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충돌과 창조 속의 언어

        윤유석(Youn, You-Se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7 No.-

        1950년대 이후로 해석학적 철학과 분석철학은 ‘언어’라는 주제에 대해 생산적인 대화를 진행하고 있다. 본고는 상이한 이 두 사조가 언어의 ‘세계개시성(Welterschlossenheit)’이라는 논의에서 일치한다고 본다. 두 사조에 따르면, 언어는 단순히 우리가 세계를 기술해 내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는 언어 안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언어는 다른 언어사용들과의 충돌 속에서 세계를 창조해 내는 힘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이와같은 논의들이 해석학적 철학과 분석철학에서 각각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를 추적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고는 이를 위해 소위 현대철학의 ‘언어적 전회(linguistuc turn)’에 커다란 기여를 한 철학자들인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 G. Gadamer)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L. Wittgenstein)의 언어관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비교는 크게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첫째로, 두 철학자 모두 우리가 제약조건 속에서 세계를 파악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본고는 우선 이 제약조건이 ‘경험의 역사성’이라는 점을 밝힐 것이다 (Ⅱ). 둘째로, 두 철학자 모두 제약조건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 세계 자체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우리에게 불가능하다는 점에 동의하였다. 본고는 가다머의 ‘선입견’ 개념과 비트겐슈타인의 ‘규칙 따르기’ 문제를 비교함으로써 이 점을 논의할 것이다(Ⅲ). 셋째로, 두 철학자 모두 이 제약조건 속에서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과정이 언어를 사용하는 과정과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가다머의 ‘대화로서의 언어’와 비트겐슈타인의 ‘사적언어 논증’을 중심으로 이 문제를 다룰 것이다(Ⅳ). 결론적으로 본고는 이러한 논의들을 종합하여 ‘세계’가 단순히 물리적 사물들의 총체인 ‘자연’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의미관계의 총체인 ‘언어’라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언어로서의 세계는 타자와의 대화 속에서 충돌하는 가운데 끊임없이 새롭게 열어밝혀지며 창조된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Since the 1950s, language has become the central philosophical issue in hermeneutic and analytic philosophies. This study supposes that these two different trends of philosophy are the same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the World-disclosure (Welterschlossenheit) of language. According to the two trends, language itself is the world in which we live, rather than a mere tool for us to use when describing the world. That is to say, within the clash with other languages, language has its own power to form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se discussions have occurred from two trends: hermeneutic and analytic philosophies. This study will present it by comparing two important philosophers, H. G. Gadamer and L. Wittgenstein, wh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o-called linguistic turn of contemporary philosophy. This comparative study will consist of three issues. First, both philosophers focused on how we perceive the world under constrained conditions. This study will show that the constraint condition is based on the historicity of experience (Ⅱ). Second, both philosophers agreed that it is impossible for us to escape the constrained condition. This study will discuss this problem dealing with Gadamer’s prejudice and Wittgenstein’s rule following (Ⅲ). Third, both philosophers claimed that, under the constraint condition,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is not separated from our language usage. This will be further explained in regards to Gadamer’s language as dialogue and Wittgenstein’s private language argument (Ⅳ). Consequently, combining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will suppose the world is not merely nature which is a sum of physical things, but a language which is a sum of the relations among meaning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claim that the world as language is newly disclosed and created ceaselessly while clashing with others in dialogue.

