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활용 및 기대효과에 기반한 직무스트레스 : 임상치과위생사의 관점 조사

        박소영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2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반적인 특성과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활용 및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이들의 디지털 덴티스트리 역량 강화를 통한 직무스트레스 감소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일부 J지역 임상치과위생사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반 적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요인은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활용도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으로 비교했을 때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활용 시 기대효과가 가장 큰 영향요인이었다. 전반적 임상활용 기대효과가 낮을수록 전반 적인 직무스트레스가 높았다. 디지털 덴티스트리 임상활용 직무부담 및 불안정이 낮을수록 디지털 덴티스트리 관 련 교육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직무스트레스가 낮았다. 따라서 향후 임상치과위생사를 위한 성공적인 직무수행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직무스트레스 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clinical use of digital dentistry, and expected effect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provides basic data helpful in reducing job stress by strengthening their digital dentistry capabilities. It was carried out to do th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ome clinical dental hygienists in J area, and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ll job stress was the clinical use of digital dentistry, and when compared to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he expected effect of clinical use of digital dentistr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e lower the expected effect of overall clinical use, the higher the overall job stress. The lower the job burden and instability in clinical use of digital dentistry, the lower the job stress was in those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digital dentistry-related education. Therefore, in the future, program development and job stress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support successful job performance for clinical dental hygienists.

      • KCI등재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서 사회불안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관리역량의 매개효과

        이수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연구는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서 사회불안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관리역량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 진입 전과 실습 중의 사회불안, 자기관리역량, 임상수행능력 등의 차이를 분석하고, 사회불안과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관리역량의 매개효과를 분석한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충북의 일 대학교에서 첫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간호학과 3학년 95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첫 임상실습 진입전과 실습 중의 시기로 2회에 걸쳐 사회불안, 자기관리역량, 임상수행능력 등을 측정하였다. 첫 임상실습 진입 전과 실습 중의 사회불안, 자기관리역량, 임상수행능력 등의 차이 분석은 paired t-test, 변수 간의 관련성은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매개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과 SPSS macro process Model 4를 활용한 붓스트래핑으로 경로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서 진입 전과 실습 중의 사회불안, 자기관리역량,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분석 결과에서 사회불안과자기관리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변수 간의 관련성 분석에서 사회불안과 자기관리역량은 부적 상관관계, 사회불안과 임상수행능력도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자기관리역량과 임상수행능력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간호학생의 첫 임상실습에서 진입 전과 실습 중의 사회불안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에 미치는 자기관리역량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로 분석되었다. 결론 자기관리역량은 간호학생의 대학생활과 임상실습에서 사회불안을 극복하고 임상수행능력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으로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자기관리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clinical competency before and dur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practice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5 third-year nursing students experiencing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at a university in Chungbuk. The research data measured social anxiety,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clinical competency twice before and during the first clinical practice. The difference analysis before and during the first clinical practice was performed by paired t-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analysis wa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was analyzed by boostwrapping using SPSS macro process Model 4. Results In the first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but clinical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easurement results before and during clinical practic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y but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clinical competency. This study found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y. Conclusions The Self-management competency has been identified as a necessary competency to overcome social anxiety and achieve the goal of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iversity life and clinical practic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the future.

      • KCI등재

        온라인 임상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

        조미영(Mi Young Jh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임상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조절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2021년 12월까지 지난 10년 동안 출판된 국내 및 국외 논문 중에서 연구목적에 적합한 논문 총 7편을 선정하여 RevMan 5.4 프로그램과 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임상실습 교육의 학습효과는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세 영역 모두 효과가 있었다.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의 간호지식(ES=0.83, 95% CI: 0.40~1.26, p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정의적 영역에서는 학습동기(ES=0.77, 95% CI: 0.21~1.34, p=.007)와 임상실습만족도(ES=0.54, 95% CI: 0.27~0.81, p <.001)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심동적 영역에서는 간호술기 수행능력(ES=1.44, 95% CI: 1.09~1.78, p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온라인 임상실습교육의 이질성( )이 높았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 학년, 중재기간, 임상실습교과목을 조절변수로 하여 메타 ANOVA를 수행한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 임상실습교과목간 효과크기의 통계적인 이질성(Q=4.34, df=1, p =.037)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향후 임상실습 교육설계에서 온라인 교육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effect of onlin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on the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 studies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selected from among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until December 2021, and the effects were analyzed using the RevMan 5.4 program and the R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effect of onlin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by dividing it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domains, all three domains were effective. The effect siz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nursing knowledge in the cognitive domai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the affective domain and nursing skills performance ability in the psychomotor domain. Meta-ANOVA was performed using grade, intervention period, and clinical practice subjects as control variables i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where the heterogeneity of onlin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was high. As a result, statistical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between clinical practicum subjects in the cognitive domain was revealed.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o appropriately utilize online education method in future clinical practicum education design.

