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퇴계의 활인심방

        이정란,이동건 한국체육철학회 201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1 No.1

        Cognition science made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frame of thought on the human mind and it brought up a discussion about reconstituting mind essentially. As mind and body are significant subject in physical education, having a try to approach to Toegye's Hwalinsimbang on the point of cognitive science will be a interesting stud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oygye's Hwalinsimbang.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he concept and the content analysis through various kinds of literature related to. I shall take a look at the concept of cognitive science briefly. First, the cognitive science is in regard to a science of human mind, it means converging and convergence a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Second, the features of cognitive science are representationalism, and the approach in terms of the interdisciplinary. Lastly, the new paradigm of cognitive science emerged modernly is the theory of embodied mind: it means that the mind is integrated concept all-encompassing brain, body, and environment(Mind=Brain+Body+Environment). Toegye converged Hwalinsimbang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o solve his health matter. Second, He was influenced by Juja(朱子). Third, He was open in his attitude about study. As approaching to Hwalinsimbang on the point of cognitive science,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convergence is a interdisciplinary feature in cognitive science, it could be found. Toegye's attitude to accept Hwalinsimbang that is a medical book in Toga(道家). Second, the feature of presntationism in cognitive science could be found Junghwatang and Hwagihwan In in Hwalinsimbang. Third, the theory of embodied mind in cognitive science could be found in Hwalinsimbang. Hwalinsimbang considered the human as an integrated organism encompassing body, mind, and environment. 인지과학은 인간의 마음에 대한 사유의 틀을 변화시켰다. 이에 따라 마음에 대한 본질적 재구성이 논의되고 있다. 심신문제는 체육학에서 다루어야 할 핵심적 주제이므로 인지과학이라는 틀을 가지고 활인심방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퇴계의 활인심방을 재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개념과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인지과학의 이해를 살펴보면 첫째, 인지과학이란 마음에 관한 과학으로 학제적 학문인 융합, 수렴의 의미를 지닌다. 둘째, 인지과학의 특성은 표상주의와 다학문적·학제적 접근 이라는 것이다. 셋째, 인지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체화된 마음 이론이다. 이는 마음= 뇌+몸+환경의 통합체 개념이다. 퇴계가 활인심방을 수렴한 이유를 살펴보면 첫째, 개인 건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주자의 영향력이다. 셋째, 퇴계의 학문적 개방태도이다. 활인심방을 인지과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인지과학의 학제적 특성인 융합, 수렴의 의미는 유학자인 퇴계가 도가의 의서인 활인심방을 수렴한 태도에서 발견된다. 둘째, 인지과학의 표상주의 특성은 중화탕과 화기환에서 발견된다. 셋째, 인지과학의 체화된 마음이론의 개념은 활인심방의 내용 속에서 발견된다. 인간을 몸, 마음, 환경이라는 통합적인 유기체로 이해한다.