      • KCI등재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에서 초월론적 타자이론

        이종주(Lee, Jong-J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이해되는 데카르트의 철학은 근대이후 주체철학의 출발로 여겨진다. 특히 칸트, 헤겔, 후설을 통해서 데카르트는 초월론적 주체철학의 전통의 출발로 해석되어 왔다. 프랑스의 대표적인 데카르트 연구자인 장-뤽 마리옹의 경우에도 1991년 논문에서는 데카르트의 주체철학을 유아론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1996년 논문에서는 마리옹은 데카르트의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새로운 초월론적 타자철학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국내 근대철학 연구자인 진태원 교수는 마리옹의 논변을 반박하면서 그와 같은 해석은 오히려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드러나는 데카르트의 철학이 갖는 담론적 구조, 바로크 시대적 특성이라는 장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데카르트의 코기토의 초월론적 타자성에 대한 마리옹의 입장을 원칙적으로 동의하면서 그의 논변을 다시 한번 재검토하고, 나아가 그의 논변 속에서 취약점, 즉 텍스트 해석의 문제, 경험적 증거해석의 결핍문제를 밝혀낸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텍스트 내재적 해석 차원에서 제1, 2성찰 전체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및 경험적 증거차원에서 20세기 후반 발달심리학의 사회적 인지발달이론의 연구성과에 대한 현상학적 재해석을 통해서 ??제일철학에 대한 성찰』속에서 초월론적 타자의 철학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Descartes’ philosophy in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is believ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philosophy. Especially Kant, Hegel, Husserl and Heidegger interpreted Descartes’ philosophy as the origin of the tradition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Jean-Luc Marion, as a representative scholar on Descartes, also interpreted Descartes’ subject-philosophy as a solipsism in his article “Does the Ego Alter the Other? The Solitude of the Cogito and the Absence of Alter Ego” (1991). But in his other article, “Original Otherness of Ego” (1996), he sought the possibility of the philosophy of the transcendental other. Professor Tae-won Jin criticized Marion by saying that in this article he had ignore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Descartes’ philosophy, “the structure of discourse of the Meditations and its baroque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half of our article we agree with Marion’s thesis on the transcendental otherness of ego in Descartes’ philosophy in principle, but we also criticize Marion’s argument for its in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two doubts: “Isn’t the omnipotent demon as a transcendental other only a hypothetical character?” and “Why does the demon enter the inner side of the ego as a soul?” In the last half of our article we support Marion’s thesis by interpreting evidences phenomenologically on the development of a baby’s social cognition which come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are also reinterpretations of Descartes’ text, especially the first meditation and the second meditation. Through these somewhat rash endeavors, we aim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ranscendental otherness in Descartes’ Meditations.

      • KCI등재

        박종홍 철학의 형성과정 연구

        고성애(Koh, Sung-A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8 No.-

        박종홍 철학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그의 철학사상에만 관심을 가졌지 그러한 철학사상의 형성과정과 배경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박종홍 철학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형성된 어떤 문제의식이 그를 ‘철학함’으로 이끌어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박종홍이 철학함의 출발점에서 고민하였던 문제는 “우리”와 “민족”이었고 고민을 해결하고자 읽었던 것이 최남선이 간행한 책이었다. 그는 민족의 독립을 위하여 “우리 민족”의 특색을 밝혀보고자 시도하였고 다카야마 쵸규의 저작들을 읽으면서 조선 미술사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하지만 결국 한계를 느끼고 중단되었지만 다시 니시다 기타로의 철학사상을 접하면서 박종홍은 생에 대한 고민과 미적 감정에 대하여 철학적인 고찰을 시도하게 되는데 그 결과 심미적 감정이 우위를 차지해야 된다고 한다. 또한 박종홍은 교직에 종사하면서 과도기의 혼돈을 겪고 있는 현실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교육사상 중의 근본정신을 살리고자 고민하면서 퇴계의 경(敬) 사상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는 다카하시 도루의 조선 유학에 대한 연구에서 자극을 받은 지식인들이 점차 학문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던 당시의 시대적ㆍ학문적 상황과 떨어져서는 논의할 수 없다. Previous research on the philosophy of Park Jong-hong has focused mainly on his thoughts as a whole, omitting the background and formation of his thoughts. ‘Before delving into the full-fledged philosophy of Park,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atiks he had in mind before he entered Keijo Imperial University. Two starting points of Park’s philosophy are ‘us’ and ‘people of nation’; in searching for the answers he extensively read the books published by Choi Nam-sun. Park attempted to uncov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our people’ by reading Takayama Chogyu’s books on the history of Joseon art, with which Park faced limitations. As he turned his attention to the philosophy of Nishida Kitaro, which led him to new philosophical inquiries into life and aesthetic feelings, and eventually to conclude aesthetic feelings must take the pride of place in life. As Park was engaged in teaching, the chaotic reality in the turbulent period made him decide to revive the original spirit of traditional thoughts on education, leading him to Toegye’s philosophy of Gyong (敬, pious attention). It must be taken into account, however, that in Park’s time, elites stimulated Takahashi Toru’s work on Joseon Confucianism, and began serious academic research on national spirits.

