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성교육정책의 국제 비교 분석과 시사점 연구

        박균열,주영효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To this end, in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of Korea,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Singapore are selected,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criteria are devised through FGI, and literature analysis methods are used to compare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se countries'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 education in the community connected with schools (including universities) is important.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advance the consensus and coopera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for character education program operation, and to focus on character element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among various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Third, rather than injecting character into students with the idea that the teacher is th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ducate teachers of character education in which the character of the teacher can naturally flow into the students. Fourth, a close partnership among the natio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unit schools, and universities is necessary for the smooth connection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and it is important to build a syste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develop convergence programs. Fifth, periodic monitoring, support, and governance building of the promotion system for character education policies are necessary. Lastly, the educational goal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cultivate the basic qualities and competencies required as a democratic citizen and to realize the meaning of the proper character. 본 연구는 인성교육정책의 국제 비교 분석과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상황과 연계하여 유사 또는 차별화 국가로 미국, 프랑스, 싱가포르 등 3개국을 선정하고, 초점집단인터뷰(FGI)를 통해 국제 비교 분석 준거를 구안 후 문헌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이들 국가의 인성교육정책을 비교 분석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을 포함한 학교와 연계된 지역사회의 인성교육이 중요하다. 둘째, 인성교육을 위한 예산 확보와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교육공동체 합의 및 협조 선행, 다양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중 학교 특색에 맞는 인성요소를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셋째, 교사는 학생에게 인성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인성이 학생에게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인성교육과 학교교육과정의 원활한 연계를 위하여 국가, 시도교육청, 단위학교, 대학의 유기적 파트너십이 필요하고, 교육공동체 요구를 반영한 시스템 구축 및 융합적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 다섯째, 인성교육정책의 추진 체계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지원 및 조성의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의 교육목표는 민주시민으로서 요구되는 자질과 역량을 함양하고 올바른 인성의 의미를 깨닫는 것이다.

      • KCI등재

        역량학적 관점에서의 인성에 대한 고찰 - 인성지능을 중심으로

        신수림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6

        The aim of this study that humanity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solve the problem of modern society such as materialism, convenienceism and self-centeredness in Korea. The spiritual intelligence, the associated with humanity, is Gardner’s the ninth intelligence that is needed when flexibility, creativity and spontaneity are required, seeking meaning and value and good. This intelligence is essential for future talent who will not be replac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theoretically proved that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is the capacity to overcome the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of humanity, such as just good heart or inefficiency in humanity education. So, in terms of competency, the level of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is expressed as energy quantification by emotion and proposed step by ratio of Higher self and Ego self. It is also important to maintain positive emotion in order to improve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Emotional management and physical manage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ninth intelligence measurement tools for the dissemination and diffusion of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Second,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various field such as psychology, education, management and humanities, Thir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in corpor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spread. Lastly, I hope to find and spread best practices for utilizing the ninth intelligence(spiritual intelligence)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미래사회에 대비하고, 우리나라의 물질만능, 편의주의, 자기중심성 등 현대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인성이 무엇보다 중요한 역량임을 주장한 이론 연구다. 인성지능은 Gardner의 9번째 지능에 해당하는 지능으로서 유연성, 창의성, 자발성이 요구될 때 필요한 지능이며 의미와 가치를 추구하고 선을 추구하는 양심적인 지능으로 인공지능에 대체되지 않을 미래형 인재에게 꼭 필요한 역량이다. 이 연구에서는 인성을 단지 착한 마음씨나 인성교육은 해도 그만 안해도 그만이라는 오해와 편견을 탈피하기 위해 인성지능이 역량임을 이론적으로 입증하였다. 역량적 측면에서 인성지능 수준을 감정별 에너지 수치화와 대아자아(Higher Self)와 에고자아(Ego self)의 비율로 단계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인성지능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정서관리와 신체관리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지능에 대한 보급과 확산을 위해 인성지능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하며, 둘째, 심리, 교육, 경영, 인문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인성지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하며, 셋째, 기업체 및 교육기관에서 인성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운영이 확산되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성지능 활용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확산·보급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인성의 의미와 인성교육의 과제

