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섯 가지 텍스트 해석 방법을 활용한 읽기 중심 교육 모형의 개발

        김미란(Kim Mi-Ran) 한국리터러시학회 2012 리터러시 연구 Vol.- No.5

        한국의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읽기를 통한 쓰기가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교육의 비중이 높은 데 반해 읽기-쓰기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모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중 쓰기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못한 상황이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쓰기 교육의 모형 개발이 시급했던 터라 읽기 교육 모형까지 고민할 수가 없었던 저간의 사정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러한 점 때문에 글쓰기 수업에서 선택되는 읽기 교육의 수준은 낮은 편이다. 글쓰기 교수자들이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텍스트의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텍스트를 읽는 방법은 10여 년 전의 교육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이 영역은 여전히 미답 상태에 놓여 있다. 그 점에서 읽기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의 대학 글쓰기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많지만 읽기 교육 모형의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고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질적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그 점에서 본고에서 제시하는 읽기 교육 모형은 읽기 교육을 활성화시키는 데에만 목표가 한정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읽기를 통한 쓰기’ 혹은 ‘쓰기를 위한 읽기’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본 연구는 쓰기 교육의 활성화를 최종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먼저 그 전제가 되는 이론을 제시하였다. 이론 없는 방법론은 토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진척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미국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모색 과정과 그 결과를 반영하는 방식으로 글을 서술하였다.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을 위해서는 존 피터스가 개발한 텍스트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서적 관점, 윤리적 관점, 수사학적 관점, 논리적 관점, 사회적 관점이 그것이다. 그런데 읽기와 쓰기를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한국 대학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읽기 교육 모형 개발에 초점을 두기는 하되 읽기-쓰기 교육의 통합적 관점을 유지하면서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살리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Korean academic writing, reading to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eaching method. But concrete models for it are not developed sufficiently. Especially,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re not tried to develop so far. This is caused by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the models for writing education. The matter must have been settled without delay. But that is why the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not high. Although the level of reading texts which are offered by professors is high, teaching methods for reading are not changed for about 10 years. It means this area has been stalled for a long time. In that respect,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is a most urgent task. Even if there are so many problems to solve for Korean academic writing, this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task we can t delay no more. Therefore in this paper, I place great importance on developing the models for reading education, and contribute to qualitative for growth Korean academic writing through it. For this purpose, I offered theories which are the premises of it. Methodology without no theory is very fragile. However in Korea, the study and research are not accumulated enough, inevitably in this paper, I introduced theories and methodologies for reading and writing by American scholars. Especially, to offer a concrete reading education, I used John peters’method. His method for reading education is very useful because it includes emotional, ethical, rhetorical, 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But in Korean universities, it is common to adopt integrated education of reading to write, I proposed the method of reading education which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with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연구

        정광조,이효자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2

        This study was going to explore response to intervention, and whether or not it can be applied in middle school. For the this purpose, we selected three students who was low achieving readers and one students who was a learning disability reader by the Basic Academic Skills of : Reading test. After that, we implemented the Han-geul reading programs of applying Direct Instruction and monitored student's reading ability. As a results, three students who was low achieving reader show good response to the reading program when we compared their data with norms which was about primary third grade level. But one student who was a learning disability reader, even though she showed good response to the reading programs, she couldn't show good response to the reading program when we compared her data with norms which is about primary first grade level.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response to instruction model which have Direct Instruction and CBM can classify low achieving' students and learning disabilities' student and is apt for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erefore, we hope that many researchers are going to apply response to intervention to the field and also try to study it in primary school. 본 연구에서는 중재반응모형이 국내의 중학교에도 적용이 가능한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에서 기초학습부진학생으로 선정된 학생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중심 측정인「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 읽기 검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가지고 읽기 기초학습부진학생 3명과 읽기 학습장애학생 1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중재반응모형에서 핵심적으로 적용되는 증거-기반의 읽기 기술로「직접교수(Direct Instruction) 원리를 적용한 한글읽기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읽기 유창성의 진전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읽기 기초학습부진학생들은 ‘반응’을 보이면서 읽기 기초학습부진 수준으로 벗어나거나 정상 수준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읽기 학습장애 학생은 ‘반응’은 보였지만, 읽기 진전도에서 그 수준이 다른 학생들의 읽기 유창성 수준에 비해 낮으며 그 오류 교정에서 많은 시간이 걸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직접교수법과 교육과정중심측정을 활용한 중재반응모형이 중학교의 읽기기초학습부진학생과 읽기학습장애를 분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습장애 학생을 진단 및 평가하는 모형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도 중재반응모형을 구체적으로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글읽기에서 나타난 성인과 청소년의 중심와주변 정보처리: 고정시간 분포에 대한 확산모형 분석

