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유 논문 : 개혁 교회와 한국 교회의 기도신학에 관한 연구

        배정도 ( Jeong Do Ba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8 No.-

        오늘날 서구와 북미에서 기독교는 쇠잔하여 가면서 `기독교 이후 시대`(the post christian era)가 도래하였다. 기독교 이후 시대란 기독교가 더 이상 현대사회에서 정신적인 힘과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는 사회상을 말한다. 서구와 북미기독교의 쇠퇴는 기독교가 갖는 영성의 쇠퇴와 무관하지 않다. 후기 현대사회 속에서 서구 기독교는 더 이상 활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세속화되고 말았다. 이 가운데 기독교의 영성은 점점 고갈되면서 서구 교회의 정체성을 상실하기에 이르렀다. 서구의 기독교가 이처럼 쇠퇴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면 교회사에 있어서 한 시대에 부흥이 도래하거나 쇠퇴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그것은 기독교적 영성의 쇠퇴이고 그 가운데서도 기도의 쇠퇴를 들 수 있다. 한국교회는 짧은 선교 역사 가운데서 교회사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경이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이제 한국교회가 세계교회 성장의 모델이 되어 연구의 대상이 된 지는 오래다. 이처럼 한국교회가 짧은 역사 가운데서 성장하게 된 원동력이 무엇인가? 신학적인 면이나 선교의 역사를 볼 때 서구 교회와는 비교조차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부흥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여러 가지 요인이 있지만 그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하나 그것은 바로 `기도`이다. 한국교회는 이러한 기도의 영성이 활성화되어 있는 것이다. 분명코 평양 대부흥을 기발로 하여 일어난 기도의 불길, 열정은 서구 교회가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열심이 있었다. 교회사를 볼 때 기도가 중요시되고 활성화된 시대와 교회에는 분명 부흥이 있었고 그렇지 못한 시대와 교회에는 쇠락이 있었던 것을 보게 된다. 그리하여 논자는 이 `기도`에 대한 `신학`적 작업에 대한 비전을 가지게 되었다. Today is the post-Christian era as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has declined. `The post Christian era` represents the social phenomena that Christianity no longer exerts its spiritual power any more. The decline of Christian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post modern society, the Western church does not show its vitality and becomes secular. In this context, the Christian spirituality has disappeared and led to the loss of the identity of the Western church. Why the Western Church has declined? What are the factors of revivals and declines in church history? Among many factors that contributed to revivals and declines, one is the weaken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more importantly the decline of prayer. Korean church has grown so much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Korean church has been a model of church growth and an object of research. What is the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Korean church in such a short time? The Korean church comes short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church in the West when it comes to the history of mission and theology. How did the Korean church grow against all these odds? Among many factor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s `prayer` itself. In the Korean church, the spirituality of prayer is still very much emphasized. Clearly, the flames of prayer and passion originated from the Pyungyang revival movement cannot be followed by the Western church. In church history, when prayer was emphasized, there was a revival. And when prayer was neglected, the church withered. Based on this observation, the author became interested in a systematic study on `prayer`.

