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득재(Lee Deuk-J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Abstract〉 현대는 제 2 물결 시대에서 제 3 물결 시대로 이행 중이다. 지식기반사회라는 말이 무성하지만 아직 그 시대가 도래한 것은 아니다. 제 2 물결의 산업시대에 인문과학은 그 비경제적 가치 탓에 위기를 겪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사회가 도래할 준비를 하면서 인문과학은 무형 자산으로서 중대한 역할을 위임받으려 하고 있다. 제 2 물결의 산업시대를 지배하는 화폐 경제와 그 안에 존재하는 시장의 논리에 의해 생겨난 각종 사회정치적인 문제는 인문과학의 정신에 의해 극복해야 한다. 사회과학의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경제학과 자연과학의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생물학의 발전은 화폐 경제 안의 생산성을 높이면서도 국내적 국외적으로 사회정치적인 모순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모순은 화폐 경제의 반쪽인 비화폐 경제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프로슈머의 역할에 의해 완화될 수 있다. 화폐 경제를 전제하는 한 인문과학은 위기를 겪을 수밖에 없지만 비화폐 경제를 전제로 하면 문제는 달라진다. 인문과학은 비화폐 경제 안에서 공교육과 시민사회라는 두 장치를 통해 프로슈머를 생산해내는 인문교육의 토대 구실을 해야 한다. The human science are in crisis on the ground of a monetary economy. With non-monetary economy in mind, the case is different. The human science can play its role in non-monetary economy system. Especially it can play a important role in a knowledge-based society. It can recover the negative result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economics and biology in a monetary economic system. The human science must bring up prosumers to do it in education and civil society.
인문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과 중등학교에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 제안 -서강대 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훈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Creative talents who will lead the future are built on the humanistic imagination. Therefore, we need more humanities education for students who are tired of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w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humanities, not just knowledge transfer. And humaniti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explore the nature of human beings. This paper introduces the humanities program operated by Sogang University CORE Project and Soongmoon High School for two years.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75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analyzed. The survey found that students also needed humanities, and they hoped to open a humanities class at school. Above all, students thought that they could understand human beings, think creatively and convergently, and enrich their lives through humanitie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pecialists in the secondary school field to provide humanities education. There is also no accumulated experience in humanities education. That is why there is a need for a concrete humanities program model that can be run immediately in secondary schools. In this paper, a humanities program model was crea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operating a humanities program in collaboration with universities and high schools.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universities and secondary schools will form a local education community to actively implement humanities education for secondary students. 미래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는 인문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다. 그래서입시 경쟁에 내몰려 지친 학생들에게 인문학 교육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다. 대학 입학전 초・중등학교에서 단순한 지식 전달이 아니라 인문학의 본질을 이해하고, 인간의 본질에 대해 탐구할 수 있는 인문학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서강대학교CORE 사업단과 숭문고등학교가 2년간 함께 운영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프로그램에 참가했던 학생 중 755명의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보면 학생들도 인문학이 필요한 학문이라고 여기고 있고, 학교에서 인문학 수업이 개설되기를 희망했다. 무엇보다 학생들도 인문학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고, 창의적・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으며 삶을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중등학교 현장에는 인문학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인문학 교육을 운영한 경험도 축적되어 않다. 그래서 중등학교 현장에서는 곧바로 운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교와 고등학교가 협력하여인문학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를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인문학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와 중등학교가 지역교육공동체를 형성하여 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문학 교육이 확산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득재(Lee Deuk Jae)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서강인문논총 Vol.0 No.40
인지과학은 19세기 윌리엄 제임스의 심리학, 이것과 연관된 훗설의 현상학 및 메를로 퐁티의 신체의 철학,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진행된 수학과 과학이론 및 기술의 발전, 튜링 머신, 사이버네틱스, 인공지능 등의 발전에 힘입어 1950년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인지과학의 등장과 더불어 인지심리학, 인지언어학 같은 새로운 학문 분야가 생기기 시작했고 1970년대 들어서서 인지과학은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오토포이에시스 이론으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으며 인지수사학 등의 학문 분야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그 후 뇌 과학 등의 발전으로 인지과학의 과학적 토대가 확장되면서 인지과학이 인지신학, 신경미학, 인지법학, 인지음악학 등 새로운 많은 학문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인지과학의 발전에 따라 생겨난 인지문학론을 통해 인지문학론이 기존의 문학에 대한 전통적인 연구방법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고 특히 러시아 형식주의의 트레이드 마크라 할 수 있는 낯설게 하기 기법이 인지론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Cognitive science began to appear in the 1950’s thanks to the William James’ psychology in the 19th century, phenomenology of Husserl and Merleau Ponty’s corporeal phenomenology, mathematical,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20th century, Turing Machine, cybernetics, AI etc. The new humanistic disciplines such as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linguistics with the appearance of cognitive science and autopoietic theory of Maturana and Varela gave an new impetus to cognitive science in the 1970’s. In this time cognitive rehtoric began to appear. The many new humanistic disciplines such as cognitive theology, neuroaesthetics, cognitive law, cognitive musicalogy began to appear as the scientific base in cognitive science is enlarged by the neuro science. This treatise aims to investigate how cognitive literary theory is related to the established literary theory appeared by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science and how the concept as defamiliarization which is a key word in russian formalism is interpreted cognitively through a reading of concrete literary text.
