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작업기억 역량에 대한 연구동향 고찰(경도지적장애인을 중심으로)

        황정보,백지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4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능력에 관련된 연구동향에 관한 고찰 연구이다. 작업기억은 학습과 일상 기능에서 상당히 중요하지만,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연구는 거의 미비한 상태에 있다. 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 강점과 약점은 통제집단 일반아동의 작업기억 수행과 비교하여 탐구되었다. 추가적으로, 일상 기억은 작업기억 과정에 의존 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끝으로, 컴퓨터화 된 작업기억 훈련의 개발을 통하여 작업기억 수행의 효과성과 관련된 능력이 연구되었다. 그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도지적장애아의 작업기억은 발달지연과 관련이 있어서 음운 루프 능력 결함은 경도지적장애아의 교정 훈련에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둘째, 교육과 함께 일상생활에서의 작업기억이 경도지적장애아에 부과되는 요구가 크다. 셋째, 작업기억 훈련이 경도지적장애아에게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is study is associated with working memory abilit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is very important for learning and daily functioning, but it is hardly studied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orking memory strengths and weaknesses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explored by comparing their performance with that of control group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addition, everyday memory is studied as it is assumed to rely on working memory processes. Finally, a computerized working memory training is developed and it’s effectiveness on working memory performance and related cognitive abilities is investig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a developmental delay account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finding of a phonologicalloop capacity deficit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remedial training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result holds implications for the demands imposed o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education and daily life. of associated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everyday memory and working memory. Third, The result indicates that working memory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기억부하가 얼굴과 공간 작업기억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 사건유관 fMRI 연구

        김정희(Junghee Kim),정광우(Jeong Gwang-Woo),강형근(Heoung-KeunKang),이무석(Moo-Suk Lee),박태진(Taejin Park)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본 연구는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처리에 대한 영역특수모형과 처리특수모형을 검증하고자 수행한 사건유관 fMRI 연구이다. 지연반응과제에서 얼굴자극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하고 표적자극의 수를 달리하여 기억부하를 조작하였으며 일정한 지연기간 후 위치 및 얼굴 재인판단을 요구하였는데, 지연 동안 정보유형(위치와 얼굴)이 기억부하효과의 신경상관물에 미치는 영향을 뇌영상 처리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은 정보유형(자극영역)과 기억부하(표적자극의 수)로서, 정보유형변인은 얼굴작업기억(비공간작업기억) 및 공간작업기억의 두 수준, 기억부하변인은 표적자극이 1개인 조건(저부하)과 3개인 조건(고부하)이었다. 행동수행 분석 결과, 재인정확도에 있어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작업기억 모두에서 동등한 정도의 기억부하효과가 확인되었다. 뇌 영상분석 결과, 유지단계에서 전전두피질의 하측 및 중/상측영역이 모두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양자와 관련되고 특히 VLPFC가 두 작업기억에 공통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처리성분에 따른 전전두피질의 기능적 전문화를 주장하는 처리특수모형에 더 잘 부합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domain-specific model and process-specific model of spatial and nonspatial working memory (WM), this study manipulated the memory load of the delayed response task and examined how the neural correlates of memory load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stimulus domain (face and location) at the maintenance stage of WM using an event-related fMRI experiment. One or three face stimuli were presented as target stimuli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maintain the face itself (face WM) or the location of face stimuli (spatial WM). The results of recognition judgment accuracy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ace WM and spatial WM, and showed equivalent memory load effects of both WM. As a result of brian image analysis, memory load effect at maintenance stage showed that inferior, middle, and superior PFC were recruited by both face WM and spatial WM, and showed that VLPFC was the commonly activated area by both WM, supporting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PFC by process components of WM.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for process-specific model in which maintenance of WM is associated with VLPFC.