      • KCI등재

        기독교세계관으로 씌여진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 연구

        서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시조는 한국문학의 핵심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문학적 흐름 속에서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고찰하여 그 중심 내용이 무엇인지를 밝혀내었다. 문복희 시조의 현대적 문학성과 종교적 이념과 사회적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그의 작품 시조집 6권 475편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세계관에 바탕한 정형시조”인 동시에 “전통 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이다. 그의 작품에 들어있는 모든 주제와 소재와 내용들에는 성경말씀에 근거한 하나님 사상이 기본적으로 바탕에 깔려 있으며, 한국의 전통 운율을 현대적으로 정착시킨 3장 6구 45자 내외의 글자수로 정형화 되어 있다. 이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문복희 시조의 첫 번째 특징은 기독교세계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서로 다른 세 개의 세계관이 각각의 중요한 메시지인 동시에 서로간에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고 있다. 셋 중에서 제일 먼저가 믿음의 세계관이다. 문복희는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고 인간에게 복 내려 주고 또 보호하며 인도해 주심을 절대적으로 믿고 있다. 그는 믿음의 세계관에다 문학적 상상력과 기교를 융합시켜 현대한국시조를 창작해 내었다. 다음으로 그는 사랑의 세계관을 시조 작품 속에 많이 담아 내고 있다. 하나님이 세상을 사랑하신 것처럼 그의 작품에는 인간을 사랑하고 자연을 사랑하며 우리 삶과 일상 생활에 사랑하는 마음과 시선을 가득 담아 작품으로 만들어내었다. 마지막으로 그는 믿음의 세계관을 인간 삶의 목적과 목표로 삼아 시조 작품에 그려내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받아야 하며 궁극적으로 하나님나라천국에 들어가야 한다는 기독교세계관이 그의 작품에 다 들어있다. 두 번째로 문복희 시조의 특징은 우리나라의 전통운율을 계승한 정통시조라는 점이다. 고시조에 나타난 구지가로부터 현대까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우리의 전통 운율이 문복희 작품 속에 안착되어 있다. 현대시조에는 거의 정착되어 있는 3-4, 3-4/ 3-4, 3-4/ 3-5, 4-3/의 45자 내외의 글자수는 문복희 시조 전반에 적용되어 있으며, 문학적 은유와 비유의 기교를 사용한 한국현대시조로 창작되었다. 그리고 이것을 대학생과 일반인들에게 교육하며, 해외 대학교와 학생들에게도 알리고 보급하는데 앞장서고 있다. 세 번째로 문복희 시조는 한국현대시조를 세계화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문복희는 대학교에서 수강하는 중국 일본 몽골 등의 유학생들에게 시조를 지도하고 특별관리하는 것은 물론 외국 대학에서 초청받아 한국시조를 강의하고 발표하고 작품집 발행하는 등 세계화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 문복희의 한국현대시조를 집중 분석하고 연구하여 그 특징을 발견해 낸 결과 그의 모든 작품들은 기독교세계관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와 주제의 속에는 믿음의 신앙과 문학의 상상력과 우리나라 전통적 운율을 온전하게 융합시키고 있다. 그래서 문복희 시조는 한국 현대시조에 전통적 운율을 올바르게 장착하고 있어 “기독교 정신으로 씌여진한국현대 정통 시조”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문복희는 한국현대시조를 국내외에 적극 알리고 보급하며 세계화시켜 나가는 데 앞장서고 있다.

      • KCI등재후보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 연구

        김세완 한국기독교철학회 2014 기독교철학 Vol.18 No.-

        이 글은 『21세기 찬송가』에 나타난 ‘한국화’된 곡을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동안에 음악적 분석으로 연구된 한국교회음악에 대한 ‘한국화’ 양상은 주로 한국전통음악의 음악적인 요소의 반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교회음악에 이루어진 ‘한국화’를 한국전통음악의 요소가 반영된 여부에만 초점 맞추지 않는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는 현시대에 진정한 ‘한국화’를 인식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먼저 현시대의 진정한 ‘한국화’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것이 선행되며 현재적 진단 뒤에 도출되는 의미에 따라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를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된 양상을 살피기 위해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교회음악의 핵심인 찬송가이다. 연구대상으로 삼기에 적합한 찬송가는 현행찬송가인 『21세기 찬송가』이다. 『21세기 찬송가』에는 ‘한국화’된 곡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21세기 찬송가』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는 먼저 ‘한국화’된 곡을 추려낸 다음에 작곡가별로 음악적으로 분석하여 ‘한국화’된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곡가별 분석이 끝난 뒤에는 ‘한국화’ 지수를 매겨 ‘한국화’된 양상을 가시화하였다. 도출된 ‘한국화’ 지수는 한국교회음악의 ‘한국화’에 대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고 현재적 상황에 맞는 한국화를 모색할 수 있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ized Christian church hymns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It sequentially suggests some practical methods and musical technic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uthentic Koreanized church music in its contex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ized church music were done only in the perspectives of the pas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is study, however, develops beyond those traditional components because the true Koreanized music must authentically reflect the current Korean musicality. Thus,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define what it means to be a Koreanized church music. This definition will subsequently aid to draw som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enhance the Koreanization of church music in the days to com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conducted: Firstly, as samples, several hymn songs with the prominently Koreanized components were selected from 21th Century Hymnal, which is used in the most churches in South Korea today. As the second step, the mus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mposers and their musical patterns and distinctiveness. Thirdly, based on the how Koreanized those songs were, they were systematically categorized with the scale of indexing figures. This study provides the accurate diagnoses and evaluations of the current Koreanization of Christian church songs as well as practical recommendations on development of the future directions.