      • KCI등재

        Effects of medical schools and standardized patients on clinical performances of medical students

        Jang Hee Park(박장희),Taeje Seong(성태제),Sehee Hong(홍세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1

        의과대학들은 학생들의 진료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의사 진료상황을 설정하고 훈련된 표준화환자(훈련된 모의환자)를 이용하여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대부분 의과대학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으로 문항개발, 표준화환자 훈련, 시험시행을 하고 있다. 여러 대학이 시행하므로 학교효과를, 관찰에 의한 수행평가이므로 채점자효과를 평가해 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 자료가 여러 대학의 학생들이 과제당 단일 표준화환자에 의해 평가되어 채점자효과를 단일차원에서 계산이 어렵다. 이에 채점자집단을 2수준으로 하고 학교집단도 함께 파악하는 교차분류모형(cross-classified model)을 이용하여 학생 성적에 나타나는 학교효과와 채점자효과를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행과제의 평가영역들(병력청취, 신체진찰, 임상예절, 의사환자관계) 중 신체진찰은 학교효과가, 환자의사관계는 표준화환자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들 중에서는 대학별 평균성적과, 표준화환자별 평균 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수행평가 문항 구성 및 표준화환자 훈련 및 채점교육 시 이러한 효과들을 고려하여 개발하고 훈련시킬 필요가 있다. When we analyze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 data assessed by single rater on a large scale, the school effect and rater effect should be conside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he amount of variation in individual scores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s between medical schools and between standardized patients (SPs) (raters), and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SPs might explain such variation. Students were grouped by the school attended and by the SP who evaluated the students’ performance and acted as a patient in each task (case). Each student was cross-classified with a school and a SP. The cross-classified model is a useful method for analyzing the combined effect (school and rater effect) in this type of hierarchical data. The results by this model showed that students’ performance outcom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s and SPs. Each task had four content domains: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Clinical Courtesy, and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Among them, the school effect on student scores with regard to Physical Examination items and the SP effect with regard to History Taking and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items were significant. Some predictors, for example, mean scores of schools and SPs, explained the variation of student scores significantly. For reliabl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medical students, SPs should be carefully trained in th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domain.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불안의 매개효과

        정다인(Jeong, Da In),은영(Eun, Young),김정숙(Kim, Jeong Sook),이영실(Lee, Young 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임상실습이 교내실습 또는 온라인실습으로 바뀜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J시, C시 소재 간호대학생 172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1년 2월 10일부터 2월 20일까지 자기주도 학습능력, 불안,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을 이용하였다. 결과 지난 1년간 임상실습형태는 병원과 교내실습의 병행한 경우가 79.1%이었고, 임상실습 총 13.5주 중 병원과 교내실습의 병행한 경우가 약 10주 동안 이루어졌다.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불안 및 불안과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임상수행능력에 β=.59 정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불안이 개입되었을 때는 β=.49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불안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증가하면 불안이 감소되어 임상수행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교내실습, 온라인수업이 장기화가 예상되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clinical competence and mediating effect of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72 nursing students located in J City and C city from Feb 10th to Feb 20th, and measured the self-directed leaning ability,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e using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sobel test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rm of clinical practice during the past 1 year were 79.1% of the cases combined with hospital and school practice. Total duration of clinical practice were 13.5 weeks, of which about 10 weeks were combined hospital and school practic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nxiety and clinical competence and anxie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β=.59 on clinical competence. Anxiety was involved, it had a significant effect β=.49. It was confirme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nxiety. Conclusions Therefore, it was founded tha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nursing students increased, anxiety decreased and clinical competence improved. Due to COVID-19, it is expected that school practice and online practice is prolonged. So it is needed to increas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order to improve the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KCI등재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고진희,구미옥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개 광역시와 1개 도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신규간호사 232명이었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은 Baron과 Kenny의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3단계 분석방법과 Sobel test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규간호사의 그릿과 임 상수행능력(r=.38, p =.011), 그릿과 재직의도(r=.32, p =.016), 임상수행능력과 재직의도(r=.33, p <.001)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고, 그릿과 재직의도의 관계에서 임상수행능력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z=3.14, p <.001).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신규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과 재직의도를 높여주기 위해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수행을 적극 권장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ate the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 among new graduate nurses. Participants were 232 nurses working at hospitals with over 300 bed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following the Baron and Kenny method and Sobel test for medi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clinical competence(r=.38, p =.011), grit and retention intention(r=.32, p =.016), and clinical competence and retention intention(r=.33, p <.001). Clinical competence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tention intention(z=3.14, p <.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enhancing grit would be useful to improve retention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긍정심리자본, 조직효과성, 간호업무수행 간 구조적 모형분석