      • KCI등재

        작업기억(Working Memory) 확장을 위한 유아 복합 드로잉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장지현,이신동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Based on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infant drawing,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infant drawing education program using infant working memory, along with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drawing activities and working memory. To this end, the concept of working memory and the structure of the schema were summarized and the concept of M-capacity and the structure of the working memory was presented, and the drawing program of the visual infant drawing based on the drawing map system was evaluated through the secondary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the drawing of classes through teaching methods that stimulate working memory is significantly more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than previous drawing.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assessed that the drawing process through W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working memory of infants as well as on the drawing results of infants. This study clarifies the working process of working memory in theoretical terms and applies it through practical training programs. The results of drawing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ize of M-capacity, which is affected by the maintenance, expansion, integration of working memory, the process of observation, perception, coding and the transition of mental resources to long-term memory, and can be attempted through the process of suppression,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executive functions. Ultimately, the expansion of the size of the M-capacity can be achieved through active activity of the working function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utilized schemas, where infant drawing can be an effective activity. 본 연구는 유아 드로잉(drawing)의 인지과정 기반 으로 유아 드로잉 활동과 작업기억의 관계에 대한 이 론적 규명 및 유아 작업기억을 활용한 유아 드로잉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된 연구이다. 작업기억의 개념과 작업기억의 작용에 있어 M-용량 과 스키마의 구조성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한다. 드로 잉 지도체제에 대한 24차시 작업기억 역할을 바탕으 로한 유아 드로잉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2차시 프로그램을 통해 작업기억역할을 활용한 유아 드로잉 효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그 결과 작업기억을 자극하는 교수 방법 드로잉수 업은 사전 드로잉활동에 작품의 결과가 복잡해지고 정교화된 것을 알 수 있다. 작업기억을 활용한 드로 잉 수업은 유아의 드로잉표현의 향상 및 유아 작업 기억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유아 드로잉인지과정에서 작업기억의 작 용 과정을 명확히 하고 이를 실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적용해 보는 것이다. 드로잉의 결과는 M-용량의 크기의 확장을 통해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작업기억의 유지, 조작, 통합을 위해 관찰, 지각, 부호 화의 과정과 정신자원의 장기기억으로의 전환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작업기억의 집행기능의 억제, 수 정, 보완의 과정을 통해 향상을 시도할 수 있다. 유아 드로잉 인지 과정에서 스키마 수의 최대치를 동시에 활성화 하면서 작업기억의 M-용량의 크기를 확장시 킨다. 유아 드로잉은 작업기억의 용량을 확장 시키는 효과적인 활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작업기억용량 개인차가 문장처리 및 자가평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성지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2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문장처리능력의 개인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다. 이중언어사용과 작업기억용량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작업기억용량이 높을수록 외국어 능숙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문장처리과제에서 말속도를 조절하여 인지적 부하량을 체계적으로 조절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의 개인차가 이중언어 사용 성인의 제2언어 문장처리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대상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며 미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장처리과제로는 개정판 토큰검사(Revised Token Test)를 사용하였으며, 세 가지의 작업기억과제를 사용하여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다. 문장처리과제의 말속도를 보통 말속도와 빠른 말속도로 구분하여 비언어적 인지 부하량을 조절하였다.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로 제시된 문장처리과제 점수를 예측하였으며, 제2언어 자가평가 지수들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작업기억용량과 문장처리 정확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였다. 또한,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집단에 비해 문장처리과제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말속도 조절에 따른 집단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빠른 말속도에서 두 집단 모두 문장처리과제에서 정확도가 감소하였다. 작업기억용량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말하기, 듣기에 관한 제2언어 자가평가지수에서도 유의하였으나, 읽기 지표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은 제2언어 능숙도(proficiency)를 넘어서 보다 근본적인 인지적 기제(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로서 문장처리능력에 관여하고 있음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Working memory capacity has been argued to serve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involved in various cognitive tasks. It has been of inter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is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second language process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capacity and sentence processing in non-native speakers who learned English after puberty. Three different working memory measures were employe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served 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abilities presented under the normal and fast presentation rates. Participants'second language proficiency was assessed based o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revealed that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when the second language proficiency indexes were partialled ou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uggested that the working memory capacity is the factor, which significantly predicted performance on second language processing. Wh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e low and high working memory groups, low working memory group showed significantly worse performance on the sentence processing task than the high working memory group. In sum, working memory capac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ies of second language processing.