        주혜리(Choo, Hyeree),고성룡(Koh, Sungryong) 한국인지과학회 2020 인지과학 Vol.3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글읽기의 주요한 현상인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parafovea preview effect)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성인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안구운동추적 실험을 통해 연령이 다른 두 집단의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안구운동 추적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자료를 단일경계 확산모형(diffusion model)의 시작점(starting point) 파라미터로 설명되는지 확인할 것이다. 실험은 경계선 기법(boundary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와주변 정보처리를 관찰하였다. 실험 1에서는 중심와주변에 미리보기 정보로 고빈도 단어를 제시하는 것과 미리보기 정보를 차폐하는 것을 비교하였다. 실험 2에서는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정보로 저빈도 단어를 제공하였고, 중심와주변 미리보기를 차폐한 것과 비교하였다. 두 실험 결과, 청소년 집단과 성인 집단에서 중심와주변에 정보가 주어졌을 때 중심와주변 미리보기 이득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심와주변에 높인 정보 성질, 즉 단어의 빈도에 따라 두 집단의 첫고정시간, 단일고정시간, 주시시간에서 고정시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실험에서 얻은 첫고정시간 데이터를 분위수로 나누고 단일경계 확산모형에 fitting한 결과, 중심와주변 정보처리가 시작점 파라미터로 설명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parafovea preview effect of adolescent group and adult group with different ages using eye tracking experiment. Also,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tarting point parameter of the one boundary diffusion model can explain the data obtained through eye tracking experiments. In two experiments, parafoveal information processing was examined using the boundary technique. In Experiment 1, reading times were compared between the conditions given high frequency words preview versus masking preview. In Experiment 2, the condition in which low frequency words were given to parafovea preview information and the condition in which parafovea preview was masked were compared. We found that both the adolescent group and the adult group showed a parafovea preview effect. Also, first fixation, single fixation, and gaze duration of the two groups were different based on the word property shown in the parafovea. The first fixation data obtained in the two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quantiles and fitted into one boundary diffusion model. From the results, we argue that the parafovea preview information processing in the reading was described as the starting point parameter of the one boundary diffusion model.

      • KCI등재

        온라인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기반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홍혜준 ( Hong Hye-joon ),김경훤 ( Kim Kyong-hwo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의 플립 러닝 방법을 수정, 보완한 온라인 플립 러닝 기반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의 요인은 고급수준에 속하는 한국어 능력의 부족뿐만 아니라 교재에서 배우는 읽기 자료에 대한 정보 부족도 문제가 된다. 온라인 플립 러닝은 전통적인 교실수업과는 달리 개별화 학습과 협동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효율적인 학습능력향상이라는 중대한 효과를 가져 오게 된다. 온라인 플립 러닝 기반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의 대상 강좌는 <한국어 읽기 수업>이고, 대상자는 S대학교 학부대학 외국인 유학생으로 총 65명이다. 온라인 플립 러닝 기반 한국어 읽기 수업은 읽기 수업 전 단계(사전 강의), 읽기 수업 단계(본 강의), 읽기 수업 후 단계(사후 강의)의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온라인 플립 러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도 조사를 통해 전통적인 강의 형식의 수업보다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플립 러닝 기반 한국어 읽기 수업이 효과적임을 밝혀냈다. 현재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어 능력이 부족하고 전공과목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학습자 개개인의 능력과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에서 온라인 플립 러닝기반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은 새로운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In this study, we propose a flipped learning based Korean reading class model to explore methods of improving foreign students’ reading ability of the Korean language. The difficultie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face in reading classes include a lack of not only advanced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information on reading materials learned in textbooks. Unlike traditional classroom approaches, the online flipped learning method significantly improves learners’ ability to learn efficiently through personalized and cooperativ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Reading Class of S university comprising 65 foreign students was subjected to the online flipped learning based Korean reading class model, which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pre-reading class, reading class, post-reading class. Further,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flipped learning approach. The survey found that online flipped learning based Korean reading classes provided a learner-centered approach and were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lecture-type classes. Currently, foreign students who enroll at universities in Korea are constrained by a lack of Korean language skills and knowledge of major subjects. The proposed online flipped learning based Korean reading education plan offers a meaningful solution at a time when individual learners need to find methods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their ability and proficiency.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 읽기 교재의 텍스트에 대한 연구 -주제, 분야, 하위 분야를 중심으로-