      • KCI등재후보

        자유논문 : 한국교회에 영향을 미친 성장주의에 대한극복 방안 연구

        이명구 ( Myung Ku Lee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9 기독교철학 Vol.9 No.-

        본 논문은 먼저, 한국교회에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된 배경을 고찰해보고 있다. 다음은 경제성장과 맞물려 한국교회에 잠재 된 성장주의가 낳은 역기능적인 병폐들을 살펴보고, 그 성장주의에 대한 극복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끝으로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한국교회의 모습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작은 소견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을 맺고 있다. 교회란 무엇인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고,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이시다. 이 교회는 머리되시는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여들었고, 지금 모여들고 있고, 장차 모여 들게 되는 택함을 받은 모든 사람들로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이처럼 교회는 "그리스도와 그 지체들 사이에 생명의 유기성"을 가지므로 교회의 성장과 부흥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교회가 어떤 토대위에서 세워지고 어떻게 성장하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예수님은 베드로의 명백한 신앙 고백위에 교회를 세우실 것을 말씀하셨는데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교회성장은 분명히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교회는 경제성장과 맞물려 급성장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화려한 성장과 부흥 이면(裏面)에는 기독교의 본질을 병폐시키는 `성장주의`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0년대 이후 추진된, 경제성장 제일주의 정책은 배고프고 굶주렸던 국민들에게 물질적인 풍요로움과 삶에 여유로움을 주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경제성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비윤리적인 능률과 효율성을 강조하므로, 목적보다는 수단만을 앞세우는 `성장주의`가 태동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성장주의 의식구조는 한국교회 내에도 팽배하게 되었고, 교회는 성장을 위해서라면, 선별하지 않고 이것저것을 수용하고 적용하였다. 그래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그에 따르는 병폐와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과연,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는 무엇인가? 그 병폐들을 보면, 첫째는 교회의 세속화이다. 둘째는 맘모니즘의 팽배이다. 셋째는 프로그램중심의 목회이다. 넷째는 개인주의에 빠진 개(個)교회지향적인 목회이다. 다섯째는 성령의 도구화이다. 여섯째는 사역중심의 목회이다. 반면에 한국교회의 역기능적인 성장주의 병폐를 극복하는 대안과 방법으로 여섯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첫째로 교회의 기독교 본질 회복이다. 둘째는 그리스도의 마음을 품는 목회이다. 셋째는 시장상황원리의 올바른 접목이다. 넷째는 교회의 열린 공동체성 회복이다. 다섯째는 성령과의 인격적인 관계 회복이다. 여섯째는 하나님 중심의 사역이다. 이와 같은 인식을 가지고 목회사역을 할 때, 한국교회의 성장 이면에 숨겨있는 병폐를 치유하고 건강한 교회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다. 그러면, 오늘날 한국교회가 올바른 성장을 위해 지향해야 할 교회의 모습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생명의 유기성을 가진다. 그래서 교회는 부흥 성장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인위적인 교회성장은 오히려 기독교의 본질을 상실한 채 외형만 큰 공룡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다음과 같이 기독교의 본질에 충실한 교회가 되어야 한다. 첫째로, 한국교회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둘째로, 예수 그리스도가 으뜸이 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셋째로, 성령께서 주도하시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 넷째로, 사회에 `참된 도덕성과 공동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정신적이고 영적인 교회이다. 마지막으로, 문화변혁적인 교회이다. 이와 같은 교회가 될 때, 한국교회는 세속적인 문화와 사상에 물들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며, 하나님의 뜻을 이 땅에 이루어 드리게 될 것이다. 또한 한국교회는 사회적 공신력을 회복하고 선교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This essay, first, tries to research the situational background of the growth-ism which has appeared in the Korean church. Next, in this essay, tries to find the bad influences of the growth-ism which has encroached on the Korean church, mixed with the economic growth. Then, it tries to present the ways to overcome the growth-ism. Finally,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alternatives to aspire the right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ppearance. What is the church? According to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church is the body of Jesus Christ, Jesus Christ is the head of the church. The church