      • KCI등재

        최근 작업기억 모형에 관한 연구: 한글 읽기장애아동에의 시사

        정용석 ( Yong Seok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 관련 최근 모형들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한글 읽기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특성 파악 연구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의 작업기억 모형 탐색은 국내외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Baddeley의 작업기억 모형들을 시간적으로 관통하고 있다. Baddeley와 Hitch(1974)의 작업기억 모형이 제안된 이래로, Baddeley는 초기에 제안한 작업기억 모형들을 끊임없이 수정보완 해 왔는데, 본고에서는 초기 모형에서부터 최근의 작업기억 모형들을 이슈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작업기억 모형 고찰에 선행하여, 한글 읽기장애아동의 작업기억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작업기억 리뷰는 Baddeley와 Hitch(1974)의 중앙처리장치, 음운회로, 시공간적 잡기장으로 구성된 초기 작업기억 모형, 일화적 완충기를 하위모형으로 부가하고 장기기억과의 상호작용을 가정한 Baddeley(2000)의 수정된 작업기억 모형, Baddeley의 음운회로 모형을 입력완충기와 출력완충기, 그리고 이 둘 간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가정한 Jacquemot와Scott(2006)의 작업기억 모형, 맥락기억과 항목기억을 일화적 완충기와 음운회로로 관련지운Burgess와 Hitch(2005, 2006)의 계산론적 작업기억 모형, 그리고 새로운 정보와 친숙한 정보에 대한 작업기억 메커니즘 등에 초점을 두었다. This study is a review for studying the working memory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in Korea. We reviewed as follows. First, we reviewed studies about read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the Korean reading disabilities. Most of them implied that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had a difficulty in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apid speed naming tasks, and Korean reading disabilities had a difficulty in working memory. It was suggested that it was important to study about working memory in Korean reading disabilities. Second, we reviewed and compared the working memeory model of Baddeley and Hitch(1974) which studies on Korean reading disabilities were based on, to the working memory model of the Baddeley(2000) which added interactivities of short-term memory, and long-term memory and episodic buffer to it. Third, we reviewed the study of Jacquemot and Scott (2006) which w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speech processing, and the studies of Burgess and Hitch (2005, 2006) which were focused on computational models of working memory with putting long-term memory into context. Finally, we reviewed studies related to the working memory and nove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 KCI등재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실어증환자의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에 미치는 일반화 효과

        손희정(HeeJeong Son),성지은(JeeEun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본 연구는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를 실시하여 작업기억과 문장이해 및 단어유창성으로의 일반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어증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인지 및 언어장애가 나타나며, 작업기억은 언어 및 인지 관련 과제를 처리하는 데 있어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정보의 조작 및 수행에 관여하는 근본적인 기제로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기억이론에 근거하여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를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방법: 실어증환자 7명을 대상으로 6-8주에 걸쳐서 주 2-3회 중재를 실시하였고, 사전•사후 평가를 포함하여 총 16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는 특정 작업기억 과제를 반복하는 동안 순차적으로 단서가 제공되는 중재 프로토콜이다. 결과: 중재 작업기억 과제의 단어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비중재 작업기억 과제에서는 단어 바로 따라말하기 과제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문장이해과제 정확도와 단어유창성 과제 중 동물 범주유창성 과제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가 비중재 작업기억 과제와 음소유창성 과제로의 일반화 효과는 제한적이었으나 중재 작업기억 과제와 문장이해, 범주유창성 과제로의 중재 및 일반화 효과를 나타냈다. 의미범주기반 작업기억 중재는 실어증의 근본적인 기제와 관련된 인지과정인 작업기억을 촉진하여 언어능력으로 확장하는 중재기법으로 다양한 유형의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작업기억뿐 아니라 언어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effect of semantic category-based working memory (SCWM) treatment on sentence comprehension and word fluency in persons with aphasia. It was predicted that SCWM treatment would en¬hance working memory capacity and increase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word fluency in patients with aphasia. Methods: Seven Korean individuals with mild to moder¬ate aphasia caused by left hemisphere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in 16 sessions, approximately half an hour per day 2 to 3 times a week. Treat¬ment protocol consisted of an SCWM span task and 4 cues: telling a word list to the partici¬pants, showing the participants category cards, showing the participants random word cards, and asking the participants to match category and word cards.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Pre-post comparisons were analyzed with the Wilcoxon signed-ranks test.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score increases in the SCWM span task. Furthermore, the SCWM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to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categor¬ical word fluency, and working memory span with word forward repetition task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SCWM treatment is effective in enhancing working memory capacity for people with aphasia.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s were gener¬alized to sentence comprehension ability and categorical word fluency in these pati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king memory is an underlying mechanism associated with sentence comprehension and categorical word fluency and is a critical factor to be consid¬ered in language treatment for persons with aphasia.