      • KCI등재

        교육의 유형에 비춰본 인지아키텍처의 재구성적 이해

        이기흥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인지과학의 중핵 과제 중 하나가 인지아키텍처의 문제를 해명하는 일이다. 그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는 것은, 다양한 분야의 인지과학적 연구들이 그러한 인지계아키텍처 모델을 중심으로 통합되고, 통일적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또 그에 터해 더 나아간 연구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추출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인지과학이 태동한 이래 지금까지 계산주의, 연결주의, 체화주의, 행위주의 인지과학 등이 출현했고 그리고 각자가 자신의 인지아키텍처 모델들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이때 주요 관심사는 이런 것이다. 특정 인지성취를 내보일 수 있는 인지아키텍처를 디자인하는 과제는 어떤 원리를 따라 진행되는가? 인지과학자들, 특히 인지아키텍처를 모델링하는 작업에 관심을 가진 이들에게 솔깃한 물음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인지과학에 대한 과학사적 시각에서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가 용이하지 않아 보인다. 인지아키텍처를 구안하는 아이디어들은 그저 역사적 우연이나 천재들의 재주에 위임되어온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위 물음에 대한 답은 오히려 인지과학의 ‘밖’에서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해당 질문에 대한 답은 교육의 원리와 방법에 있을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 필자는, 인지계를 모델링 하는 문제가 마치 지적 능력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는 교육문제와 유사해, 인지아키텍처를 모델링하는 문제는 지적 능력을 가진 인간을 양성하는 교육방법을 참조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개진한다. 가령 계산주의 인지계는 주입식 교육, 연결주의 인지계는 민주적 교육, 체화주의 인지계는 경험 중심 교육, 행위주의 인지계는 자기주도 교육과 연결시켜 이해할 수 있다. 각 인지과학이 제시하고 있는 인지계의 모형들은 범용용도가 아닌 제한된 특수한 용도를 갖는다는 것이 또한 필자의 생각이다. 그러면 범용의 인지계를 모델링하는 문제는 어떻게 다뤄야 하나? 이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본고의 범위를 넘어서지만, 이 물음에 대한 대답 역시 교육론적 지혜에 귀 기울일 때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훌륭한 인간 혹은 전인의 육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유형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해 적용할 필요가 있는 것처럼, 범용용도의 인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인지과학이 제시하는 다양한 인지아키텍처 유형들을 적절히 조합할 필요가 있다. One of the core tasks of cognitive science is to model the architectural structure of cognitive systems. This task is important, because the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sciences can be integrated in such a model and further research topics can be extracted from this model systematically. Since the advent of cognitive science different cognitive theories have been published, such as computer-theoretical approach, connectionist approach, approach of embodied cognition and enactive approach etc. Each of these approaches with its own model of cognitive architecture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study of mind. But what are the principles with the help of which we can design the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This question can be interesting for cognitive scientists, especially for those people who are concerned with modeling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s. However, seemingly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a correct answer to this question out of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Since it seems that the ideas about the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s occur by chance or to be a personal achievement of gifted geniuses. An answer to the question, I think, could not be found within, but "outside" of cognitive science.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show the way how to resolve the task to model the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in light of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educating a person to a whole-person. Since the task of how to model a architecture of cognitive system is similar to the task of how to educate a person. For example, for the (re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computationalist architecture of the cognitive system we can refer to the type of cramming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ist architecture the type of democratic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rchitecture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 kind of experience-based education and for the understanding of enactivist architecture the type of self-directed education. In my opinion, models of the cognitive system which cognitive sciences have suggested, have a special limited purpose, but no universal purpose. How can you deal with the modelling problem of the cognitive system for universal use? Detailed discussion about this topic is out of the scope of this paper. But you could give even a short answer to this question, when you again listen to the wisdom of education. Just as we can educate a whole person through a combination of different types of education, we can combine the different types of cognitive architecture that the cognitive sciences have supplied in order to model a cognitive system for universal use.

      • KCI등재

        인지과학과 문학

        이득재(Lee Deuk J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인지과학은 19세기 윌리엄 제임스의 심리학, 이것과 연관된 훗설의 현상학 및 메를로 퐁티의 신체의 철학,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진행된 수학과 과학이론 및 기술의 발전, 튜링 머신, 사이버네틱스, 인공지능 등의 발전에 힘입어 195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인지과학의 등장과 더불어 인지심리학, 인지언어학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가 생기기 시작했고 1970년대 들어서서 인지과학은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오토포이에시스 이론으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인지수사학 등의 학문 분야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그 후 뇌 과학 등의 발전으로 인지과학의 과학적 토대가 확장되면서 인지과학이 인지신학, 신경미학, 인지법학, 인지음악학 등 새로운 많은 학문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인지과학의 발전에 따라 생겨난 인지문학론을 통해 인지문학론이 기존의 문학에 대한 전통적인 연구방법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 특히 러시아 형식주의의 트레이드 마크라 할 수 있는 낯설게 하기 기법이 인지론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Cognitive science began to appear in the 1950’s thanks to the William James’ psychology in the 19th century, phenomenology of Husserl and Merleau Ponty’s corporeal phenomenology, mathematic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20th century, Turing Machine, cybernetics, AI etc. The new humanistic disciplin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linguistics with the appearance of cognitive science and autopoietic theory of Maturana and Varela gave an new impetus to cognitive science in the 1970’s. In this time cognitive rehtoric began to appear. The many new humanistic disciplines such as cognitive theology, neuroaesthetics, cognitive law, cognitive musicalogy began to appear as the scientific base in cognitive science is enlarged by the neuro science. This treatise aims to investigate how cognitive literary theory is related to the established literary theory appeared by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cience and how the concept as defamiliarization which is a key word in russian formalism is interpreted cognitively through a reading of concrete literary text.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에 기반을 둔 시각예술 분석사례 및 미래과제 연구