      • KCI등재

        철학실천의 위험성

        박병기(Park, Byeong-Ki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7 No.-

        이 글의 목적은 1980년대 이래 구미 각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철학실천운동의 규범적 성격을 드러내고 그 난점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밝힘으로써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 데 있다. 철학실천은 상아탑 속에 잠들어 있는 철학을 깨워 우리 일상의 생활 속으로 내려오도록 하고 삶의 방식으로서의 철학을 복원하여 철학이 우리 삶 속에서 살아 숨 쉬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철학의 도구화나 상업화라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시장에 나온 철학상담은 소비대상 영역이 불분명하다는 난점이 있고 그 자체 철학을 왜곡할 위험이 있다는 해결과제를 남기며, 소크라테스대화를 활용한 조직컨설팅은 철학의 제도화를 다시 초래할 위험을 안고 있다.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철학실천이 지향해야 할 방향은 상업부문의 철학실천을 극소화하고 비상업부문, 즉 공공부문의 철학실천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그 방안의 하나로 필자가 잠정적으로 제안하는 것은 철학상담사나 소크라테스촉진사를 개인상담소나 컨설팅업체를 개설하여 영업활동의 일환으로 철학상담이나 컨설팅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나 지방정부의 지원을 받아 활동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basic groundwork for averting a peril that Philosophical Practice might have by defining the normative nature of the Philosophical Practice Movement being actively developed in Europe and America since the 1980s, and for identifying and solving its problems and tasks. Philosophical Practice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seeks to restore philosophy to its role as a way of life by bringing it down from its ivory tower to operate as a living force in daily life. But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emerged as a crass instrumentalism or commercialization of philosophy is problematic due to the uncertainty of whom it targets as a consumer, and opens up the question of how to avoid the danger of distorting philosophy. Organized clinical consultations using Socratic dialogue contain the risk of bringing about yet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of philosophy. To solve this problem, the desirable direction for Philosophical Practice is to greatly minimize its market sector, and maximize to every extent its non-market, or public, sector. The writer provisionally advocates that one way to achieve this is to forego the establishing of philosophical counseling companies and companies for the promotion of Socratic facilitator as counseling centers or consulting firms in order to use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consulting as a part of business activities, but to receive support from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and employ it as a state-subsidized project.

      • KCI등재

        역사속의 철인왕

        송유례(Song, Eu-R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9 철학사상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율리아누스 황제의 신플라톤주의 정치철학을 그의 인간애 사상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율리아누스는 역사속에서 철인왕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했던 로마제국 최후의 이교황제로 일명 ‘배교자’라고 불린다. 그의 철인왕의 이상을 이해하기 위해, 우선 율리아누스의 배교의 철학적 동기 및 그가 귀의한 철학인 신플라톤주의와 이교주의의 관계를 밝힌다. 그런데, 신플라톤주의는 통상적으로 윤리학과 정치철학이 빠진 플라톤주의로서 지극히 피안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신비주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철학에는 율리아누스가 표방한 ‘인간애’의 정치가 들어 설 공간이 없어 보인다. 필자는 이러한 통론에 반대하여, 율리아누스의 ‘인간애’ 사상을 신플라톤주의 내부에 엄연히 존재하는 정치철학적 시각에서 설명하기를 시도한다. 특히, 신플라톤주의 정치철학의 기반인 섭리론에 입각하여 율리아누스의 철인군주론을 논구하고, 섭리론이 내포하는 돌봄의 개념을 인간애의 개념과 연결시킨다. 나아가 율리아누스의 인간애의 사상적 연원을 신플라톤주의의 한계를 넘어 헬레니즘 전통 안에서 추적한다. 끝으로 율리아누스의 인간애의 정치를 정책면에서 살펴봄으로써 그의 헬레니즘적 인간애의 이념이 기독교적 사랑의 이념과 경쟁관계에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Emperor Julian’s political philosophy with particular emphasis on his conception of philanthropy. Julian was the last pagan Roman emperor, who is dishonorably called ‘the Apostate.’ To approach his ideal of the philosopherking, I first draw attention to Julian’s apostasy from Christianity, which turns out to be a “conversion to philosophy.” I then briefly sketch the relationship between Neoplatonism, which Julian professes, and paganism. Neoplatonism is, however, generally known as an extremely otherworldly and individualist mystical philosophy, lacking an ethical and political dimension. In such a philosophy, there would be no place for the practice of philanthropy advocated by Julian. Against this received opinion, I attempt to explain Julian’s conception of philanthropy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philosophy in Neoplatonism, based on the metaphysical theory of Providence, while linking the concept of providential care to the concept of philanthropic politics. Further, I trace the conceptual origin of philanthropy beyond Neoplatonism back to the tradition of Hellenism, whereby it is shown that Julian’s Hellenic philanthropia stands in competition with Christian agape. I close this article with some reflection 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Julian, a philosopher?king in history.