that consists of all people who selected, gathered around of Christ who became the head of the Church, now it is coming, will gather in the future", he has defined. Such the church has "the organic-life between the Christ and christians", so the church`s growth and revival are required necessarily. But the church should be built on top of any foundation and how does it grow? This ques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Jesus Christ spoked to built the church on Peter`s Faith Confession. but the ways and means to break into the right growth of the church can be a big problem definitely. The Korean church was the rapid growth, mixed with economic growth. However, we can see the other side of spectacular growth and revival of the Korean church. it is that the `growth-ism` to corrupt the essence of Christianity. Pursued since the `60s, the economic growth- first policy has given the material richness and relaxation of the life to the hungry people. But this economic growth, to emphasis the unethic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as quickened the `growth-ism` to focus only a means rather than the purpose. Thus, the awareness-structure of the growth-ism was prevailed even just within the Korean church, for the sake of church-growth, that stuff does not selectively applied and accepted. So, the Korean church have achieved remarkable growth, but have followed the considerable stigmas and side effects behind growth. Indeed, what is the hidden stigmas behind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s stigmas, the first is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second is a prevalence of the Mammon-ism. The third is a program-centered ministry. The fourth is a private-church ministry falling in individualism. The 5th is treated the Holy Spirit as a tool. The sixth is a labor-centered ministry. In contrast, this essay tries to propose the methods and alternatives of the six kinds to overcome the dysfunctional growth-ism of the Korean church. First, it is to recover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second is the ministry with the Christ` heart. The third is the right graft about the principle of market conditions. Fourth, the church is to recover an open-community. The fifth is to restore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Holy Spirit. The sixth is to restore the God-centered ministry. Thus, When pastors have recognized the right pastoral ministry, the Korean church will are cured from the stigma to hide behind the growth-ism and will be transformed into a healthy church. So, this essay tries to appear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church to aspire for the correct growth, today. The church of Jesus Christ has a body of organic-life. So the church should be revived. However, as discussed above, the artificial church-growth rather will lost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and will make a shape of a big dinosaur. The Korean church, such as the faithful church to the essence of the Christianity should be. First, the Korean church should give the glory to God. Secondly, Jesus Christ must be the finest in the church. Thirdly, it should be that the church to be led by the Holy Spirit. Fourth, it must be the mental and spiritual church to establish the true morality and community in society. Finally, the Korean church should be the cultural revolution church. When such a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not be corrupted by the secular cultures and thoughts, will be discerned God`s good and delightful and whole meaning, God`s will on earth will be accomplished wholly. In addition, the Korean church will be restored a social public-confidence and will be a big influence in mission.