김석수 (Kim, Suk-Soo)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오늘날 인문학의 위기는 현실과의 소통 부재에 있다. 근대 이후 인문학이 인문과학이 되려고 하면서 인문학은 현실과 소통하는 길을 상실해왔다. 인문학이 소통의 학문으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수사학의 정신을 되살려내야 할 것이며, 이론과 현실이 제대로 호흡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인문학의 연구와 교육은 적용, 비판, 창조의 과정을 충실히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현실과 소통하는 인문학을 마련하지 못했다. 산 존재를 복제하고, 가상공간이 현실공간을 압도하고, 탈영토화와 탈경계화가 진행되는 오늘날의 복합적인 현실과 소통할 수 있는 인문학이 되기 위해서는 학제적 연구를 활성화하고, 매체와 텍스트의 관계, 변화된 장소와 시간 그리고 주체의 자리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이 땅의 인문학은 수입학의 차원을 넘어 창조학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며, 엘리트 중심의 인문학에서 소수자, 약자들의 고통에 참여하는 인문학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lies in the fact that it did not enter into connection with the realities of our lives. Since modern times, the humanities have made efforts in order to be the human science. And so, the humanities has lost the way to communicate with the actual life. We must revive the spirit of rhetoric, and establish the communication of theory and realities. In our doing so, the human sciences can be the communication humanities. Our scholars didn't devote themselves to the process of application, critic, and creation in studies and educations of the humanities. We are living in the society which copies living things. And we are living in the network society. Here the real world is overwhelmed by the cyber world, and territory and boundary disappears and falls down. Today's humanities must study in the interdisciplinary way, reestablish the relation of media and texts, and treat the changed place, time and subject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se complex situations. Particularly, those who study the humanities in Korea have to proceed from the introducing humanities to the creative humanities, and from the humanities of the elite to the humanities of the outsider.
강내희 (Kang Nae-hui)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It has generally been pointed out that the recent crisis of the humanities in South Korea has its own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the latter often referring to the rise of neoliberalism that has forced the capitalistic logic upon the production of knowledge, while the former to the humanities' own 'inability' to cope with the decline of the literary culture as a result of the civilizational paradigm shift as evidenced in the expansion of digital technologies. While not denying the impact of these factors, this essay calls attention to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The author's contention is that the humanities have shown peculiar shortcomings both in the way they have been taught and the way they have been studied, or in terms of the way the disciplines are categorized and organized. More specifically, this essay provides two kinds of institutional analysis concerning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On the one hand, it points out that the nagging problem with the 'education' of the humanities in Korea is that the humanities have to compete with 'practical' disciplines for undergraduate education, even though they constitute basic disciplines in education. Another problem with the Korean humanities has to do with the fact that their disciplinary categorization relies too heavily on the spirit of nationalism to the point that 'sub-disciplinarity' dominates certain departmental systems that should exceed national boundaries. The conclusion of this essay thus is that only when the humanities in South Korea can cope with the problems deriving from their institutional shortcomings can they begin to overcome the crisis they are now faced with. 한국에서 인문학의 위기는 통상 외부적 요인과 내부적 요인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전자의 경우 위기는 주로 학문을 자본주의적 생산성의 논리에 따라 수행토록 하는 신자유주의 정세의 형성에서, 후자의 경우 그것은 디지털 기술의 확산 등 문명적 패러다임 변동에 따라 문자문화의 쇠퇴가 일어나고 있는데도 이런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인문학의 무능과 한계에서 찾아진다. 하지만 이 글은 이런 이유가 중요함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한국 인문학이 위기를 겪는 원인을 무엇보다 제도적 측면에서 조명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여기서 필자의 주장은 한국의 인문학은 학문제도와 교육제도의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 즉 인문학의 분과학문들이 범주화되고, 조직되고, 교육되는 방식에 중대한 하자가 있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 글은 한국 인문학의 위기와 관련하여 두 가지 종류의 제도적 분석을 제출한다. 한편으로 지적하는 것은 인문학은 기초학문의 성격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학부 과정에서 실용 과목들과 경쟁을 해야 한다는 문제 즉 한국 인문학 ‘교육’의 문제이다. 다른 한편 이 글은 한국 인문학이 민족주의에 지나치게 의존한 학문 범주화의 관행에 얽매여 있는 문제도 지적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이 글은 한국의 인문학은 ‘제도적’ 결함을 극복해야만 오늘 맞은 위기를 제대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지를 제출하고 있다.
