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상담에서 재난 심리활동가의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김은미(Kim Eun Mi)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7 교정상담학연구 Vol.2 No.2

        본 논문은 국민안전처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의 상담활동가의 재난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상담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면담을 통해 재난심리상담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대전세종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에서 2개월에서 2년정도 재난상담활동을 하고 있는 13명의 활동가를 대상으로 하여 재난상담을 하게 된 계기와 재난에 대한 느낌과 생각과 행동에 대해 1차적으로 질문지를 통해 알아보고, 많은 사례를 경험한 활동가를 심층면담하였다. 아울러 재난상담에 참여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에 대한 공감으로 인해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는 응답과 피해자들의 어려움을 자신의 일처럼 여긴다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상담에 대한 인식이 아직 부족하여 피해자를 접근함에 있어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이야기하였다. 많은 경우 주변의 권유로 재난활동가로 활동하게 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타인을 돕는 것에 대해 심리적 만족과 스스로 부족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함께 존재하였다. 자연재해나 교통사고, 화재 등의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일차적으로 투입되어 심리적인 안정을 이루도록 돕고 있는 재난활동가들의 역할에 대해 논의 하였으며, 향후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적절하게 활동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This study is to find orientations of disasters psychological counseling through interviews about difficulty in psychological first aid situations and to search counseling activists’representations of disasters. The participants are 12 counseling activits were activing in psychological first aid, and they are volunteer counseling from 2 months to 2 years in Daejeon Red Cross. They were asked about emotion, thinking, behaviors during psychological first aid. Especially, they were fully experienced other’s empathy and heartness for difficulty and suffering in various disaster situations. Because lackness of awareness of victims’ counseling, many counseling activists are having difficulties a lot. Finally, we are discussed about roles of volunteer and psychological first aid.

      • KCI등재

        국가적 재난 발생 대응에 대한 상담자의 경험적 합의 - 재난상담 수행 경험 및 상담자 요구 -

        김형수,안지영,김동일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재난 대응 심리 개입에 대한 상담자들의 경험과 요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상담관련 주요학회(한국상담학회 및 한국상담심리학회), 서울 경인지역 중고등학교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속 상담자 300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재난상담 교육 경험 및 요구, 재난상담 참여경험 및 수행역할, 인접 분야와의 상담자 수행 역할 유사도 등에 대한 12문항의 설문이 실시되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응답자들은 재난상담관련 교육 경험이 적었고, 재난 상담 참여 경험 유무나 경력 수준별 차이에 상관없이 교육 요구는 모든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응답자들 가운데 약 25% 정도가 재난 상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인원 대비로는 5년 이상의 경력자들의 참여도가 높은 편이었다. 셋째, 응답자들은 재난 상담 시 역할을 의사 및 임상심리사와 비슷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실제 역할과 다소간 불일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ata on counselors' experience and perception about disastrous situation when proper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00 counselors belong to major counseling associations(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and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Incheon area, and youth counseling & welfare centers. The survey consisted of 12 questions about training experience of disaster counseling, needs of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erformance role of disaster counseling, and counselors’ role similarity to adjacent fiel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overall, had less experience of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and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disaster counseling training regardless disaster counseling experience and different career levels. Second, among all respondents, only 1/4 had field experience. The counselors with fiv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showed the highest rate of disaster counseling experience in the field. Third, the respondents had a perception that their roles in disaster counseling are similar to those of doctors and clinical counselors. Thus, there exists an inconsistency in counselor’s actual roles in disaster counseling.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황수연,이윤지,신성희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23 교류분석상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경험을 다각도로 탐색하고 상담가의 정신건강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혼합연구방법의 순차적 설명 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양적연구의 설문조사에서는 재난상담가들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정도는 비교적 낮고, 회복 역시 잘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불어 재난상담가의 이차적 외상스트레스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직무자원의 소명감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이차적 외상스트레스가 비교적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고, 각 집단에 속하는 재난상담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재난상담가 개인적 외상 경험과 재난 상황의 심각성에 따라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더불어 재난상담가를 대상으로 하는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 지원 체계가 부재함에 따라 재난상담가들은 스스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회복을 위해 전문적 또는 일상적 노력을 시도하였다. 하지만 개인 차원에서 회복은 한계가 있음에 따라, 본 연구는 상담가의 정신건강이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재난상담가를 위한 이차적 외상스트레스 증상 존재 여부 확인 시스템과 상담 및 슈퍼비전 체계의 마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used a sequential explanation design with mixed research methods to explore the recovery experience of counselors at the Disaster Psychological Recovery Support Center who have been exposed to secondary trauma str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a survey of quantitative studies, the degree of secondary trauma stress of disaster counselors was relatively low, and recovery was also well achiev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secondary trauma stress of disaster counselors, opportunities to develop job resources and expertise were helpful. Since then, the researchers classified the counselors into groups with high and low levels of secondary trauma stress and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counselors from each group.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degree of secondary trauma stress varied depending on the counselors' personal trauma experiences and the severity of the disaster situations they encountered. Additionally, due to the absence of a secondary trauma stress recovery support system specifically designed for disaster counselors, the counselors made efforts on their own to recover from secondary trauma stress through professional and daily endeavors. However, as recovery is limited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secondary trauma stress symptom check system, counseling, and supervision system for disaster counselors to keep the counselor's mental health healthy.