        박현수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In this article, I reviewed texts of reading textbook for undergraduates. These texts provide a variety of reading texts that can be used when students encounter similar texts in college study. M. Met and Stoller & Grabe said that “topic-based teaching model” is a teaching model that teaches subjects based on themes but also considers language learning. And said the topic revealed that the remaining five components were determined by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 assignment, and implementation. In the texts, the topic of each unit cover a variety of topics and avoid repeating the topics in the unit. However, it was hard to see that the text was in balance with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The problem of balance in the field is more prominent when we recall that the theme is composed of a “topic-based teaching model” that determines not only the subject and content of the lesson but also subject of conversation, text, links, tasks, and implementation. Along with the lack of balance in the field of text placement, the problem that may be raised is with the subfields. The “topic-based teaching model” model is a way of dealing with the contents and the language items that make up the contents. The lack of balance in the subfields means not only the lack of access to the subject of the missing field, but also the lack of language teaching on the subject.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4종 6권의 읽기 교재 텍스트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 의미와 문제점을 규명하는 데 있다. 이들 교재는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제시함으로써 대학 수학 과정에서 그와 유사한 텍스트를 접했을 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M. Met와 Stoller & Grabe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에 대해, 주제를 준거로 교과 내용을 가르치지만 언어 학습 역시 고려하는 교수모형이라는 점, ‘주제’에 의해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 나머지 다섯 가지의 구성요소가 결정된다는 점을 밝힌 바 있다. 교재들에서 각 단원의 텍스트가 다루고 있는 주제는 다양하며 단원에서 주제가 중복되는 경우도 피하고 있다. 그런데 주제가 속한 분야를 파악해 보면 텍스트가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의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교재에서 주제가, 수업의 목표와 내용을 좌우할 뿐 아니라 화제, 텍스트, 연결고리, 과제, 이행 등을 결정하는 ‘주제 중심 교수모형’을 통해 구성되었음을 환기하면, 분야의 균형이 지니는 문제는 더욱 두드러진다. 텍스트 배치에서 분야의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는 점과 함께 제기될 수 있는 문제는 하위 분야에 관한 것이다. ‘주제 중심 교수모형’은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과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 언어 항목을 동시에 다루는 방식이기도 하다. 하위 분야가 균형을 이루지 못 했다는 것은 빠진 분야의 주제에 대해 접근하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주제와 관련된 언어 교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학문목적 글쓰기를 위한 대학글쓰기 교육 방안

        김은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3

        This study is to design a model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for the academic purpose in order to improve the Korean learner's academic writing skill. For the foreign Korean learners who entered the university, Korean is an academic tool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ademic text and acquire new knowledge. Korea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of being the medium of expression to have mutual text-based knowledge and present the result of studies. An evaluation on how much the Korean learners for the academic purpose understand about a subject of debate and how to widen their understanding within the scope of learning entirely depends on the “academic text” constructed by the learners. Further, the learners can perform tasks and develop the communication skills using their academic text. This paper proposes a model of the academic-purpose Korean writing class to improve the academic writing skill.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o develop and apply various writing strategies for the learners in performing the writing project by proposing a communication-oriented education model, which is a compromise between project-oriented and course-oriented curriculums focusing on previous genre-based writing teaching method, and suggest a writing course with minimized control and guidance of teachers. To this end, we describe features and effects of new academic writing class model, the progress of this designed educational course also the educational effects of writing i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between learners while performing an integrated reading-writing project, discussion and presentation. Lastly, we propose a class-model to improve a creative writing skill of the learners through integrated reading-writing clas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so that they can use various writing skills depending on the purpose of academic writing and type of text.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과 과정의 모형을 설계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는 학습자가 학문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새로운 내용지식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학문 수학의 도구가 된다. 또한 상호 텍스트적 지식을 확보하고 학문적 성과를 발표하는 중요한 표현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주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으며 또 그것을 어떻게 학문의 영역 안에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온전히 학습자가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에 의존한다. 나아가 학습자는 자신이 구성한 학술적 텍스트를 통해 과제를 수행하고 소통의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술적 쓰기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에 제시되었던 장르 기반 쓰기 교수법을 중심으로 하여 과제 중심과 과정 중심의 교육 과정을 절충한 소통 중심 교육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쓰기 과제의 수행을 위해 어떻게 다양한 쓰기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사자의 통제와 유도를 최소화하는 쓰기 교육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학문목적 글쓰기의 수업 모형이 갖는 특징과 수업 효과에 대하여 기술하고, 설계된 교육 과정의 진행 과정과 읽기-쓰기의 통합적 과제 수행, 토론과 발표라는 활동의 과정에서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가 갖는 쓰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이로써 읽기-쓰기 통합 교육과 학습자간 토론과 발표를 통해 학습자가 학문목적 글쓰기의 목적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다양한 쓰기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 쓰기 역량을 키우는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직소(Jigsaw) 모형을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손주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eaching-learning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Jigsaw model as a new method of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Jigsaw IV model was modified to design a step-by-step procedure applied to Korean reading education. It consisted of six stages: the introduction stage, the original group stage, the expert group stage, the original group stage, the evaluation stage, and the feedback stage. In order to experiment on the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Jigsaw activities, the fourth week of classes was conducted on 35 Chinese and Japanese.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earners’ explanatory ability, understanding, and concentration increased. It also works for interac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have increased, and anxiety about learning can be resolved. In addition, Korean language skills were further improved by adding various activities through classes linked to other area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n example of confirming that the Jigsaw model is an effective and applicable teaching-learning technique for Korean reading classes. 본 연구는 한국어 읽기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직소(Jigsaw)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직소Ⅳ 모형을 수정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적용한 단계별 절차를 설계하였다.도입 단계,원래 모둠 단계,전문가 모둠 단계,원래 모둠 단계,평가 단계,피드백 단계의 6단계로 구성하였다. 직소 활동 경험과 효과에 대한 실험을 위해 35명의 중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4주차 수업을 진행하였다.실험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분석 결과,학습자들의 설명 능력,이해력,집중력이 상승하였으며,상호작용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그리고 학습 동기와 흥미 상승,학습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연계 수업을 통한 전반적인 한국어 능력신장의 효과를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직소 모형은 한국어 읽기 수업에 효과적이며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과 하브루타(Havruta)에 기반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이은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4

