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기학습 이론의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에의 함의: 예방계획 및 관리원칙을 중심으로

        조석현,김태윤 한국행정학회 2014 韓國行政學報 Vol.48 No.4

        본 연구는 폐기학습의 이론적 문제의식과 처방이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의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이될 수 있는가와 우리나라 재해재난관리정책에 유효한 함의가 있는가를 알아보려는 것이다. 방법론으로는재해재난정책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강조하는 주된 문제점에 대한 문헌들을 검토한 후 재해재난의 특성,예방계획의 원칙, 그리고 관리원칙을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행정환경과 권유하는 관리원칙간의 이론적 연계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론들에 대한 분석결과 재해재난의 특성과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환경속성과의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누적성과 복잡성에서 높은 연관성이 나타났다. 재해재난의 예방계획의 원칙과 관리원칙에서도 폐기학습 이론이 권유하는 관리원칙이 미래예측이나 위급상황, 과정, 의사결정, 조정, 인력과 자원관리 등에서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불확실성, 상황적합성에 따른 변화와 혁신이 요구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론들의 일상적이고 본질적 기능수행, 보편적인 일반원칙 등에서는 폐기학습 이론과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재해재난정책대상 분야에서는 상당 부분 폐기학습 이론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폐기학습 이론의 정책적 함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폐기학습 이론이 전제하는 환경속성이나 권유하는 관리원칙들이 우리나라의 재해재난분야의 환경문제나 예방계획 및 관리문제를 개선하고 우리나라 재해재난분야의 특성 및 예방계획의 원칙이나 관리원칙 분야에 보완이나 대체가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려, 향후에 폐기학습 이론이 우리나라 재해재난의 정책대상 분야에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는 바이다.

      • KCI등재

        20세기 이후 발생한 재난 특성 분석을 통한 미래 변동 추이 전망

        오재호,허모랑,우수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3 Crisisonomy Vol.9 No.1

        현재 우리는 과거에 비해 발달된 문명과 산업사회의 편의를 누리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의 예측 범위를 벗어나는 자연 재해와 재난으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를 경험하고 있으며 더욱이 날로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는 기후변화의 위기에 직면하여 자연재해와 재난으로 인한 현대 사회의 불안감도 증폭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8년 자연재해대책법에서 ‘재해’와 ‘재난’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세기 이후 발생한 자연재해·재난의 통계자료와 사례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래 자연 재해·재난의 변동 추이를 전망하였다. 최근의 자연환경 변화가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때, 미래의 기후변화 경향과 이의 결과로 발생되는 여러 가지 재해·재난의 모습들도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지구 온난화가 단지 지구 평균기온의 상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상기상의 출몰로 재해와 재난의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IPCC 보고서를 비롯한 여러 연구에서도 지적한 바 있다. 자연재해·재난의 특성 분석과 미래 전망은 과학자들이 국가 정책을 수립하는 사람들을 비롯한 사회 구성원들에게 위협이나 경고를 던지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극복하기 위해 인류 전체가 가져야할 책임의식의 고취와 장기적인 정책 거버넌스의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효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