        김정한 한국영상학회 201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0 No.2

        21세기 '마음의 과학' 시대의 도래와 함께 '마음'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인지과학을 중심으로 여 러 학문 분야가 융합하여 마음의 실체를 밝히고자 노력하고 있다. 예술을 인지 과학적 입장에서 재해석하 려는 시도는 1950년대 소위 '인지혁명' 이래 인지과학 분야에서 최근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 성과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예술작품을 창작하거나 또는 감상하는 인간의 인지과정을 분석하는데 있어, 인지과학 내에서 주목받고 있는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해보는 시도들이 최근 이루 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인지과학의 태동과 발전 과정 및 예술과의 관련성에 대해 기존 연구내용을 살펴 보고, 그 근본적 문제점과 한계, 그리고 가능성과 향후 과제 등을 검토한다. 먼저, 눈에 주어지는 시각자 극, 두뇌에 의한 감각경험의 해석, 눈과 두뇌에 의한 시각경험과 해석 사이의 유기적 관계를 설명한 인지 과학의 연구 사례를 소개한다. 인지과학과 예술과 관련된 연구 사례로는 세미어 제키의 신경미학, 제니퍼 맥마흔의 미학적 형식이론 등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인지과학과 예술 융합의 의의를 논한 연구결과 들과 향후 미래 과제들에 대해 검토해 볼 것이다.

      • KCI등재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접근과 학문간 융합

        이정모(Lee, Jung-M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8 No.-

        인지과학의 형성 배경, 주요 특성 및 변천 역사를 개관하고, 철학이 인지과학과 연결되어 인지과학의 패러다임적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는 ‘체화된 인지’ 또는 ‘확장된 마음’ 패러다임의 일반적 특징, 이 틀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 이 틀의 변화가 학문 간 융합에 주는 시사를 논의하였다. 인지과학의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체화된 인지 접근이 마음에 대한 어떠한 개념적 재구성을 가져오며, 이는 인문학과 인지과학의 내러티브적 접근과 어떻게 연결되며, 인문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예술 등 주변 학문들과의 융합, 수렴에, 그리고 철학에 어떠한 시사를 지니는가에 대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An overview of the emergence of and the changes in the paradigms of cognitive science was given, with an emphasis on the newly emerging embodied cognition (HEM; Hypothesis of the Extended Mind) approach. The main features,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the embodied cognition approach were discussed, with an emphasis on its implications for philosophy and for the convergence across different disciplines in the humanities, sciences, and technologies. Special attention was given to the roles of artifacts in an environment and the narrative nature of the human mind in shaping the convergence across academic disciplines and future technologies. It was discussed that the EC (embodied cognition or extended cognition) approach could serve as the conceptual base that can best account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artifacts in future societies, and that can also enable a convergence of various disciplines in the humanities, sciences, technologies and arts.