      • KCI등재후보

        한국의 기독교철학자 100년(1): 일제강점기의 기독교철학자

        최태연(Choi Taeyon) 한국기독교철학회 2020 기독교철학 Vol.30 No.-

        이 논문은 지난 100년의 세월 동안 한국현대철학사에서 ‘기독교철학자’(Christian philosophers)들이 어떻게 철학을 해왔는지를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철학을 전문적으로 공부했거나 대학에서 철학 교수로서 활동한 이들 중에서 개신교(protestant) 신앙을 갖거나 개신교의 영향 아래 철학 활동을 한 모든 이들을 기독교철학자의 범주에 넣는다. 즉, 다음 세 유형의 철학자들 모두가 속한다. (1) 정통적인 기독교 신자로서 철저하게 신앙의 전제 위에서 철학 활동을 한 학자 (2) 정통적인 신앙을 가졌지만 철학적 회의와 비판을 동시에 추구한 학자 (3) 기독교 신앙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타 종교나 일반 철학과 접목을 시도한 학자다. 이 세 유형의 철학자들이 모두 기독교철학자로 불릴 수 있는 이유는 그들이 기독교 신앙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든지 그들의 인간적인 삶뿐만 아니라 철학적 사유의 원천 또는 출발점이 기독교이며 기독교적 테두리를 떠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필자는 한국에서 기독교 철학의 역사를 1920년대로부터 2020년까지 세 시기로 나눈다. 1기는 <일제 강점기>(1925~1945), 2기는 <해방 후 산업화 시기>(1945~1979), 3기는 <민주화 시기>(1980~2020)이다. 이 시기 구분은 아무래도 임의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1기인 <일제 강점기>(1925~1945)의 기독교철학자 5인 - 채필근, 최현배, 정석해, 한치진, 김기석 –을 다루는데 그쳤다. 채필근은 신학자와 목회자였고 최현배는 한글학자였다. 정석해는 수학과 불어를 가르친 철학자였고 한치진은 철학과 심리학과 사회학과 정치학 저술을 한 철학교수였다. 마지막으로 김기석은 철학으로 시작하여 윤리운동에 매진한 교육학자였다. 그러나 그들에게 있던 공통점은 기독교라는 거대한 정신적 유산이자 신앙 세계였다. 그들은 서로 다른 신학적 입장과 관심사를 가졌지만 기독교를 떠날 수 없었다. 바로 이 점이 이 논문이 우선적으로 밝히려는 철학적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how Christian Philosophers have been doing philosophy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hilosophy over the past 100 years. In this paper, among those who have studied philosophy professionally in Korea or have worked as philosophy professors in universities, all who have Protestant beliefs or have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under the influence of Protestantism are put into the category of Christian philosophers. Thes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1) A scholar who is an orthodox Christian who has thoroughly engaged in philosophical activities on the premise of faith; (2) a scholar who has orthodox beliefs but has pursued philosophical criticisms at the same time; (3) a scholar who has attempted to connect with other religions or general philosophies by interpreting Christian beliefs in his own way. The reason why all three types of philosophers can be called Christian philosophers is that no matter what attitude they take about Christian faith, they do not leave the Christian foundation. Next, I will divide the history of Christian philosophy in Korea into three periods from the 1920s to 2020. First, <Japapnese colonial era> (1925 to 1945) second, <Industrialization period after liberation,> (1945 to 1979), <Period after democratization> (1980s to 2020) for the 3rd. The distinction between this period is somehow arbitrary. The first period is covered in this paper. Five philosophers - Chae Pil-geun, Jeong Seok-hae, Choi Hyeon-bae, Han Chi-jin, Kim Kiseok - belong here. Chae Pil-geun was a theologian and pastor, while Choi Hyun-bae was a Korean-language scholar. Jeong Seokhae was a philosopher who taught mathmatics and French, and Han Chijin was a philosopher who wrote an introduction to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nd politics. Finally, Kim Ki-seok was an educator who started with philosophy and focused on ethical movement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e great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and the world of faith. They had different theological positions and interests but could not leave Christianity. This is exactly the philosophical fact that this paper is trying to reveal first.