      • KCI등재

        미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 및 재난위기상담의 실제와 시사점

        이동훈,강현숙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미국 재난관리 및 재난심리지원 체계와 재난위기상담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의 재난심리지원체계 구축 및 개선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재난심리지원 체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의 재난심리지원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재난관련 각 기관의 지원내용과 역할이 법에 명시되어 있어 역할과 책임소재가 명확하고, 서비스 전달체계가 매뉴얼화 되어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둘째, 미국은 연방정부를 중심으로 주․지방정부, 비정부기관이 역할과 책임을 효율적으로 분담하여 상호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미국은 재난발생시 지방정부가 제일선에서 책임을 맡고 지역사회 기반의 재난심리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넷째, 미국의 재난심리지원은 정신과적 진단을 배제하고 다수의 대상자에게 심리적 응급조치나 재난 피해를 입은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장기적으로 재난을 극복할 자원을 계발시켜주는 심리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재난위기상담프로그램은 재난회복과정을 시간적 단계별로 구조화하여 개인상담, 단기교육 및 지지적 접촉, 집단상담, 대중 교육, 치료의뢰 등의 활동을 재난 후 최대 1년간 제공함으로써 재난 피해자의 능동적인 역량 증진 및 탄력성 회복을 지향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재난심리지원체계 구축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constructing and improving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Korea by examining disaster management,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and disaster crisis counseling program in the U.S. through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ere are 5 features of disaster management,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U.S. First, quick countermeasures are possible due to distinct role of each organization which is clearly stated in the law. Second, U.S. constructed mutual organic relationship among Federal, State, local government, and NGO. Third, local government are responsible in the front line and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activities are done by local communities. Fourth, crisis counseling is provided by the form of psycho-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developing resources to overcome the disaster for entire community. Lastly, the aim of the disaster crisis counseling program is to recover resilience and to promote capabilities of disaster victims by providing disaster crisis counseling program for a year after disaster. Implications for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and crisis counseling program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