        최은순(Eun-Sun Choi) 한국도덕교육학회 2017 道德敎育硏究 Vol.29 No.3

        이 글은 인성교육진흥법이 명시하고 있는 것처럼 인성을 모종의 역량으로 규정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 하는 문제를 인성에 관한 두 가지 대안적 관점들에 비추어 검토하고 그 결과로부터 인성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인성을 사실로서 접근하는 이른바 유명론적 관점은 피아제(Jean Piajet, 1896-1980)의 도덕심리학이론으로 대표되며, 이 이론에서 인성은 개인의식에 바탕을 둔 자율성으로 규정된다. 인성을 온전한 자아에 대한 신념으로서 접근하는 이른바 실념론적 관점은 성리학과 기독교 사상으로 대표되며, 여기서 인성은 자발성으로 규정된다. 피아제의 논의는 자아의 의미를 개인으로 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행위자와 도덕규칙의 올바른 관계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며, 행위자와 도덕규칙의 다같은 목적이 되는 보편적 자아의 개념을 상정하고 있는 성리학과 기독교 사상은 양자의 올바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인성에 관한 이러한 대안적 관점들에 비추어 볼 때 인성교육의 과제는 특정한 핵심가치나 덕목을 길러주는 일에서 찾을 것이 아니라 자아에 대한 관점을 전향하기 위한 다양한 교과교육에서 찾아져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the issue of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define the character of a human being as a competency as stated by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n light of two alternative views about character, and draws implications about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o-called nominalistic view that approaches character as a fact is represented by the moral psychology theory of Jean Piaget(1896-1980), where character is defined as autonomy based on individual consciousness. The so-called realistic view that approaches a character as a belief about a whole and well-balanced self is represented by Neo-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where character is defined as spontaneity. Piaget’s argument does not show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agent and moral rules as it limits the meaning of self to individuals, while Neo-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which presume the concept of a universal self that is the same purpose of both the agent and moral rules, show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idering these alternative views about character, the challenge of character education must be found not in cultivating certain core values or virtues, but in various subject curricula that can transform views about the self.

      • KCI등재

        생성 인공지능 시대의 인성교육을 위한 인성과 인성교육 개념의 비판적 분석

        김국현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3

        The use of generative AI is spreading in education and everyday life. Character education is education that promotes the youth to live a virtuous and happy life.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appropriately and appropriately, the first step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critically analyzes the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the concept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which are important in the search for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definitions of personal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character components are derived, and personality competencies and qualities to be emphasized in the era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amined. The contents of this thesis are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direction and tasks of personality education for youth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생성 인공지능의 사용이 교육과 일상생활에서 확산하고 있다. 인성교육은 청소년이 덕스럽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촉진하는 교육이다. 인성교육을 타당하고 적실하게 설계 및 실행하는 데 우선은 인성과 인성교육 개념의 정립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생성 인공지능 시대의 인성교육 방향 모색에서 중요한 인성과 인성교육 개념 관련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인성과 인성교육의 정의들에서 인성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생성 인공지능 시대에서 강조할 인성 역량과 자질들을 살펴본다. 본 논문의 내용은 학교 안팎 청소년을 위한 인성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급별 인성 수준과 고교 인성교육의 방향설정 : 고교 인성교육 창의융합 과제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윤영돈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인성교육진흥법의 시행과 더불어 인성교육이 학교현장에서 의무적으로 부과됨에 따라 학교급별 인성 수준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인성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 표로 한다. 학교급별 학생들의 인성 수준을 진단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의 인성수준이 가장 높고, 중학교의 인성수준이 가장 낮으며, 고등학교의 인성수준은 중학교에 비해 높지만 초등학교 수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고교 인성교육의 능동적인 주체가 되어야 하지 않는가’라는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G고등학교 학생연구원이 수행한 인성교육 창의융합 과제연구(R&E) 결과에 근거하여 고교 인성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Enforce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shows directly us how national ․ social demands for character education are great. This paper delves into diagnosis of character in school and possibility & orient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high school. According to surveys diagnosing the actual state of character by school grade, character level of elementary school is first, that of high school is second, and that of middle school is third. With research problem that student should become active subject of character education, this study established orientation of high school character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reative convergence R & E about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군 인성교육의 실태 분석을 통한 군 인성교육의 방향 탐색