      •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 분석

        양현모,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2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6

        본 연구는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언어이해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지적장애는 초기 언어발달이 느리고 추상적인 개념이나 추론능력, 논리력 등의 상 위인지능력이 결손으로 인해서 지식의 논리적인 조직화와 일반화를 어려워하며, 단기기억과 작업기억이 부 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작업기억은 어휘, 문장학습, 문해력 및 언어능력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들 이 있다. 따라서 작업기억능력이나 작업기억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은 말과 언어발달을 예측하는 주 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구 방법은 2017년 이후 지적장애의 작업기억 또는 언어이해와 관련된 논문을 19편 선정하였다. 연도별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그리 고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와 관련된 연구는 2021년 을 제외하면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중 지적장애와 작업기억 연구는 4편, 지적장애와 언어이해 연 구는 13편으로 구별할 수 있었으며 지적장애의 작업기억과 언어이해 연구가 2편 있었다.

      • KCI등재

        인공와우 이식 아동에 있어서 작업기억용량과 수술 후 언어능력과의 관계

        조응경(Eung Kyung Cho),성지은(Jee Eun S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1

        배경 및 목적: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수술 후 언어능력에 관한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근본적 기제에 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중, 작업기억용량은 언어정보 유지 및 처리와 관련하여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수술 후 언어능력에 있어서 언어ㆍ인지적 근본기제로서 작업기억용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천성농 혹은 고심도 청각장애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을 받은 7∼9세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능력은 표준화된 검사인 『수용ㆍ표현 어휘력 검사』 및 『구문의미이해력 검사』로 평가하였고, 작업기억용량은 단어 바로 및 거꾸로 지시하기 과제로 측정하였으며 두 과제의 평균을 작업기억용량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과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그리고 작업기억용량 중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를 단계적 중다회기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및 인공와우 사용기간, 그리고 생활연령을 통제하였을 때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단계적 중다회기분석 결과,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작업기억용량 중에서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수는 작업기억용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및 인공와우 사용기간과 생활연령을 통제하였을 때 작업기억용량에 따라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 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이 구문이해력에서 작업기억용량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수행력이 향상되었으나 수용어휘력에서 집단 간 수행력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작업기억용량이 인공와우 이식 수술연령, 인공와우 사용기간, 생활연령 변수에 비해 수용어휘력과 구문이해력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작업기억용량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구문이해력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작업기억용량이 다른 변수에 비해 언어능력에 기여도가 높은 변수이며, 언어처리부담이 높은 구문이해력에서 나타나는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근본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Working memory capacity (WMC)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that may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skill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 significantly predict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on a receptive vocabulary test and a sentence comprehension task among age of the cochlear implant, chronological age, duration of usage of cochlear implant, and WMC.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WMC groups in the two language tests when the age of the cochlear implant, duration of usage of cochlear implant, and chronological age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Methods: Twenty prelingual and congenital deaf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9 years, who received cochlear implant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language skills were assessed using standardized tests such as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and Korean Oral Syntax Expression Comprehension Test (KOSECT). WMC was measured using word forward/backward pointing span tasks. The average of the results of the two span tasks was used as an index of WMC. Results: The results from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MC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core on both language tests. The results of ANCOVA showed that the high WMC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on the KOSECT than the low WMC group, whereas the group differences were negligible in the REVT. Discussion & Conclusion: The current results suggested that WMC serves as an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 responsible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language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The effects of WMC emerged more evidently in a test with greater cognitive load such as a syntactic comprehension test compared to the receptive vocabulary test, given that the high and low WMC group differences were the greatest in the sentence comprehension test.