        재난대응 정신건강·위기상담 가이드라인의 분석: 트라우마 개입의 중다 지침을 위한 서설

        김동일,이윤희,김경은,안지영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omprehensive psychological support guideline for post-traumatic stress to which people can refer when proper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after a disaster. This study analysed contents of the media for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including handbooks, editorials,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selected contents that were considered as proper psychological supports for traumatic events such as a national disaster, and in the final analysis, 11 handbooks, 20 editorials, 5 websites and 11 mobile application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inductive analysis, which was to find out a general pattern through exploring new phenomena or looking at previous data, was used. As a result, th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guidelines were classified as subject, period and stage. The subjects includ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chool officials(crisis management committee, school counselors and teachers) and the general public(the person directly involved, friends and families). The period was divided into ‘Immediately after the disaster’, ‘Ater the disaster’, ‘Follow-up management’ for the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into ‘Before the resumption of school’, ‘After the resumption of school’ and ‘Follow-up management’ for the school officials. Additionally, each period was divided into specific stages according to the roles of each subject. This study integrated and rearranged the disaster support guidelines that were provided sporadically, so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at was said in the existing psychological guidelines so far. By doing so, the areas which need to be supplemented we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in the future are provided. 본 연구는 재난 대응 심리 개입이 신속하고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주체가 해당 단계에 따라 참조할 수 있는 외상 대응 정신건강․위기상담 지침을 개관하고 공통적 속성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에 해외의 대표적 사례를 포함하여 국내 매체에서 제시하는 재난 대응 심리지원 매뉴얼, 전문 학회 및 기관의 지침, 기사, 스마트폰 앱의 위기상담 개입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국가적인 재난 및 트라우마 사건의 발생 시 심리적 지원 및 개입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분석된 자료는 매뉴얼 11건, 기사 및 칼럼 20건, 웹사이트 5건, 애플리케이션 11건이다. 자료 분석은 구체적인 관찰을 통해 일반적 패턴을 찾는 귀납적 분석 방법(Inductive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재난 대응 정신건강 및 위기상담 가이드라인은 대상별, 시기별,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대상은 정신건강 및 위기상담 전문가, 학교 관계자(학교 위기관리 위원회, 전문상담교사, 교사), 재난피해자(당사자, 친구, 가족), 일반인으로 구분하였다. 시기는 전문가의 경우, 재난 발생 직후, 재난 발생 이후, 사후 관리로 구분하였으며, 학교 관계자의 경우, 학교 정상 재개 이전, 학교 정상 재개 이후, 사후관리)로 분류하였다. 또한 시기별로 각 대상의 역할에 따라 다시 세부 단계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산발적으로 제시되고 있던 국내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을 정리함으로써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재난 대응 심리지원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향후 효과적인 재난 대응 위기상담 지원을 위해 보완이 필요한 영역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세월호 재난 위기개입에 참여한 상담자의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접근

        이동훈,신지영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qualitatively to explore counseling experiences, focusing on counseling process, of nine participants who joined in crisis intervention for Sewol Ferry disaster and how it impacts upon the life of individual as well a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unselor. Narratives were analyzed through Giorgi’s phenomenological study procedures. Analysis of the participant transcript resulted in five main themes and 22 sub-themes; ‘comprehension and distress in the process of crisis counseling’, ‘outsid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counseling’, ‘psychological rests that relieve counselors’ difficulties’, ‘requiem constantly resonating inside the heart even after one year’, and ‘reflection on life and experience of awareness of counselor’s valu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재난 위기개입에 참여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상담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상담과정에서 상담자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색해 보고, 이러한 경험이 개인으로서의 삶과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과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9명의 참여자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개의 구성요소와 22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구성요소는 ‘상담과정에서 경험하는 두려움과 고통스러움’, ‘상담과정에 영향을 주었던 외적 요소들’, ‘상담자의 어려움을 버티게 해준 심리적 급유기’, ‘1년이 지난 지금도 마음속에 울려 퍼지고 있는 진혼곡’, ‘삶에 대한 성찰과 재난위기개입 현장에서의 상담자의 중요성을 경험’이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협동조합기반 재난심리지원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우리(Shin, Woo Ri),강형기(Kang, Hyoung Kee) 충북대학교 국제개발연구소 2018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재난심리지원의 필요성과 일본의 재난관리 및 재난심리지원체계를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의 재난심리지원체계의 구축 및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일본과 우리나라의 재난심리지원체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본의 재난심리지원체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은 각 기관의 지원내용과 역할을 법에 명시하고 있어 역할 및 책임소재가 명확하다. 둘째,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지방정부, 비정부기관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셋째, 대규모 재난 초기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재난심리지원인력과 적십자사에 의한 심리지원이 이루어지고, 재난발생 이후 마음케어센터에 의한 지원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역사회 기반의 재난심리지원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재난심리지원체계 구축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constructing and improving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Korea by examining disaster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Japan through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ere are 3 features of disaster management,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Japan. First, quick countermeasures are possible due to distinct role of each organization which is clearly stated in the law. Second, It is establishing partnerships with local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based on central government ministries. Third, Psychosocial support from the Red Cross with the psychiatric support by the DPAT from local government were achieved in the early stage of disaster psychology support system in Japan. In the long term intervention after disaster, psychiatric support from Kokoro-no care center has been established.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 are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activities are done by local communities. Implications for disaster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