        이범웅(Lee, Beom-ung) 국방정신전력원 2019 정신전력연구 Vol.0 No.56

        인성교육의 목적은 인간다운 면모, 성질, 자질, 성품 혹은 품성의 형성이며, 이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교육의 목적과 전통 속에 붙박여 있는 핵심 과업이다. 인성교육은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인성교육은 우리 사회 전체가 담당해야 할 몫이지 어느 특정 영역의 과업이 더 이상 아니다. 그런데 그동안 군 인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의식의 부족으로 인성교육을 군에서 실시하거나 그 성과를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전제로 본 연구는 정신교육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인성교육이 창군 이래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각종 문헌, 논문, 통계 및 법령 등을 참고하여 학교나 사회 교육기관에서 다루었던 인성의 개념, 인성교육의 의미와 내용, 인성교육의 전개와 그 필요성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를 정리할 것이다. 그리고 군에서 발간한 교재에서 다루었던 인성교육 분야의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학교나 사회 교육기관에서 다루었던 인성교육의 내용과 군 정신교육에서 다루는 인성교육 내용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분석으로 토대로 향후 군 인성교육의 내용과 지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character education is to form human aspects, qualities, character, or good personality, which is a core task embedded in the purpose and tradition of education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Character education is essential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Therefore, unlike the past, character education is social responsibility as a whole. there has been not so many studies conduct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military due to the lack of consciousness about the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study examines how character education that has been treated as a part of spiritual and mental education has evolved since the founding of the Korean Armed Forces. The researcher summarizes the concept of personality, the meaning and content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and necessity of character education, that were handled in schools and social education institution, by referring to various documents, paper, statistics, and laws. The researcher also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field that were covered in the textbooks published by the military.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er explores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military in the future.