      • 미국의 재해구호 활동과 시스템 : 특징 및 함의

        박동균 국가위기관리학회 2011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3 No.1

        미국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정부뿐만 아니라 민간, 특히 자원봉사 조직을 연계한 재해구호시스템을 공고하게 구축하고 있다. 재해구호에 관한 미국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국가차원에서 재난에 대한 관심과 투자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왔고, 또한 국민의 생명을 중시하여 긴급구조 및 긴급의료체제가 짜임새 있게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미국의 재해구호 활동의 특징 및 시사점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경우, 재난구호에 있어 민·관 공조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이다. 향후 우리나라에서 재해구호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책과정에서 시민단체 및 민간부분의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하고, 민관 역할분담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둘째, 미국 재해구호의 강점은 재난 발생 시 신속한 피해조사 및 구호물자 전달 시스템이다. 미국 적십자사의 경우, 500 세대당 20명 이상의 피해조사 자격을 갖춘 봉사원을 파견시켜서 이재민들에 대한 피해상황을 수집하고 있다. 미국은 주택수리, 공공시설 복구 등에 대한 피해조사는 정부가 하고, 이재민들의 생계구호 차원의 긴급구호를 위한 피해조사는 봉사자들이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재해구호물품을 배분하는데 있어 지방자치단체나 공공행정조직이 담당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공무원들은 행정의 공정성과 책임성을 위해 구호물품 전달에 있어 관료주의적인 결정을 내리기 쉽다. 셋째, 미국은 재해구호 인력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다. 전문기능을 보유한 인력들은 별도의 교육이나 훈련 없이도 구호임무를 수행할 수 있지만, 이재민 구호영역은 그 특성상 민간단체와 자원봉사자가 대부분을 담당하므로 사전훈련 없이는 오히려 피해주민들에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미국의 적십자사는 대형재난 구호요령, 연방정부의 구호사업, 구호소 운영, 급식, 구호품 관리, 재난시 홍보요령, 재난시 보건, 전산운영, 재난구호 강사 양성, 자족지원 등 50개의 과정이 73개의 강좌로 개설되어 실시함으로써 연인원 2천여명 이상의 전문봉사원들을 배출해내고 있다. 넷째, 미국은 재난현장에서 실제 구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민간단체들이 구호활동 수행을 위한 재원조성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모금하여 집행하고 있다. 이는 국민들에게 호소력을 가지고 자발적인 모금운동을 전개할 수 있어 재난대비, 대난대응이라는 일련의 과정에서 민간중심의 자율적이고 체계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다섯째, 미국에서는 재해보험에 적극적으로 가입함으로써 국민 스스로 자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재해연보와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을 활용한 재난관리 방안 연구: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송영석(Song, Youngseok),이희섭(Lee, Heesup),박무종(Park, Moojo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은 태풍, 호우 등의 자연재난에 발생빈도를 증가시켜 복합적인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자연재난은 국가의 인명, 재산, 시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켜 재난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재난은 발생빈도, 재난의 크기, 피해규모 등의 예측이 어려워 현재까지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난관리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연보’의 2006년부터 2017년까지의 피해현황과 시군구별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상남도의 재난관리 방안으로는 과거 자연재난의 재난유형별 피해현황과 재난발생으로 유발되는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풍수해 저감종합계획의 재해위험지구와 재해유형별 가중치를 고려한 경상남도의 재해유형별 재난관리 예산비율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Recent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including typhoons and heavy rains. These disasters have resulted in complex damage. Natural disasters enormously affect a variety of critical areas (e.g., human life, property, and facilities), thus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frequency, size, and scale of such natural disasters and the resulting damage. Many disaster management studies are therefore being conducted in a variety of areas. This study examined a disaster management plan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damage statu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in the disaster yearbook from 2006 to 2017 in addition to a comprehensive si/gun/gu disaster plan designed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Past natural disaster status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in the Gyeongsangnum-do disaster management plan. This study also proposes equations for calculating a budget ratio for disaster management in Gyeongsangnum-do by considering the disaster risk area and the weight of the disaster type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plan to reduce storm and flood damage.

      • KCI등재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김상덕,김창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에 대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절차와 재해경감활 동관리체계를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적용범위에 규정된 재난관리 단계별 각 활동을 포함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A'기관의 운용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요구사항에 맞는 업무연속계 획 대상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재난관리 단계별 내용과 절차를 명확 히 정의하고, 4단계별 활동에 대한 업무연속성계획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결론: 기업재난관 리표준 요구사항에 대하여 재난관리활동 각 단계별 활동을 포함한 PDCA모델을 제시하였고, 재난의 예 방 및 대비계획을 포함하는 광의의 재난관리 개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Method: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operational cases of 'A' institution were reviewed, and the targets of continuous planning were reviewed to meet the requirements. Result: It was reviewed that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each phase of disaster management, which is a requirement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re clearly defined, and a task continuity plan is established for each stage of activity. Conclusion: Conclusion : The PDCA model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was presented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of the broad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lans for disasters was presented.

      • KCI등재

        CCTV 영상 정보와 재난재해 인식 및 실시간 위기 대응 시스템의 융합에 관한 연구

        김기봉,장창복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3

        최첨단 과학기술 시대를 맞아 사람들은 재난재해 예경보 시스템 및 재난재해 대응 시스템들이 잘 갖추어 져 있다고 믿고 있으나 세월호 사건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현실에서는 제대로 된 재난재해 예경보 및 대응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기존의 재난재해 예경보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효율성이 낮은 센서 정보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영상 정보는 모니터링 요원에 의해 수동적으로 감시되고 있다. 또한 인식된 재난 재해에 대해서도 어 떻게 대응하고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대응 시스템과의 연계가 미흡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 CCTV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재난재해의 발생여부 및 정도를 최대한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고 위기대응 매뉴얼에 근거하여 이를 모든 관련부처나 담당자들에게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효과적인 위기대응이 가능한 CCTV 기반 재난재해 인식 및 실시간 위기 대응 기술을 제안한다. People generally believe that disaster forecast and warning systems and response systems are well established in the age of cutting edge technology. As a matter of fact, reliable systems to respond to disasters are not properly equipped, as we witnessed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The existing forecast and warning systems are based on sensor information with low efficiency, and image information is only operated by monitoring staff manually. In additio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a warning system and a response system in order to decide how to cope with the recognized disaster is very insufficient. This paper introduces the CCTV based disaster recognition and real time crisis response system composed of the CCTV image recognition engine and the crisis response technique. This system has brought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ensor based forecast and warning systems, and to resolve the problems in the absence of monitoring staff when responding to crisis.