        황경미(Hwang, Kyeong 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조직효과성과 간호업무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 Avey et al.(2010)와 Luthans et al.(2007)의 긍정심리자본의 개발과 성과모형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임상간호사의 조직효과성과 간호업무수행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델을 구축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정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250병상 이상의 4개 종합병원을 선정하여 임상간호사를 모집단으로 편의표본 추출된 47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2018년 9월 19일부터 10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 SEM)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경로계수의 유의성 검증 결과를 보면, 역할갈등에서 긍정심리자본, 조직효과성으로 가는 직접 경로는 부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역할갈등에서 간호업무수행으로 가는 직접경로는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긍정심리자본에서 조직효과성과 간호업무수행으로 가는 직접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를 보면, 역할갈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은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역할갈등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완전매개(full mediation)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y Avey et al. (2010) and Luthans et al. Its purpose is to establish a hypothetical model explain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through the collected data and a structural model that tests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e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4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250 beds located in U city, an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for 477 people with convenient samples extracted from clinical nurses as a population, and data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2, 2018. Was collect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direct path from role conflict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 (-), and the direct path from role conflict to nursing job performance was significant. No effect was seen. In addition, the direct path from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nursing job performance was positive (+). In the results of th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play a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effect of role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n the effect of role conflict on nursing work performa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ompletely mediated (full mediation)

      •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김석관,안두현,김형주,신광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2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최근 환경 변화는 의료산업의 혁신을 요구: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4P 의료, 정밀의학, 헬스케어 3.0 등), 우수 인력을 기반으로 의료산업의 산업적 경쟁력 강화 필요성, 국민 보건 증진 및 의료보험 재정 절감 필요성, 연관 산업(의약품, 의료기기)의 혁신을 촉진○ 그러나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의 개념, 유형,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관련 정책적 논의가 어려운 상황이며,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을 정의하고 유형화함으로써 향후 정책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는 의료산업의 혁신을 유형화하고 그 기본적인 내용을 개관함으로써 이후의 연구를 위한 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주요 연구내용(1)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개관○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은 “최적의 치료법을 개발하고 선별해서 의료 수요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의료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 보건을 증진하기 위한 모든 기술적, 비기술적 활동”으로 정의될 수 있음○ 신 치료법의 개발과 보급 과정에서 병원이 담당하는 연구는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로 통칭되는 추세이며, 의료 정보화, 조직 혁신, 비즈니스 모델 혁신, 제도 혁신 등은 서비스 혁신의 틀 안에서 이해될 수 있음○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은 기초연구, T1 중개연구, T2 중개연구, 서비스 혁신으로 분류될 수 있고, 각각은 다시 몇 가지 활동으로 세분됨(표 1) <표 1>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분류 단계 기초연구 T1 중개연구 T2 중개연구 서비스 혁신 제품후보발굴/전임상연구 임상시험 최적치료법 선택 의료 행위 적용 기술기반서비스혁신 비기술기반서비스혁신 모토 translationto humans translationto patients translationto practice 목표 기초지식 preclinical efficacy clinical efficacy clinicaleffectiveness diffusion to practice 서비스 경쟁력 강화 내용 타겟연구기전연구 제품후보 연구동물에서 효능/독성 평가 인간에서 효능/부작용 평가임상연구 비교효과연구체계적 문헌연구진료지침개발 실행연구배포연구확산연구성과연구 병원 정보화 조직혁신사업모델 혁신제도혁신 (2) 의료산업의 혁신 활동 유형별 주요 내용을 개관하고 주요 이슈를 제기○ 기초연구 및 T1 중개연구: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T2 중개연구: 최적 치료법의 선별과 보급○ 서비스 혁신: 의료전달체계의 개선과 효율화 결론 및 정책 제언(1) 지원의 우선순위와 지원 규모 설정○ 미국에서는 막대한 생의학 연구 투자에도 불구하고 자국의 보건 성과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사실에 근거해서 T1과 T2 중개연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짐- 미국 의학한림원을 비롯한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최적의 치료법을 선별해서 의료 수요자에게 적절하게 전달하기 위한 T2 중개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 우리나라의 상황을 고려한 우선순위 도출 필요: 우리의 한정된 재원을 고려해서 산업 경쟁력과 국민 보건 증진의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부터 지원해야 함(2) 병원의 연구 시스템 구축○ 의사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의학 교육 개선- 병역 특례와 연계한 MD-PhD 과정의 도입을 검토: MD-PhD는 사회 진출이 늦어지는 불이익이 있기 때문에 이를 상쇄하기 위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4년 동안의 박사과정을 병역 기간으로 인정해주는 병역 특례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 대학병원 소속의 전임의들에 대한 훈련 기회 제공: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고 대학병원에 들어온 전임의들에게 연구비와 인건비를 지급하여 1년 동안 연구에 몰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연구비 지원과 연구 시간 확보: 정부연구개발사업에서 의사들의 인건비를 일정 수준 계상하고 간접비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개선해서 의사들의 연구 시간을 확보해주는 것이 필요(3) 병원의 기초연구 및 T1 중개연구 강화○ 기초연구자와 임상 의사의 협업 시스템 구축: 기초연구자와 임상 의사의 협업 시스템 구축을 위해 장기적으로는 미국식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우선은 현재의 조직 구조를 유지하면서 기초의학교실과 임상의학교실의 공동연구를 촉진○ 병원와 외부 조직과의 협력 시스템 구축: 병원 중개연구는 대부분 외부 조직이 개발한 제품 후보의 효능과 부작용을 검증하는 것이므로 외부 조직과의 상시적인 협력 시스템(개방형 혁신 시스템) 구축이 중개연구 성공의 관건. 다양한 방식의 개방형 혁신 체제를 조직적, 문화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정부가 이를 지원해야 함(4) 병원의 T2 중개연구 강화○ 비교효과연구 및 의료기술평가 강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예산을 확대하고, 이 기관 주도로 주요 대학병원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해서 비교효과연구 및 의료기술평가를 체계적으로 추진- 비교효과연구는 드러난 의료 현안을 해결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철저한 기획에 의한 하향식(top-down) 추진체계가 적절.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비교효과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차근차근 연구를 추진해야 함○ 최적 치료법의 보급을 위한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 구축: 표준적 치료법과 실제 진료 현장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1차 진료 기관들로 구성된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 진료기반 연구 네트워크는 표준적 치료법이 실제 진료 현장에 적용되는 비율, 적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적용의 결과, 일선 의사와 환자들이 제기하는 문제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표준적 진료법의 수정과 보급에 기여하고 보건적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 (5) 병원의 서비스 혁신 촉진○ 병원 정보화르 통한 서비스 혁신 촉진: 우리나라의 우수한 IT 역량을 기반으로, 병원 정보화 성공 사례(예: 분당서울대병원)의 확산, 병원 정보화 기술개발 지원, 병원의 정보화 구축 자금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병원의 세계적 선두 주자로 도약○ 사업 모델 혁신을 위한 규제 정비: 4P 의료 시대에는 다양한 사업 모델이 새롭게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진입 규제를 비롯한 관련 규제들이 정비되어야 함