과학주의자와 인문학주의자의 통약 불가능한 대화의 실질적 의미
오용득(Oh, Yong-deuk)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서강인문논총 Vol.0 No.36
근대 과학혁명 이후 새롭게 등장한 과학적 지식의 처리를 둘러싼 철학적 논의들은 크게 과학주의와 인문학주의로 나누어진다. 지금까지 이 두 진영은 일종의 논쟁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쟁은 결코 끝나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양 진영은 이른바 통약 불가능한 대화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논쟁은 무의미한 것인가? 예컨대 ‘계몽주의 대 낭만주의’, ‘실증주의대 반실증주의’, ‘통섭 대 반통섭’ 등과 같이 단편적으로 이루어지는 논쟁은 형식적으로 통약 불가능한 대화인 셈이므로 큰 의미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논쟁의 역사적 과정을 따라 가보면, 우리는 양자가 통약 불가능한 대화를 통해서 각자 자기를 반성하고 쇄신해왔다는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는 근대 이후 과학적 지식과 관련된 철학적 논의의 흐름을 과학주의자와 인문학주의자 사이의 통약 불가능한 대화 및 이를 통한 양자 각각의 자기 쇄신 과정으로 독해할 수 있음을 논구한다. In the history of the knowledge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we can come across a series of the philosophical arguments on the value of the scientific knowledges. On the one hand, the scienticists asserted that the scientific knowledge is only true. On the other hand, the humanitists asserted that there are some knowledge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scientific methode. This arguments may be not concluded, because it is, as it were, an incommensurable conversation. Is it then meaningless? When it is a fragmentary argument on a single issue as like ‘the enlightenment vs the romanticism’, ‘the positivism vs the anti-positivism’ and ‘the consilience vs the anti-consilience’, it is like an incommensurable conversation, and so it may be meaningless. When, however, we pay attention to a series of arguments historically, an incommensurable conversation may be something meaningful. R. Rorty says that we can reflect and edify ourselves through an incommensurable conversation. In this respect, we can regard a series of the incommensurable conversations between the scientisists and the humanitists as a history of the self-reflection and the self-edification that each of them has reflected and edified itself. So, in this essay, I reconstructed the fluence of the philosophical arguments on the scientific knowledge as a course of an incommensurable conversation between a scientisist and a humanitist and elucidated what is a material significance of the self-reflection and the self-edification in each of them.