      • KCI등재

        유교의 방법론과 인지과학의 소통 가능성

        유권종 ( Yoo Kwon Jong ) 한국공자학회 2017 공자학 Vol.33 No.-

        전통적으로 유교가 개발해온 방법론들, 예를 들면 수양론(공부론), 교육방법론 등은 현재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인지과학과 상호소통하면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가,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그것은 과연 어떤 내용인가? 이런 의문들은 현대에도 유교의 진실이 유용할 것인가 여부를 따져보기 위해서 던져보아야 하는 것이다. 인지과학이 발달하면서 인지과학자들은 불교 특히 티벳불교와 교류하면서 인지과학의 이론을 발달시켰다. 이 과정에서 불교 역시 과거로부터 전해오던 불교적 명상 수행의 작용과 효과를 실험을 통해서 입증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그러한 성과가 과학자나 철학자들에게 불교를 인지과학과 연관 지어 연구할 수 있는 종교적 가르침으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불교 특히 티벳 불교가 전통적 가르침에 의거하여 수행을 지속하면서 그로부터 얻는 개인적 차원의 현상학적 경험을 현대인지과학 혹은 철학과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온 것과는 달리 유교는 한국이나 중국을 막론하고 수양과 공부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현실의 인적 성원이 결여되어 있는데다가, 연구의 경향도 문헌 분석에 입각한 고증학적 연구에 치중되어 있고 또 철학적 분석의 틀도 서구의 근대철학적 틀에 맞춰져 있는 까닭에 인지과학과의 소통가능성을 열지 못했다. 그러나 불교가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하여 재조명되고 불교적수행방법의 과학적 합리성이 잘 입증되듯이, 유교도 그렇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하다. 물론 꼭 인지과학의 연구과정을 거쳐야만 유교가 현대학문이 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인지과학을 통해서 유교를 재조명하는 일은 유교가 지닌 여러 가지 특성과 장점들을 설득력을 갖추어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일이다. 인지과학의 관점을 동원하여 유교가 지닌 특성과 장점을 연구하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심학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 심학과 예학과의 관계도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이 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교의 심학이 보여주는 마음의 구조는 인지과학적 관점에 대해서 불교가 주었던 신선한 자극만큼 새로울 수 있는 이론과 방법을 담고 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예학이란 심학과 긴밀한 연관성을 지님으로써 인간의 심신의 상호복잡한 관련성을 이용하여 인격을 양성하는 방법론으로서 새롭게 고찰할 필요가 있는 분야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예학이란 단순히 의례의 규범학으로서 그 규범적 체계화에 한정하지 않고, 그것이 인간의 심신의 균형과 대인관계의 화평을 가져오도록 하는 개별적 집단적 활동을 형성하고 규제하는 작용을 하는 기제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교가 사회의 안정과 지속을 위해서 개인의 덕을 함양하고 사회의 상호협력과 조화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강구하고 다듬어온 방법론을 인지과학적 방법과 연관 지어 논의함으로써 미래지향적인 유교 인식의 틀을 만들어보고자 한다. Is there a feasibility that methodologies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education, and so on could be exchanged,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with cognitive science? If it is feasible, what might be? These questions may be useful for checking availability of Confucian truths from now on. In the course of cognitive science development, some scientists contacted Buddhist truths that have been proved by meditation and connected them to their scientific researches. And the Buddhist truths already secured meaningfulness and effectivity in order to reveal the secret level of human consciousness as it got scientific validity. On the contrary, studies on Confucianism are not out of historical investigation based on literature analyses and metaphysical infere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modern era in the Western history without any living existence of Confucian cultivation and education.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tudies that linked Confucianism to cognitive science except a few cases. Once the linkage between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and Confucianism is enlarged, it opens a way to share peculiarities and strong points that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developed. This study has a target to establish a cognitive framework of Confucianism by connection with cognitive science and by discussion about how to transfer the traditional ideas of Confucianism especially developed for cultivation of individual moral virtue and harmony of a society.