      • KCI등재후보

        기독교 철학과 나의 철학 여정

        강영안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7 No.-

        This article is written to place Christian philosophy in my journeys as a philosopher. The order of writing is (1) introducing the philosophy of Dooyeweerd as a first form of ‘Christian philosophy’ that I encountered, and then (2) discussing the background of being more attracted to the idea of ‘doing philosophy in a Christian way’ rather than a ‘Christian philosophy as a system by the talks with my mentors. In third part, Kant’s two ideas of philosophy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discover a relevant idea of Christian philosophy proper to doing philosophy on everyday life I developed recent times. Finally, ‘Christian philosophy’ as a way of life following Christ, or, ‘Philosophia Christiana’ is discussed through reading Erasmus and Calvin. Through this article, I will claim that ‘Christian philosophy’ can have many forms, not just one, and that systematic efforts in doing Christian philosophy cannot be avoided, but nonetheles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proper duty of philosophy is always related with concrete, everyday life. 이 글은 필자가 철학자로 철학을 공부해 온 여정 속에 기독교 철학이 차 지한 자리를 위치시키고자 쓴 글이다. 글의 순서는 ( 1 ) 필자가 처음 접하 게 된 ‘기독교철학’으로 도여베이르트의 철학을 소개하고, 이어서 ( 2 ) 체계 로서의 기독교철학보다는 ‘기독교적으로 철학하기’에 더 이끌렸던 배경을 몇몇 선생님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이야기 한다. 이어서 ( 3 ) 칸트가 ‘철학’ 을 두고 고민한 내용과 그것이 세상속에 살아가는 우리들의 일상을 반성하 는 일과 무슨 연관이 있는지 드러내고 마지막으로 ( 4 ) 그리스도를 따라 살 아가는 삶의 방식으로서의 ‘그리스도교 철학’, 또는 ‘그리스도를 따르는 철 학’( Philosophia Christiana )을 에라스무스와 칼빈을 통해서 이야기하고 마지 막 부분에서는 기독교 철학과 관련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이 글을 통해서 필자는 ‘기독교철학’이 하나의 모습이 아니라 여러 모습을 가질 수 있으며 학문의 체계적 노력을 피할 수 없지만 그럼에도 삶의 길을 찾고, 삶을 끊임없 이 들여다보고 책임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사람들을 돕는 일이야말로 철학 의 고유한 본무임을 언제나 잊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한다.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으로서 기독교 철학

        김영한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7 No.-

        기독교 철학은 기독교 관점에서 철학적 사유를 한다. 좁은 의미에서는 기 독교 철학은 기독교 인식론이다. 하지만 기독교 철학은 단지 인식 문제만이 아니라 인생과 세계, 우주의 전반의 문제를 기독교 관점에서 논한다. 이런 의 미에서 기독교 철학은 기독교 세계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독교 철학은 넓 은 의미에서는 기독교 세계관으로 이해되어진다. 기독교 세계관이란 하나님이 모든 지식의 준거점이 되는 세계관이다: 기 독교 세계관은 하나님이 우주와 역사와 실재의 중심이요 인간 삶과 역사와 우주의 모든 국면에 정체성을 부여하는 인격적인 존재로 본다. 기독교 세계 관의 중요전제는 하나님은 이 세상의 창조자요 섭리자이시며 인간의 생사 화복의 절대주권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성경은 하나님의 권위있는 말씀이요 진리와 가치와 행위의 표준이라는 것이다.. 기독교 철학은 인식론에서는 해석학적 실재론의 입장을 취한다. 포스트 모던 시대에서 해석학적 독단론과 회의주의를 둘 다 피할 수 있는 길은 해석 학적 실재론의 길이다. 인도주의는 존중하나 인본주의는 허용될 수 없다: 인 도주의는 하나님 창조 지혜안에서 인간 존엄 추구이나 인본주의는 창조주를 부인하고 인간의 지식을 절대화하는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이다. 기독교 철학 은 하나님 주권 사상을 수용하면서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 린다. 기독교 철학은 자아, 사회, 자연, 세계, 우주에 펼쳐진 측량할 수 없는 하나님의 진리를 인식론적 겸허 속에서 날마다 파편적으로 알아감으로써 이 진리의 주인이신 창조주 자신을 알아가는 믿음, 소망, 사랑의 덕에 입각한 지 성적 탐구이다.