      • KCI등재

        공자의 孝道觀의 심층연구(1) — 한국의 인성교육원리탐구를 위하여 —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incipl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came from the thought of benevolence-filial piety of Confucius that inherited the thought of Three Sagas as the foundation and root of the human education culture. Korea, accommodating Confucius thought of education absolutely throughout its history—Three Kingdom, Goryeo and Joseon periods— protected its national tradition despite the numerous invasions while maintaining its national identity. The n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benevolence and filial piety continued until the later part of Joseon. Retrospectively, in reality, the core and main theme of the Korea’s academic and education foundation was the thought of benevolen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overnments focused on the study of filial piety in education from the national and private education. However, the national identity and education lost its traditional values when the tsunami of Western thoughts reached Korea and adopted it without criticism. The national leaders and educators made mistakes to stop this phenomenon although the problems prevailed. Some realized the problem and tried to reform the education system, but they failed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rinciples of the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The day when the Prime Minister announced the so-called personality coalition, a disturbance at her Gyeseong elementary School, an open school, ridiculed the government’s intention. It is so important that the educational reform must carry on with the philosophy of national policy. The most crucial task is the start the effort to find the true function of educ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Although all schools in Korea and the Personality Education Coalition proclaim the importance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They lacked the principle while mentioning of various technicalities. it would cause the repeating of the same tasks resulting the collapse at the end. This study consists of 2 parts will provide the core of the element of Korean personality education as well as the directions through the in-depth study of the thought of filial piety of Confucius who was the model of teacher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irst of all, This study provides the thought of filial piety of Confucius when the parents are alive. 1) repay parents’ love 2) reduce the worry of parents by maintaining good health 3) training good personality 4) respect one’s parents 5) feed one’s parents 6) maintaining parents' health 7) maintain brotherly[sisterly] love 8) remove impurity 9) keep rituals 10) reduce worry of one’s parents 11) dissuade the one’s emotion 인류교육문화의 원두처이며 원(原)뿌리인 삼성(三聖)의 인효사상을 계승한 공자의 인효사상에서 인성교육의 원리가 나왔다고 단정할만하다. 공자의 교육사상을 절대적으로 수용한 우리나라는 각 시대(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조시대)를 달리해 가면서 수많은 외래의 침략에도 국통을 수호하였고 뿐더러 민족주체성을 지켜왔고 인효교육으로 일관한 국교(國敎)로 효교육을 한말(韓末)까지 꿋꿋하게 지속해 왔음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회고해 보건대 사실상 우리나라의 학문과 교육의 중심과 교육사상의 핵심과 정맥(正脈)은 사상적으로는 인(仁)사상이요, 교육적으로는 국가가 중앙에서 관장하는 공교육은 물론 사교육인 전국의 시골의 서당에 이르기까지 효학(孝學)에 크게 중점을 두었음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물밀듯이 밀려 온 서구사상의 강타와 비판 없이 수용한 교육사조는 종래는 민족의 주체성과 교육의 국적은 실종시키고 말았다. 이러한 엄청난 결과는 이미 조짐이 오래전에 있었지만 국정책임자와 교육정책자들은 이를 막지 못하는 우(愚)를 범하였다. 이를 감지한 한국교육의 미래를 걱정하는 교육정책자들은 인성교육과 교육개혁을 전(前)에도 시도했으나 교육의 원두처와 인성교육의 원리를 정확히 판단하지 못했기 때문에 성공하지 못하고 모두 실패하였다. 지난번 국무총리가 발표한 이른바 ‘인성연합’이 공표되던 날에 서울의 개방학교였던 계성초등학교의 난동자의 난입사건은 정부를 무색하게 하였다. 어찌 길게 이루 논의할 수 있는 겨를이 있으리오마는 인성(仁性)을 기르기 위한 효행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정책과 교육개혁은 반드시 국정철학으로 단행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시급한 인성교육의 원리를 찾아 교육제자리 찾기부터 착수해야하는 것이 첫째 과제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작금 우리나라는 모든 학교가 인성교육을 내세우고 있고 ‘인성교육연합’도 발족되었다. 그러나 원리(原理)를 말하지 않고 각론을 강조 있는 것 같다. 그래서야 교육이 맨날 쳇바퀴 돌다가 다시 미로(迷路)를 걷고 말 가능성이 높다. 이제 내 여기 인류 만세의 사표인 공자의 효도관의 심층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인성교육의 원리의 핵심과 그 방향을 1차 2차 2회에 걸쳐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제1차로 부모 생존 시에 섬겨야할 공자의 효도관을 대략 제시한다. 1) 보은(報恩)하기, 2) 보신(保身)하기, 3) 인성(仁性)을 함양하기, 4) 효제(孝弟)하기, 5) 공경(恭敬)하기, 6) 강령(康寧)케 하기, 7) 시봉(侍奉)하기, 8) 순지(順志)하기, 9) 예절(禮節)지키기, 10) 쇄우(鎖憂)하기, 11) 간지(諫止)하기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가치공동체 복원

        김우진(Kim Woojin)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의 사회적 요구를 대학에서 어떻게 수용해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는지 분석하고 인성교육에서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한 뒤, 현재 대학 인성교육 프로그램에서 결여된 부분이 무엇인지 밝혀 그 결여된 부분을 어떻게 보완해야 할지를 제언하는 것이다. 대학들은 공동체의식 중심, 글로벌 시민교육 중심, 유학 고전 읽기방식, 명상 방식, 그리고 역사 인물 탐구 방식 등 각기 다양한 인성교육 방식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들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대체로 교육부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언급했던 인성교육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정작 인성교육진흥법조차도 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인성교육의 중요한 요소를 결여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인성교육의 덕목과 학생들의 비전을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정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 아닌,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가치와는 다른 목적으로 모인 공동체가 아닌,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가치중심 공동체와 대학 인성교육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인성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돈이 아닌 가치 중심의 삶을 기획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하는 것이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at’s lacking is the kind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fter analyzing make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program by how accept social demands of personality education in university and identifying what is important element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suggest how complements the lacking element. Universities is carrying out in various ways, community sentiment, global civic education, Confucian classics reading, contemplation, inquiring historic person and so on. Their programs put in cont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mentioned in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Act of Ministry of Education, but is lacking important elem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improvement the contents which Ministry of Education doesn’t consider. It is the point that do not connect virtue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visions of students. The community is not group which seeks after a particular benefit or gathers in the purpose different from the good it must pursu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has to be that which connect a variety of value based community that there are in our socie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university. Personality education must be that which make students have power that can plan value based life.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의 한계에 대한 철학적 분석 : 법적 실효성 개념을 중심으로