      • KCI등재

        재난재해 지역 난민들을 위한 구호물품 디자인 연구

        남미경(Nam, Mee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본 논문은 향후 난민들의 물리적 · 정신적 치유와 회복에 현실적 도움이 될 수 있는 구호물품 디자인의 개발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범위는 재난재해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전략과 체제를 포함한 국내 재난관리 대책, 난민을 위한 구호물품 디자인 사례 분석, 그리고 구호물품 디자인 개발과 발전을 위한 실제적 방안과 디자인의 역할제안을 논하며 결론에 이르고 있다. 연구방법은 인터넷을 이용한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 · 출판물 등 문헌조사를 통한 고찰 및 분석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난(Natural Disaster), 인적재난(Manmade Disaster), 해외재난(International Disaster)으로 재난재해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재난재해(Disaster)는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과, 그 결과로서 발생하는 인명상해나 재산손해 및 환경훼손’으로 개념을 정립 할 수 있다. 셋째, 국내 재난관리의 기본 방향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안전한 나라’의 목표 달성을 위해 안전문화, 생활안전, 기업안전, 국가기반체계, 재난관리체계 등 5대 요소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넷째, 전쟁이나 자연 · 인적 · 해외 재난재해 등으로 곤경에 빠진 사람 모두를 포괄적 개념의 ‘난민(難民, Victims · Refugees on Disaster Zone)’으로 분류하고, 미국 벅 민스터 풀러(Buckminster Fuller)의 1970년대 ‘난민들을 위한 구호천막’, 일본 시게루 반(Shigeru Ban)의 ‘재난 대처를 위한 생태친화적 건축 프로젝트’ 등이 사례로 분석 되어졌다. 다섯째, 재난재해 지역에서의 구조와 구출이 완료된 후 인간으로서의 존엄성(Dignity)을 지키며 정신적 · 물리적 트라우마에서의 치유와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율적이고 지혜로운 디자인 접근방식이 난민을 위한 구호물품 디자인의 역할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가 재난재해 지역 난민을 위한 구호물품 디자인 개발과 향후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 확대를 위한 이론적 · 체계적 분석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offer theoretical data and definite analysis materials for extensive development of relief supplies design to provide a practical help for mental and physical healing and restoration of victims · refugees on disaster zone and to promote a social role through design activity by discussing with its advanced perspective. Main scopes of this article are form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a concept of disaster, and classification of a domestic disaster control measures including strategy and system, cases of relief supplies design for victims · refugees on disaster zone, and finally come to the conclusion through a considering about social role of design with efficient plan and prospect for developing relief supplies design.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and analyze the data from internet D/B in domestic and abroad, and variety of literatures including thesis, books, periodicals and the other publications. The summary of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below. First, types of disaster could be classified with natural disaster, manmade disaster, and international disaster. Second, disaster would be conceptualized as ‘something could make a damage to life⋅physical body and property of people and country, and the resulting risks as a personal injury, property loss, and environmental damages’. Third, a basic direction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s built on 5 elements with a safety culture, public safety, company safety,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s, an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achieving target ‘safe country to live with an easy mind’. Fourth, ‘victims⋅refugees on disaster zone’ is explained as an inclusive meaning as people who are in a predicament by war, natural disaster, manmade disaster, and international disaster. ‘Relief shelter’ by Buckminster Fuller, USA in 1970s,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project for responding to a disaster’ by Shigeru Ban, Japan cases are analyzed and explained as good cases of relief supplies design. Fifth, an efficient and wise design approach to provide a practical help for mental and physical healing and restoration of victims⋅refugees on disaster zone with keeping human dignity after rescue and save people was suggested as a role of relief supplies design. It wa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be utilized as theoretical⋅systematic data for developing relief supplies design for victims⋅refugees on disaster zone, and expanding its social role by design activity in the future.