      • KCI등재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김경미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9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 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Ⅰ과 수준 Ⅱ, Ⅳ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가 가장 많았으며(66.7%),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 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I)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 : The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using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 The key words for search was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 and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11 stud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level of evidence were level Ⅰ, level Ⅱ and level Ⅳ. The substances of review were subject (population), meth ­od (intervention type), effect of the intervention, outcome parameter, and outcome measurement. Results : 1. The subjects of SII were autism spectrum disorders (30.7%),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15.4%) and preterm infants (15.4%). 2.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the traditional intervention of J. Ayres (36.5%). The outcome parameters of SII were behavioral outcome (40.63%), motor perform­ance outcome (28.13%), sensory-based outcome (25.0%), and academic outcome (6.35%). 3. The effects of SII were improvement of motor performance (66.7%), sensory-based (62.5%), and behavior problems (61.5%). In most studies, however, academic skill such as writing skill was not a positive outcome pa­rameter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SII. Conclusions : The results implied that the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is effective on motor performance, sensory-based and behavioral change, but not on the academic skill. It is suggested that the future re­search need to be done to examine whether and how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can be long-lasting and contribute any academic skill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performance.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 임상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안성아 ( Seongah Ahn ),백소영 ( Soyoung Baek ),정은영 ( Eunyoung Ju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 임상수행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J시와 전라남도 S시에 소재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1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은 팀 공유정신,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팀 공유정신은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팀 공유정신은 팀 효과성, 팀 응집력, 팀 신뢰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팀 응집력은 팀 신뢰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팀 신뢰도, 전공만족도 순이었다. 이러한 영향 요인들이 임상수행능력을 38.7%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팀 신뢰도와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mental health,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on, team reli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linical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6 3rd year and 4th year nursing students in J and S c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eam - sharing spirit,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veness, and team reliability. Team spir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m effectiveness, team cohesion, and team reliability. Team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eam cohesiveness and team reliability. Finally, team cohes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m confidence. In other words,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in order of team reliability, major satisfaction, and these factors explained 38.7%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eam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