        This study discusses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as learner-oriented methods of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lipped Learning has a great effect on learning away from time constraints, and Havruta considers various angles and broadens the scope of thinking. These theories could be practical teaching methods for foreign students to solve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college. Based on the previously mentioned learning methodologies, a model of Korean reading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was presented and applied to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The degree of success of the Korean reading class was evaluated through learners’ questionnaire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For 23 foreign freshmen attending K University in Sejong City, Korean reading clas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developed class model during one semester. The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methods were used to conduct the survey, one tim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another time, at the end of the semester after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learners' survey were analyzed in nonparametric statistics through the code ranking test of Wilcoxon corresponding to the response t-test. Significant result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pre- and post-examination of four questionnaire items: confidence; learning attitude;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self-directed. However, results didn’t show a change in anxiety. This experiment was meaningful in which it presented a model of Korean reading classes for foreign students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applied them to actual classes,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through the survey of learners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and Havruta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학습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학습이 가능한 플립러닝과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하며 사고의 폭을 넓히는 하브루타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수강하며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인 플립러닝과 하브루타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플립러닝과 하브루타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습자 설문을 통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플립러닝과 하브루타에 기반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세종시 소재 K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신입생 23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플립러닝과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수업 모형을 적용해 한국어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자 설문은 플립러닝과 하브루타 학습을 수업에 적용하기 이전인 학기초와 수업에 적용한 이후인 학기말에 각각 한 차례씩 실시하였다. 학습자 설문 결과는 비모수 통계에서 대응표본 t-검정에 해당하는 Wilcoxon의 부호 순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과 사후 검사를 비교해 본 결과, ‘불안’ 항목을 제외한 ‘자신감’, ‘학습 태도’, ‘학습 이해도’, ‘자기주도성’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과 하브루타 학습에 기반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읽기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학습자 설문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에서 플립러닝과 하브루타 학습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문단의 실재성에 대한 실험조사

        서종훈(Seo, Jong-ho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2

        본고는 학습자들의 문단의 심리적 실재에 대한 인식 문제를 다루기 위해 문장 간 중심화의 전이와 관련된 전산언어학의 중심화 이론을 시론적으로나마 적용해 보았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가설이 상정되었고, 학교 현장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 및 이에 대한 결과 논의가 이루어졌다. 문단 내와 인접 문단 간의 중심화 인식의 차이에서 일정 부분 문단의 심리적 실재에 대한 단초가 발견되었지만, 읽기 모형에 따른 인접 문단 간 중심화 인식의 차이는 부각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고는 문단의 심리적 실재 파악의 검정에 적합한 읽기 방법에 대한 탐구가 요구된다는 점을 한계로 남겼다. This paper has applied sketchily centering theory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to deal with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paragraph. To do this, two hypotheses assumed, and learners of schools targeted for a wide range of research and their results were discussed. Clues about psychological reality of paragraph was found partially in cognition differences of centering within paragraph and between paragraphs. However, the cognition difference between adjacent paragraphs were not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read model. Thus this paper left limits that inquiry of reading way suitable for validation about psychological reality of paragraph was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