      • KCI등재

        19세기 조선 학자의 자연철학에 관하여

        김선희(Kim, Seo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대학 분과나 학문 제도에서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 자연학과 철학은 중층적 구조를 유지하며 혼종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종성은 동양은 물론 19세기 중반 ‘과학자(scientist)’라는 개념의 뒤늦은 등장이 예시하듯, 전문가로서의 ‘과학자’가 전문적 ‘과학’ 연구를 전담한다는 인식 아래 제도적, 규범적 체계를 구축하기 전까지 서양에서도 나타나는 동일한 현상이었다. 그러나 서구의 스펙트럼과 세계관에 따라 학문과 지적 제도를 재편성해야 했던 동양에 있어 이 혼종성에 대한 평가가 더욱 두드러지며, ‘과학’과 ‘동아시아’ 사이의 거리를 벌려놓은 일종의 낙인처럼 작용한다. 이 논문은 하나의 시론적 시도로서, 현재의 시선에는 혼종적이지만 당대에는 매우 정합적이었던 기학적 자연철학의 관점에서 최한기라는 19세기 조선 유학자의 자연철학적 기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한기가 구상한 일종의 중력 이론 ‘기륜설(氣輪說)’이 그의 사유 실험을 살펴볼 창이 되어 줄 것이다. 기계론적 세계관 속에서 천체운동 등의 자연 현상을 수학적 체계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던 데카르트와 뉴턴의 중력 이론은 서구 과학사의 관점에서 하나의 진보로 평가될 수 있지만 최한기의 기학의 체계에서는 물질을 불활성에 가두며 자연계 운동의 원인을 신에 돌리는 불완전한 체계였다. 그럼에도 최한기는 서학서로부터 실험과 수학적 증명을 통해 기의 형질과 운동을 실증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이를 기학의 방법론으로 정립하고자 했다. 이처럼 최한기가 유학의 이념과 서양 과학의 지식들을 결합해 구축한 ‘기학(氣學)’은 과학과 비과학을 결정하는 현대 과학의 지적 권위가 작동하기 전, 마지막 비결정의 시대에 조선의 지식인이 꿈꿀 수 있었던 자연철학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보여 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oe Hangi’s(崔漢騎 , 1803- 1877) theory of the qi’s globe, a sort of gravitational theory, which appears to have hybrid characteristics from a modern perspective but which was understood as a coherent theory in Choe Hangi’s time due to the natural philosophical view based on the study of qi. The gravitational theories of Descartes and Newton, which attempted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using a mathematical system from a mechanistic worldview, could be evaluated as progress in the history of Western science, but in terms of the study of qi, these were thought to be incomplete systems, seeing all materials as inert ‘stuff’ and attributing the primary cause of all motions in the nature to God. Nevertheless, Choe Hangi attempted to adopt the Western scientific approach as his methodology, as he recognized after encountering Western learning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motions of qi could be proved by experiments and mathematical proofs. Choe Hangi’s study of qi, which involved combining Confucian ideologies and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could demonstrate the possibility and expandability of natural philosophy, of which Joseon intellectuals had dreamed, and which had form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ectual authority of modern science, which draws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non-science.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주의 비판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논리주의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그의 전체 철학의 지평에서 비판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먼저 나는 『논리철학논고』에서 제시된 비트겐슈타인의 수학철학은 대단히 불안정한 것이었으며, 이는 그 저작을 포기하게 했던 주요 난점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2절). 그런데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논고』를 포기한 후에, 수학철학에 관한 기존의 입장과는 완전히 다른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학철학에 대한 그의 근본적인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학의 본성에 대한 그의 탐구는 철학자는 “수학자에게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그의 전략적 원칙을 귀결시켰다(3절). 이러한 수학철학에 대한 새로운 입장에서, 그는 한편으로는 프레게의 수에 대한 정의와 규정을 매우 높이 평가하지만, 철학적 관점에서는 대단히 비판적이다(4절). 뿐만 아니라, 그는 산술적 명제가 동어반복으로 환원되기 때문에 수학은 논리학으로 환원된다는 러셀의 논리주의를 명시적으로 거부한다(5절). 그는 수학과 논리학을 ‘행위의 관점’에서 해명하는데, 그에 따르면 수학과 논리학은 서로 상이한 기술이다(6절).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lucidate Wittgenstein’s thoughts of logicism in his whole philosophical perspective. First I will show that Wittgenstein’s philosophy of mathematics in his Logico-Philosophico Tractatus was very precarious so that he could not but withdraw it(§2). But after Wittgenstein abandoned his Tractatus, he conceived new thought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Above all, to understand his criticism of logicism, it is most important to comprehend Wittgenstein’s fundamental point of view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is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mathematics led him to his strategic principle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that philosophers must not interfere with mathematicians (§3). From this new philosophical standpoint on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he highly appreciates Frege’s definition of the cardinal number on the one hand, but he is very critical of it on the other hand(§4). Furthermore, he explicitly rejects Russell’s logicism that mathematics is reduced to logic because arithmetical propositions are reducible to tautologies(§5). He illuminates mathematics and logic from the perspective of actions, and claims that they are techniques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6).