임상우(Lim Sang Wo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서강인문논총 Vol.0 No.42
베를린 훔볼트 대학은 가치중립적 연구 및 학문적 자유 등, 근대 과학의 이상과 기준을 설정하고 제도화한 근대적 대학의 기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그 모델은 오늘날까지 대체로 존중되고 있는 결과 “모든 근대 대학의 어머니”라고 불리고 있다. 지성사적으로는 18세기 후반부로부터 연원하는 낭만주의와 계몽주의를 결합하여 독일 지성의 이상주의적 전통을 확립한 대학이었다. 과학사에서는 근대 물질문명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다수의 기념비적 업적을 산출한 대학이었다. 그러나 제국주의라는 시대적 배경아래서 국가지상주의를 함양하는 지적 토대 마련에 기여한 대학이라는 평가를 동시에 받기도 한다. 이와 같이 독일사의 특수성에서 기원한 가장 독일적인 대학이면서도, 유럽사의 변곡점에서 긍정적이던 부정적이던 커다란 전환의 지적 토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유럽 역사의 굴곡을 극명하게 반영했던 대학으로서 훔볼트 대학의 역사적 위상을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Humboldt University at Berlin has been regarded as the origin of modern university that conceptualized and institutionalized the ideals and standards of modern science, including the conceptions of value-free research and academic freedom, As a result, its model for modern university has been by and large respected as “mother of all modern universities.” Seen from the viewpoint of intellectual history, it was the university that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German idealism which was in turn based on a synthesis of the Enlightenment and Romanticism that had become prevalent sinc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n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it has produced numerous and monumental achievements by providing fundamental theories and practices to modern scientific world. On the other hand, it is observed that this university contributed to the imperialistic ultra-nationalism of the age in its providing an intellectual rationales for the idealization of the state. Thus this university is characterized as an exemplar that provided the momentums in those turning points in European history,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최기영(Choi Ki Yo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서강인문논총 Vol.0 No.46
이 글은 이광린 선생(1925~2006)의 생애와 학문을 살펴본 것이다. 선생의 생애는 수학기(1925~1954), 연희 · 연세대학교 재직기(1954~1964), 서강대학교 재직기(1964~1989), 정년 이후(1989~2006)로 나눌 수 있다. 이광린 선생은 스승인 이인영 선생의 영향으로 조선사 연구로 학문적 출발을 하였으나, 4 · 19 혁명 이후 개화사에 관심을 가지고 평생을 천착하였다. 개화사상과 개화운동, 그리고 인물이 10여 권의 저서와 100편이 넘는 논문의 주제였다. 선생은 개화기를 개화사상이 나타나는 1860년대부터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는 1910년까지의 시기로 규정하고, 1896년 독립협회의 창립을 기준으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개화전기에는 정부 주도로, 개화 후기에는 민간 주도의 개화운동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이광린 선생은 연구에서나 생활에서나 항상 부지런하고 꼼꼼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자료와 사실을 찾는데 노력하였다. 선생의 인품과 격조는 제자들의 존경을 받았으며, 자신과 관련된 일에 매우 엄격하였다. 선생의 학문은 자신 뿐 아니라 남을 위한 것이었다. This paper analyzed life and academic activities of Professor Lee Kwang-rin(1925-2006). Life of Professor Lee could be divided by several periods: apprentice period(1925-1954), tenure in Yonhi·Yonsei University (1954-1964), tenure in Sogang University(1964-1989), and after retirement (1989-2006). Professor Lee Kwang-rin had started his academic career with Chosŏn Dynasty History Inquiry under influence of Professor Lee In-young, but after April 19 Revolution, he focused on the Enlightenment History for entire life. His inquiry on the Enlightenment Thought, the Enlightenment Movement and their peoples covered subjects in about 10 books and 100 articles. Professor Lee defined the Enlightenment Period as ages from 1860s, apparence of the Enlightenment Thought, to 1910s, ages to deprived of national sovereignty by Japanese Empire. Also, he classified the Enlightenment Period as the early and the latter period based on foundation of Independence Club in 1896. Therefore, Professor Lee understood that the Enlightenment movement was led by the Government in the early period and by private organization in the latter period. Professor Lee Kwang-rin was always diligent and precise both in studying and personnel life. Also, he was dedicated in finding new references and facts. His students admired Professor Lee’s personality and nobility, and Professor Lee was very strict with his work. His inquiry was not just for himself, but for the others as well.