      • KCI등재후보

        로버트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 구별법’과 그것의 인지과학으로의 적용에 대한 정당성 탐구

        전대경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This paper critically advocates "Robert Brandom's Fregean Four-stage of Concept."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senses of "concept" in cognitive science and in Brandom's are not incommunicable each other. In cognitive science, "concept" is already being used as somewhat horizontal four-stage which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Brandom's vertical sense.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whether Brandom's assertion that Frege's analytical philosophy ought to step into cognitive science, which is an extension of cognitive psychology, can be justified without contradiction within Frege's idea. To this end, in search for Frege's references related to the "distinction method of hierarchical concept," this paper's concern includes Frege's Begriffsschrift(1879; [2015]), which Brandom uses as the main premise for his claim, "On Sense and Reference"(1892; [1952]; [2017]), "Function and Concept"(1891) and others. When considering cognitive science, which explores the essence of thinking, thought, mind, consciousness, et cetera,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zing and interpreting Frege's understanding of psychology or psychologism in a scientific way will help not only research on Frege but also cognitive scientific research. Of course, to this end, first of all, "although Fregean analytical philosophy has not affected (or could not affect) cognitive science, it must actively affect in the future" should be closely examined whether Robert Brandom's argument can be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If it is not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that Brandom's application of "Fregean Four-stage of concept" to cognitive science, Brandom becomes a "contradictory Fregean who makes an opposite argument to Frege's." If justified, however, it will not only provide a wealthy re-envisioning interpretations of Frege's anti-psychology, but will also allow cognitive science to have clearer systematic concepts to their research subjects such as animals, babies, adults, artificial intelligence, et cetera.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order to determine whether Brandom's claim is justified within Frege's idea. First, it is dealt that what Brandom's Fregean Four-stage concept is. Secondly, it is examined that if Frege himself really divides concept into four stages in his own writings. If Frege did not distinguish, Brandom's argument would fail to obtain legitimacy in Frege's ideas. In other words, since Brandom makes a claim that Frege never made, Brandom's claim loses its momentum. That is the reason why Fregean textual reference should be examined. Finally, it evaluates whether Frege's conceptual distinction method, which claims anti-psychologism and logicism, can be applied to cognitive science, which an extension of cognitive psychology. 본 소고는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을 비판적으로 옹호한다. 논자는 인지과학에서 사용하는 ‘개념’과 브랜덤이 말하는 (프레게식) ‘개념’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다고 본다. 인지과학에서는 이미 브랜덤의 수직적 4층위와는 다른 방식으로 수평적 4단계로 ‘개념’을 구분해서 사용하고 있다. 본 소고의 주된 관심은 ‘프레게주의 분석철학이 (인지)심리학의 연장선상에 있는 인지과학에 발을 들여 놓으려고 하는(혹은 적극적으로 발을 들여 놓아야 한다는)’ 브랜덤의 주장이 프레게 사상 내에서 모순 없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브랜덤이 자신의 주장을 위한 주된 전거(사실상 유일한 전거)로 삼는 프레게의 Begriffsschrift(『개념표기법』, 1879; [2015])을 포함하여, “On Sense and Reference”(『뜻과 지시체에 관하여』, 1892; [1952]; [2017]), “Function and Concept”(“함수와 개념”, 1891), “On Concept and Object”(“개념과 대상에 관하여”, 1892), Die Grundlagen der Arithmetic(『산수의 기초』, 1884; [2003]), Grundgesetze der Arithmetik(『산수의 근본법칙』, 1966; [2007]) 등에 나타난 ‘개념의 층위적 구별법’과 관련된 프레게의 언급들을 탐색한다. 생각, 사고, 마음, 의식 등의 본질에 대한 경험적 탐구를 하는 인지과학을 염두에 둘 때에, 심리학 혹은 심리주의를 과학적 방법으로 연구하는 데에 대한 프레게의 이해를 체계화시키고 이를 해석해보는 것은 프레게 연구뿐 아니라 인지과학 연구에도 귀중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먼저 ‘프레게주의 분석철학이 인지과학에 그동안 영향을 미치지 못해왔지만(혹은 영향을 미치지 않아왔지만) 앞으로는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쳐야 한다.’는 로버트 브랜덤의 주장이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브랜덤의 ‘프레게식 4 층위 개념’과 인지과학으로의 그 적용이 정당화되지 못한다면, 브랜덤은 ‘프레게의 주장에 정반대되는 주장을 하는 역설적인 프레게주의자’가 된다. 반대로, 만약 정당화될 수 있다면,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프레게의 반심리주의에 대해 다시 돌아보는(re-envisioning) 해석의 풍부함도 제공해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지과학에서도 더 체계화된 ‘개념 이론’을 받아들임으로써 인지과학의 어떤 연구대상들(가령 짐승, 아기, 성인, 인공지능 등)이 어떤 종류의 개념들을 갖는지를 더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이 인지과학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되는지를 판별하기 위해서 본고는 다음의 순서로 구성된다. 먼저, 브랜덤의 ‘프레게식 4층위 개념’이 무엇인지를 살핀다. 그런 다음, 프레게가 정말로 자신의 저술들에서 개념을 4층위로 구분했는가 여부를 살핀다. 만약 프레게가 구분하지 않았다면, 브랜덤의 주장은 프레게의 사상 내에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즉 프레게가 하지 않은 주장을 브랜덤이 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브랜덤의 주장은 그 힘을 잃는다. 그래서 프레게 저작들로부터 전거를 탐색하는 작업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지심리학의 확장판인 인지과학에 반심리주의와 논리주의를 주장하는 프레게의 개념 구분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 KCI등재