      • KCI등재

        최한기를 읽기 위한 제언

        김선희(Kim, Seon 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2 No.-

        동아시아에서 서양을 통해 촉발된 근대 지식은 독립적이고 일관된 형태로 이식될 수 없다. 서양의 학술은 고유한 체계와 가치와 이념이 이미 작동하고 있던 지식장에 들어온 외래 사유였고, 따라서 본래의 맥락에서 분리되어 고유의 담론 체계 안에서 다른 생명력과 가치를 얻을 수밖에 없다. 서학(Western Learning) 특히 서양 과학에 대한 최한기의 접근과 수용 역시 이러한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최한기 연구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평가들을 하나의 표제어로 삼아 최한기 철학에 접근하는 방식을 재검토하고 서학과 관련된 최한기의 사상적 구상을 재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최한기는 총론차원에서는 동서양을 회통시키며 시대를 앞서 나간 선구적인 사상가로 인정받는다. 그러나 각론 차원에서는 서양 과학의 맥락과 발전상을 이해할 지적(知的) 자원이나 훈련 없이 단발적이고 개별적인 정보 나열에 그친 실패한 사상가로 평가받기도 한다. 총론과 각론의 극단 사이에서 최한기는 ‘근대 우주관을 수용한 과학사상가’나 ‘철두철미한 경험주의자’ 또는 ‘이형접합의 키메라’로 인식된다. 그러나 조선 유학의 토대에서 성장한 최한기는 자신이 수용한 학적 체계가 서양의 ‘근대 과학’이라는 것도, 그 사상적 자원의 내적 발전이 ‘근대성’의 차원에서 평가된다는 것도 알지 못했다. 또한 그가 강조한 ‘경험’이라는 관념 안에는 경험 불가능한 형이상학적 실재에 대한 이념 또한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근대 세계에 대한 의식적 지향이 없었던 최한기에게 ‘근대성’의 표지를 붙여 평가하거나, 서양 과학의 완전한 이해와 수용을 목표로 하지 않았던 최한기에 대해 서양 과학의 이해 수준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식은 최한기의 전략과 목표, 구상과 기획을 현대적 관점에서 예단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최한기의 철학적 구상을 이해하는 방법 중 하나는 왜 그가 서양과학을 도입하고자 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다양한 서양 과학을 수용하고자 했던 최한기의 시도는 ‘기학(氣學)’이라는 보편학에 대한 그의 구상과 지향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그는 기학을 통해 하나의 세계관을 만들고자 했고 이 세계관의 하위에 체계적 학문의 분과를 구성하고자 했다. 그는 기학이라는 보편학의 실질적 세부를 만들기 위해 서양 과학 이론을 비롯한 자기 시대의 모든 사상적 자원을 활용한 것이다. 따라서 그의 각론에 대한 평가는 그가 목표로 했던 체계와 그 체계의 세부를 구성하는 사상적 자원들 사이의 연동과 논리 안에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Modern knowledge in East Asia, triggered through the Western world, could not be transplanted in an independent and coherent form. Western scholarship, separated from its original context, could only gain new values in the new sphere of scholarship of East Asia with its own values and philosophies. The study of Choi Han-Ki’s reception of Western learning, especially of Western science, should be approached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understand and estimate Choi Han-Ki’s philosophy and ideology in relation to Western learning. Within the pre-existing approaches of his philosophy, he has been generally recognized as a pioneering philosopher for his time for introducing and connecting Western ideologies to those of the East. However, on a more precise level of evaluation level, he has been regarded as rather an unsuccessful philosopher who merely introduced isolated information without being equipped with proper intellectual resources and sufficient training to understand Western science. He was called either as a ‘scientific philosopher who accepted the modern view of the universe,’ or ‘a through and through empiricist,’ or even ‘a heteromorphic camera.’ Yet, Choi Han-Ki as a person grew up during the Confucian Chosen was not able to understand that the scholarship he accepted was ‘modern science’ and its ideological resources had been evaluated at the level of modernity in the West. Moreover, in the concept of ‘experience’ that he emphasized, the idea of a metaphysical entity that cannot be experienced was also included. Therefore, an evaluation of Choi Han-Ki, who did not have a conscious aspiration for modern science and did not aim to understand and introduce Western modern science itself into the East, may involve labeling him with ‘modernity’ or with an evaluation method that uses the understanding level of Western science as its standard, would only lead to forejudge his strategy and goal from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In this context, one proper way to understand his philosophical configuration is to start with the question of why he wanted to introduce Western science. His attempt to import various Western science might be best evaluated in the light of his configuration for a universal science, ‘Ghi-Hak.’ He attempted in Ghi-Hak to build up one complete view on the world with its systematic subdivisions, utilizing all the ideological resources he could during his time, including Western science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his philosophical details should be done within the system he aimed to build up as well as the inner connection logic between ideological resources that form the details of the system.