      • KCI등재

        재산,시설물재난책임의 내용

        최명구 ( Myunggu Choi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一鑑法學 Vol.0 No.32

        오늘날 급속한 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와 더불어 인위적 재해를 포함한 사회재해가 사회에서 간혹 발생하고 있다. 이런 재해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시설물 등 재산권을 적극적으로 보호(헌법 제23조)하고 국민의 환경권을 보호(헌법 제35조)할 의무를 국가가 부담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재난발생을 대비하기 위하여 준비, 대응, 조치를할 의무를 부담한다(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1조). 아울러 시설물관리주체 특히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적정한 유지, 관리를 통해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공중의 안전확보와 국민의 복리증진에 기여할 의무를 부담한다(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조 참조). 그 밖에 재산, 시설물재난과 관련된 많은 특별법의 다양한 규정으로 책무 및 책임을 규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재산, 시설물의 개념과 범위, 재난의 개념과 유형, 재산과 시설물재난의 법적 책임의 법리와 재해전보의 문제로 나누고, 재산과 시설물재난의 법적 책임의 법리에서는 공작물책임, 공작물책임과 관련된 다른 법률상 책임과 재난 관련법상 책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재난관리법상 책임당사자와 그 책임내용에서 보상책임은 무과실책임의 성격을 갖는다. 재해전보의 경우에는 재배보상과 손해배상의 조정문제가 발생하고, 아울러 같은 재해관련 법률사실에 대하여 여러 청구권의 경합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양립을 인정하는 것이 완전손해배상책임에 부합할 것이며, 따라서 재해손해전보는 완전보상주의에 근거하여 손해전보하되, 재해보상과 손해배상은 상호 보완관계를 인정하여 손해배상의 상호보완성관계를 가질 필요가 있다. Today, the natural disaster in base on the rapid environment and the social disaster including the artificial disaster happen often in our society. According to the article 23 of Korea Constitution,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Also the article 35 of Korea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State shall endeavor to protect the environment. Then, article 1 of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prescribes that the purpose of this act is to establish a disaster and safety control system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Besides, a few of other special acts regulate the facility’s and structure’s liability for disaster. This paper contain the concept and the cover of the property and the facility, the concept and kinds of the disaster, the content of the legal liability on the property and the facility for disaster, the complement disaster damage. Under the content of the legal liability on the property and the facility for disaster are explained the liability of structures, the liability in other acts concerning the liability of structures and the legal liability for disaster based on acts disaster related. The legal liability on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can the liability for the compensation that is the liability without fault because this liability rely on the legal duty. On the case of the compensation for disaster exists how to control the pay for damages. Competing problems of a few different right of claim also are provided concerning the compensation and the pay of damages. Here, in those problems about the competing of rights of claim have to be compatible those rights. By so doing, the complete compensation can be fulfilled. Therefore, our society need to put priority on the complete compensation. But between the compensation for disaster and the pay of damages need reciprocal arrangements.

      •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대응을 위한 국제 구호활동 분석

        오재호,박동균,조성제,우수민 국가위기관리학회 2011 국가위기관리학회보 Vol.3 No.2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자연재난의 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인적재난 및 사 회재난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의 재난 예방 및 대응을 위한 선진국의 재해구 호 활동 및 시스템을 살펴보았다. 특히 중앙집권적인 재난관리 방식의 대표적 국가인 미국과 수 많은 지진에 의한 재난을 경험하면서 발전된 지방분권적인 재난관리 방식을 정착한 일본을 중 심으로 재해 구호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요약하면 다 음과 같다. 첫째, 선진국에서는 재난 발생시 구호에 있어 민·관 공조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 다. 둘째, 재난 발생시 신속한 피해조사 및 구호물자 전달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다는 점이 다. 셋째, 미국과 일본은 재난 구호 인력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다. 넷째, 대부분의 외 국 은 재난현장에서 실제 구호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민간단체들이 구호활동 수행을 위한 재원 조 성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모금하여 집행하고 있었다. 다섯째, 재해보험에 적극적으로 가입 함으 로써 국민 스스로 자신의 재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국제적 재 해 구호활동의 사례 분석에서 시사하는 바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현재 공공부분의 재해수습 체 계와 민간부분의 구호 및 지원체계를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국의 재해, 재난 연구와 ‘재난인문학’