      • KCI등재후보

        생태 정의의 공공성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박성철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In an era of ecol-crisis, Christian ethics must provide a value system for eco-justice. In the past, Christianity looked on the eco-crisis without properly resisting the ideology of the industrial society. But The publicity Christian discour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iticizing the ideology of industrial society and the distortion of Christian ethic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crisis that must be considered in order to establish Christian ethics for ecol-justice are as follows. First, the eco-crisis is a negative result of an industrial society that exploited and repressed nature to maximize individual economic benefits. Second, the damage of eco-crisis appears unequal according to social stratum or class. Third, Christian ethics distorted due to the privatization of faith led to imperialism, which spread eco-crisis all over the world. In order to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publicity discourse today, the following basic conditions must be met. First,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is oriented toward the public participation of Christians in order to strengthen and realize publicity. Second,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aims for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in resolving social inequality caused by eco-crisis. Third,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targets at recognizing the publicity of the gospel and promoting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for the public good(common good). Therefore, Christian ethics in the era of ecological crisis could have a mission for an eco-society. Now, the Christian ethics for eco-justice must consider the public participation of Christians for the eco-society and the total change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mission. 생태 위기의 시대에 기독교 윤리는 생태 정의를 위한 가치 체계를 제공해야 한다. 과거 기독교는 산업 사회의 이데올로기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한 채 생태 위기를 방관하였다. 그러나 기독교적 공공성 담론은 산업 사회의 이데올로기와 기독교 윤리의 왜곡 현상을 비판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를 정립하기 위해 반드시 고찰해야 할 생태 위기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 위기는 개인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연을 착취하고 억압한 산업 사회의 부정적 결과물이다. 둘째, 생태 위기의 피해는 사회적 계층이나 계급에 따라 불평등하게 나타난다. 셋째, 신앙의 사사화로 인해 왜곡된 기독교 윤리는 제국주의를 이끌었고고 제국주의는 생태 위기를 전 세계로 확산하였다. 오늘날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가 공공성 담론을 통해 정립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기본 조건들을 충족해야 한다. 첫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공공성을 강화하고 실현하기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둘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생태 위기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셋째,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복음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과 공공선(공동선)을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를 지향한다. 그러므로 생태 위기 시대의 기독교 윤리는 생태 사회를 위한 사명을 가져야 한다. 이제 생태 정의를 위한 기독교 윤리는 이 사명을 성취하기 위해 생태 사회를 위한 그리스도인의 공적 참여와 삶의 총체적 변화를 고민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아브라함 카이퍼와 프란츠 폰 바더 - 바더의 계시철학이 카이퍼의 기독교세계관에 준 영향

        최태연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philosophy of Abraham Kuyper (1837–2020) and the German Catholic philosopher Franz von Baader (1765–1841), who provided the basis for Kuyper’s theory of Christian worldview. A recent study by J. Glenn Friesen highlighted von Baarder's philosophy in the study of Kuyper as one of his philosophical sources. First, in this paper, I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von Baarder's philosophy and then examine how Baarder's philosophy influenced Kuyper's ideas. Here, I pay attention to the 19th century Dutch Mediation theology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n Baarder and Kuyper. Mediation theology, influenced by Schleiermacher and Kierkegaard, emphasized the inner dimension of faith rather than doctrine and church system, and argued that the Bible became the living word of God by reaching the inner side of the believer. Just as the Neoplatonism that led Augustine to Christianity, there was Mediation theology that led Kuyper to Calvinism. It was von Baarder who provided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this Mediation theology. In this respect, von Baader can be said to have provided an important source for the formation of Kuyper's unique Neo-Calvinist theology and Christian worldview.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comparing the ideas of von Baarder and Kuyper shows that Baarder's influence appears to Kuyper on three subjects. The themes are: first, Sphere sovereignty and an organic view of society, second, criticism of the autonomy of reason and the need for dualistic confrontation(Antithesis), and third, the need for Christian studies/university. 이 논문은 기독교세계관 이론에 토대를 제공한 아브라함 카이퍼(Abraham Kuyper, 1837~ 1920)와 독일의 가톨릭 철학자 프란츠 폰 바더(Franz von Baader, 1765~1841)의 철학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의 글렌 프리즌(J. Glenn Friesen)의 연구를 통해 카이퍼 연구에서 폰 바더의 철학이 카이퍼의 철학적 원천 중 하나로서 조명을 받게 되었다. 먼저 이 논문에서 필자는 폰 바더의 철학의 특징을 요약적으로 서술하고 나서 어떻게 바더의 철학이 카이퍼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검토한다. 여기서 필자는 폰 바더와 카이퍼의 관게를 해명하는데 19세기 네덜란드의 중재신학(mediation theology)에 주목한다. 중재신학은 슐라이허마허나 키에르케고어의 영향을 받아서 교리와 교회 제도보다는 신앙의 내면적인 차원을 중시했고 성경이 신자의 내면에 도달함으로써 하나님의 살아있는 말씀이 된다고 주장했다. 아우구스티누스를 기독교로 인도한 신플라톤주의가 있듯이 카이퍼를 칼빈주의로 인도한 중재신학이 있었다. 이 중재신학에 철학적 토대를 제공한 사람이 폰 바더다. 이 점에서 바더는 카이퍼의 독특한 신칼빈주의 신학과 기독교세계관의 형성에 하나의 중요한 원천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폰 바더와 카이퍼의 사상을 비교하는 이 논문의 귀결은 바더의 영향이 세가지 주제에서 카이퍼에게 나타남을 보여 준다. 그 주제들은 첫째, 영역주권과 유기체적 사회관, 둘째, 이성의 자율성(Autonomy) 비판과 이원론적 대립(Antithesis), 셋째, 기독교 학문/대학의 필요성이다.