      • KCI등재

        보에티우스 다치아의 『최고선에 관하여』

        손은실(Son, Eun-S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 Vol.41 No.-

        이 글은 오랫동안 13세기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알려져 온 보에티우스의『최고선에 관하여』라는 작품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시도이다. 중세철학 연구의 수많은 거장들이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소책자를 연구하였지만 이 작품의 성격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주된 쟁점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 책의 관점이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는가 아닌가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이 책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가 혹은 철학의 학문적 자율성을 방어하는 것인가 아니면 신앙 차원의 논의를 포함하는가 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이 작품의 성격이 순수하게 철학적인 것이고 이 작품에서 전개된 보에티우스의 행복론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충돌하지 않음을 규명한다. 그의 행복론은 물론 당시 회자되던 아리스토텔레스-아랍 철학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리스도교 행복론과 충돌하는 아베로에스의 행복론을 수용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보에티우스의 작품을 겨냥한 1277년 단죄 조항도 라틴아베로에스주의 행복론의 모델 텍스트로 평가한 기존의 해석도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에 기초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최고선에 관하여』가 쓰여진 시대의 역사적 배경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이 아랍 철학자들의 주석과 함께 라틴 그리스도교 사회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최고선에 대한 이해 문제가 철학과 신학 사이에 긴장을 야기하는 쟁점이 되었음을 밝힌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De summo bono of Boethius of Dacia, which has been known as the model text of the concept of happiness of the thirteenth-century Latin Averroism. Though numerous scholars of medieval philosophy have already worked on this treatise, its nature is the object of controversy as ever. There are two principal issues. One is whether the viewpoint of this treatise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or not. The other is whether this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defends the scientific autonomy of philosophy, or includes theological discussions. This paper argues that the treatise is purely philosophical in nature and does not conflict with Christian beliefs. The eudaemonics of Boethius underwent the influence of Aristotelico-Arab philosophy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but Boethius did not accommodate the eudaemonics of Averroes, which conflicts with Christian belief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neither the Condemnation of 1277 nor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treatise as the model text of the eudaemonics of Latin Averroism hold after tho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It also elucidate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highest good became an issue that caused tension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during the process of accommodation through which the Latin Christian community absorbed the Aristotelic philosophy, which served as the backdrop of the treaties along with the commentaries of Arab philosop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