        이석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China is a country with many disasters in its history, and it has had a rich record of disasters since the old perio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diverse records in the world. The <漢書 五行志> and other disaster records books continued to be compil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se rich disaster-related records and modern disciplines, comprehensive disaster research has been formed and rich and fruitful results have been accumulated. Disaster research in the 1920’s was triggered by large-scale disaster. In particular, the early Chinese research was active in the field of historical geography with natural science tendencies. They tracked changes in ancient climate, studied the regularity of earthquakes,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and so on. In particular, the ancient history books and other display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has been integrated. Bu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the main body, the standard was also different.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accumulation of disaster-related records, made the compilation of disaster history maps. The research of disasters in the field of history carried out in two fields: the history of disasters and the history of salvation. The history of disasters also began in the 1920s as a result of large-scale disasters. It is worth mentioning that Deng Yunte's <中国救荒史: History of China's Sal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istory of disasters rescue. In history, the proportion of disaster history is not large, and he has been engaged in the research and compilation of data in the natural sciences. After the 1980s, people's concern about the history of disasters rose in full, and appeared in the rescue policy and even in the appearance of a new sub-scientific text of <災荒史>. At present, the field of the history of disaster relief mainly studies the rescue policy of various periods, the thought of warehouse system of the disaster. And the main research stream is changing from the general history study to the single history study, from the macro-research to the micro-study, from the disaster even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ster and society. Although China's disaster history research has been fruitful, but the historical geography and other natural science tendencies of the proportion of research is still very high. In the reflection of this situation, new progress is being made in the study of social history and the study of the disaster history of grass-roots society. Nevertheless, in the study of overall disasters and disasters, the proportion of humanities such as history is not high. It is only recently that many works have appeared, including the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and other disasters, and literature and other fields focus o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in the new human perspective. In addition, researchers need to focus on the literary works reflecting disasters, such as the mass disaster narratives, such as the <流民图>, all of which deserve our attention. Using these diverse disaster narrative records, contain the memory of the people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 Actively exploring the records of disasters, including literature, observing the daily nature of society at that time, observing the views of the subjects who want to recover and the efforts and hopes of the people is the main method of disaster humanities. 중국은 예로부터 다양한 재해가 많이 발생한 나리이며, 선진시기부터 이미 풍부한 재해 관련 기록이 존재한다. 이런 다양한 기록은 다른 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들며, 한서 오행지 등의 災異 기록 등과 함께 황정서, 구황서 등도 지속적으로 편찬되었다. 이런 풍부한 재해 관련 기록과 함께 근대 학문이 도입된 이래, 본격적인 재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다양하고 풍부한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본격적인 중국의 재해 연구는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당시의 재해 연구는 자연과학적 경향성을 지닌 역사지리학 분야에서 활발하였다. 그들은 고대 기후의 변화를 추적했고, 지진 발생의 규율성, 재해의 시공간 특성 등을 연구하였다. 특히 고대 역사서 등에 보이는 재해 관련 자료를 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는데, 제작하는 주체에 따라 기준이 상이하다. 최근에는 정보 기술의 발달로 재해 관련 기록을 축적하고 재해 역사지도 편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역사학계에서의 재해사 관련 연구는 크게 재해사와, 구황사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재해사의 연구도 마찬가지로 1920년대 대규모 재해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특히 등운특의 중국구황사는 재해사, 구황사 분야에 큰 영향을 끼친 연구 저작이다. 다만 역사학 분야에서 재해사의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에서 자료를 정리하는 보조적 기능에 종사하기도 하였다. 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재해사 관심이 고조되었고, 災荒史 내지는 災荒學 이라는 새로운 분과학문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현재 구황사 분야는 각 시대별 구황책, 구황 사상 등이 주로 연구되고 있으며, 통사적 연구에서 단대사 연구로, 거시적 연구에서 미시적 연구로, 재해 사건에서 재해와 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로 전환되고 있다. 이렇듯 중국의 재해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역사지리학을 비롯한 자연과학적 경향의 연구 비중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이런 상황의 반성에서 사회사적인 시각에서 기층사회와 연관된 재해사 연구가 새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재해, 재난의 연구에서 역사학을 비롯한 인문학의 비중은 높지 않은 편이다. 최근에 四川의 汶川대지진을 비롯한 재난을 겪은 후 문학 등 새로운 인문학적 시각에서의 재해 재난을 겪은 사람들을 주목하는 작품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기존의 역사서, 황정서 뿐만 아니라, 재해를 반영한 문학작품, 流民圖 등과 같은 대중의 재난 서사를 담은 작품 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난서사의 기록을 활용하면서 재난을 겪은 대중들의 기억을 고찰하면서, 문학을 비롯한 재난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당시 사회의 일상성을 살피고, 그것을 회복하려는 주체와 사람들의 노력과 희망 등을 살펴보는 관점이 재난인문학의 주요한 방법론 중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