        재난피해의 심리적 영향과 재난극복을 위한 심리적 조력의 방법 : 아동을 중심으로

        이윤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1

        This study reviewed exposure to disaster, social support, coping skills, changes of family life style, death of family member as factors relate to psychological effects of disaster, and different effects according to children's individual differences. This study also reviewed assistance methods at disaster site, method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and debriefing. Model of psychological effects process and common outcome factors of debriefing,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presented. Critica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고는 성인들에 비해 재난으로 인한 심리적인 영향을 더 심각하게 받으며 이러한 재난을 회복하기 위한 내적 자원이 더욱 부족한 편인 아동들에 초점을 맞춰 재난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개관과 분석을 통해 재난의 심리적 영향과 회복을 돕는 심리적 조력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고는 아동에게 주는 심리적 영향과 관련된 요인 들로 사회적 지지에의 접근, 대처기술의 사용, 가족생활의 변화, 가족 성원의 사망의 영향을 고찰하고 이러한 영 향이 아동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바를 고찰하였다. 심리적 조력 방법에서는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조 력, 심리조력팀의 활동을 살펴보고 경험보고, 개인상담, 집단상담으로 아동들을 돕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결론에 서는 위에서 고찰한 선행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재난이 아동들에게 심리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과정의 요인들 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심리조력 방법인 경험보고, 개인상담, 집단상담의 공통적인 성과요인들로 반응의 정상화, 위기에 대한 대처 기술 증진, 인지적 재구성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 조력의 방법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가 재난 위기에 처한 아동을 위한 돌봄: 가습기살균제 피해아동을 위한 놀이치료 적용과 기독(목회)상담적 돌봄

        류경숙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1

        The number of humidifier disinfectant victims has been significant over the past decade, and many people are still suffering. In particular, more than 38% of the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participated in play therapy amo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 participants conducted on stage 1-3 judges and their families. Therefore, detailed plans for children'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care practices are needed. In this study, first, the necessity and treatment factors of applying play therapy for children in danger under national disaster situations such as humidifier disinfectants were examined. Second, it introduces play therapy methods that can guide children's development and adaptation through experience in hospitals during hospitaliz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physical diseases, and it also introduces a counseling manual applied to children affected by humidifier disinfectants in 2017. Finally, it presents the meaning of pastoral counseling for play therapy that helps children in the national disaster crisis. 2011년 역학조사요청 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피해상황을 조사 중인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피해자 수가 상당하고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특히 주목할 것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중 1-3단계 판정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상담 서비스 참여자 중 놀이치료에 참여한 유․아동은 38% 이상이었다. 그러므로 국가 재난이나 위기상황에서 아동의 문화와 발달 특징을 이해하고 위기에 처한 아동의 경험 주제를 파악하여 심리․정서 및 사회적 돌봄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준비가 필요하다. 아동을 돕기 위해서는 아동의 언어인 놀이를 활용하는 접근이 유용하며, 아동이 자신의 어려움이나 문제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바른 안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같이 국가적인 재난 상황과 위기 상황에 놓인 아동을 돕기 위한 놀이치료 이론고찰과 적용 필요성, 치료적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2017년 3월부터 실시된 가습기 살균제 피해 아동을 위해 활용한 놀이치료 매뉴얼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기에 처한 아동 돌봄을 위한 의료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 적용방법과 체계적 관점에서 아동을 도울 수 있는 사례개념화 기준을 제시하였다. 상담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침으로 국가 재난 위기에 처한 아동을 돕는 놀이치료의 기독(목회)상담적 의의를 제안한다.

      • 심리학에서의 재난위기관리 연구

        이윤주(Yoon Joo Lee)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05 Crisisonomy Vol.1 No.1

        본고는 먼저 심리학에서의 위기의 개념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 다음으로 재난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개관과 분석을 통해 재난의 심리적 영향, 재난으로부터의 회복을 돕는 심리적 조력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재난 위기의 피해자들에 대한 심리적 영향을 크게 두가지의 스트레스 증상군과 이로 인한 결과로 나누어 정리하고 이러한 영향이 시간의 경과, 성차, 연령 변인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재난피해에 대한 심리적 조력 방법으로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조력과 심리조력팀의 활동을 살펴보고 그 밖의 주요한 조력방법으로서 경험보고, 개인상담, 집단상담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고의 결론과 함께 선행연구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definition and meaning of Psychological crisis, psychological effects of disaster, assistance methods at disaster site, method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and debriefing. This study showed two stress symptoms and outcomes from symptoms as psychological effects of disaster, and reviewed relationships between psychological effects of disaster and time passage, sex, age variables. Also, this study analysed assistance methods and found common factors of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and debriefing. Conclusion from previous studies and critica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