김경수(Kim Kyung Su)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49
이 글은 복거일의 여러 작품들이 법의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 구체적인 연관의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복거일은 1987년 『비명을 찾아서-경성, 쇼우와 62년』라는 대체역사소설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 이후 『역사속의 나그네』(1991)와 『파란 달 아래』(1992)와 같은 대체역사소설, 그리고 자신의 등단작의 영화화를 둘러싸고 벌어진 소송을 소설화한 『보이지 않는 손』(2006)을 발표하고, 이어서 『애틋함의 로마』(2008)나 『내 몸 앞의 삶』(2012)과 같은 과학소설을 발표한 다. 이런 복거일의 작품들은 그것이 동시대 현실을 대상으로 한 것이든 가상의 현실을 대상으로 한 것이든 간에 소설적 가능세계를 구축하는 데에 법이 중요한 관건이라는 점을, 그리고 나아가서는 법의 문제가 소설의 중요한 주제일 수밖에 없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복거일이 발표한 대체역사소설과 과학소설에서 법이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가상의 역사나 미래사회를 구상함에 있어서 동시대의 법리에 대한 이해가 기초적임은 물론 그것이 가능세계를 구축하는 기초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복거일이 자신의 저작권 소송을 소설화 한 작품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동 작품이 이른바 ‘법리소설’로서 평가될 수 있음을 밝혔다. 복거일은 자신의 소설에서 반복해서 법의 문제에 천착하고 있는데, 그것은 법이 소설과 마찬가지로 허구의 한 형식이며, 따라서 법리 자체의 논리나 시대적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a literary jurisprudential inquiry on the works of Bok, Geo-Il, especially In Search of an ephitaph, Invisible Hands, and Pitifulness of Rome, The Life before my body . These works are exemplary literary works of the alternative historical fictions and science-fictions in Korea. I focus the conceptional methods of these fictions and find the legal imagination is the core and foundations of alternative fictions and science fictions of Bok, Geo-Il. Especially his The Invisible Hands raise a question of copyright of meme, a cultural unit that is passed from one person to another by non-genetic means. And this novel resonated with The Trial of Kafka in the story-making. In a sense, the novel can be called as the first legal novel in Korea.
최광제(Choi GwangJe),김장원(Kim JangW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서강인문논총 Vol.0 No.31
이 글은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편차를 확인하고, 실용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개편 과정에 개입하는 요인들 간에 형성되는 역학관계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 전통이 오래지 않고,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반을 구축해가는 지방 사립대, 특히 원주 한라대학교를 중심으로 하였다. 지방 사립대의 경우 교양교육의 교육적, 인적, 물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담론화된 요소들이 각각의 논리와 운동성을 가지고 개입하게 되는데, 표면적으로 이들 간의 관계는 일차원적 대립으로 보이지만, 실제적으로는 상호 견제를 통한 다차원적 상호관계를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원주 한라대학교의 경우, 대학교육 내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관계, 교양교육에 관한 대학구성원들의 인식의 편차, 심화되는 대학경쟁에서의 생존, 취업을 비롯한 사회진출을 우선시 하는 사회적 풍토 등을 비롯하여 교양교과의 개발, 운영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매개 개념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를 선택하였다. 일반적으로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학문, 학문적 글쓰기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대학교육에 있어서 변방으로 취급되어 왔다. 그러나 한라대학교가 처한 상황으로 인해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실용, 실용적 글쓰기는 대학의 교양교육다움을 잃지 않으려 노력하는 한편 교양교육은 보조적인 여분의 영역이라는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꾸기 위해, 취업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한라대학교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재를 구축하는 데 있어서 각각의 영역들을 자연스럽게 엮어갈 수 있도록 하는 핵심적 개념 역할을 했다. 그 결과 교양교육 개편에 개입했던 제반 요인들이 대립적, 적대적 관계에서 서로의 논리와 운동성을 인정하면서 상호 견제의 관계로 진화하게 되면서, 실용과 교양교육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가져오게 되었다. This article is the research of general education by Halla University in Wonju Kangwon-do. Many researches about general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late 1990’s. For the result of those researches, certain discussions about general educations has formed. And,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are started to appear. But still, there are some problems that needs more studies. The thing is, process of re-interpreting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Prior to make the discussion of universal and appropriate argument about gene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hat let each colleges harmonize to it’s situation. Because Halla University has short history, I think the problem of general education is complicated with two basic issues. First, organizing their general education in average level, and the other is to re-interpreting their general education to harmonize with the situation of Halla University. In cases of Halla University, they realized that general education is important to adapt their freshman easily to their new university life.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abandons their register and giving up the school has extremely decreased. Also it brought the school alive. With this result, Halla University developed and managed the program which leads students to self-respect and dignity and to manage their future. And the result of this program turned out really well, so Halla University could make general education school which is autonomous and independent. Also the school could hire professional person who can take charge the general education. They will continue their effort to maintain the original meaning of general education. They are still in the process to work for the gene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