      • KCI등재

        어휘발달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억 중재가 작업기억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언어장애 아동이 보이는 언어문제에 대해 기저의 처리 기제에 관심을 갖는 연구들이 꾸준히 있어 왔으며, 많은 연구들이 작업기억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발달지체(VD) 아동의 작업기억을 활성화하는 중재가 대상 아동의 작업기억 및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총 12명의 아동(VD 아동 6명, 이들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6명)을 대상으로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 차이를 검토하고, 사전사후 설계로 VD 집단(5;7-7;4)을 대상으로 5주간 주 3회의 집중적인 작업기억 중재를 실시한 후 중재 전후의 작업기억 과제(비단어따라말하기, CLPT, matrix) 및 언어능력 과제(REVT, K-TTFC, 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의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VD 집단이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세 가지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력이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기억 중재 후 VD 집단의 작업기억 과제 수행력은 CLPT (단어회상)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언어능력 과제는 REVT, K-TTFC, 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반응속도)의 수행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구어 작업기억 중재 프로그램이 VD 집단의 작업기억 용량을 확대하고, 어휘(REVT) 및 청각적 언어이해력과 주의집중력(K-TTFC), 구문능력(문장따라말하기, 문법성판단)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작업기억에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중재함으로써 작업기억과 나아가 언어능력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부정정서가 시각 및 공간 작업기억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선경,홍영지,이윤형,최원일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ask-unrelated negative emotion on the visuo-spatial working memory. Whil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spatial working memory share the same attentional resources, little is known whether the negative emotion also affects the visual working memory.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negative emotion on visual and spatial 2-back tasks by presenting negative valence IAPS (international affective picture system) images before the target stimuli. Participants were asked to memorize either the locations of the presented stimulus regardless of the shapes (in experiment 1) or the shapes of the stimulus regardless of the locations (in experiment 2). As results, compare with neutral valence IAPS images, task-unrelated negative IAPS images interrupted the performances of the visual 2-back task as well as those of the spatial 2-back task.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negative emotion shares the same resources with visual and spatial working memory.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와 무관한 정서적 자극이 시공간 작업기억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과거 많은 연구자들은 부정정서와 공간 작업기억이 동일한 시공간 주의자원을 공유하기 때문에, 부정정서가 시공간 작업기억의 일종인 공간 작업기억 과제를 선택적으로 간섭한다고 제안하였다. 하지만 시공간 작업기억의 또 다른 요소인 시각적 대상 정보를 처리하는데 미치는 부정정서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제와 무관한 부정적 정서자극이 시각 및 공간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시각과 공간 작업기억이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되는지 혹은 동일한 주의자원을 공유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자극의 모양은 무시하고 위치를 기억하도록 지시하여 공간 작업기억에 대한 부정정서의 영향을, 실험 2에서는 자극의 위치는 무시하고 모양을 기억하도록 지시하여 시각 작업기억에 대한 부정정서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간 작업기억과 시각 작업기억 과제 모두에서 부정정서에 의한 간섭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제와 무관한 부정적인 정서가 시공간 주의자원을 사로잡아 공간과 시각 작업기억 과제를 간섭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며, 나아가 공간 및 시각 작업기억이 동일한 주의자원을 공유한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