        경호위해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적 분석의 필요성 고찰-과학적·예방적 사회안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김두현,손지영 한국경호경비학회 2008 시큐리티연구 Vol.- No.17

        일반적 사전적 의미에 의하면, 경호는 “경계하고 보호함”을 뜻하는 것으로, 이는 불의의 침입이나 다양한 사건 사고로부터 경계하여 경호대상자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개념정의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호는 모두 위해행위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경호위해행위는 본질적으로 형법상의 범죄행위의 개념 범주에서 논의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형법상 행위를 본질로 하는 이러한 위해행위를 오늘날 주목되어지고 있는 뇌신경과학과 인지심리학에 기반을 둔 인지과학이라는 학문영역의 관점에서 재조명 해보고, 이러한 경호위해행위에 대한 분석을 과학적․예방적 사회안전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로서 삼고자 한다.이를 위해 먼저 범죄행위를 그 본질로 하는 경호위해행위에 대해 경호학적 관점과 형법적 관점에서 검토고자 한다. 다음으로 경호위해행위도 인간행위의 한 형태이므로 이를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기에 앞서 인지과학이 행위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행위에 대한 인지과학적 관점에 의해 경호위해행위를 분석하면서, 과학적 안전대책 수립을 위한 인지과학적 분석의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dictionary, the meaning of protection is "guard and protect" that means protecting the Protectee's safety in case of sudden attack or various accident and Security means all protecting activity including Protectee and place where he is in or will be as comprehensively meaning of safe.As you see in the definition, Protection and security is the act to protect or will to protect from a security-threat act. A security-threat act can be discussed in the range of the concept of a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A security-threat act is based on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we are going to review such a security-threat act in a point of view in a sphere of learning in today's remarkable a brain-neuro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based on cognitive psychology, and to use an analysis on such a security-threat act to make a foundation for a establishment of the scientific preventive social security countermeasure.To do so, First of all we are going to review a security-threat act based on criminal act in Criminal Law in a point of protection police logic view. Next, we are going to introduce how cognitive science understand about act of man before we analyse a threat act as one of an act of man in cognitive science point of view. Finally, we are going to discuss the need of cognitive scientific analyse in order to establish the Scientific Preventive Social-security Countermeasure at the same time we are going to analyse a threat act in a cognitive scientific view.

      • KCI등재

        법 인지과학: 법 영역의 인지과학적 조명

        이정모 ( Jung Mo Lee ),손지영 ( Ji Young So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울대학교 法學 Vol.51 No.4

