interview.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is data through the SPSS, WIN18.0. Results: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was 3.14 followed by the scores of professional practice 3.18, leadership 3.13, satisfaction 3.02, ethics 3.27. The degre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s different personal relationshi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image. The third factors that affect to professional self-concept, fro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by the stepwise selection, were image of nursing, personal relationship, college type.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ing students, a professional image of nursing needs to be enhanced and students need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A specific strategy would be to improve the nursing education environment including good role model by nursing educator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관련된 변인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편의 추출에 의하여 지방 중소도시 3곳에서 4년제 1개 대학과 3년제 2개 전문대학에 재학중인 177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문직 자아개념은 평균 3.14±0.35로 중상위수준을 보였으며, 전공관련 특성의 이변량 분석에서 대인관계에 따라 전문직 자아개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간호이미지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적 이미지, 대인관계, 대학유형이었으며 총설명력은 24.6%이었다. 따라서 대학교육과정을 통하여 전문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간호 상(象) 정립이 필요하며,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양경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37 nursing students from October 19 to 23,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Baron and Kenny steps for mediat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were 3.02, 3.81, and 4.01,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rofessional self-concept,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self-efficacy was directly affected by professional self-concept(R2=35.8%). Majorsatisfac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professionalself-concept (R2=35.3%).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academic self-efficacy impacted reported major satisfaction(R2=36.8%). Academic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β=.18, p<.05)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major satisfaction(Sobel test: Z=2.05, p<.05).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ncrease the major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a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a strategy to enhance academic self-efficacy are needed.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10월 19일부터 23일까지 137명의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Baron & Kenny 단계를 사용한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각각 3.02, 3.81, 및 4.01이었다. 전문직 자아개념,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전공만족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전문직 자아개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R2=35.8%)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R2=35.3%). 전문직 자아개념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의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R2=36.8%),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전공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β=0.18, p<.05)를 보였다(Sobel test: Z=2.05, p<.05).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더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성정희,최길복 중소기업융합학회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2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여 직무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 료로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4월 1일~30일까지 치과 병·의원에서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182명을 대상으로 일반적특성, 직무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를 조사하였다.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일원분산 분석법과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직무 스트레스(β=-0.324), 전문직 자아개념(β=0.345)에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임상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전문직 자아개념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는 낮을수 록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치과위생사의 전문직 자아개념을 높이고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enhancing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82 dental clinic hygienists from April 1 to April 30 of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Results: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cluded job stress and professional self-concept. Conclusions: The higher the professional self - concept,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 job stres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reduce job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