      • KCI등재후보

        윌리엄 베어드의 네비우스 방법에 의한 교육선교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1 기독교철학 Vol.12 No.-

        윌리엄 베어드는 네비우스 선교정책이 한국 실정에 맞다고 확신하면서 자전, 자치, 자립의 선교원칙을 한국교회 설립과 선교학교인 숭실운영에 적용하여 성공을 거둔 현장 선교사였다. 베어드는 교육선교에 있어서 에큐메니칼 신학의 선교방법이 아닌, 네비우스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는 사회적 제도와 기구를 통한 기독교 전파라는 방식이 아닌 먼저 토착교회 건립하고 다음에 교회성장에 상응하는 기독교 제도와 기구를 설립하고자 하였다. 베어드는 한국실험 (Korea Experiment)이라고 이름 붙인 한국 선교부의 벤처 프로젝트(venture project)를 한국 선교에 적용함으로써 이웃 중국이나 일본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한국 선교는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실험장이었다. 한국 선교의 성공은 네비우스 선교방법의 현장적합성과 보편 적용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의 말년은 언더우드가 세운 서울의 연희전문과의 갈등으로 평양숭실의 교장직을 사임하는 등 어려움의 시기였다. 그는 숭실의 교육책임자의 직책을 벗어난 후에도 여전히 성경번역 등 교육선교 사업에 여생을 투신한 헌신적 선교사였다. 이러한 그의 위대한 헌신과 교육열과 기도가 오늘날 그가 기초를 닦은 서울의 숭실이 있게 한 것이다. William Baird, convincing that Nevius missionary policy is appropriate for Korean situation, was a field missionary who experienced succes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self-propagation, self-governing, self- independence for setting up the Korean church and Soonsil management. Baird applied not ecumenical method but Nevius method for educational mission. He, differently from the Christian propagation through social system and institute at first, set up the native church, next, Christian system and institute corresponding to it. He applied venture project called Korea Experiment for Korea mission. harvested a remarkable results which are not found in neibouring China and Japan. Korea mission was the experiment place of Nevius method. The success in Korea mission was to demonstrate the filed appropriateness and universal applicability. His late years was a difficult time in which he should resign from the presidency of Soonsil college due to the conflict with Yonhee college, Seoul Underwood founded. He was a dedicated missionary committed to the educational work such as Bible translation after getting out of the responsible positions of Soongsil. His great commitment, educational fever and prayer were what Soongsil today is for that he paved up the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