        인지과학은 인지심리학, 인공지능학, 언어학, 철학, 인류학 등이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형성한 다학문적·학제적 과학으로, 인간의 지(知)의 문제·마음의 문제를 다학문적 입장에서 분석·설명하려는 노력의 결집이다. 또한 이는 인문사회과학 대자연과학이라는 이분법적 학문분류체계가 오늘날 부적합한 분류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마음 또는 인지라는 현상이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인지과학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의 작동원리에 대한 기본적 개념들과 원리들은, 최근, 법학과의 학문적 융합을 통해 법인지과학이라는 연구영역을 형성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법인지과학의 기본 개념과 역사적 연혁, 이론들에 관하여, 간단한 개요를 설명한다. 다음으로, 형법상 행위와 고의, 책임에 관하여, 이 분야에서 법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어진 최근의 연구에 대해 설명과 법인지과학적 주제들에 대한 미국과 독일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고, 융합적 방법론을 통한 법학에서의 새로운 유망 연구영역의 형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the first decade of the 21C, Law and Cognitive Science are converging to forge a new field of “Cognitive Science of Law”, where the implications of the principles of cognition(mind) found by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in Cognitive Science are becoming reinterpreted, reevaluated, and utilized for various areas of Law, in search for entailing new concepts, theories, empirical evidenc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present paper presents, firstly, a short overview of the basic tenets of Cognitive Science, and of this newly emerging field with its main features and implications. Emphases were given on the two recent approach in Cognitive Science: embodied cognition and narrative approach. Secondly, the paper discusses the recent research done by legal scholars in this field, with an emphasis given on criminal intention and acts; lists of references for various research topics wee also detailed. The paper concludes with a plea for establishing the field as a new promising research area of convergence across disciplines in Korea.

      • KCI등재

        합리적 문제해결을 저해하는 인지편향과 과학교육을 통한 탈인지편향 방법 탐색

        하민수 ( Minsu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과 관련된 인지편향을 확인하고 과학교육을 통하여 인지편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계획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되어진 인지편향을 수집하였고, 과학학습의 관련성이 높은 인지편향을 과학교육전문가와의 토론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합리적 인과관계추론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다양한 정보와 결론 생성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자기반성적 학습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자기 주도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인지편향, 범주 제한적 사고를 조장하는 인지편향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고, 총29개의 인지편향들을 조사하였다. 합리적 인과관계추론의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목적론적 사고, 가용성 편향, 착각적 상관, 클러스터 착각이었다. 문제해결에서 다양한 정보의 탐색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선택적 지각, 실험자 편향, 확증편향, 단순 사고 효과, 주의 편향, 신념편향, 실용 오류, 기능적 고착, 틀 효과가 있었다. 자기반성적 학습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과도한 자신감 편향, 우월성 편향, 계획 오류, 기본적 귀인 오류, 더닝-크루거 효과, 사후확신편향, 맹점편향을 확인하였다. 자기 주도적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인지편향은 동조효과, 편승효과, 집단사고, 권위에 호소, 정보편향이 있다. 마지막으로 범주제한적 사고를 조장하는 인지편향으로는 심리학적 본질주의, 고정관념, 의인화, 외집단 동질성 편향이 있었다. 연구된 인지편향에 대한 심리학적 특징들과 과학교수-학습방법들을 토대로 인지편향을 줄이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gnitive biases relating the core competences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strategy in reducing the level of cognitive biases.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sed to explore cognitive biase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discussed the relevance of cognitive biases to science education. Twenty nine cognitive bias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groups (limiting rational causal inference, limiting diverse information search, limiting self-regulated learning, limiting self-directed decision making, and category-limited thinking). The cognitive biases in limiting rational causal inference group are teleological thinking, availability heuristic, illusory correlation, and clustering illusion. The cognitive biases in limiting diverse information search group are selective perception, experimenter bias, confirmation bias, mere thought effect, attentional bias, belief bias, pragmatic fallacy, functional fixedness, and framing effect. The cognitive biases in limiting self-regulated learning group are overconfidence bias, better-than-average bias, planning fallacy, 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Dunning-Kruger effect, hindsight bias, and blind-spot bias. The cognitive biases in limiting self-directed decision-making group are acquiescence effect, bandwagon effect, group-think, appeal to authority bias, and information bias. Lastly, the cognitive biases in category-limited thinking group are psychological essentialism, stereotyping, anthropomorphism, and outgroup homogeneity bias. The instructional strategy to reduce the level of cognitive biases is disused based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s of cognitive biases reviewed in this study and related science educ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