        송민규(Song, Min-Kyu),신창호(Shin, Chang-Ho)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0 敎育思想硏究 Vol.34 No.3

        본고는 「인성교육진흥법」이 지닌 한계를 철학적으로 분석・검토한 것이다. 인성에 관한 교육은 이전부터 이루어져 왔지만 교육과정에 명시된 것은 1995년부터이다. 이후 학교폭력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문제로 촉발된 인성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은 「인성교육진흥법」제정으로 이어졌으나 제정 당시부터 그 실효성에 대한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인성교육진흥법」이 교육 현장에 적용될 때 그 실효성은 인성교육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이때 객관성은 사실에 근거해야 하므로 인성이라는 교육적・윤리적 속성은 경험 가능한 자연주의적 속성으로 환원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인성에 대한 자연주의적 환원은 의지를 배제함으로써 타당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비환원적 관계를 설정해야 하고, 이는 ‘수반’ 개념의 도입을 통해 시도해볼 수 있다. 이때 수반은 약수반과 강수반으로 구분된다. 약수반은 속성 사이의 의존 관계를 구할 수 없으며, 강수반은 속성 간의 동연 관계를 함축하므로 비환원적 관계 설정은 실패하게 된다. 이런 철학적 분석에 기초해 볼 때, 「인성교육진흥법」은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고, 이를 극복하지 못할 경우 「인성교육진흥법」은 실효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gage in a philosophical analysis on the limits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lthough what could be called “character education” in today’s standard has always been part of Korean public education curriculum for almost 60 years, that it had been was only made explicit in 1995. In the wake of a series of educational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the government enacted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However, ever since the enactment, the law has been criticized for the absence of measures as to the legal effectiveness. The issue is to secure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of character, because the legal effectiveness of the law, when put into practice, is predicated on the evaluation. Because the objectivity of the evaluation can only be secured when it is based on facts, the educational as well as moral property of character must be reduced to natural properties. In so doing, however, the will gets excluded, thereby rendering the law invalid. To overcome this difficulty, one can take a recourse to non-reducti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the educational and moral property of character and natural properties, based on the concepts of the weak supervenience and strong supervenience, respectively. Yet, both relationships fail, because, firstly, the one based the weak supervenience does not show that character depends on natural properties and, secondly, the one based on the strong supervenience implies the coextension between the two types of properities. As such,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does not seem to have secured its legal effectiveness.

      • KCI등재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유아음악활동 영역의 인성요소 분석

        임혜정 한국음악교육학회 2015 음악교육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유아음악활동이 유아인성교육에 기여하는 바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누리과정해설서 및 국내 유아음악관련 저서 등 총 11권에서 제시하는 유아음악활동의 내용을 취합하여 활동에 내포되어 있는 인성요소와 그 빈도수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유아음악활동의 5개영역에서 총 53개의 활동으로부터 136건의 인성요소를 검출하였으며 그 결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14개의 인성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성요소의 영역별 분포도는 ‘개인 및 기본생활습관’ 영역이 80.9%, ‘타인과의 관계성’ 14.7%, ‘시민의식’ 4.4%이었으며 가장 많이 나타난 인성요소는 ‘자발성’으로 전체의 26.5%이며 그 다음은 ‘자기표현’, ‘자신감’ 순이었다. 인성요소별 빈도수는 음악듣기를 제외한 4개 영역에서 ‘자기표현’과 ‘자발성’이 우위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유아음악활동은 유아인성교육에 있어서 ‘자발성’과 ‘자기표현’, ‘자신감’ 등 개인과 관련된 인성요소를 강화하기에 매우 적합한 활동일 뿐 아니라 다소 적은 비중이기는 하지만 ‘타인존중’, ‘배려’, ‘협동’, ‘경청’등 ‘타인과의 관계성’과 관련된 인성요소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의 활동에 나타난 인성요소에도 부합하는 결과이다. 이로써 유아음악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인성교육의 방법으로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